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윈저 맥케이상)] ---- ||<-2> '''{{{+2 돈 블루스}}}[br]Don Blut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onBluth.jpg|width=100%]]}}} || || '''본명''' ||도널드 버질 블루스[br]Donald Virgil Bluth || ||<|2> '''출생''' ||[[1937년]] [[9월 13일]] ([age(1937-09-13)]세) || ||[[미국]] [[텍사스]] [[엘패소]]||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가족''' ||가족관계|| || '''학력''' ||[[브리검 영 대학교]] {{{-2 (영문학 / 학사)}}}|| || '''직업''' ||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감독, 영화 감독|| || '''소속'''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1955~1960,1970~1979) [br][[필메이션]](1967~1970)[br][[20세기 폭스]](1993~2000) || || '''링크''' ||[[http://www.donbluth.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onbluth, 크기=20)] [[인스타그램|[[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감독]], [[영화 감독]]. == 생애 == 텍사스 주 앨 패소 출신으로 6살 때 온 가족이 캘리포니아 주의 샌타 애나로 이주한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세례를 받고 1954년 유타 주의 [[브리검 영 대학교]]를 1년간 다닌 블루스는 휴학을 하고 이듬해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이 만드는 [[잠자는 숲속의 공주(애니메이션)|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작업하던 존 룬스베리의 조수로 고용되었는데 이 때 맡은 작업을 하던 도중 1957년에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선교사]]로 2년 반 동안 [[아르헨티나]]에서 머물기도 했다. 1959년 귀국한 블루스는 캘리포니아 주 컬버 시티에 극장을 운영하면서 뮤지컬을 만들었으며 대학에 복학해 1967 [[영문학]] [[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직후 [[필메이션]]에 입사하면서 애니메이션 업계로 돌아와 1971년부터 다시 디즈니에서 애니메이터로 일하게 된다. 1977년 나인 올드 맨의 (활동 중이던) 멤버들과 애니메이터 감독으로 승진하였으며, 이듬해 The Small One을 제작한 후, [[토드와 코퍼]]를 만들던 도중 경영진과 애니메이션 교육 관행 & 예술적 제어를 두고 서로 대립하다 끝내 견해를 좁히지 못하여 9명의 동료 애니메이터를 데리고 디즈니를 나와 돈 블루스 프로덕션을 설립했다. 1982년 'NIMH의 비밀(마우스 킹)'을 시작으로 데뷔한 블루스는, [[박스 오피스]] 실적과 [[평론가]]들의 찬사에도 불구하고 미비한 총수입과 당시 발발한 애니메이션 업계의 [[파업]]으로 [[파산]] 신청을 하였으며, 이 때 [[노르웨이]] [[민담]] '동쪽의 해와 서쪽의 달'을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작품을 제작하려 했지만 끝내 불발되었다. 1985년 [[캘리포니아]]에 포메로이, 골드만, 모리스 설리반(Morris Salivan)과 공동으로 설리반 블루스 스튜디오를 설립하였으며, 차후 들어올 인센티브의 활용을 위하여 [[아일랜드]]로 스튜디오를 이전하였다. 이듬해와 1988년엔 [[스티븐 스필버그]]와 협력하여 [[피블의 모험]](The American Tail)과 [[공룡시대]]를 제작하여 두 작품 모두 제작비의 몇 배를 뛰어넘는 대흥행을 거두었지만, 1989년 <모든 개는 [[천국]]에 간다>(All Dogs Goes to Heaven)를 만들기 전부터 블루스는 스필버그와의 작업 관계를 중단하게 된다. 