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호쿠 본선]][[분류: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 [include(틀:하위 문서, top1=도호쿠 본선/역 목록)] [include(틀:JR 동일본의 철도 노선)] [include(틀:일본의 공항철도)] ||<-2><)>{{{#!wiki style="margin: 0px -5px" [[JR 동일본|[[파일:JRE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JR 동일본|{{{#ffffff JR 동일본}}}]]}}}|| ||<-2><:>'''{{{+1 {{{#00bb85 [ruby(東北本線, ruby=とうほくほんせん)]}}}}}}'''[br]{{{#00bb85 Tōhoku Main Line | {{{#00bb85 도호쿠 본선}}}}}}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721%26SAT721.jpg|width=100%]] ---- [[E721계 전동차]] || ||<-2> '''노선 정보''' || || '''분류''' ||간선 || || '''기점''' ||[[도쿄역]] '''(본선)'''[br][[이와키리역]] '''(리후지선)''' || || '''종점''' ||[[모리오카역]] '''(본선)'''[br][[리후역]] '''(리후지선)''' || || '''역 수''' ||150 || || '''개업일''' ||[[1883년]] [[7월 28일]] || || '''소유자'''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008900,#76ff76 JR 동일본}}}]] || || '''운영자'''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008900,#76ff76 JR 동일본}}}]][br][[JR 화물|[[파일:JR 화물 로고.svg|width=240]][br]{{{#367193,#6ca7c9 JR 화물}}}]] || || '''사용차량''' ||[[E231계 전동차]][* 0, 1000번대], [[E233계 전동차]][* 1000, 3000번대][br][[E235계 전동차]][* 0, 1000번대], [[211계 전동차]][* 3000번대], [[EV-E301계 전동차]][br][[키하 100·110계 동차]][* 0, 200번대], [[E531계 전동차]] [* 0, 3000번대][br][[701계 전동차]][* 1000, 1500번대], [[719계 전동차]][* 0번대][br][[E721계 전동차]][* 0, 500, 1000번대], [[E721계 전동차|SAT721계 전동차]][br][[HB-E210계 동차]], [[키하 E130계 동차]][* 0번대][br][[E657계 전동차]] || || '''차량기지''' ||[[코우즈 차량센터]], [[오야마 차량센터]][br][[타카사키 차량센터]], [[카츠타 차량센터]][br][[코리야마 종합 차량센터]], [[도쿄 종합 차량센터]][br][[센다이 차량센터]], [[코고타 운수구]][br][[이치노세키 운수구]], [[모리오카 차량센터]][br][[사이타마 차량센터]], [[오쿠 차량센터]]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535.3km[* 지선 포함시 572.0km.][br]'''739.2km'''(제3섹터화 이전) || || '''궤간''' ||1067mm || || '''선로구성''' ||3복선 (도쿄~타바타)[br]2복선 (타바타~오미야)[br]복선 (오미야~모리오카) ||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도쿄~쿠로이소)^^[br]교류 20000V 50Hz 가공전차선 ^^(쿠로이소~모리오카)^^ ||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D-ATC, ATACS, ATS-P, Ps, Sn || || '''최고속도''' ||120km/h || || [[파일:JR_Tohoku_Main_line_linemap.png|width=100%]] || || {{{#ffffff 실측지도상의 도호쿠 본선(초록색은 중거리열차)}}} || [목차] [clearfix] == 개요 == [[JR 동일본]]의 간선 철도 노선. [[일본]] [[도쿄도]] [[치요다구]]에 있는 [[도쿄역]]과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있는 [[모리오카역]]을 잇는다. 