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21세기 사망자 수순 지진)] [include(틀:일본 대지진)] ||<-3><#000> '''{{{+1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br]平成23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hoku.jpg|width=100%]]}}}|| ||<-2> '''명칭'''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2> '''이명''' ||'''동일본 대지진'''|| ||<-2> '''발생 시간''' ||2011년 3월 11일 14시 46분 18.1초[* UTC+9 기준] || ||<-2> '''진앙 위치''' ||[[일본]] [[도호쿠]] 오시카 반도 연안 || ||<-2> '''진원 깊이''' ||'''전진''' 8km[br]'''본진''' 24km[* USGS 29km] || ||<|2><-2> '''규모''' ||'''전진 mb 6.4 / M,,e,, 7.0 / M,,w,, 7.3 / M,,j,, 7.3'''|| ||'''본진 mb 7.2 / M,,s,, {{{#a52a2a 8.3}}} / M,,e,, {{{#a52a2a 8.7}}} / M,,j,, {{{#8000bb 9.0}}}[*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index.html#20110311144618|JMA 지진 사후해석 정보]]] / M,,w,, {{{#8000bb 9.0-9.1}}} / M,,t,, {{{#8000bb 9.1}}}''' || ||<|3><-2> '''최대 진도''' ||<#fde600>'''5약'''[* 계측진도 4.7][br][[미야기현]] 토메시, 구리하라시, 미사토정('''전진''')|| ||<#b50068>'''7'''[* 계측진도 '''6.6'''][br][[미야기현|{{{#fff 미야기현}}}]] 구리하라시('''본진''')|| ||<#4c2600>{{{#fff MMI 진도[*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I부터 XII까지 로마숫자로 12단계)] '''Ⅸ'''}}} || ||<-2> '''지진 지속 시간''' ||2분 40초 ~ '''6분''' 사이 || ||<-2> '''분류''' ||해구 섭입 지진,[br]충상 단층형 지진 || ||<-2> '''긴급 지진 속보''' ||[[도호쿠]][* [[미야기현]], [[이와테현]], [[후쿠시마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그러나 실제로는 이보다 넓은 지역에 강한 진동이 관측되었다. 당시 관측된 진도 4 이상의 지역이다.(홋카이도, 도호쿠, 간토, 도카이, 니가타, 이즈제도) [[파일:20110311.png|width=300]]] || ||<-2> '''해일''' ||'''해일주의보(전진, 1m 이하)'''[br]'''50cm''':[[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br]'''실제 관측높이(전진)''':20cm ~ 60cm[*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20cm,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60cm][br]{{{#c624fa '''대해일경보(본진, 3m 이상)'''}}}[* 처음엔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 3곳에만 발령되었으나, 시간이 지나 넓은 지역으로 확대되었다.][br]'''10m 이상''':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치바현]] 쿠주쿠리•소토보(외방)[* [[치바현]]의 동부 태평양 연안 지역.],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시모키타 반도 일대.][br]'''8m''':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중부[br]'''6m''':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동/서부, 이즈 제도[br]'''4m''': 치바현 우치보[* 도쿄 만 연안지역.], 오가사와라 제도[br]'''3m''': 아오모리현 동해 연안, 사가미 만*미우라 반도, [[시즈오카현]], [[와카야마현]], [[도쿠시마현]], [[고치현]][br]'''실제 관측높이(본진)''': 20cm[* 최초 관측인데, 가장 높이가 낮아 서술.][* 이와테현 오후나토항에서 관측함.] ~ {{{#8000bb '''40.1'''}}}m[* 대략 아파트 '''15층''' 높이에 달하는 엄청나게 큰 해일이다.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료리 만에서 기록된 것으로, '''일본 근현대 관측 사상 최대의 지진해일'''이기도 하다. 실제로도 [[이와테현]], 미야기현 등에서 건물 4~5층까지 침수되었다고 하는데 이렇게 높이 차가 심하게 나는 이유는 해안/해저지형에 따라 크게 달라져서 그렇다.] || ||<-2> '''여진''' ||최대 여진: '''M 7.6, 진도 6강'''[br]진도 1 이상 '''약 14,400회'''[* 2021년 기준으로 현재까지도 여진이 발생하고 있다.][* 전진과 본진, 여진이 내보낸 에너지를 전부 합치면 '''규모 10.0'''에 가까울 정도이다.][* 여진 중에는 규모 7.0이 넘는 지진도 있었는데 바로 [[2011년 후쿠시마 지진|2011년 4월 후쿠시마현]]('''M 7.1'''), '''[[2012년 산리쿠 해역 지진|2012년 12월 산리쿠 해역]]'''('''M 7.4'''), [[2016년 후쿠시마 지진|2016년 11월 후쿠시마현]]('''M 7.4'''), [[2021년 후쿠시마 해역 지진|2021년 2월 후쿠시마현]]('''M 7.3'''), [[2021년 3월 미야기 해역 지진|2021년 3월 미야기현]]('''M 7.0'''), [[2022년 3월 후쿠시마 지진|2022년 3월 후쿠시마현]]('''M 7.4''')의 지진들이다.] || ||<|4> '''인명 피해'''[* 2021년 3월 1일 기준 [[https://www.npa.go.jp/news/other/earthquake2011/pdf/higaijokyo.pdf|일본 경찰청 자료]]] || '''사망''' ||<#fa4b4c>'''{{{#ff0 15,901명}}}'''[* 일본 국외 사망자 2명 포함.][* 사망자의 90% 이상이 익사로, 직접적인 지진보다는 쓰나미로 인해 대부분 사망하였다.] || || '''간접 사망''' ||<#ff5e00>'''{{{#ff0 3,767명}}}'''[* 피난생활 도중 건강악화 등으로 인한 사망자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11_0001366457&cID=10101&pID=10100|#]]] || || '''실종''' ||<#ff5e00>'''{{{#ff0 2,528명}}}'''[* 일본 국외 실종자 5명 포함.] || || '''부상''' ||<#ffd700>{{{#000 6,242명}}} || ||<-2> '''피난민''' ||최대 약 47만 명[* 2021년 기준으로는 41,241명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11_0001366457&cID=10101&pID=10100|#]]] || ||<-2> '''재산 피해''' ||주택 40만 2,699채 파손[br]선박 28,612척 파손[br]항구 319개소 파손[br]'''[[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사고]]'''[br]'''총 추산 16조 엔 ~ 25조 엔'''[* 근대 이후 역사상 두번째로 많은 재산 피해가 발생한 자연재해이다. 