이후 1997년 자신이 제작해 20세기 폭스가 배급한 [[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아나스타샤]]가 흥행에서 양호한 실적을 거두었는데, 바로 3년 후 [[타이탄 A.E.]]에서 제작비의 절반에 미친 성과로 저조한 흥행을 거두자 20세기 폭스는 자체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폐쇄하였고 블루스 자신도 [[극장판]]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물러나게 된다. 그리고 2015년 10월, 블루스는 골드만과 같이 Dragon's Lair를 바탕으로 한 극장판 영화 제작을 위한 [[킥스타터]] 캠페인을 시작하였으며, 14일 만에 목표액 수치인 25만 달러를 도달하였다. 5년 뒤(2020년) 9월 11일, 블루스는 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시작했다고 발표하였으며 완성된 작품은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한 뒤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될 것이라고 밝혔다. == 작품 목록 == === 애니메이션 제작 === * 스몰 원(The Small One,1978) * 나무더미 고양이 밴조(Banjo the Woodpile Cat,1979) * 마우스 킹(The Secret Of NIMH,1982) * [[Dragon's Lair]](1984)[* 게임 속 애니메이션 제작 담당] * [[파이블의 모험]](An American Tail,1986) * [[공룡시대]](The Land Before Time,1988) * 찰리의 천국여행(All Dogs Go to Heaven,1989) * 에디의 환상여행(Rock-a-Doodle,1991) * 썸벨리나(Thumbelina,1994) * 센트럴 파크의 요정(A Troll in Central Park,1994) * 페블과 펭귄(The Pebble and the Penguin,1995) * [[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아나스타샤]](Anastasia,1997) * 바톡(Bartok the Magnificent,1999)[* [[아나스타샤(애니메이션)|아나스타샤]]에서 등장했던 감초 캐릭터 포지션인 바톡을 주인공으로 한 스핀오프작.] * [[타이탄 A.E.]](Titan A.E.,2000) === 게임 === * [[Dragon's Lair]], II, 3D * Space Ace * I-Ninja * Tapper World Tour == 여담 == * 본인의 [[유튜브]]와 [[트위터]] 계정이 존재한다. == 관련 인물 == * 영향을 받은 인물 * 존 라운스베리(John Rounsbery) & 나인 올드맨(Nine Old Men) 멤버들 : 직접적인 멘토는 존 라운스베리였으며, 애니메이션 기법을 배우는 데 있어선 나인 올드맨 멤버들과 종종 상담을 했었다. * 동료 - 이들을 포함한 8명의 멤버들과 함께 돈 블루스 프로덕션을 설립하였다. * 존 포메로이(John Phomeroy) * 게리 골드만(Gerry Goldman) * 라이벌 * [[랄프 박시]] :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don+bluth+vs+ralph+bakshi+|관련 유튜브 검색 자료 참조]] * 전 동료 * [[스티븐 스필버그]] : 2편의 작품만 제작하고 파트너쉽을 끊었다. * 상사 * [[월트 디즈니]] * 루 샤이머 & 놈 프레스콧 : 애니메이터 시절 일했던 필메이션의 설립자이자 책임 제작자. * 추종자 * [[노스탤지어 크리틱]] : 어릴 적부터 돈 블루스의 작품들을 무척 좋아했으며 자신만의 재능을 몸소 보여준 최고의 애니메이터라고 생각한다는 말을 했었고 [[Dragon's Lair]]를 플레이하며 [[https://www.youtube.com/watch?v=H5ug4ePqALs&list=PL0AQIMR-tponRlvisgVC7YDjg-fE7DlOn&index=4|리뷰하는 영상]]에서는 '''돈 블루스 본인을 직접 모셔와서''' 함께 진행하기도 했다.