열차할당기호는 '''M''', D, Y === 노선 데이터 === * 관활, 선로보유 : 전장 572.0km (지선 포함) *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도쿄~모리오카 535.3km * 닛포리~오쿠~아카바네 7.6km * 아카바네~무사시우라와~오미야 18.0km ([[사이쿄선]]) * 나가마치~센다이 화물터미널~히가시센다이 6.6km (미야기노 화물선) * 이와키리~리후 4.2km (리후지선) * 마츠시마~타카기마치 0.3km (센세키.도호쿠 연결선) * 일본 화물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 타바타~모리오카 528.2km * 나가마치~센다이 화물터미널~히가시센다이 6.6km (미야기노 화물선) * 궤간 : 1067mm * 역수 * 여객역 : 145 * 화물역 : 5 * 복선구간 * 복복선 이상 * 도쿄~오미야 * 닛포리~오쿠 * 단선병렬 : 히가시센다이~히가시센다이 신호장 * 복선 * 오미야~히가시센다이 * 히가시센다이 신호장~모리오카 * 오쿠~아카바네 * 아카바네~무사시우라와~오미야 * 나가마치~센다이 화물터미널~히가시센다이 * 단선 * 이와키리~리후 * 마츠시마~타카기마치 * 전화구간 : 마츠시마~타카기마치 간 연결선 제외 전선 * 직류 1500V * 도쿄~쿠로이소 * 닛포리~오쿠~아카바네 * 아카바네~무사시우라와~오미야 * 교류 20000V 50Hz * 쿠로이소~모리오카 * 나가마치~센다이 화물터미널~히가시센다이 * 이와키리~리후 * 절연구간 : 쿠로이소~타카구, 차상전환식 * 폐색방식 * 도쿄~타바타~오미야 (전차선) : 차내신호제어식 * 아카바네~무사시우라와~오미야 (사이쿄선) : 차내신호제어식 * 리후지선 : 특수자동폐색식 (궤도회로 검지방식) * 이외 선: 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 D-ATC : 도쿄~타바타~오미야 간 전차선 * ATACS : 아카바네~무사시우라와~오미야 (사이쿄선) * ATS-P * 도쿄~닛포리~오쿠~아카바네~오미야~쿠로이소 * 타바타신호장~아카바네~오미야 (도호쿠 화물선) * ATS-Ps : 시로이시~코고타 * ATS-Sn * 쿠로이소~시로이시 * 코고타~모리오카 * 나가마치~센다이 화물터미널~히가시센다이 * 이와키리~리후 * 최고속도 * 도쿄~우츠노미야 : 우등열차 120km/h, 보통열차 110km/h * 우츠노미야~이치노세키 : 우등열차 120km/h, 보통열차 100km/h * 이치노세키~모리오카 : 우등열차 120km/h, 보통열차 110km/h * 타바타 신호장~아카바네 95km/h * 아카바네~오미야 (도호쿠 화물선) : 120km/h * 나가마치~센다이 화물터미널~히가시센다이 : 100km/h * 이와키리~리후 : 95km/h * 운전지령소 * 도쿄~쿠로이소 : 도쿄 종합지령소 (도쿄~나스시오바라 ATOS지령) * 쿠로이소~이시코시 : 센다이 종합지령소 (CTC) * 이시코시~모리오카 : 모리오카 종합지령소 (CTC) * 타바타신호장~오미야 : 도쿄 종합지령소 (ATOS) * 나가마치~센다이 화물터미널~히가시센다이 : 센다이 종합지령소 (CTC)[* 단, [[센다이역(미야기)|센다이역]] 구내 방송은 ATOS를 이용하고 있다.] * 이와키리~리후 : 센다이 종합지령소 (CTC) * 여객 운임 * 여객 운임체계 : 전차특정구간 제외하고 간선 운임 적용 * [[대도시근교구간#s-4.1|수도권 근교구간]] (여객영업규칙에 의한) : 도쿄~쿠로이소 (전차선, 사이쿄선 포함) * [[대도시근교구간#s-4.5|센다이 근교구간]] (여객영업규칙에 의한) : 야부키~히라이즈미, 이와키리~리후, 