환율 변동을 적용할 경우 체르노빌 원전사고 쪽이 1등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disasters_by_cost|#]]] || ||<-2> '''침수 면적''' ||561km^^2^^ || ||<-2> '''대피''' ||약 40만 명[* 발생 직후] → 약 41,000명[* 2021년 3월 기준. 대부분이 [[후쿠시마현]]민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완전히 수습되지 않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였다.] || ||<-3><#fff,#000> {{{#000,#fff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전진)[br]{{{-2 (M,,j,, 7.3, 진도 5-)}}}'''}}} ||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fde600> '''5-''' || 미야기 || ||<-2><#fae697> 4 || 아오모리, 이와테, 아키타, 야마가타, 후쿠시마 || ||<-2><#0041ff> {{{#fff 3}}} || 홋카이도, 이바라키, 도치기, 군마, 사이타마, 치바, 도쿄, 가나가와, 니가타, 야마나시, 나가노 || ||<-2><#00aaff> {{{#fff 2}}} || 시즈오카, 아이치 || ||<-2><#f2f2fe> 1 || 도야마, 이시카와, 기후, 시가, 오사카 ||}}}}}}}}} || ||<-3><#fff,#000> {{{#000,#fff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본진)[br]{{{-2 (M,,j,, {{{#8000bb 9.0}}}, 진도 7)}}}'''}}} ||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b50068> {{{#fff '''7'''}}} || 미야기 || ||<-2><#a50022> {{{#fff 6+}}} || 후쿠시마, 이바라키, 도치기 || ||<-2><#ff2801> {{{#fff 6-}}} || 이와테, 군마, 사이타마, 치바 || ||<-2><#fe9900> 5+ || 아오모리, 아키타, 야마가타, 도쿄, 가나가와, 야마나시 || ||<-2><#fde600> 5- || 니가타, 나가노, 시즈오카 || ||<-2><#fae697> 4 || 홋카이도, 기후, 아이치 || ||<-2><#0041ff> {{{#fff 3}}} || 도야마, 이시카와, 후쿠이, 미에, 시가, 교토, 오사카, 효고, 나라 || ||<-2><#00aaff> {{{#fff 2}}} || 와카야마, 돗토리, 시마네, 오카야마, 도쿠시마, 고치, 사가, 구마모토 || ||<-2><#f2f2fe> 1 || 히로시마, 야마구치, 카가와, 에히메, 후쿠오카, 나가사키, 오이타, 가고시마 ||}}}}}}}}} || ||<-3><#fff,#000> {{{#000,#fff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최대여진)[br]{{{-2 (M,,j,, 7.6, 진도 6+)}}}'''}}} ||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a50022> {{{#fff '''6+'''}}} || 이바라키 || ||<-2><#fe9900> 5+ || 도치기, 치바 || ||<-2><#fde600> 5- || 후쿠시마, 사이타마, 도쿄, 가나가와 || ||<-2><#fae697> 4 || 미야기, 야마가타, 군마, 니가타, 야마나시, 나가노, 시즈오카 || ||<-2><#0041ff> {{{#fff 3}}} || 아오모리, 이와테, 아키타, 기후, 아이치 || ||<-2><#00aaff> {{{#fff 2}}} || 홋카이도, 도야마, 이시카와, 후쿠이, 미에, 시가, 교토, 오사카, 효고, 나라, 돗토리, 도쿠시마 || ||<-2><#f2f2fe> 1 || 와카야마, 시마네, 고치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1 japan earthquake and tsunami.jpg|width=100%]]}}}|| || '''지진이 휩쓸고 지나간 도호쿠 지방의 모습'''[* 사진은 [[아사히 신문]]의 츠네나리 토시유키(恒成 利幸)라는 사진 기자가 찍은 사진으로, 이 사진으로 월드프레스의 2012년 제네럴 뉴스부문 3등상을 수상했다. 사진 속 여성의 이름은 '이토 아카네(伊藤 茜)'(당시 28세)이며, [[미야기현]] 나토리시에서 건설현장인부인 남자친구 및 그의 어머니와 동거하던 여자이다. 이 여성은 집에서 남자친구 및 그 어머니와 함께 10마리의 반려견들을 키우고 있었는데, 지진 당시 급히 물품을 확보하려고 반려견들을 집에 두고 남자친구의 어머니와 마트에 다녀온 사이 쓰나미로 집이 무너져서 대부분의 반려견을 잃었다고 한다. 이 사진은 반려견들을 찾다가 지쳤을 때 무너진 집 앞에서 찍힌 사진. 남자친구 사이에서 아이가 없다보니 당시 반려견들을 자식들처럼 여겼고, 반려견들을 잃었을 때 상당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다행히 수소문 끝에 이때 잃어버린 애완견들 중 2마리와는 재회할 수 있었다. [[http://www.asahi.com/special/10005/TKY201203030163.html|이후 아카네는 반려견 미용사가 되기 위해 전문학교에 다니기 시작했다고 한다.]]]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2256715|2011년 3월 11일 KBS 뉴스9 헤드라인]][* 도호쿠 대지진 당시 대한민국 방송 3사의 보도들 [[https://news.kbs.co.kr/vod/program.do?bcd=0001#20110311&1|KBS]] [[https://imnews.imbc.com/replay/2011/nwdesk/2809914_30471.html|MBC]] [[https://news.sbs.co.kr/news/programMain.do?prog_cd=R1&broad_date=20110311|SBS]]]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혹은 '''동일본 대지진'''은 [[2011년]] [[3월 11일]]에 [[일본]] [[도호쿠]](동북부)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한 '''[[대지진|거대지진]]'''이다. '''M 9.1'''이라는 일본 국내 지진 관측 역사상 최고 규모를 기록했으며[* 1923년 [[관동 대지진]]의 규모인 M7.9, '''1707년 [[호에이 대지진]]'''의 규모인 M8.6을 압도하며 1960년 [[칠레 대지진]], 1964년 [[알래스카 지진]],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다음으로 세계 [[지진]] 관측사 4위에 드는 세기의 위력이다.] 