||
'''{{{#FFFFFF 돈 서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개막전 선발 투수)] ---- [include(틀:밀워키 브루어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FFF 돈 서튼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영구결번)] ---- [include(틀:밀워키 브루어스 명예의 벽)] ---- [include(틀:브레이브스 명예의 전당)]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8&height=21]]]]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FFFFFF 명예의 전당}}}]] {{{#FFFFFF 헌액자}}}''' || ||<-2> [[파일:external/baseballhall.org/Sutton%20Don%20Plaque_NBL.png|width=250]] || ||<-2> '''[[http://baseballhall.org/hof/Sutton-Don|돈 서튼]]''' || || 헌액 연도 || [[1998년]] || || 헌액 방식 || 기자단(BBWAA) 투표 || || 투표 결과 || 81.6% (5회)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80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평균자책점왕}}}''' || || [[J.R. 리차드]][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돈 서튼[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놀란 라이언]][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7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MVP}}}'''}}} || || [[조지 포스터]][br]([[신시내티 레즈]]) || → || '''돈 서튼[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스티브 가비]][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n Sutton.png|width=100%]]}}} || ||<-2> '''{{{#CCAC00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No.20}}}''' || ||<-2> '''{{{#005A9C,#62BCFF {{{+2 도널드 하워드 "돈" 서튼}}}[br]Donald Howard "Don" Sutton}}}''' || || '''출생''' ||[[1945년]] [[4월 2일]] || || '''사망''' ||[[2021년]] [[1월 18일]] (향년 75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지''' ||[[앨라배마|앨라배마 주]] 클리오 || || '''가족''' ||아들 [[대런 서튼]] || || '''신체''' ||188cm / 85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64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66~1980)'''[br][[휴스턴 애스트로스]] (1981~1982)[br][[밀워키 브루어스]] (1982~1984)[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85)[br][[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캘리포니아 에인절스]] (1985~1987)[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88)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전 야구선수. == 평가 == 1970년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에이스였고, 300승과 3000K를 모두 기록한 투수. 시즌 20승 기록은 단 한 번만 기록했지만, 특유의 꾸준함으로 23년의 선수 생활동안 무려 21번의 두 자리수 승수 시즌을 만들어 내며 기어이 300승을 달성했고,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또한 숨겨진 [[콩라인]] 선수 중 한 명. 통산 성적은 23 시즌 동안 324승 256패, ERA 3.26, 5282.1이닝[* MLB 역대 7위에 해당하는 엄청난 기록이다. 