마츠시마~타카기마치 * [[전차특정구간]] : 도쿄~오미야 (전차선, 사이쿄선 포함) * [[특정도구시내]] * 센다이 시내 : 미나미센다이~이와키리 * 도쿄 도구내 : 도쿄~아카바네 * 도쿄 야마노테선내 : 도쿄~타바타 * [[교통카드]] 호환지역 : 도쿄~쿠로이소, 야부키~코고타, 이치노세키, 히라이즈미, 키타카미~모리오카, 이와키리~리후, 마츠시마~타카기마치 * 영업본부 * 아카바네 이남, 사이쿄선 아카바네~우카마후나토 : 도쿄 지사 * 카와구치~토요하라, 사이쿄선 토다코엔~오미야 : 오미야 지사 * 시라사카~이시코시, 리후 지선, 센세키 연결선 : 센다이 지사 * 유시마~모리오카 : 모리오카 지사 == 상세 == 1883년 [[우에노역|우에노]]-[[쿠마가야역|쿠마가야]][* 1909년에 [[우에노역|우에노]]~[[오미야역(사이타마)|오오미야]] 구간이 도호쿠 본선 구간으로 편입됨.] 구간이 사철 [[일본 철도]]에 의해 개통되면서 시작되었으며, 1891년 아오모리역까지의 전 구간이, 1925년 [[도쿄역|도쿄]]-우에노 구간이 완공되어 현재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2002년 12월 1일 [[도호쿠 신칸센]]의 [[모리오카역|모리오카]]]]-[[하치노헤|하치노헤]] 구간 연장에 따라 [[이와테현]] 구간인 [[모리오카역]]-[[메토키역]] 구간이 [[IGR 이와테 은하철도]]로, [[아오모리현]] 구간인 [[메토키역]]-[[하치노헤역]] 구간이 [[아오이모리 철도]]로 이관되었다. 이와 같은 제3섹터 이관으로 인하여 도호쿠 본선은 두 동강이 난 채 운영되다가, 2010년 12월 도호쿠 신칸센이 [[신아오모리역]]까지 완전 개통되며 남아있던 구간인 [[하치노헤역]]-[[아오모리역]]도 아오이모리 철도로 이관되었다. [[도카이도 본선]]과 [[산요 본선]]이 [[일본]] 열도를 동서로 이어주는 노선이라면, 이 노선은 [[JR 큐슈|큐슈]]의 [[가고시마 본선]]처럼 남북을 길게 잇는 노선이다. 1991년 [[도호쿠 신칸센]]의 도쿄역 연장으로 인하여 도쿄~우에노 구간 선로를 철거하는 바람에 모든 열차의 기점이 [[우에노역]]이 되었고, 장거리 운송은 모두 도호쿠 신칸센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그러나 2015년에 [[우에노도쿄라인/개통 전 이야기|도쿄-우에노 간 살인적인 혼잡도]] 개선을 위하여 해당 구간을 다시 이은 [[우에노도쿄라인]]이 완공되어 기점이 다시 도쿄역으로 옮겨졌다. [[시즈오카]], [[나고야]], [[오사카]] 등의 수요가 높은 대도시 지역을 끼고 있는 [[도카이도 본선]] 등과는 달리, [[센다이시|센다이]] 이외에 대도시가 없다보니 발전이 더뎠었다. == 운행 형태 == 도쿄 [[전차특정구간]]에 해당하는 [[도쿄역]] -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역]] 사이에는 단거리 통근형 전동차가 열차선을 백업해주는 형태로 운행하고 있다. 이 중 [[도쿄역]] - [[타바타역(도쿄)|타바타역]]까지는 2복선으로 되어있어 각각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이 이용하고 있다. 그 중 내선이 [[야마노테선]], 외선이 [[케이힌토호쿠선]]에 해당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4px-TohokuLineTokyoArea201503.svg.png]]|| [clearfix] === 전차선 === ==== [[야마노테선]] ([[도쿄역|도쿄]] ~ [[타바타역(도쿄)|타바타]]) ==== [[케이힌토호쿠선]]과 함께 2복선으로 병주하는 구간이다. 