이후에도 약 한 달간의 대규모 여진, 연 단위의 소규모 여진을 부른 대지진이다. 이 지진은 또한 초대형 [[쓰나미]]를 불러와 도호쿠 연안 지역에서의 추가적인 대규모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하였으며, 또한 세계사상 가장 심각한 [[원자력 사고]] 중 하나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불러왔다. 3개의 대재난(대지진, 쓰나미, 원전 폭발)이 동시에 발생한 이 대지진의 여파로 [[일본]] 사회는 21세기를 넘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한 1945년 이후 가장 큰 사회적 충격을 받았고 [age(2011-03-11)]년이 지난 현재도 그 수습이 이어지고 있다. 이 지진은 인류 역사상 자연재해에 따른 재산 피해액이 가장 큰 참사로 기록되었다. 경제 규모 세계 3위 국가인데다 세계에서 가장 지진에 잘 대비된 국가로 평가받는 고소득 국가인데도 어마어마한 피해가 발생했고,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권이자 수많은 외국인, 외국 자본, 다국적 대기업들의 본사가 몰려있는 수도 [[도쿄]]에서도 진동이 느껴지고 피해가 일어났으며, 이전 지진과 쓰나미 피해에서 동반되지 않았던 원자력 발전소 폭발 재앙까지 겹쳐 일본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우려와 후유증을 남긴 재난이다. 이 지진은 [[오키나와현]]과 [[미야자키현]]을 제외한 일본 전국에서 진도 1 이상으로 관측되었다. == 명칭 == * '''일본 정부 내각 공식 지정 명칭''' - '''平成23(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헤이세이]]23(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 지진) * 일본 기상청에 의한 상기 명칭의 [[영어]]표기 - The Tohoku Earthquake off the Pacific Coast (Heisei Year 23; 2011) * [[일본 정부]], [[수상관저]]에 의한 영어 명칭 - Tohoku Region Pacific Coast Earthquake * 방위성, 외무성, 국토교통성에 의한 영어 명칭 - Tohoku - Pacific Ocean Earthquake * 미국지질조사국(USGS)에 의한 영어 명칭 - The Tohoku earthquake, 2011 Great Tohoku Earthquake * [[산케이 신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지지통신, 교도통신, [[후지TV]], [[FM 도쿄]]에서의 표기 - 東日本大震災(동일본대진재) * [[NHK]], 교도통신에서의 호칭 - 東北・関東大地震(도호쿠-간토 대지진)[* NHK는 중간의 구분점 없이 붙여 표기중.] * [[요미우리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에서의 표기 - 東日本巨大地震(동일본거대지진) * [[닛폰 테레비]]에서의 표기 - 東日本大地震(동일본대지진) 현재는 일본에서는 지진 자체만을 지칭하는 용어는 平成23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헤이세이 23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지진 및 그로 인한 쓰나미 및 여진 등으로 인한 총체적인 재해는 東日本大震災(동일본대진재)으로 통일되었다. 그러나 이 지진 다음날 터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외국어 표기는 아래와 같다. * [[한국어]]: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11년 일본 동북부 대지진 * [[영어]]: 2011 Sendai earthquake and tsunami * [[독일어]]: Sendai-Erdbeben von 2011, * [[네덜란드어]]: Zeebeving Sendai 2011 * [[프랑스어]] Séisme de 2011 de la côte Pacifique du Tōhoku * [[스페인어]] Terremoto de la costa del Pacífico en la región de Tōhoku de 2011, Gran terremoto de Japón oriental, terremoto y tsunami de Japón de 2011 == 지진 및 쓰나미 원인 == [[일본]]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일본 국토 북동부가 있는 북아메리카 판[* 일본 국토 서남부는 유라시아 판에 있다. 일본 국토 중앙쯤을 세로로 지나는 판의 경계는 선이 아니라 영역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바로 Fossa Magna. 영역의 좌측 경계는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이고 우측 경계는 가시와자키-지바 구조선이라고 한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포사_마그나]]. 참고로 링크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도쿄도 이 영역에 포함된다.)]과 그 아래 맞닿아 있는 태평양 판의 경우, 다른 곳에 비해 지구 조판 경계에 울퉁불퉁한 표면이 많다고 한다. 이런 울퉁불퉁한 돌출부 중에서 산리쿠 연안 지하 20km 부근의 높이 2km 정도의 돌출부에 '''600년 이상 축적된 응력'''이 한 번에 해소되면서 발생한 것이라고 한다.[* 갑자기 해소된 이유로 뽑자면 해저에 있던 물과 슬로우 퀘이크 라고 할 수 있다. 태평양 지구조판의 돌출부 주변에는 돌출부보다는 작은 접촉면들이 있는데 이 접촉면의 응력이 돌출부 응력보다 먼저 해소되면서 가뜩이나 응력이 축적되어있는 돌출부를 당겨버렸고 그 사이에 물까지 스며들면서 갑자기 응력이 해소되어 대륙판의 원래 운동방향으로 쌓여있던 에너지만큼 움직이면서 지진이 난 것이다.] 매끈한 물체끼리 맞닿은 것보다 울퉁불퉁한 물체끼리 맞닿았을 때 비비기 힘든데 바로 그 원리인 것. 