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독일]]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독일)] [include(틀:국호)] [include(틀:독일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독일]]의 [[국호]]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국명 == 독일의 영어명인 '''Germany'''는 [[로마]]의 정치인이자 장군인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라인강]] 동부의 [[게르만족]]이 사는 지역을 '[[게르마니아]](Germania)'로 부른데서 유래한다. 또한 독일어 국명인 [[도이칠란트]](Deutschland)는 '사람들의 땅(diutisciu land)'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독일 지역에는 기원전부터 여러 게르만계 부족이 거주하였고, 서기 100년경 문헌에 게르마니아가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10세기에 이르러 게르만족은 신성로마제국의 핵심 민족이 되었고, 16세기에 북독일은 종교개혁의 중심지가 되었다. 1806년 나폴레옹 전쟁으로 신성로마제국이 해체되면서 여러 제후국과 도시국가로 분열되었다가, 1871년 북부의 프로이센이 중심이 되어 독일제국(German Empire)을 형성하여 중부유럽의 강국으로 군림하였다. 독일의 자국어 국호는 [[도이칠란트]](Deutschland)이다. 이는 풀어서 쓰면 '도이치의 땅(Das deutsche Land)'가 된다. '도이치(Deutsch)'라는 표현은 [[게르만조어]] '시우디스카즈(''*þiudiskaz'')'에서 변화한 고대 고지독일어 '디우티스크(Diutisk)'에서 유래한 것으로 '사람들, [[인민]]'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중세 영어에서 독일인을 가리키다 현대 영어에서 네덜란드인, 네덜란드어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변화한 [[더치]](Dutch), 영어로 [[의회]]를 뜻하는 단어 Diet,[* [[일본 국회]]의 영문 명칭이 National Diet이다.] 독일을 통일한 [[프로이센]]의 전신 [[튜튼 기사단]](Teutonic Order)과도 동일한 어원이며 과거에는 Diutschlant, Tiutschlant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했다. == 공식 국호의 변천 == [[독일 제국]]부터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독일]] 때까지 독일의 공식 국호는 [[독일국]](Deutsches Reich, 도이체스 [[라이히]])이었다. 독일 제국(Deutsches Kaiserreich), 바이마르 공화국(Weimarer Republik), 나치 독일(NS-Deutschland)이라는 말은 어디까지나 후대의 사람들이 시대적 구분을 위해 붙인 이름으로 당대에 공식적으로 쓰인 국호는 [[독일국]]이었다. 이는 한국의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이라는 명칭이 어디까지나 후대에 구분을 위해 붙인 이름일 뿐 공식 국호는 그때나 지금이나 그냥 [[대한민국]]이라는 걸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군주제가 사라진 후 [[대한제국]]이라는 정식국호가 [[대한민국]]이라는 명칭으로 바뀌었고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프랑스 왕국]]이라는 정식국호가 [[프랑스 공화국]]이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듯이 대부분의 나라들은 국체가 군주제에서 공화제로 바뀔 경우 그에 따라 공식 국호도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바이마르 공화국은 황제정이 폐지되어 국체가 공화국으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독일국(라이히)라는 제국시절 공식국호를 그대로 유지했다.[* 독일 공화국(Die Deutsche Republik)으로 개명하자는 주장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라이히]](Reich)라는 말은 본래 단지 '영역, 국가'라는 정도의 뜻으로 독일의 전신인 [[신성 로마 제국]](Heiliges Römisches Reich) 때부터 나치 독일 시기까지 오랫동안 독일계 국가의 공식 국호를 나타내는 명칭으로 쓰였다. 