또한 15시즌 연속 200이닝 소화라는 가히 범접하기 어려운 기록도 가지고 있다.], 3574K, K/9 6.08, BB/9 2.28, K/BB 2.66, HR/9 0.8, 178완투 58완봉을 기록했다. == 선수 생활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가 그를 주목해서 입단시킨 후, 데뷔 시즌인 1966년 제법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였다. 1966년 기준으로 신인 주제에 209K를 뽑아내면서 [[피트 알렉산더]]에 이어 데뷔시즌에 두 번째로 많은 탈삼진을 잡아낸 투수가 된 것. 비록 승운이 따르지 않아 12승 12패 평균자책 2.99로 만족해야 했지만, 이 때부터 돈 서튼은 꾸준히 두 자리 승수 행진을 이어나가기 시작했다. 이 1966년은 [[샌디 쿠팩스]]의 은퇴 시즌이었는데 쿠팩스가 은퇴하고 [[돈 드라이스데일]]이 몰락하면서 자연히 다저스의 에이스 자리는 서튼이 이어받게 되었다.[* 여담으로 그가 처음 메이저리그 경기에 출장한 1966년 4월 14일에 전설적인 투수 [[그렉 매덕스]]가 태어났다.] 꾸준하게 1970년대 다저스의 에이스로 활약하면서 매년 15승 이상은 기록했다. 승운이 안 따르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래도 아주 박복하지는 않아서 승률은 나쁘지 않았다. 이 꾸준한 두 자리 승수 행진은 17년 연속 두 자리수 승수로 이어졌다. 1980년 자유계약 선수 자격을 얻어 [[휴스턴 애스트로스]]로 이적했고, [[1982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노리던 [[밀워키 브루어스]]로 트레이드 되었고[* 그러나 정작 브루어스는 6차전에서 서튼이 불을 지르는 바람에 우승에 실패했다.], 다시 1984년 시즌을 마치고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트레이드 되었다가 1985년에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이 와중에 1983년 8승에 그치면서 연속 두 자리 승수 행진은 깨졌지만, 바로 재기에 성공해서 최종적으로 21시즌 두 자리 승수를 기록했다. 1970년대에는 에이스다운 성적도 많이 냈다. 다만 [[사이 영 상]]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는데, 승률이 나빠서 투구 내용은 좋았는데도 받지 못했다기 보다는 말 그대로 경쟁자들이 더 잘한 경우가 많았다. 유일한 20승 시즌인 1976년 사이 영 상 투표에서 3위에 오른 것이 최고 기록인데, 그 해 사이 영 상 수상자인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랜디 존스]]가 300이닝 넘게 던지면서 20승을 땄기 때문에, 밀려도 할 말 없는 성적. 참고로 숨겨진 [[콩라인]]이다. PO 운은 따랐기 때문에 통산 다섯 차례 PO를 밟았는데, 그 중 4번이나 월드 시리즈에 올라갔다. 그런데 신인 시절인 [[1966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마운드에 서지 못하고 [[볼티모어 오리올스]]에게 패배하는 장면을 봐야 했다. [[1974년 월드 시리즈|1974년]]에 비로소 PO 마운드에 올라 월드시리즈까지 가지만,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게 패배. [[1977년 월드 시리즈|1977년]]과 [[1978년 월드 시리즈|1978년]]에는 2년 연속 [[뉴욕 양키스]]에게 패배. [[밀워키 브루어스]] 소속이던 [[1982년 월드 시리즈|1982년]]에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게 패배. 그래서 우승 반지가 없다. 이 사람의 콩라인 속성을 더욱 빛내주는 장면이 두 가지 있는데, 하나는 1986년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캘리포니아 에인절스]] 소속으로 [[1986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ALCS]]에서 3승 1패로 앞서다가 5차전 마무리 투수의 블론 세이브를 시작으로 내리 3연패 하는 장면을 목격했다. 여기에 더해 커리어의 대부분을 보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는 공교롭게도 그가 데뷔하기 직전 시즌인 [[1965년 월드 시리즈|1965년]]에 [[미네소타 트윈스]]를 꺾고 우승했고, 그가 처음 팀을 떠난 시즌인 [[1981년 월드 시리즈|1981년]]에 [[뉴욕 양키스]]를 격파하고 우승했다. 다른 하나는 1988년의 일이다. 1988년 친정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돌아왔지만, 세월을 속일 수 없는지 8월에 방출되고 은퇴했다. 