이에 대해서는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D%98%B8%EC%BF%A0_%EC%A7%80%EB%B0%A9_%ED%83%9C%ED%8F%89%EC%96%91_%ED%95%B4%EC%97%AD_%EC%A7%80%EC%A7%84%EA%B3%BC_%EC%93%B0%EB%82%98%EB%AF%B8%EC%9D%98_%EB%B0%9C%EC%83%9D_%EA%B5%AC%EC%A1%B0|위키백과에 자세히 나와 있다.]] 또한 이 지진의 쓰나미는 거대한 것을 제외하고도 다른 쓰나미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판의 경계에 추가적으로 쌓인 수 km의 단단한 지층으로 인한 것이라고 한다. 이 지층은 최근에 발견된 지층이며, 때문에 지진해일 시뮬레이션이 반영되지 못하였다. 지진이 발생하자 지각 판의 급격한 변화 이외에도 이 지층이 단층을 내면서 더욱 큰 폭으로 같이 움직였던 것으로 보이며, 그로인해 진앙 근처에서 측정된 파도가 7m가 나왔는데, 이는 시스템이 2m로 예측한 수준을 크게 웃도는 것이었다. == [[/여진|여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여진)] == [[/경과|지진 경과]] == [youtube(g6rcOk4mhQM)] [youtube(5U6OvqnKbCo)] 2011년 3월 9일 오전 11시 45분, 산리쿠 해역에서 '''규모 7.3(발생 당시 7.2), 최대진도 5약의 강진'''이 발생했다. 다행히 내륙이 아닌 바다에서 일어났고 쓰나미 주의보로 끝나, 일본 기상청과 사람들은 "강력한 지진이 왔지만 다행히 피해가 없었다", "이제 여진 몇 번 더 오고 그치겠지"라고 생각하고 말았다.(2011년 3월 9일 산리쿠 해역 지진) '''그러나 이 지진은 곧 있을 대지진의 [[전진#s-2]]에 불과했다.'''[* 도호쿠 대지진의 위력이 예측을 가볍게 압도하였고, 전진 위력 또한 차원을 달리했기에 '''규모 7 내외의 여진'''이 몇 번 발생했다.][* 이 지진 이후에도 산리쿠 해역에서 만 2일간 끊임없이 규모 4~5를 오가는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미 여진의 범주를 넘어선 것이다.] [youtube(OtykQEmJg38)]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최초 지진 속보가 떴을 때만 해도 [[국회의사당(일본)|국회]]는 평화로운 모습이었으나, 1분 20초부터 국회에 설치된 카메라가 흔들리면서(지진파가 [[도쿄]]에 도달하면서) 의원들이 당황하는 모습이 보이고, 도쿄 스튜디오로 카메라가 넘어간 이후부터는 급박하게 돌아가는 상황에 아나운서와 방송 스태프들도 적잖이 당황하는 모습이 생생하게 담겼다.[* [[한국]]에선 [[일본인]]들이 [[지진]]에 제법 익숙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도쿄도|도쿄]]는 지진 발생 빈도가 많다고 해도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았기 때문에, [[국회의사당(일본)|국회]]가 위치해있는 도쿄 [[치요다구]]에서 진도 5강을 기록하고 지속시간도 2~3분 이어지니 당연히 당황할 법도 하다. 아니, 애초에 지진이란 익숙해질래야 익숙해질 수가 없는거다.][* 방송 도중에도 아나운서는 침착하게 보이지만 뒤에서 "흔들린다!" 나 "흔들린다!! 도쿄 비춰!!! 라는 다급한 목소리가 적나라하게 다 들린다.] 이후 지진 정보를 [[영어]], [[한국어]][* [[재일 조선인]]들을 의식해서 중립적인 표현으로 '한국-조선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포르투갈어]][* [[일본계 브라질인]]], [[중국어]] 등으로도 방송했다. 이후 해일경보 발령 직후에는 지진 및 지진해일 상황에 대비하여 침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훈련된 아나운서조차 목소리에서 떨림, 울먹임이 드러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영상 14분 30초 부근에서는 심지어 생방송 중계 도중 쓰나미에 피난하던 차량들이 휩쓸리는 장면 일부가 중계되기도 하는데 이때는 아나운서가 끝내 말을 잇지 못한다. 곧바로 카메라가 다른 쪽을 확대해서 화면상에 나오지 않게 해주지만 아나운서들이 한동안 떨리는 목소리로 간신히 이어서 진행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시청에 주의할 것. [youtube(jAy4Aqh-0qU)] 지진 발생 당시 흔들렸던 [[TV 유 후쿠시마]] 사옥 내부. 기자가 리포트하던 도중 건물 내부가 크게 흔들리는 모습이 보인다. [youtube(bAlrizLNN9M)] 지진 발생 당시 흔들렸던 [[후쿠시마 TV]] 보도국 사무실. [youtube(hxBD95yYBxo)] 지진 발생 당시 [[웨더뉴스|Solive24]]와 [[TBS 테레비]]. 지진파가 방송국에 도착하여 혼란스러워하는 [[웨더뉴스|Solive24]] 내 상황이 적나라하게 다 들리고, 지진 정보를 알려주던 [[웨더뉴스|Solive24]] 아나운서는 울먹이면서 정보를 발표하였다. [* 중계를 하는 아나운서는 웨더뉴스의 기상예보사인 우노자와 타츠야 (宇野沢 達也). 2022년 기준 여전히 웨더뉴스에서 활동 중이다.] [youtube(eOrAwvJLKxo)] ||<-6>
'''{{{+1 지진이 일어날 당시의 실시간 방송 상황 }}}''' || || [[일본방송협회|NHK]] || [[닛폰 테레비]] || [[TBS 테레비]] || || [[후지 테레비]] || [[테레비 아사히]] || [[TV 도쿄]] || 후반부로 갈수록 오디오와 화면 상황이 급박해지는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후지 테레비]]에서는 아직 [[아나운서]]가 착석도 못 한 텅 빈 스튜디오를 그대로 방영해주고, [[닛폰 테레비]]에서는 흔들리는 스튜디오 조명과 우왕좌왕하는 직원들을 배경으로 아나운서가 급히 원고를 받아들고 있다.[* [[일본방송협회]]가 제일 먼저 [[긴급지진속보]]가 떴고(0분 12초), 뒤이어 [[닛폰 테레비]]와 [[TBS 테레비]]가 거의 동시에 속보가 떴으며(1분 49초), 이후 [[테레비 아사히]](2분 19초), [[TV 도쿄]](2분 37초), [[후지 테레비]]('''4분 17초''') 순으로 속보가 뜬다. 다만 특보체제 전환은 [[닛폰 테레비]]와 [[TBS 테레비]]가 거의 동시에 시작했으며(4분 6초 경), [[후지 테레비]]가 10여초 후인 '''4분 19초 경'''에 시작, [[테레비 아사히]]는 4분 49초 정도 지나 시작한 반면 [[TV 도쿄]]가 '''7분 23초'''나 지나서야 시작했다(...).] [[니코니코 동화|니코동]]에 올라온 동영상도 [[http://www.nicovideo.jp/watch/sm13877402|있다]]. [youtube(opT9tui1-sk)] 도호쿠 대지진 발생에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까지 잘 종합해서 올린 비디오다. 영상에 사용된 음악은 [[BBC]]의 유명한 카운트다운이다.