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도쿠가와 요시노부)] [목차] == 선대 가계 == || [[파일:Tokugawa_Nariaki.jpg|width=250]] || [[파일:Princess_Yoshiko.jpg|width=250]] || || 아버지 [br] 도쿠가와 나리아키(1800~1860) || 어머니 [br] 요시코 여왕(1804~1893) || ||<#FFA3A5> 본인 ||<#FFDBAE> 부모 ||<#FFFFAE> 조부모 ||<#AEFFC6> 증조부모 || ||<#FFE4E1><|13> [[도쿠가와 요시노부]][br]{{{-2 (徳川慶喜)}}} ||<#FFF3E4><|6> 도쿠가와 나리아키[* [[미토 번]] 8대 당주. 번정개혁에 성공해 막부말기의 명군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강직한 성격으로 유명했으며 사후에 그를 [[신]]으로 모신 사당이 생겨났을 정도다.][br]{{{-2 (徳川斉昭)}}} ||<#FFFFE4><|3> 도쿠가와 하루토시[* [[미토 번]] 7대 당주.][br]{{{-2 (徳川治紀)}}} || ||<#E4FFEC> 도쿠가와 하루모리[* [[미토 번]] 6대 당주. 미토번을 중흥시킨 인물이라고 평가받는다.][br]{{{-2 (徳川治保)}}} || ||<#E4FFEC> 야쓰시로군[br]{{{-2 (八代君)}}} || ||<#FFFFE4><|3> 토야마 호코[br]{{{-2 (外山補子)}}} || ||<#E4FFEC> ''불명'' || ||<#E4FFEC> ''불명'' || ||<#FFF3E4><|7> 요시코 여왕[br]{{{-2 (吉子女王)}}} || ||<#FFFFE4><|3> [[아리스가와노미야]] 오리히토 친왕[br]{{{-2 (有栖川宮織仁親王)}}} || ||<#E4FFEC> 아리스가와노미야 요리히토 친왕 [br]{{{-2 (有栖川宮職仁親王)}}} || ||<#E4FFEC> 쇼부코지[* 고토 사이치로(後藤左一郎)의 딸이다.][br]{{{-2 (菖蒲小路)}}} || ||<#FFFFE4><|3> 키요타키[br]{{{-2 (清瀧)}}} || ||<#E4FFEC> ''불명'' || ||<#E4FFEC> ''불명'' || == 형제 == === 정실 요시코 여왕 소생 === ||<|164>태어난 순||장남 ||이름 ||||||||__도쿠가와 요시아츠[* [[미토 번]] 10대 당주.](徳川慶篤)__ [[1832년]] ~ [[1868년]] || ||차남 ||이름 ||||||||__지로마로(郎麿)__ [[1833년]] ~ [[1834년]] || ||오녀 ||이름 ||||||||__이이히메(以以姫)__ [[1835년]] ~ [[1835년]] || ||칠남 ||이름 ||||||||'''__[[도쿠가와 요시노부]](徳川慶喜)__''' [[1837년]] ~ [[1913년]] || === 측실 오기하라 코아타에 소생 === ||<|164>태어난 순||장녀 ||이름 ||||||||__켄히메[* 우와지마 번 8대 번주 다테 무네나리(伊達宗城)와 약혼하기도 했다.](賢姫)__ [[1822년]] ~ [[1839년]] || ||차녀 ||이름 ||||||||__이로모토히메(色許姫)__ [[1825년]] ~ [[1826년]] || ||삼녀 ||이름 ||||||||__이와이히메[* 미토번 가로 야마노베 요시히데(山野辺義芸)의 정실.](祝姫)__ [[1827년]] ~ [[1853년]] || === 측실 야마노베 나오 소생 === ||<|164>태어난 순||사녀 ||이름 ||||||||__히로히메(比呂姫)__ [[1834년]] ~ [[1835년]] || ||사남 ||이름 ||||||||__시로마로(四郎麿)__ [[1835년]] ~ [[1836년]] || ||오녀 ||이름 ||||||||__요오히메(庸姫)__ [[1837년]] ~ [[1843년]] || ||팔남 ||이름 ||||||||__마츠다이라 나오히로[*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바로 아래 동생에 해당된다. 