모든 역에서 케이힌토호쿠선과 방향별 2복선으로 되어있어, 이 구간 내에서만 움직인다면 어떤 것을 타도 상관이 없다. [[도쿄역]]에서 [[도카이도 본선]]의 전차선과 직결되어 [[시나가와역]]까지 이어지며, [[타바타역(도쿄)|타바타역]]에서 선로 요람 상의 야마노테선과 직결하여 [[신주쿠역]] 을 경유하여 다시 [[시나가와역]]으로 돌아오는 순환선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 [[케이힌토호쿠선]] ([[도쿄역|도쿄]] ~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 ==== [[통근 5방면 작전]]에 따라 [[사이타마]]현의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역]]까지 2복선화가 되었고, 그 전차선이 [[케이힌토호쿠선]]이다. [[도쿄역]]에서 [[도카이도 본선]]의 전차선과 직결되어 [[요코하마역]]까지 이어진다. 한편, [[우에노역]] - [[아카바네역]] 구간은 도호쿠 본선의 근교형 열차가 도호쿠 본선으로 달리지 않고(!) 바로 옆의 오쿠 지선으로 달리며 본선으로는 [[케이힌토호쿠선]]의 열차가 달린다. 중간에 [[오쿠역(도쿄)|오쿠역]]이 있는데 도호쿠 본선과 오쿠 지선 사이에는 거대한 오쿠 차량센터(동차, 객차, 화차 보관)와 타바타 운전소(기관차 보관)가 위치해 있고, 옆엔 신칸센 정비창도 있다. ==== [[사이쿄선]] ([[아카바네역|아카바네]] -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 ==== [[도호쿠 신칸센]]의 [[사이타마]] 통과 구간에 대한 보상으로 지어진 병행 재래선이다. 도호쿠 본선의 지선에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쿄선]] 참조. ==== [[우에노도쿄라인]], [[조반선]] ([[도쿄역|도쿄]] ~ [[닛포리역|닛포리]]) ==== 2015년 3월 [[우에노도쿄라인]] 개통후 [[조반선]]의 열차가[* [[E657계 전동차|E657계]] 특급 [[히타치(열차)|히타치]]·[[토키와(열차)|토키와]], [[E531계 전동차|E531계]] 중장거리열차, [[E231계 전동차#s-3.2.2|E231계]] [[조반 쾌속선|쾌속]]. 다만 낮시간대에는 E531계와 E657계가 우에노도쿄라인 운행한다. ] [[도쿄역|도쿄]] ~ [[닛포리역|닛포리]] 구간에서는 정차역이 [[우에노역|우에노]] 뿐이며 특급 히타치와 토끼와는 닛포리역은 통과한다 === 열차선 === ==== [[우에노도쿄라인]] ([[도쿄역|도쿄]] ~ [[우에노역|우에노]]) ==== [[도쿄역]]에서 [[우에노역]] 까지 구간의 열차선에는 [[우에노도쿄라인]] 이라는 애칭이 붙어있다. [[도호쿠 신칸센]]의 개통으로 끊어졌던 열차선의 미싱 링크를 다시 연결해주어, [[쇼난신주쿠라인]]과 함께 도쿄 종관 노선을 이루고 있다. 이 구간을 경유하는 열차에는 '''우에노도쿄라인 경유''' 라는 표시가 붙는다. 개통전 가칭은 도호쿠종관선이었다. 과거 도쿄역까지 연결되었던 우츠노미야선 부지에 도호쿠신칸센 고가를 올린탓에 선로가 없어졌고 모든 열차가 [[우에노역]]에서 시·종착했다[* 사실 신칸센 개통전에도 선로자체는 연결되어있었지만 도호쿠방면 보통열차들은 대부분 우에노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하지만 선로가 없어지면서 우에노역~도쿄역 구간의 수요까지 없어진건 아니기에 이 수요들이 전부 야마노테선과 게이힌도호쿠선으로 몰리는 참사가 발생했다. 한때 [[JR 동일본]] 관할 최악의 혼잡률 구간이 바로 [[야마노테선]]의 [[우에노역]] - [[오카치마치역]] 구간이었다. 의외로 우에노~도쿄역 전구간이 최악은 아니었는데 이는 게이힌도호쿠선도 같이 백업을 해줬기 때문이었다. 오카치마치역의 경우 게이힌도호쿠선 쾌속운행시 통과역이었기 때문에 더 혼잡한 측면이 있었다. 문제는 나머지 구간의 경우에도 두 노선이 같이 다녔음에도 전국 상위권의 혼잡도를 자랑했으며 만약 한 노선이라도 문제가 발생하면 그야말로 답이 없었다는 것에 있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쿄~우에노 구간의 도호쿠 본선을 [[우에노도쿄라인]]으로 다시 부활시켰다. 그나마 당시 JR동일본이 이런 참사를 예견하고 도호쿠신칸센을 지을때 선로부지를 미리 확보해 겨우 공사가 가능했다. 하지만 신칸센 고가위에 또다시 고가를 올리는 대공사였고 이로인해 구배가 높아져 열차들의 일부 성능개조도 진행해야했다. 