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독사돔발상어}}}[br]Viper dogfish}}}'''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독사돔발상어 머리.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Trigonognathus kabeyai'' '''[br]Mochizuki & Ohe, 1990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연골어강(Chondrichthyes)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아강'''}}}]] ||판새아강(Elasmobranch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돔발상어목(Squal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가시줄상어과(Etmopte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독사돔발상어속(''Trigonognath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독사돔발상어(''T. kabeyai'')''' || [[파일:독사돔발상어.jpg|width=550]] [목차] [clearfix] == 개요 == 돔발상어목 가시줄상어과의 [[상어]]로 태평양 중부와 북서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특징 == 서식 수심은 250~1,000 m 범위로 추정되는 [[심해어]]며[* 돔발상어목에 속하는 상어 자체가 대부분 중층 이하의 심해에서 서식한다. 이는 신락상어목도 마찬가지.] 수심이 1,500 m 이상인 해역에서 야간에 수면층에서부터 150 m 수심 사이에서 어망에 잡어로 잡혀 나오고 있다. 몸길이는 최대 약 55cm로 돔발상어목 중에서도 조금 작은 편이며, 독사돔발상어속(''Trigonognathus'')의 유일한 종이다. 가늘고 긴 삼각형 모양의 턱에는 뾰족한 이빨이 나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이빨은 먹잇감을 붙잡기에 좋다. 또한 먹이를 잡을시 [[마귀상어]]처럼 아래턱이 돌출된다. 이런 방식으로 자신보다 비교적 큰 물고기도 잡아먹을 수 있으며 복부에는 발광기가 있다. 다른 일부 상어들처럼 난태생이다. 독사돔발상어의 첫 번째 표본은 1986년 일본 남부에서 수심 330 m에서 채집된 길이 22cm의 개체였으며, 두 번째 표본은 길이 37cm로 수심 360 m에서 수집되었다. 이후 두 번의 표본이 더 채집되었지만 아직 표본이 적다. [[분류:독사돔발상어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