가와고에 번 제5대 번주 마츠다이라 츠네노리의 양자가 되어 개명했다. 나오모계 에치젠 마츠다이라가 10대.](松平直侯)__ [[1839년]] ~ [[1862년]] || ||팔녀 ||이름 ||||||||__이치요히메(一葉姫)__ [[1840년]] ~ [[1843년]] || ||십남||이름 ||||||||__마츠다이라 다케아키라[* 하마다 번 3대 영주 마츠다이라 타케나리의 양자가 된다. 양아버지를 뒤이어 하마다 번 4대 영주가 된다. 오치 마츠다이라 가 8대.](松平武聰)__ [[1842년]] ~ [[1882년]] || ||십삼남||이름 ||||||||__요산마로(余三麿)__ [[1844년]] ~ [[1882년]] || === 측실 마츠나미 사다코 소생 === ||<|164>태어난 순||삼남 ||이름 ||||||||__사부로마로(三郎麿)__ [[1835년]] ~ [[1837년]] || ||육녀 ||이름 ||||||||__마츠히메[* 모리오카 번 14대 번주 난부 도시히사의 부인이 된다.](松姫)__ [[1836년]] ~ [[1903년]] || ||오남 ||이름 ||||||||__이케다 요시노리[* 돗토리번주 이케다 요시히데가 사자 없이 급사한 것으로, 막부 명령에 의해 양자가 된다. 돗토리번 12대 영주.](池田慶徳)__ [[1837년]] ~ [[1877년]] || ||구남 ||이름 ||||||||__이케다 모치마사[* 오카야마 번주 이케다 요시마사의 데릴사위가 되어, 이케다 모치마사라고 자칭한다. 오카야마 번 9대 영주.](池田茂政)__ [[1839년]] ~ [[1899년]] || ||구녀 ||이름 ||||||||__야시로히메[* 센다이 번 13대 번주 다테 요시쿠니의 부인이 된다.](八代姫)__ [[1841년]] ~ [[1869년]] || ||십이남 ||이름 ||||||||__요니마로(余二麿)__ [[1844년]] ~ [[1844년]] || === 측실 야나기하라 노보리키키 소생 === ||<|164>태어난 순||육남 ||이름 ||||||||__로쿠로마로(六郎麿)__ [[1837년]] ~ [[1838년]] || === 측실 타치하라 토시코 소생 === ||<|164>태어난 순||십녀 ||이름 ||||||||__시즈히메(静姫)__ [[1843년]] ~ [[1844년]] || ||십이남 ||이름 ||||||||__키츠레가와 츠나우지[* 키츠레가와 번 제10대 번주 키츠레가와 노리우지의 양자가 된다. 키츠레가와 번 제11대 번주.](喜連川縄氏)__ [[1844년]] ~ [[1874년]] || === 측실 마데노코지 무츠코 소생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kitake_Tokugawa.jpg|width=100%]]}}} || || 절친했던 이복남동생 [br] 도쿠가와 아키타케 || ||<|164>태어난 순||십사남 ||이름 ||||||||__마츠다이라 아키쿠니[* 맏형인 미토 번주 도쿠가와 요시아츠와 함께 상경하여 어린 나이에 요시미츠를 잘 보좌하였으나 이른 나이에 요절했다.](喜連川縄氏)__ [[1849년]] ~ [[1864년]] || ||십일녀 ||이름 ||||||||__도쿠가와 사다코[* 아리스가와노미야 다루히토 친왕의 정실.](徳川貞子)__ [[1850년]] ~ [[1872년]] || ||십칠남 ||이름 ||||||||__츠치야 시게나오[*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사촌동생인 츠치우라 번의 제10대 번주 쓰치야 토라나오의 양자로 들어간다. 츠치우라 번 11대 번주이자 자작.](土屋挙直)__ [[1852년]] ~ [[1892년]] || ||십팔남 ||이름 ||||||||__도쿠가와 아키타케[* 형제들 중 도쿠가와 요시노부와 가장 관계가 깊었다. 쇼군 실각후 요시노부와 같이 사진 촬영이나 사냥을 같이 할 정도로 친했다. 