[* 인트로는 2010년 BBC News 버전, 본편은 2007년에 발표된 BBC World Countdown 3분 버전으로 작곡자 데이비드 로의 홈페이지에서도 공개하였다.] [youtube(QGH08OyQXg4)] 2011년 1월 1일~2012년 1월 1일 당시 [[일본]]과 그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을 보여주는 동영상. 시기가 시기인 만큼 당연히 도호쿠 대지진도 포함되어 있으며, 1분 49초에 산리쿠 해역 강진이 크게 터진 뒤 1분 51초에 본격적으로 엄청난 숫자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수많은 지진이 중첩되어 순간적으로 소리가 매우 커지므로 놀라지 않도록 시청 시 주의. [[https://www.youtube.com/channel/UCdom4haeZZued1-wocdpgyA|당시 상황을 모아놓은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mk68bZ701s0|당시 센다이공항 상황]] [youtube(zrQO41zUcX4)] 도호쿠 대지진 당시 지역별 흔들림을 촬영한 영상과 지진계의 관측정보, NHK 방송 및 지진파 진행 정도를 실시간으로 맞춰 둔 영상. 위 영상에서 [[미야자키현]]이라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미야자키현이 아닌 [[미야기현]]이다. 미야자키현은 [[규슈]]지방에 있으므로 미야기현이 맞는 표현이다. 미야자키현은 당시 최대진도가 1도 관측되지 않았다. [youtube(Fo2UdEQpWSM)] 위 영상에 대한 정보를 표로 정리하였다.(현재 동영상 내용과 표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견되어 지속적으로 수정 중.) (00:00~04:43 [[미야기 TV 방송]][* [[미야기현]]의 [[닛폰 테레비|닛테레]] 계열 방송사다.] 제작 특집 / 04:43~08:43 TBC [[도호쿠 방송]][* 미야기현의 [[TBS 테레비]] 계열 방송사다.] 제작특집) ||영상 시간||현[* [[한국]]의 [[경기도]], [[충청도]]처럼 '[[도(행정구역)|도(道)]]'의 개념이다.]||시[* 간단하게, [[한국]]과 마찬가지로 [[성남시]], [[춘천시]]와 같은 '[[시(행정구역)|시(市)]]'의 개념이다. 자세한 설명은 [[시정촌#s-2.1.|시(市)]]를 참고.][* 진한 글씨는 현청 소재지이다.]/정[* 규모로 따지자면 한국의 '[[읍(행정구역)|읍(邑)]]'과 유사하나, '시(市)'와 마찬가지로 지방자치단체다. 자세한 설명은 [[시정촌#s-2.2.|정(町)]]을 참고.]/촌[* 규모상으로 우리나라의 '[[면(행정구역)|면]]'과 비슷하나, '정(町)'과 마찬가지로 지방자치단체다. 자세한 설명은 [[시정촌#s-2.3.|촌(村)]]참고.]||장소|| ||00:00~01:06||[[미야기현]](宮城県)||'''센다이시(仙台市)'''||가정집[br]당시 한 지역방송의 프로그램 취재 중이었다.|| ||01:07~01:13||[[이와테현]](岩手県)||'''모리오카시(盛岡市)'''||테레비이와테 보도국(テレビ岩手報道局)[* 이와테현의 [[닛폰 테레비|닛테레]] 계열 방송사다.]의 보도부|| ||01:14~01:28||[[후쿠시마현]](福島県)||코리야마시(郡山市)||후쿠시마중앙테레비(福島中央テレビ)[* 후쿠시마현의 [[닛폰 테레비|닛테레]] 계열 방송사다.]의 보도부[br]시내 주택|| ||01:29~01:37||[[후쿠시마현]](福島県)||코리야마시(郡山市)||시내 주택|| ||01:38~01:47||[[후쿠시마현]](福島県)||이와키시(いわき市)||후쿠시마중앙테레비(福島中央テレビ) 이와키 지사|| ||01:48~01:56||[[미야기현]](宮城県)||'''센다이시(仙台市)'''||어느 사무실|| ||01:57~01:58||[[미야기현]](宮城県)||'''센다이시(仙台市)'''||어느 광장|| ||01:59~02:02||[[미야기현]](宮城県)||'''센다이시(仙台市)'''||센다이 미디어테크 7층[br][[https://youtu.be/heh5ITmYbRs|원본 영상]]|| ||02:03~02:07||[[후쿠시마현]](福島県)||코리야마시(郡山市)||가정집[br]당시 NHK 프로그램 촬영 중에 지진이 발생했다.|| ||02:08~02:11||[[후쿠시마현]](福島県)||이와키시(いわき市)||이와키종합도서관|| ||02:12~02:14||[[이바라키현]](茨城市)||쓰쿠바시(つくば市)||NHK 쓰쿠바보도실|| ||02:15~02:20||[[후쿠시마현]](福島県)||이와키시(いわき市)||회사 사무실|| ||02:21~02:25||[[후쿠시마현]](福島県)||코리야마시(郡山市)||건물 야외|| ||02:26~02:31||[[미야기현]](宮城県)||이시노마키시(石巻市)||차도|| ||02:32~02:35||[[가나가와현]](神奈川県)||'''요코하마시(横浜市)'''||[[요코하마 스타디움]][* 이날 오후 1시부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시합을 하고 있었다. [[요코하마 베이스타즈]]는 이날 1-3으로 지진 콜드패.]|| ||02:36~02:43||[[도치기현]](栃木県)||야이타시(矢板市)||혼다 대리점|| ||02:44~02:50||[[후쿠시마현]](福島県)||이와키시(いわき市)||야외|| ||02:51~02:57||[[이와테현]](岩手県)||이치노세키시(一関市)||윈스 뉴 코라쿠 주차장|| ||02:58~03:05||[[미야기현]](宮城県)||시로이시시(白石市)||주차장|| ||03:06~03:13||[[도쿄도]](東京都)||치요다구(千代田区)[br] 나가타초(永田町)||국회 참의원결산위원회(国会 参議院決算委員会)|| ||03:14~03:29||[[미야기현]](宮城県)||'''센다이시(仙台市)'''||KHB히가시닛폰방송[* 미야기현의 [[테레비 아사히]] 계열 방송사다.] 보도부|| ||03:30~03:40||[[미야기현]](宮城県)||'''센다이시(仙台市)'''||어느 가정집[br][[https://youtu.be/j3fUqdGXLbM|원본 영상]]|| ||03:41~03:51||[[후쿠시마현]](福島県)||스카가와시(須賀川市)||어느 가정집|| ||03:52~03:54||[[후쿠시마현]](福島県)||미나미소마시(南相馬市)||야외|| ||03:55~04:07||[[후쿠시마현]](福島県)||'''후쿠시마시(福島市)'''||어느 도로|| ||04:08~04:27||[[미야기현]](宮城県)||'''센다이시(仙台市)'''||JR 센다이역|| ||04:28~04:42||[[가나가와현]](神奈川県)||'''요코하마시(横浜市)'''||나카구(中区) 오락실 앞[br]시내|| ||04:43~04:56||[[미야기현]](宮城県)||'''센다이시(仙台市)'''||백화점 내부[* 격한 흔들림과 정전으로 보아 진앙지에서 가장 가까웠던 미야기 현일 가능성이 높다.]|| ||04:57~05:09||[[가나가와현]](神奈川県)||'''요코하마시(横浜市)'''||시내|| ||05:47~06:15||[[미야기현]](宮城県)||오사키시(大崎市)||타지리 문화센터[br][[https://youtu.be/26cDWmeSH-s|원본 영상]]. 생활협동조합의 성과보고회가 진행되고 있던 중이었다.