그런데 여기서도 콩라인의 속성이 제대로 드러나는데, 그가 방출된 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는 PO에서 승승장구하며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를 [[1988년 월드 시리즈|누르고 우승해 버렸다]]. 최후의 우승 반지 기회도 그렇게 날아갔다. 한편으로 300승을 거둔 1986년과 1987년 에인절스 시절에는 300승 투수들과 4차례나 대결하기도 했다.[* 라이브볼 시대 300승 투수 대결은 [[그렉 매덕스]]와 [[로저 클레멘스]]의 대결 전까지 단 4번 있었다. 그 모두가 서튼의 경기였으며, 상대는 차례로 [[필 니크로]], [[톰 시버]], [[스티브 칼튼]]이었다.] 그리고 그 4경기에서 모두 [[퀄리티 스타트]]를 거뒀다. [[http://retrosheet.org/boxesetc/1986/B06280CAL1986.htm|뉴욕전]], [[http://retrosheet.org/boxesetc/1986/B07270CAL1986.htm|보스턴전]], [[http://retrosheet.org/boxesetc/1987/B06080CAL1987.htm|클리블랜드전]], [[http://retrosheet.org/boxesetc/1987/B08040CAL1987.htm|미네소타전]]. == 특징 == 임팩트는 거의 없다시피했는데, 수상 경력이라고는 1980년 평균 자책점 1위가 딱 한 번 있다. 오랫동안 선수 생활을 해낸 덕에 통산 3,000탈삼진도 넘겼지만, 정작 탈삼진 왕을 차지한 적도 없다. 리그를 압도하는 성적을 낸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23년의 경력에서 사이 영상 투표에서 표를 받은 것도 다섯 시즌에 불과하다. 따라서 임팩트를 나타내는 지표인 블랙잉크에서는 8이라는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서튼은 임팩트가 약했던 대신 야구 역사에 남을 정도의 전설적인 금강불괴이자 꾸준함의 대표주자였는데, 정말 꾸준히 승수를 챙겨가면서 은퇴 시점에는 324승이라는 기록을 남겼고, 탈삼진도 3,500개을 넘겼다. 게다가 무려 5282이닝을 던지는 동안 단 한 번도 부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동 시대를 주름잡던 투수들이 결국 부상으로 인해 시들거나, 아니면 고생을 많이 했던 것과 달리 서튼은 자기 관리에 철저했고, 내구력을 바탕으로 꾸준한 피칭을 과시했다. 그의 선수 생활에서 가장 빛나는 대목도 15년 연속 200이닝 이상 투구와 20번의 200이닝 이상 투구다. 만일 1981년 시즌이 파업으로 인해 단축되지 않았다면, 서튼은 그야말로 라이브볼 시대 이후에는 전무후무한 21년 연속 200이닝 이상 소화라는 대기록을 남겼을지 모른다. 현대 야구에서 그와 비슷한 투수로는 [[마크 벌리]]를 꼽을 수 있으나 벌리는 비교적 빨리 은퇴해서 명예의 전당 입성 전망이 어둡다. 다만 서튼의 성적이 저평가 받는 요소는 바로 압도적이지 않았던 부분이 아니라 [[부정투구]] 논란이다. 동 시대 투수들이 은근 슬쩍 부정투구를 많이 구사했기 때문에 특별히 서튼만 가지고 뭐라 할 수는 없지만, 서튼은 그 중에서도 부정투구로 정평이 난 투수였다. 그의 별명인 블랙 앤 데커(Black & Decker)는 동명의 미국의 유명 공구 회사를 따서 지어졌고 그가 야구공을 공구로 수선한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한번은 농담조로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내가 [[게일로드 페리]][* 페리는 부정투구의 달인이라고 불릴 만큼 부정투구를 자주했으며 이 방법으로 300승을 거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를 만났을 때, 그는 나에게 바셀린을 건네주었고, 나는 그에게 사포를 건네주었다." 둘은 같은 팀에서 뛴 적은 없고, 같은 지구에서 뛰어서 만날 기회가 그나마 많았던 다저스 시절일 듯. == 은퇴 이후 == 은퇴 후에는 고향 근처인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중계를 담당하는 라디오 캐스터로 활동하고 있다. 이전엔 [[워싱턴 내셔널스]] 중계를 하기도 했다. 한 때, 신장암에 걸렸지만, 이를 극복하고 복귀했다. 그의 아들인 [[대런 서튼]]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중계 캐스터를 맡기도 했지만 2013년에 ESPN으로 이직했고[* 그 후임으로 서튼이 추천한 스티브 바티움이 들어왔다.], 2021년에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전담 중계로 돌아왔다가 89경기 만에 사표를 던지고 퇴사해버렸다.