요시노부의 쇼군 시절 파리 사절단으로 파견가기도 했는데, 이 때 아키타케를 수행하였던 사람들 중 하나가 [[시부사와 에이이치]]이다. 시미즈 도쿠가와 제6대 당주이자 미토 번의 최후의 번주.](徳川昭武)__ [[1853년]] ~ [[1910년]] || ||이십남 ||이름 ||||||||__하즈마로(廿麿)__ [[1856년]] ~ [[1858년]] || ||이십이남 ||이름 ||||||||__마츠다이라 요리유키[* 마츠다이라씨 모리야마번의 번주 마츠다이라 요리노리의 양자가 됐다. 마츠다이라씨 모리야마번 제7대 번주](松平頼之)__ [[1858년]] ~ [[1873년]] || === 측실 타카오카 토쿠코 소생 === ||<|164>태어난 순||십오남 ||이름 ||||||||__요고마로(余五麿)__ [[1849년]] ~ [[1849년]] || ||십육남 ||이름 ||||||||__마츠다이라 타다카즈[* 후코즈 마츠다이라 가문 제18대 당주.](徳川貞子)__ [[1850년]] ~ [[1872년]] || ||십이녀 ||이름 ||||||||__아이히메[* 이노우에씨 타카오카번 제11대 번주 이노우에 세이준의 정실.](愛姫)__ [[1852년]] ~ [[1914년]] || ||이십일남 ||이름 ||||||||__츠즈마로(廿一麿)__ [[1856년]] ~ [[1856년]] || === 측실 타카하시 미치코 소생 === ||<|164>태어난 순||십삼녀 ||이름 ||||||||__히사시히메(久姫)__ [[1853년]] ~ [[1853년]] || === 측실 타카하시 코우메 소생 === ||<|164>태어난 순||십구남 ||이름 ||||||||__마츠다이라 노부노리[* 아이즈 마츠다이라가 10대 당주, 모리야마 마츠다이라가 9대 당주.](松平喜徳)__ [[1855년]] ~ [[1891년]] || ||십사녀 ||이름 ||||||||__네이히메(寧姫)__ [[1857년]] ~ [[1859년]] || ||십사녀 ||이름 ||||||||__세에히메(正姫)__ [[1858년]] ~ [[1873년]] || == 부인과 자녀 == === 정실 이치조 미카코 소생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ika1 ichizho.jpg|width=100%]]}}} || || [[정실]] [br] 이치조 미카코 || || 정실 ||||||||||||{{{+1 '''이치조 미카코(一条美賀子)[* 친아버지는 이마데가와 키미히사이며, 양아버지는 이치조 다다카다. 도쿠가와 요시노부와의 약혼 자체가 갑작스럽게 결정된 것인데다, 요시노부는 시할머니인 히토츠바시 요시토시의 미망인 토쿠신인(徳信院)과 매우 사이가 좋았기 때문에 미카코는 매우 외로운 신혼생활을 보냈다고 한다. 이후 딸을 낳자마자 바로 요절하자 [[우울증]]에 걸리기도 했다. 이후에는 나름대로 부부 사이가 회복한 듯 하지만, 미카코는 병약했던 적도 있어서, 두 번 다시 아이를 얻지 못했다.], 1835~1894'''}}} || ||자녀 ||<#8ED365>딸 ||이름 ||||||||__경광원전지수영현대동녀[* 이 명칭은 [[계명]]이다. 4일만에 죽었기 때문에 정식으로 받은 이름은 없다.][br](瓊光院殿池水影現大童女)__ [[1858년]] 7월 16일 ~ 7월 20일 || 요시노부는 밑에 나오는 측실들을 두었는데, 이들 사이에 태어난 아이들은 모두 미카코를 친모로 하여 길러졌다. === 측실 잇시키 스가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sshiki_Suga.jpg|width=100%]]}}} || || [[측실]] [br] 잇시키 스가 || 一色須賀 (1838~1929) 요시노부의 정실 이치조 미카코의 [[하녀]]가 된 후, 요시노부의 측실이 되었다고 한다. 슬하의 자식은 없다. === 측실 신무라 노부 소생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hinmura_Nobu.jpg|width=100%]]}}} || || [[측실]] [br] 신무라 노부 || || 측실 ||||||||||||{{{+1 '''신무라 노부(新村信)[* [[하타모토]] 마츠다이라 칸쥬로의 딸이다. 