|| ||06:58~08:17||[[미야기현]](宮城県)||나토리시(名取市)||[[센다이 공항]](仙台空港周辺)|| ||02:54~03:02||[[사이타마현]](埼玉県)||와라비시(蕨市)||학교 운동장|| ||03:03~03:15||[[미야기현]](宮城県)||'''센다이시(仙台市)'''||가게|| ||03:38~03:48||[[미야기현]](宮城県)||'''센다이시(仙台市)'''||센다이 역|| [[요코하마]]는 [[도쿄]] 밑에 있는 도시로, 진앙지인 산리쿠 해역에서 '''400km'''나 멀리 떨어진 도시이다. 그런데도 야구장 전체가 크게 흔들릴 정도로 강력한 진동('''진도 5강''')이 발생했는데 여기서 이 지진이 얼마나 강력했는지를 알 수 있다. 여기가 이 정도였는데 진앙지 근처는... 날짜별로 일어난 재해(지진, 여진 및 쓰나미)는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경과]] 참고. == [[/피해|피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피해)] ===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 [[/반응 및 여파|반응 및 여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반응 및 여파)] == 루머 == 현지 상황이 워낙 혼란스러운 만큼 다양한 종류의 루머들이 퍼져 혼란을 일으켰다. 개중에는 심지어 한국 언론까지 타는 루머도 있는데, 이런 루머는 알아서 걸러내 들어야 한다. 가장 간단한 해법은 '''"믿을 만한 매체의 정보를 기본으로 다양한 매체의 정보를 참고"'''하는 것. 아래는 대표적인 루머들 * 만화가 [[오다 에이치로]]가 죽었다, 또는 15억 엔을 기부했다. - 전자는 거짓이고 후자는 출처가 없다. * [[일본 정부]] [[대만]] 의연금 거부 - '''거부한 적 없다'''고 한다. 항간에 돌아다니는 말에 의하면 대만 구조대가 이틀 정도 공항에 체류되어 있다가 나온 걸 가지고 소문이 확대되면서 퍼진 말이라고도 한다.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작전 관련 연설 - 이 역시 출처가 없다. 영화 [[인디펜던스 데이]]에 나오는 대통령 연설의 패러디로 추정. * [[일본]]의 AV 배우 [[하타노 유이]] 등의 사망설이 국내 유명 언론에도 실렸다. - 당시 [[아오이 소라]]는 빠르게 트위터에 안부 트윗을 남겨 루머가 금방 해결되었으나, 별다른 연락이 없던 하타노 유이 사망설은 이후 [[중국]] 언론으로까지 퍼져나가기도 했다. * [[미국]]의 구조용 항공모함 - 많은 사람들이 USS 조지 워싱턴과 USS 로널드 레이건을 헷갈리는데 USS 조지 워싱턴은 한국에 파견되었으나 현재 일본의 [[요코스카시]]에 정박만 한 거고 일본에 '''지진 후''' 정식으로 파견된 항모는 USS 로널드 레이건이다. 로널드 레이건이 안 왔다는 것은 '''루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주변을 돌아다니다가 방사능에 노출된 것도 둘 다이긴 하지만.[* USS 조지 워싱턴은 방사능이 검출된 후로는 대원들의 외출을 자제시켰다.] '''월스트리트 저널'''이 인증했고 '''[[미 해군]]'''에서도 공식적으로 발표한 사실. [[http://online.wsj.com/article/BT-CO-20110315-715570.html|관련기사]] / [[http://www.navy.mil/view_single.asp?id=98468|일본에서 구조활동중인 USS 로널드 레이건]] / [[http://www.nbcsandiego.com/news/local/Local-Sailors-Deliver-Tons-of-Supplies-118018699.html|USS 조지 워싱턴의 소식]] * 해외기부금 순위에서 의도적으로 대한민국을 누락해 뒷통수를 쳤다. - '''[[한일관계]]를 악화시키려는 의도를 가진 한 누리꾼이 제기한 루머다.''' 아사히 신문의 의연금 순위표를 근거로 나돌아다니는 루머이다. 대한민국의 성금은 대부분 적십자를 통한 기금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성격이 다른 의연금 순위에 없는 것이다. 적십자 순위에서는 5위로 나와있다.[[https://youtu.be/z6gXhKb45Ww|#]] == 기타 == * 이 지진으로 일본 본토가 2.6m 동쪽으로 이동하고 자전축이 16.5cm 이동하여 지구의 자전주기가 1.8마이크로초(100만 분의 1.8초) 빨라졌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1031621081|#]] * 쓰나미로 파괴되어 재건된 해안지역에는 원래 있던 [[방조제]]보다 더 큰 높이 10미터급의 해안 방조제가 새로 건설되었다.[* 신설된 방조제의 총 길이를 합치면 약 400km에 이른다고 한다. 다만 특이한 사례로 후술할 후다이의 기적의 사례처럼 동일본 대지진 이전부터 촌장의 고집이 전대미문의 대재앙으로부터 마을을 구한 경우도 있다.] 지진 이후 10여 년이 지난 지금의 이와테, 미야기 현의 해안지역은 새로 지어진 시가지와 방조제가 펼쳐져 있어, 정작 바닷가에 사는데도 바다가 전혀 보이지 않는 묘한 분위기의 동네가 많다. * 쓰나미로 쓸려나간 마을을 재건할 때 기존 시가지가 아닌 고지대로 이전하거나, 부지가 여의치 않다면 기존 지형에서 10미터 이상 터돋움을 해 해발고도를 올리고, 저지대에는 상업시설만 건설을 허용하고 있다. * 해당 재해의 복구와 부흥을 위해 [[花は咲く]]라는 곡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당시 국가에서 장려하던 곡이기도 했으며 지금까지도 상당한 양의 바리에이션이 나올 정도로 인기가 많다. * [[GReeeeN]]은 해당 재해로 피해를 입은 재난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Green boys Project'의 일환으로 [[Green boys]]라는 곡을 작곡해 '''무료 배포'''하였다. * 마찬가지로 일본의 인디 파워 메탈 밴드인 [[403(밴드)|403]]은 동일본 지진의 피해자들을 위로하고자 자신들의 대표곡인 [[Southern Cross(403)|Southern Cross]]의 2011년 버전을 새로 출시하였다. 403은 동일본 지진 피해자들을 위로하는 목적이기 때문에 이 곡을 '''무료 배포'''하였다. * 2013년 작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NHK 대하드라마]]는 전혀 다른 내용으로 할 예정이었으나, 지진과 쓰나미 피해를 입은 [[도호쿠]] 부흥을 응원한다는 차원에서 [[야에의 벚꽃]]으로 정해졌다. * 대지진의 여파로 인해 지진을 소재로 다룬 게임 시리즈인 아이렘의 [[절체절명도시]]의 신작이 아예 발매 취소가 되어버리고, 전작인 1~3편 또한 생산 종료 및 전량 리콜 크리를 맞아버렸다.[* 이중 2009년에 발매된 [[절체절명도시 3|3편]]의 배경은 '''2011년 3월'''로, 이 지진을 '''정확히 예언함으로써''' 주목을 받게 되었다.] * 마찬가지로 [[세가 게임즈|세가]]를 대표하는 게임 시리즈인 [[용과 같이]]의 스핀오프작 [[용과 같이 OF THE END]] 또한 발매 연기가 되었다. 