우여곡절끝에 공사가 완료되어 이후 우츠노미야선과 [[도카이도 본선/JR 동일본|도카이도선]]은 [[우에노도쿄라인]]을 통해 직결운행하고 있다. 다만 우에노도쿄라인은 우츠노미야선 계열 열차만 들어오는게 아니라 조반선 계열의 열차도 같이 들어오는데다가 선로도 복선이기에 아직도 우에노 종착열차가 일부 남아있다. ==== [[우츠노미야선]] ([[우에노역|우에노]] ~ [[쿠로이소역|쿠로이소]]) ==== [[우에노역]] - [[쿠로이소역]] 구간에는 [[우츠노미야선]]이라는 애칭이 붙어있다. 이 구간에서는 도호쿠 본선이라 안내하지 않고 애칭인 우츠노미야선이라고 안내한다. [[도카이도 본선/JR 서일본|도카이도선]] [[게이한신]]구간에서 도카이도선이라 하지않고 [[JR 교토선]], [[JR 고베선]]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이유. 우츠노미야역을 기준으로 남쪽은 10~15량, 북쪽은 4량짜리로 운행계통이 나뉜다. 쿠로이소역을 경계로 남쪽은 직류 전철화, 북쪽은 교류 전철화되었기 때문에 이 역에서 운행계통이 완전히 바뀐다. ==== [[쿠로이소역|쿠로이소]]~[[신시라카와역|신시라카와]] ==== [youtube(B89G0c320UA)] 코리야마~쿠로이소 원래 이 구간도 센다이~쿠로이소 계통으로 계속 쭉 이어져 왔으나, 쿠로이소역 구내에 있었던 [[절연구간]]을 쿠로이소-타카쿠 사이로 옮기게 되면서 이 구간만을 운행하는 열차와 계통을 따로 신설하게 된다. 따라서 절연구간을 통과해서 다닐 수 있는 직교류겸용 전동차인 [[E531계 전동차|E531계]]를 추가로 만들어서 투입한다. 한동안 비첨두 시간대에는 키하 110계(2량편성)으로 운용하였으나, 2020년 3월부터는 모든 시간대에 E531계로 운행한다. 첫막차 시간대에는 [[시라카와역]]까지 운행한다. ==== [[신시라카와역|신시라카와]]~[[센다이역(미야기)|센다이]] ==== || [youtube(Krjs_2w9DZo)] || ||쾌속 센다이~후쿠시마 || || [youtube(NcIh4fBJg2c)] || ||후쿠시마~코리야마 || 기본적으로 [[701계 전동차]]와 [[E721계 전동차]]가 주로 다닌다. 한시간에 2~3대 정도 오며 센다이 근교에는 [[조반선]] 열차와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도 다닌다. 주로 4량 1/2편성으로 운행되며 통근시간에는 8량까지 늘리기도 하다. 센다이 공항 엑세스선 직통차는 원맨운전을 하며, 조반선과 도호쿠선 차장 탑승은 할때도 안할때도 있다.(출퇴근과 붐비는 시간은 차장 탑승) 2021년 3월 13일부로 센다이 시티 래빗이 폐지되었다. ==== [[센다이역(미야기)|센다이]]~[[이치노세키역|이치노세키]] ==== || [youtube(MEOz4PhMPRE)] || ||이치노세키~센다이 || [[E721계 전동차|E721계]], [[701계 전동차|701계]]가 주력이며 주로 2~4량으로 편성된다. 여기까지는 대체로 차장 탑승을 하는듯. ==== [[이치노세키역|이치노세키]]~[[모리오카역|모리오카]] ==== || [youtube(HCoNQFHVi9g)] || ||모리오카~이치노세키 || 그나마 남은 도호쿠 본선 노선중에 가장 적자가 나는(..) 구간. [[701계 전동차]]가 주력이며 보라색을 띤 도장으로 운행중이다. 30분~1시간당 한대로 운행하며 2량에다가 원맨운전이다.(....) --처우가-- [[카마이시선]] 직결 열차는 [[키하 110계 동차]]로 운행한다. 키타카미~모리오카 구간은 [[Suica]] 이용이 가능하다. ==== [[모리오카역|모리오카]]~[[아오모리역|아오모리]] ==== [[신칸센]] 연장으로 인하여 [[메토키역]]까지 [[IGR 이와테 은하철도]], 그 이후는 [[아오이모리 철도]]에 이관되었다. 이 구간을 지날 때에는 JR과 관련된 패스([[JR패스]], [[청춘 18 티켓]] 등)를 가지고도 무료로 이용할 수 없다. 