메이지 유신 후도 요시노부를 측실로서 섬긴 것은, 노부와 나카네 사치뿐이다.], 1852~1905'''}}} || ||<|164>자녀 ||장남 ||이름 ||||||||__도쿠가와 케에지(徳川敬事)__ [[1872년]] ~ [[1873년]] || ||<|6>장녀 ||이름 ||||||||__도쿠가와 쿄코[* 향년 21세의 병사했다.](徳川鏡子)__ [[1873년]] ~ [[1893년]] || ||남편 ||||||||도쿠가와 사토타카(徳川達孝)[* 다야스 도쿠가와가 가문 제9대 당주] [[1865년]] ~ [[1941년]] || ||<|4>자녀||장녀 ||이름||||미조구치 스미코[* 미조구치 나오요시(溝口直亮)의 부인이 된다.](溝口須美子) ''생몰년 미상'' || ||차녀 ||이름||도쿠가와 코쿠코(徳川穀子) || ||삼녀 ||이름||도쿠가와 츠야코(徳川艶子) || ||사녀||이름||도쿠가와 누이코[* 도쿠가와 다케사다(徳川武定)와 결혼한다.](徳川繡子) || ||<|2>삼녀||이름 ||||||||__도쿠가와 테츠코(徳川鉄子)__ [[1875년]] ~ [[1921년]] || ||남편 ||||||||도쿠가와 타츠미치(徳川達道)[* 히토츠바시 도쿠가와가 가문 제11대 당주] [[1872년]] ~ [[1944년]] || ||<|4>오남||이름 ||||||||__이케다 나키히로[* 후작 이케다 테루토모가 사자 없이 사망한 것에 수반해, 그 둘째 딸 쿄코와 결혼해 사위 양자로서 이케다 후작가를 상속해 습작했다. 이케다씨(池田氏) 16대 당주. 이케다 가문을 이은 그는 학습원 초등과 재학중에, 홋카이도 나카가와군의 광대한 벌판을 개간해, 이케다 농장을 열어서 땅의 개척을 진행시켰다. 1907년에 그는 '돗토리 성터'의 부지에, 자신의 별저가 되는 양옥을 건설한다. 이 양옥은 당시 황태자였던 [[다이쇼 덴노]]가 숙소로 사용했다. 이것을 진푸우카쿠(仁風閣)이라 불렸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영빈관으로도 사용되었던 것이다. 진푸우카쿠는 1973년에 중요문화재 지정되어 현재도 돗토리현의 명소로서 사랑받고 있다.](池田仲博)__ [[1877년]] ~ [[1948년]] || ||아내 ||||||||이케다 쿄코(池田亨子) ''생몰년 미상'' || ||<|2>자녀||장남 ||이름||||이케다 나카히로[* 이케다씨(池田氏) 17대 당주.](池田徳真) [[1904년]] ~ [[1933년]] || ||차남||이름||쿠치키 츠나히로[* 육군소장 쿠츠키 쓰나사다의 양자가 된다. 양아버지의 사망에 따라 1930년 4월 1일 자작을 습작했다.](朽木綱博) [[1905년]] ~ [[1963년]] || ||육남 ||이름 ||||||||__도쿠가와 히토시(徳川斉)__ [[1878년]] 8월 17일 ~ 11월 28일 || ||육녀 ||이름 ||||||||__도쿠가와 료코(徳川良子)__ [[1880년]] 8월 24일 ~ 9월 29일 || ||<|9>구녀||이름 ||||||||__히로야스왕비 츠네코[* 본명은 도쿠가와 츠네코.](博恭王妃経子)__ [[1882년]] ~ [[1939년]] || ||남편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伏見宮博恭王) [[1875년]] ~ [[1946년]] || ||<|7>자녀||장남 ||이름||||후시미노미야 히로요시왕(伏見宮博義王) [[1897년]] ~ [[1938년]] || ||장녀||이름||야스코여왕(恭子女王) [[1898년]] ~ [[1919년]] || ||차남||이름||카초 히로타타왕(華頂宮博忠王) [[1902년]] ~ [[1924년]] || ||삼남||이름||카초 히로노부(華頂博信) [[1905년]] ~ [[1970년]] || ||차녀||이름||아츠코여왕(敦子女王) [[1907년]] ~ [[1936년]] || ||삼녀||이름||토모코여왕(知子女王) [[1907년]] ~ [[1957년]] || ||사남||이름||후시미 히로히데[* [[고준 황후]]의 6촌 아우다.](伏見博英) [[1912년]] ~ [[1943년]] || ||<|7>칠남||이름 ||||||||__도쿠가와 요시히사[* 제2대 도쿠가와 요시노부 가문 당주. [[도쿄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엘리트. 