나치 독일 패망 후 독일이 분단되고 각각 탈나치화를 하면서 [[서독]]은 [[독일연방공화국]](Bundesrepublik Deutschland),[* 이는 '연방'을 의미하는 '분트(Bund)', 삽간사 '에스(-es-)', '공화국'을 의미하는 '레푸블리크(Republik)', 그리고 '도이칠란트'를 합친 말이다. [[두문자어]]로는 '베에르데(BRD)'라고 한다.] [[동독]]은 [[독일민주공화국]](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 [[두문자어]]로는 '데데에르(DDR)'라고 한다.]을 정식 국호로 채택하면서 동서독 모두 오랫동안 쓰여오던 라이히(Reich)라는 명칭을 버리고 공화국(Republik)을 채택했다. [[독일 재통일]]은 동독이 서독의 연방주로 가입하여 흡수통일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통일 이후에도 정식국호의 변화 없이 서독시절 명칭인 [[독일연방공화국]]이 그대로 통일 독일의 정식국호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 다른 언어권의 명칭 == 다른 언어권에서 독일을 부르는 타칭 국명들이 상당히 중구난방인게 특징이다. 다른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 봐도 프랑스는 자칭, 타칭 국명이 모두 대부분 [[프랑크 왕국]]에서 유래했고[* 예외: [[그리스어]] - Γαλλία(갈리아)] 스페인 역시 대부분 [[히스파니아]]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불리고 있고 러시아 역시 대부분 [[루스]]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불리며[* 예외: [[핀란드어]] - Venäjä(베내얘). 오히려 '루스'에서 유래한 국명 Ruotsi(루오치)는 [[스웨덴]]을 가리킨다.] 이탈리아 역시 대부분 [[이탈리아 반도]]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불리는[* 예외: [[헝가리어]] - Olaszország(올러소르사그), [[폴란드어]] - Włochy(브워흐)] 반면 독일의 경우 아래를 봐도 알 수 있겠지만 다른 국가들이 독일을 부르는 명칭이 어원부터 다 제각각이다(...) 아래 명칭들을 보면 독일 옆에 붙어있는 같은 게르만계 국가인 네덜란드나 북유럽권을 제외하면 서구권 국가들에서는 독일인들 스스로가 자국을 부르는 명칭인 [[도이칠란트]]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불러주는 경우가 상당히 드물다는 걸 알 수 있다. 이는 독일의 통일이 워낙 늦게 이루어졌기때문이다. 옆나라 프랑스가 [[서프랑크 왕국]] 시절부터 어느정도 통일국가의 형태는 유지해온 반면 현재의 독일 지역은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이후부터 1871년 [[독일 통일]]이전까지는 사실상 항상 여러 작은 나라들로 분열돼 있었다. 1871년 이전에는 [[독일]]이라는 나라 자체가 없었으니 이렇게 중구난방인 명칭으로 불리게 된 것. 한국어에서는 [[영국]], [[미국]], [[호주]], [[인도]], [[태국]] 등과 함께 어지간해선 서양식 명칭으로 불리지 않는 [[한자문화권]] 외부 지역의 [[국가]] 이름에 속한다. 처음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 한자어를 그대로 한국식 독음으로 읽은 덕의지([[德]][[意]][[志]])라고 불리다가 이후 이를 줄인 덕국([[德]][[國]])으로 불렀다. 그러다 일제의 한일 병합 이후 일본식 음차 한자어가 들어오면서, 이를 그대로 차용하여 독일([[獨]][[逸]])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獨]][[逸]]을 일본식으로 읽으면 '도쿠이츠(ドクイツ)'가 된다. 일본은 현재 한자 표기 独逸보다는 일반적으로 ドイツ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후 1970~1980년대 식자층을 중심으로 '도이칠란트', 약칭 '도이치' 표기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다수 있었고, '도이칠란트'도 엄연히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표준어이지만 글자수 측면에서 '독일'이 단 두 글자인지라 압도적으로 경제적이다 보니 원어식 표기로 대체되지 못했다.