지진을 소재로 다룬 게임은 아니지만 폐허가 된 도시를 묘사한다는 점이 민감한 소재라고 판단된 듯. 예정보다 석달 뒤인 2011년 6월 9일 발매되었으며 지진 피해 극복을 염원하는 '힘내라 일본' 패키지를 함께 발매했다. * [[댄스 댄스 레볼루션]]의 수록곡인 [[Tohoku EVOLVED]]는 대지진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악곡이다. Pray For All. * [[태고의 달인 시리즈]]도 대지진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서 악곡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Red Rose Evangel]]이다. * 아틀라스의 [[페르소나 5]]가 이 지진으로 스토리 등의 게임 요소가 완전히 갈아 엎어졌다. 원래는 일행이 다같이 전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스토리를 이어가는 식의 게임이였는데 설정자체가 갈아엎어졌다. * 위와 비슷한 사례로 토리야마 아키라는 [[드래곤볼 Z: 신들의 전쟁]] 제작진에게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비참한 이야기보다는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이야기를 하고 싶다며, 대규모 파괴씬이나 군중의 혼란 장면을 자제해달고 부탁했다. 그래서 실제로 이 작품에선 별다른 파괴적인 연출이 없다. * [[요코하마 베이스타즈]]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프로야구 시합을 하다가 이 지진으로 인해 7회 초에 콜드 게임 선언으로 패했다. *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 소속된 [[도호쿠 프리블레이즈|도호쿠 프리 블레이즈]]는 [[안양 한라]]와의 결승전을 준비 중이었다. 그러나 이 지진으로 '''경기장이 손상되고 물까지 차서 안양 한라 선수단의 여권이 유실되는''' 사고가 벌어져 안양 한라 선수단은 고립되기까지 했다. 결국 결승전 취소와 11-12시즌 공동 우승으로 되었고, 어찌어찌해서 안양 선수들은 무사히 한국으로 돌아갔다. * 이 지진의 여진인 [[2016년 도호쿠 지진]]이 2016년 11월 22일 새벽 5시 59분 59초에 일어났다. * [[ONE OK ROCK]]의 정규앨범 [[人生×僕=]]의 수록곡 Be the light는 이 지진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위한 추모곡이다. * [[센다이시|센다이]]가 고향인 남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 [[하뉴 유즈루]]도 이 지진이 일어난 날 스케이트를 타고 있다가 아이스링크가 붕괴되어 변을 당할 뻔했다고 언급했다. 가까스로 빠져나왔다고. * 웨더뉴스 기상캐스터인 [[오시마 리논]]은 이 지진을 겪었다고 말했다, 당시 초등학교 6학년이었던 그녀는 도서관에 있다가 책상 밑으로 숨어야했었다고 말했다. * [[독일]]의 프로 축구 리그인 [[분데스리가]] 소속팀 [[샬케 04]]의 서포터들이 후원을 해주었다. 당시 해당 팀에서 뛰고있던 일본 선수인 [[우치다 아쓰토]]가 지진으로 고통 받은 자국인들을 격려하는 말을 [[독일어]]로 적은 티셔츠를 경기 전에 준비하였다. 그 당시 같은 팀 소속이었던 골키퍼 [[마누엘 노이어]]가[* [[바이에른 뮌헨]]으로 이적하여 주장으로 활약 중.] 그 티셔츠를 입을 것인지 묻자, 우치다는 "승리할 시 입고, 패배할 시 입지 않겠다"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노이어는 "꼭 이기겠다"고 약속했다. 그리고 바로 다음 경기인 프랑크푸르트전에서 샬케는 승리를 거두었지만, 자국민이 걱정되어 함께 기뻐하지 못했던 우치다를 발견한 노이어가 유니폼 안쪽에 그 티셔츠를 받쳐 입고 있던 우치다를 샬케의 서포터즈 앞으로 데려갔고, 티셔츠를 본 서포터들에게서 후원 문의 전화가 빗발쳤다고 한다. * 애니메이션 [[너의 이름은.]]의 스토리 라인이 이 도호쿠 대지진의 은유라는 설이 있는데, 작가의 인터뷰 내용으로 사실임이 확인되었다. *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의 [[이와토 스즈메|주인공]]은 어렸을적에 도호쿠 대지진으로 인해 [[이와테현|고향]]과 [[이와토 츠바메|부모님]]을 잃고 지금은 [[미야자키현|다른 지역에서]] 자신을 거둔 [[이와토 타마키|이모]]와 사는 여고생으로 나오고 작중 프롤로그와 후반부에 나온 저세상의 장소는 당시 도호쿠 대지진으로 인한 참혹한 비극의 현장을 재현한곳이다. *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AKB48]]과 소속사인 AKS에서는 참사직후인 2011년 5월부터 정기적으로 자선 콘서트인 '''누군가를 위하여''' 라는 명칭의 프로젝트를 매번 개최하고 있다. 멤버들이 반반씩 나뉘어서 대지진으로 인해서 피해가 제일 많았던 지역인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의 3현의 여러 마을을 돌아다니며 희생자들을 위한 묵념 및 추모 행사, 위문 공연과 같은 자선 콘서트, 재해 복구 지원 등과 같은 봉사활동을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재해지의 부흥을 위한 응원송인 '''손바닥이 말하는 것'''을 발표하였다. 또한 이에 앞서서 2011년 4월 1일에는 디지털 싱글인 '''誰かのために ~What can I do for someone'''을 발매하여 수익금 전액을 기부하기도 하였다. * [[KBS 뉴스 9]]는 지진 발생이 발생한 11일부터 20일까지 연속으로 10일 동안 특집 뉴스로 진행했는데, 당시 최장기간 특집 뉴스 진행이었다.[* 당장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참사인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때 특집 뉴스를 사고가 발생한 4월 16일부터 27일까지 12일 연속으로 특집 뉴스로 진행한 것을 비교해보면 얼마나 심각했는지 알 수 있다.] * 이 지진을 계기로 [[키즈나]](絆)란 단어가 널리 유행하기 시작했다. * 한 일본인이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나는 도중인데도 [[콜 오브 듀티]]를 하고 있는 동영상이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있다.