[* 그런데 그의 작품들을 좋아하며 추종하는 것과는 별개로 해당 리뷰 영상에선 돈 블루스가 게임을 진행하며 싫증을 내는 크리틱에게 은근슬쩍 계속 약올리며 태클을 걸자 크리틱이 버럭하면서 실랑이를 벌였고 돈 블루스가 사악한 눈빛(…)으로 노려볼 때는 무척 질색을 했다. 물론 영상제작을 위한 컨셉을 잡고 진행한 걸 수도 있다.] 특히나 마우스 킹(The Secret Of NIMH)과 [[파이블의 모험]](An American Tail)은 지금까지도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인생작이라며 입이 닳도록 극찬했으며, 이 둘이 나중에 정식 리뷰 영상으로 올라왔을 때에도([[https://www.youtube.com/watch?v=ld2KnT_s-Qs&list=PL0AQIMR-tponRlvisgVC7YDjg-fE7DlOn&index=3|#]],[[https://www.youtube.com/watch?v=clAPGmAf-7E&list=PL0AQIMR-tponRlvisgVC7YDjg-fE7DlOn&index=2|#]]) 경이로운 애니메이션 작화와 훌륭한 음악, 인상적인 캐릭터들 덕분에 여전히 다시 봐도 재미있는 명작이라는 평을 남겼고 아나스타샤(Anastasia)와 그 스핀오프작인 바톡(Bartok the Magnificent)을 리뷰했을 때에도([[https://www.youtube.com/watch?v=IBCkhf5n5hM&list=PL0AQIMR-tponRlvisgVC7YDjg-fE7DlOn&index=1|#]],[[https://www.youtube.com/watch?v=pBRuBsCpyQg&list=PL0AQIMR-tponRlvisgVC7YDjg-fE7DlOn&index=5|#]]) 아이들한테 재미있다고 추천해주기에는 애매하고 명작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돈 블루스만의 색채가 잘 드러나는 건 여전히 좋다면서 괜찮은 수작 정도로 평가를 해주는 등 잘 만든 작품들에는 호평을 아끼지 않았다. 다만 에디의 환상여행(Rock-a-Doodle)이나 페블과 펭귄(The Pebble and the Penguin)같이 평이 좋지 않거나 애매한 경우의 작품들을 리뷰했을 때는([[https://www.youtube.com/watch?v=HS6GLDGg-hA&list=PL0AQIMR-tponRlvisgVC7YDjg-fE7DlOn&index=7|#]],[[https://www.youtube.com/watch?v=BuH7xV80kro&list=PL0AQIMR-tponRlvisgVC7YDjg-fE7DlOn&index=6|#]]) 이야기 전개가 이상하고 뜬금없거나 캐릭터들에 매력이 안 느껴지는 참 이상한 작품들이라고 단호한 평가를 하기도 했으며 특히나 센트럴 파크의 요정(A Troll in Central Park)을 리뷰했을 때에는([[https://www.youtube.com/watch?v=ItEAL50l10Q&list=PL0AQIMR-tponRlvisgVC7YDjg-fE7DlOn&index=8|#]]) 캐릭터들도 비호감이고 음악도 성가시고 이야기 전개도 납득이 안 가서 아무리 돈 블루스를 좋아해도 이건 정말 끔찍하다며 혹평을 날리기도 했다.[* 특히 해당 리뷰영상 시작 부분부터 리뷰하기 싫어서 대뜸 욕설부터 날리다가 간신히 화를 삭이고 시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뮤지컬 파트에서는 제발 노래하지 말라고 질색을 하며 [[마이 리틀 포니]], [[케어 베어]], [[텔레토비]], [[개구쟁이 스머프]], [[바비(마텔)|바비]], [[바니와 친구들]] 같은 유아용 프로그램들에서 나오는 노래들도 이것보다는 터프할 거라며(...) 가루가 되도록 깠다. 그리고 이후 사악한 트롤 여왕의 발악으로 돌이 되어버린 주인공 요정이 아이들의 도움을 받아 다시 되살아나서 뉴욕시 곳곳에 꽃을 피우는 엔딩장면을 보고는 저 요정놈이 꾸몄던 사악한 계획이 저거였냐고 기겁하며 '''[[포이즌 아이비(DC 코믹스)|포이즌 아이비]]랑 팀 먹으려는 거냐(...)'''며 신랄하게 디스를 하는 게 압권.] == 관련 문서 == *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 [[애니메이터]] * [[20세기 폭스]] [[분류:미국의 애니메이터]][[분류:미국의 애니메이션 감독]][[분류:브리검 영 대학교 출신]][[분류:1937년 출생]][[분류: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