[* 아버지가 타계한 지 1년 5개월 여가 지난 2022년 5월 25일에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고향팀]] 중계방송국인 Spectrum Sportsnet LA의 부름을 받고 다시 로스앤젤레스로 돌아왔다.] 2021년 1월 18일,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카운티의 소도시인 랜초 미라지에서 75세의 나이로 타계하였다.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명예의 전당]] 입성 ==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은 5수 끝에 1998년 입성했다. 324승 투수 치고는 늦은 입성일 수도 있는데, 앞에서 언급한 임팩트 따위는 하나도 없음 + 부정 투구에 대한 이미지가 겹쳤고, 여기에 월드시리즈에서 그리 강한 투수가 아니었기 때문에 빅 게임 피처로서의 이미지도 없어서 5수나 걸렸다.[* 부정투구로 악명높은 게일로드 페리는 그래도 양대리그 사이 영 상 수상자라는 임팩트가 있어서 3수만에 들어갔다.][* 이와 비슷한 사람으로는 "300승 이상을 거뒀지만 너클볼로 먹고 살았다"라는 이미지 때문에 마찬가지로 5수만에 헌액된 [[필 니크로]]가 있다. 필 니크로는 마이너리그 생활이 너무 길었던 것도 있다. 20대 후반까지 마이너리거였고 20대 후반에도 1.5군을 하다가 메이저리그 붙박이가 되었다.] ===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 * [[명예의 전당 통계|블랙잉크]], [[명예의 전당 통계|그레이잉크]], [[명예의 전당 통계|명예의 전당 모니터]], [[명예의 전당 통계|명예의 전당 스탠다드]] || ||블랙잉크||그레이잉크||HOF 모니터||HOF 스탠다드|| || 돈 서튼 || 8 || 243 || 149 || 58 || ||HOF 입성자 평균|| 40 || 185 || 100 || 50 || * [[명예의 전당 통계|JAWS]] - Starting Pitcher (71st) || ||career WAR||7yr-peak WAR||JAWS|| || 돈 서튼 || 67.4 || 34.0 || 50.7 || ||선발투수 HOF 입성자 평균|| 73.9 || 50.3 || 62.1 ||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돈 서튼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1966 ||<|15>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37 || 12 || 12 || 0 || 0 || 225⅔ || 2.99 || 192 || 19 || 52 || 3 || 109 || 1.081 || 110 || 4.7 || 3.5 || || 1967 || 37 || 11 || 15 || 1 || 0 || 232⅔ || 3.95 || 223 || 18 || 57 || 6 || 169 || 1.203 || 78 || 3.0 || 1.1 || || 1968 || 35 || 11 || 15 || 1 || 0 || 207⅔ || 2.60 || 179 || 6 || 59 || 2 || 162 || 1.146 || 106 || 4.0 || 3.2 || || 1969 || 41 || 17 || 18 || 0 || 0 || 293⅓ || 3.47 || 269 || 25 || 91 || 3 || 217 || 1.227 || 96 || 3.9 || 2.0 || || 1970 || 38 || 15 || 13 || 0 || 0 || 260⅓ || 4.08 || 251 || 38 || 78 || 10 || 201 || 1.264 || 94 || 1.7 || 1.1 || || 1971 || 38 || 17 || 12 || 1 || 0 || 265⅓ || 2.54 || 231 || 10 || 55 || 5 || 194 || 1.078 || 127 || 7.1 || 4.6 || || 1972 || 33 || 19 || 9 || 0 || 0 || 272⅔ || 2.08 || 186 || 13 || 63 || 4 || 207 || '''0.913''' || 162 || 6.8 || 6.6 || || 1973 || 33 || 18 || 10 || 0 || 0 || 256⅓ || 2.42 || 196 || 18 || 56 || 5 || 200 || 0.983 || 144 || 6.0 || 5.4 || || 1974 || 40 || 19 || 9 || 1 || 0 || 276 || 3.23 || 241 || 23 || 80 || 6 || 179 || 1.163 || 106 || 4.3 || 2.5 || || 1975 || 35 || 16 || 13 || 0 || 0 || 254⅓ || 2.87 || 202 || 17 || 62 || 3 || 175 || '''1.038''' || 119 || 5.4 || 3.5 || || 1976 || 35 || 21 || 10 || 0 || 