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 전쟁ㆍ전투)] [include(틀:일본의 대외 전쟁 · 분쟁)] ||<-3>
<:> {{{+1 {{{#fff '''독도대첩'''}}}}}} [br] {{{#fff 獨島大捷}}} || ||<-3><:> [[파일:독도 지도.svg|width=90%]] || || '''장소''' ||<-2>[include(틀:지도, 장소=독도, 높이=200, 너비=100%)] || || '''{{{#fff 날짜}}}''' ||<-3>[[1954년]] [[11월 21일]]|| || '''{{{#fff 장소}}}''' ||<-3>[[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남면 도동[* 현 울릉읍 독도리][br][[독도]]|| || '''{{{#fff 결과}}}''' ||<-3>[[독도의용수비대]]의 승리[br]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 침입 및 점령 실패|| ||<-4> '''{{{#fff 교전국}}}''' || ||<-2>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3]] [[대한민국]] ||<-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3]] [[일본]] || ||<-4> '''{{{#fff 교전세력}}}''' || ||<-2>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3]] [[독도의용수비대]] ||<-2> [[파일:해상보안청기.svg|width=23]] [[해상보안청]] || ||<-4> '''{{{#fff 지휘관}}}''' || ||<-2>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3]] [[홍순칠]]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3]] 황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3]] 서기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3]] 정원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3]] 김병렬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3]] 유원식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3]] 김인갑 ||<-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3]] [[요시다 시게루]]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3]][[파일:해상보안청기.svg|width=23]] 야마구치 덴 || ||<-4> '''{{{#fff 병력}}}''' || ||<-2> 지휘관 포함[br] 33명 ||<-2> 병력규모 불명 [br] 정찰기 1기 [br] 함정 3척 || ||<-4> '''{{{#fff 피해 규모}}}''' || ||<-2> 없음 ||<-2> 1척 중파, 사상자 16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1954년]] [[11월 21일]] [[대한민국]] [[독도의용수비대]]가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침입을 격퇴한 [[전투]]. == 전개 == 1954년 11월 21일 아침 [[독도의용수비대]] [[홍순칠]] 대장이 [[독도]]를 점령하려는 목적으로 상륙을 시도하려는 1천톤급의 일본함정 PS 9, 10, 16함 총 3척의 [[함정(동음이의어)|함정]]과 항공기를 발견하고 휘하 지휘관과 대원들에게 알려 전투태세를 갖추라 명령했고 이후 일본함정을 향한 경고총성과 함께 전투가 시작됐다. 전투가 시작된지 얼마 안되어 6.25때 특무상사 출신 명사수인 제1전투대 대장 서기종이 쏜 [[박격포]] 제1탄이 PS 9함에 명중되어 선수에서 몇 사람이 나가떨어졌고 잠시 후 검은 연기를 뿜으며 예인되었다고 한다. 이때 독도의용수비대는 당시 [[일본]] 순시선에 비해 열악한 무기로 무장한 상태였으나, 수비대는 독도 정상쯤에 큰 통나무에 검은 칠을 해 가짜 대포를 만들어 일본 함선의 눈을 속이는 기지를 발휘해 일본 함정의 접근을 막아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해당 목포(木砲)는 이미 이전에도 일본 함선을 격퇴하는 데 도움을 준 바 있으며, 일본이 한국 정부에 항의서한을 보낼 정도로 제대로 속인 상태였다.] 이후 3척의 함정이 퇴각한 이후에는 일본 군용기가 하늘 위에서 맴돌다 결국 퇴각했다. == 결과 == [[일본방송협회|NHK]] 정오 뉴스에 그들의 소위 '독도'에서 한국경비대가 발포를 해서 일본 [[해상보안청]] 함정들이 피해를 입고 1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즉각 한국 정부에 항의각서를 제출하고, 당시 독도우표가 첨부된 우편물을 일본에서 한국으로 반송했다고 한다. == 여담 == * [[홍순칠]] 대장의 수기에 따르면 1953~1956년 3년 동안 독도에서 독도의용수비대와 일본 해상보안청 함정 사이에 세 차례 총격전이 벌어졌다고 한다. * 최완근 차장/[[국가보훈부]] “독도대첩의 이러한 전과는 현재 우리나라가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라는 의견을 밝혔다.[[https://m.ktv.go.kr/program/again/view?content_id=495707|#]] * 2023년 11월 16일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102회에서 방송되었다.[[https://youtu.be/iNDRFPcNLns|#]] == 관련링크 ==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9628#0DKU|日군함들-항공기 침공 물리친 1954년 '독도대첩']] *[[https://ja.wikipedia.org/wiki/%E6%B5%B7%E4%B8%8A%E4%BF%9D%E5%AE%89%E5%BA%81%E3%81%AE%E6%AD%B4%E5%8F%B2#%E6%B4%BB%E5%8B%95%E5%B9%B4%E8%A1%A8|(위키백과 - 일본어)海上保安庁の歴史)]] *[[http://dokdofoundation.or.kr/1_1.php|독도의용수비대]] *[[https://mnews.jtbc.joins.com/News/Article.aspx?news_id=NB12034267|"목숨 걸고 지킨 우리 땅"…일본 트집 다음날 '독도 대첩' 추모]] *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102회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독도의용수비대, version=107)] [[분류:1954년 전투]][[분류:대한민국/전쟁 및 전투]][[분류:동아시아의 전쟁]][[분류:독도]][[분류:한일전]][[분류:쇼와 시대/사건사고]][[분류:제1공화국/사건사고]][[분류:일본사/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