[[https://youtu.be/HatssUsn0os|#]] 이 사람이 게임을 하는 동안 수십 수백의 사람이 죽어나갔다는 것을 생각하면 어지간히 게임에 몰입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축구선수 [[다카하기 요지로]]가 이 지진으로 외할머니를 여의었다. 2014년 3월 11일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와의 경기에서 동점골을 넣고 외할머니를 기리는 세레모니를 하기도. * 이 지진 이후 몇 년 동안 [[대한민국]], 특히 영남지방과 그 인근 지역에서 유리창이 흔들릴 정도의 지진이 상당히 빗발쳤다. 3월 28일에는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M3.2의 지진이 났고, 4월 3일에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서 M2.7이, 5월 29일에는 경상북도 청도군 지역에서 M3.2의 지진이 발생했다. [[2012년]] [[5월 11일]]에는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M3.9의 지진이 발생했고, [[2013년]] 2월 5일에는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M3.5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 지진은 특이하게도 여진을 동반하기도 했다. * '''15.5m'''의 수문이 지어져서 사실상 피해를 거의 입지 않은 마을이 있다. 당시 마을 사람들은 너무 높다고 반대했으나 마을의 촌장이었던 와무라 코토쿠 씨는 "'''쓰나미에 두 번은 당했지만 세 번 당할 수는 없다'''"[* 마을은 1896년, 1933년 두 번의 쓰나미를 겪으며 참극을 경험했다.]며 수문 건설을 강행하였다. 자세한 것은 [[후다이의 기적]] 참고. * 어두운 면으로 이재민 수용소에서 성폭력 사건이 일어났다는 것이 9년 만에 밝혀졌다. [[https://news.yahoo.co.jp/byline/mizushimahiroaki/20200306-00165967/|#]] 단순히 개별적인 사건이 아니라 취약한 여성들에 대한 성착취 범죄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기업들은 부흥 자금을 받았는데, 이걸 받아다 비자금 조성을 하였다.[[https://www.asahi.com/sp/articles/ASN7V6JD7N6LUTIL06D.html|#]] * [[869년]]에도 산리쿠 해역 근처에서 '''M8.3~8.6'''의 대지진이 발생, 쓰나미로 인해 1000명이 넘는 익사자가 발생했다고 한다.[[https://ja.m.wikipedia.org/wiki/%E8%B2%9E%E8%A6%B3%E5%9C%B0%E9%9C%87|#]] * 대지진 당시 자위대의 피해 및 재해복구 수습을 다룬 다큐멘터리 [[https://www.youtube.com/watch?v=pIdQj14i3xI|#]] * 뉴스기사에는 상상 이상의 [[고인드립]] 등등 악플이 쏟아졌다. 이는 10년이 지난 지금도 일본 관련 기사에 나타나고 있으며, 압도적인 공감 수를 얻는다. * [[2021년]] [[3월 11일]] 참사 10주년을 맞이했다. * 만화 [[죠죠리온]] 지형지물인 [[벽의 눈]]의 원인이다 * 당시 해일이 추정치보다 높았던 이유가 단층 위에 있던 퇴적층이 급격히 튀어올라 7m 정도의 해일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 [[지진]] 발생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의 추정치 [[규모]]는 M8.8이었다. * [[스즈메의 문단속]]이 이 지진의 발생일 3월 11일을 중점으로 개봉하였다. [* [[일본]]의 개봉일은 11월 '''11일''' 해외 개봉일은 '''3월'''중에 개봉하였다.] == 음모론? == 어째서인지 이 지진에 대해 '''해양 지각을 뚫어서 설치한 거대한 폭발물을 터트려 인공적으로 만든 지진'''일 것이라는 음모론이 돌고 있는데[* 참고로 인간이 만든 폭발물로는 이 정도로 강력한 지진을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아래의 음모론들은 그냥 재미로만 알아두자.] 이 음모론의 배후에 대해 크게 [[일본]]배후설, [[북한]]배후설, [[미국]]배후설 이렇게 3가지로 나뉘었다. 세력이 아닌 기술적 배후로는 [[HAARP]]설도 있었다. * 가장 크게 퍼진 음모론(대한민국에서만 크게 퍼진 음모론)은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이나 [[아베 신조]] 측에서 우경화와 정권 장악을 위해 [[해상자위대]]를 동원해서 지진을 터트리고 방사능 재앙까지 일으킨 뒤에 이를 빌미삼아 새로운 영토를 차지하기 위한 명분으로 헌법개정을 통해 보통국가화 및 [[한국]]을 비롯한 타국 침공까지 노린다는 내용이다. 당시 자민당의 총재는 온건보수 성향의 [[다니가키 사다카즈]]였고, 아베는 강경보수로서 당내 비주류였다. 사실 이미 인공지진까지 아니더라도 자민당에서 간 나오토가 집권하는 민주당을 몰락시키고 자기들이 집권하기 위해 빠르게 진압할 수도 있던 [[후쿠시마 원전 사고]]도 고의로 방치했다는 끔찍한 음모론까지 나왔다. [[https://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wr_id=418465|#]][[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43316603|#]][* 실제로 [[일본의 우경화]]나 평소 일본에 대한 반일감정이 일본커뮤니티에 올라오며 [[혐한/일본|혐한 성향]]도, 이 지진과 원전 사고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다시 부각되었다.] * 반면 국내의 [[음모론]]자이자 [[유사과학]] 신봉 단체인 [[남침땅굴을 찾는 사람들]]은 북한이 동해와 일본의 아래로 땅굴을 파고 들어가 핵을 터트려서 일으킨 지진이라는 주장을 했다. [[https://youtu.be/FktAKe8yw|#]] * 이외에도 민주당 소속 의원인 카지카와 유키코와 국민신당 소속 의원인 하마다 가즈유키도 "이 지진은 자연계에서 존재할 수 없는 인공 지진이나 인공 쓰나미"라고 주장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miga3000&logNo=60157212558|#]][[http://egloos.zum.com/isao76/v/2098642|#]][[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miga3000&logNo=60158749933|#]][* 다만 하마다 가즈유키는 이 과정에서 "[[간 나오토]]의 친중성향을 보복하기 위한 미국의 공작"이라고 주장한데다, 당시 기준으로도 신빙성이 낮은 [[HAARP]](지진 무기)를 운운했다가 물의를 빚었다.] == 관련 문서 == *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 [[2012년 산리쿠 해역 지진]] * [[2016년 후쿠시마 지진]] * [[2021년 후쿠시마 해역 지진]] == 둘러보기 == [include(틀:지진/2011년)] [include(틀:지진/9.0 이상)] [각주][Include(틀:로그 누락 문서)] [[분류: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분류:로그 누락 문서]][[분류:나무위키 지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