[* 대표적인 사람이 [[이원복]]으로, 그의 대표작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는 개정판들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도 '도이칠란트', '도이치'라는 표기를 고집하고 있다.][* 독일과 비슷하게 경제성이 우선시된 사례는 호주-오스트레일리아, 스페인-에스파냐 등이 있다.] * 고대 고지독일어 디우티스크(diutisk)에서 유래 * [[독일어]]: Deutschland * [[네덜란드어]]: Duitsland * [[덴마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Tyskland * [[아이슬란드어]]: Þýskaland * [[한국어]]([[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 독일(獨逸) * [[한국어]]([[문화어]]): 도이췰란드 * [[중국어]]: 德国(Déguó)(<德意志(Déyìzhì)) * [[일본어]]: ドイツ(独逸)(<네덜란드어 Duits) * [[베트남어]]: Đức * 번외: 영어 Dutch - 네덜란드의, 이탈리아어 Tedesco - 독일의 * [[라틴어]] [[게르마니아]](Germania, [[게르만인]]의 땅)에서 유래 *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Germania * [[알바니아어]]: Gjermania * [[영어]]: Germany *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 Jerman * [[아일랜드어]]: An Ghearmáin * [[그리스어]]: Γερμανία(Germania) * [[러시아어]], [[불가리아어]]: Германия(Germaniya) * [[태국어]]: เยอรมนี(Yerramani) * [[히브리어]]: גרמניה(Germaniyah) * [[힌디어]]: जर्मनी(Jarmanī) * [[조지아어]]: გერმანია(Germania) * 게르만족의 갈래인 [[알레만니]](Alemanni)에서 유래 - 현재 [[독일]], [[스위스]], [[티롤]] 등지에 분포하는 [[알레만어]] 사용자들의 기원이 되는 민족. 그런데 알레만어로는 독일을 Deutschland라고 부른다. * [[스페인어]]: Alemania (알레마니아) * [[프랑스어]]: Allemagne (알마뉴)[* [[오페르트 도굴 사건]]에서 아리망으로 [[음차]]된 국호의 어원이다.] * [[카탈루냐어]]: Alemanya * [[포르투갈어]]: Alemanha * [[아랍어]]: ألمانيا('Almāniyā) * [[터키어]]: Almanya * [[카자흐어]]: Алмания(Almanïya) * [[페르시아어]]: آلمان('Ālmān) * 슬라브조어 네미치(''*Němьcь'')에서 유래 - 어원적으로 '벙어리'라는 뜻을 갖고 있다. 게르만인이 슬라브인과 외형은 닮았지만 언어가 통하지 않아 벙어리라고 느낀 모양이다. * [[폴란드어]]: Niemcy * [[체코어]]: Německo * [[슬로바키아어]]: Nemecko * [[헝가리어]]: Németország * [[세르비아어]]: Немачка(Nemačka) * [[크로아티아어]]: Njemačka * [[슬로베니아어]]: Nemčija * [[우크라이나어]]: Німеччина(Nimeččyna) * [[벨라루스어]]: Нямеччына(Njameččyna) * 번외: 러시아어 Немецкий(Neméckij) - '독일의'라는 뜻의 형용사로 러시아어로는 Germania에서 온 Германия(Germaniya) 표현을 쓰지만 형용사형만큼은 Немецкий(Neméckij) 표현을 쓴다. * 게르만족의 갈래인 [[작센]](Sachsen)에서 유래 - 현 독일의 [[작센]] 주와 [[니더작센]] 주의 기원이 되는 민족. 영국 [[앵글로색슨족]]의 색슨(Saxon)과도 동일한 어원이다. 영어로는 독일의 작센 주도 그냥 색슨(Saxony)이라 부른다. 영국 또한 [[게르만족]]의 일파인 작센족이 브리튼 섬으로 넘어가 세운 나라이기 때문. * [[핀란드어]]: Saksa * [[에스토니아어]]: Saksamaa * 기타 * [[라트비아어]]: Vācija * [[리투아니아어]]: Vokietija * [[사모아어]]: Siamani == 관련 문서 == * [[도이칠란트]] * [[게르마니아]] * [[독일국]] * [[라이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독일, version=2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