0 || 267⅔ || 3.06 || 231 || 22 || 82 || 3 || 161 || 1.169 || 110 || 3.3 || 3.1 || || 1977 || 33 || 14 || 8 || 0 || 0 || 240⅓ || 3.18 || 207 || 23 || 69 || 3 || 150 || 1.148 || 121 || 3.8 || 4.5 || || 1978 || 34 || 15 || 11 || 0 || 0 || 238⅓ || 3.55 || 228 || 29 || 54 || 5 || 154 || 1.183 || 99 || 2.7 || 1.4 || || 1979 || 33 || 12 || 15 || 1 || 0 || 226 || 3.82 || 201 || 21 || 61 || 1 || 146 || 1.159 || 95 || 3.7 || 2.0 || || 1980 || 32 || 13 || 5 || 1 || 0 || 212⅓ || '''2.20''' || 163 || 20 || 47 || 2 || 128 || '''0.989''' || 161 || 3.0 || 6.3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1981 ||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23 || 11 || 9 || 0 || 0 || 158⅔ || 2.61 || 132 || 6 || 29 || 1 || 104 || '''1.015''' || 126 || 3.9 || 2.8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1982 || [[휴스턴 애스트로스|HOU]]/[[밀워키 브루어스|MIL]] || 34 || 17 || 9 || 0 || 0 || 249⅔ || 3.06 || 224 || 18 || 64 || 1 || 175 || 1.154 || 112 || 4.6 || 3.5 || || 1983 ||<|2> [[밀워키 브루어스|MIL]] || 31 || 8 || 13 || 0 || 0 || 220⅓ || 4.08 || 209 || 21 || 54 || 5 || 134 || 1.194 || 92 || 3.4 || 1.6 || || 1984 || 33 || 14 || 12 || 0 || 0 || 212⅔ || 3.77 || 224 || 24 || 51 || 3 || 143 || 1.293 || 103 || 3.3 || 2.7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1985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캘리포니아 에인절스|CAL]] || 34 || 15 || 10 || 0 || 0 || 226 || 3.86 || 221 || 25 || 59 || 0 || 107 || 1.239 || 100 || 3.0 || 3.1 || || 1986 ||<|2> [[캘리포니아 에인절스|CAL]] || 34 || 15 || 11 || 0 || 0 || 207 || 3.74 || 192 || 31 || 49 || 3 || 116 || 1.164 || 110 || 2.2 || 2.4 || || 1987 || 35 || 11 || 11 || 0 || 0 || 191⅔ || 4.70 || 199 || 38 || 41 || 7 || 99 || 1.252 || 93 || 1.1 || 1.7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1988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16 || 3 || 6 || 0 || 0 || 87⅓ || 3.92 || 91 || 7 || 30 || 1 || 44 || 1.385 || 86 || 0.5 || -0.1 || ||<-2> '''[[MLB]] 통산[br](23시즌)''' || 774 || 324 || 256 || 5 || 0 || 5282⅓ || 3.26 || 4692 || 472 || 1343 || 82 || 3574 || 1.142 || 108 || 85.5 || 68.3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45년 출생]][[분류:2021년 사망]][[분류:1966년 데뷔]][[분류:1988년 은퇴]][[분류:바버 카운티(앨라배마)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분류:밀워키 브루어스/은퇴, 이적]][[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은퇴, 이적]][[분류:신장암으로 죽은 인물]][[분류: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MLB 영구결번 선수]][[분류:MLB 평균자책점왕]][[분류:MLB 300승 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