단, JR패스 및 [[홋카이도&동일본 패스]]의 경우 통과를 전제로 하는 경우에는 무료 이용이 가능하다. JR 이스트 패스는 제3섹터 구간도 무료 이용 가능하며, 청춘 18 티켓은 [[아오모리역]] ~ [[노헤지역]], [[아오모리역]] ~ [[하치노헤역]], [[노헤지역]] ~ [[하치노헤역]] 간을 이용하는 3가지 경우에 한해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 [[하치노헤선]]과 [[오미나토선]]이 고립 노선이기 때문이다.] === [[도호쿠 화물선|화물선]]([[타바타역(도쿄)|타바타 신호장]] ~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 === [[사이타마현|사이타마]] 방면의 살인적인 통근 혼잡도때문에 이 구간에서는 화물선까지 모조리 여객 열차 운행에 투입되고 있다. [[쇼난신주쿠라인]] 열차가 이용하며, 타바타 신호장에서 [[야마노테 화물선]]에 직통운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도호쿠 화물선]], [[쇼난신주쿠라인]] 문서 참조. == 특급 열차 == [[도호쿠 신칸센]] 개통 이후로는 도호쿠 본선만을 달리는 장거리 특급 열차는 야간 열차를 제외하곤 존재하지 않았고, 그나마 도호쿠 본선을 경유하던 [[홋카이도]] 방면 특급 열차가 [[하치노헤역]]에서 출발을 했었지만 이것마저 신칸센 연장 개통으로 [[신아오모리역]]으로 쫓겨났다(...). 2015년 3월 14일 개정으로 [[세이칸 터널]]의 [[신칸센]] 대응 공사를 위해 특급 "호쿠토세이" 등의 열차가 임시열차로 격하되었고, 2015년 8월부터는 완전히 운행을 종료할 예정이다. 해당 노선을 완주하는 정기 특급 열차는 이제 완전히 전멸하였고, 남은 것은 임시 특급 열차인 [[카시오페이아(열차)|카시오페이아]] 하나만 남았는데... 이것도 2016년 3월 [[홋카이도 신칸센]]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 개통에 따라 폐지가 확정되었다. 카시오페이아의 경우 고급 침대특급이라는 이미지가 있어 임시 및 관광용으로라도 존속하지 않겠냐는 의견이 많았으나, 이를 운행하면 심야 선로점검 등의 정비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결국 폐지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현재 도호쿠 본선을 달리는 특급열차는 [[타카사키선]], [[조반선]] 직통 및 [[도부 닛코선]] 직통 열차 뿐이며 [[센다이역(미야기)|센다이역]] 이북으로는 정기 특급 열차는 단 한 대도 남지 않았다. == 운행 차량 == * [[E131계 전동차]] : 우츠노미야-쿠로이소 간 운행 * [[E231계 전동차]] * 0번대: [[조반 쾌속선]], [[우에노도쿄라인]], [[나리타선]]에 운용. 닛포리역에서 조반선, 나리타선 아비코지선으로 직통한다. * 1000번대: [[우츠노미야선]], [[우에노도쿄라인]]에 운용. 직결하는 [[타카사키선]], [[도카이도 본선/JR 동일본|도카이도선]], [[쇼난신주쿠라인]]에도 충당된다. * [[E233계 전동차]] * 1000번대: [[케이힌토호쿠선]]에 운용. * 3000번대: [[우츠노미야선]], [[우에노도쿄라인]]에 운용. 직결하는 [[타카사키선]], [[도카이도 본선/JR 동일본|도카이도선]], [[쇼난신주쿠라인]]에도 충당된다. * [[E235계 전동차]] * 0번대: [[야마노테선]]에 운용 * [[253계 전동차]], [[도부 100계 전동차]]: [[닛코]], 키누카와 * [[E531계 전동차]]: [[우에노도쿄라인]]([[조반선]] 직결), 쿠로이소-시라카와 간 운행 * [[E657계 전동차]]: [[조반선]] 직결 특급 히타치(이와누마-센다이, 도쿄~닛포리) * [[701계 전동차]]: 코리야마 이북 구간 * [[719계 전동차]]: 후쿠시마 근교 구간 * [[E721계 전동차]]: 신시라카와-이치노세키 간 운행 * [[키하 110계 동차]]: [[카마이시선]] 직결. * [[HB-E210계 동차]]: [[센세키토호쿠라인]] * [[EV-E301계 전동차]] : [[카라스야마선]] 직결 == 역 목록 == '''[[도호쿠 본선/역 목록]]'''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