아버지 요시노부에게 [[귀족원(일본)|귀족원]] 의원 직위를 물려받았다. 주변 사람들로부터 케이큐사마라고 불리면서 사랑받았다고 한다.](徳川慶久)__ [[1884년]] ~ [[1922년]] || ||아내 ||||||||도쿠가와 미에코[*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친왕의 딸이다. 옛이름은 미에코여왕(實枝子女王)이다.](徳川實枝子) [[1875년]] ~ [[1946년]] || ||<|5>자녀||장녀 ||이름||||도쿠가와 요시코(徳川慶子) [[1910년]] 1월 24일 ~ 4월 2일 || ||차녀||이름||[[키쿠코 비|노부히토친왕비 키쿠코]][* 남편은 [[다이쇼 덴노]]의 아들 [[노부히토]].](宣仁親王妃喜久子) [[1911년]] ~ [[2004년]] || ||장남||이름||도쿠가와 요시미츠[* 제3대 도쿠가와 요시노부 가문 당주.][* 요시미츠의 아들 도쿠가와 요시토모(徳川慶朝)는 아버지를 이어 제4대 도쿠가와 요시노부 가문 당주가 됐다. 요시토모에게는 자식이 없어서 도쿠가와 요시노부가문은 단절했지만 요시노부의 직계 후손은 계속되고 있다. 둘째 아들은 어머니의 친정을 상속했다. 그는 사진 작가로 활동하기도 했다.](徳川慶光) [[1913년]] ~ [[1993년]] || ||삼녀||이름||사카키바라 키사코[* 자작 사카키바라 마사하루(榊原政春)와 결혼했다.](榊原喜佐子) [[1905년]] ~ [[1970년]] || ||사녀||이름||이데 쿠미코[* 마츠다이라 야스마사의 장남 마츠다이라 야스요시의 부인이 되지만 전사했다. 이후 이데 지로와 재혼한다. '도쿠가와 말괄량이 공주'라는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井手久美子) [[1922년]] ~ [[2018년]] || ||<|7>십일녀||이름 ||||||||__도쿠가와 에이코[* 1911년 제13대 미토 도쿠가와 가문 당주 도쿠가와 구니유키와 결혼했다.](徳川英子)__ [[1887년]] ~ [[1924년]] || ||남편 ||||||||도쿠가와 구니유키[* 제13대 미토 도쿠가와 가문 당주. 제12대 귀족원 의장.](徳川圀順) [[1875년]] ~ [[1946년]] || ||<|5>자녀||장남 ||이름||||도쿠가와 쿠니사이[* 제14대 미토 도쿠가와 가문 당주.](徳川圀斉) [[1912년]] ~ [[1986년]] || ||장녀||이름||카가와 키사코[* 백작 카가와 타카오(香川敬男)와 결혼했다.](香川典子) ''생몰년 미상'' || ||차남||이름||도쿠가와 쿠니사다[* 키타시라카와노미야 나가히사 왕의 삼녀 타에코와 결혼했다.](徳川圀禎) ''생몰년 미상'' || ||삼남||이름||마츠다히라 쿠니히데[* 자작 마츠다이라 요리야스의 양자가 됐다.](松平圀秀) ''생몰년 미상'' || ||사남||이름||마츠다히라 쿠니히로[* 자작 마츠다이라 아키오의 양자가 됐다.](松平圀弘) ''생몰년 미상'' || ||<|9>십남||이름 ||||||||__가쓰 쿠와시[* [[가쓰 가이슈]]의 적남 가쓰 코코로의 양자가 됐다. 교우관계도 넓어 독자적으로 자동문을 발명하는 등 화족으로서는 파격적인 성격이었다고 한다. 이후 첩과 함께 [[자살]]했다.](勝精)__ [[1888년]] ~ [[1932년]] || ||아내 ||||||||가쓰 이요코(勝伊代子) ''생몰년 미상'' || ||<|7>자녀||장녀 ||이름||||쿠츠키 미치코[* 쿠치키 츠나히로의 부인](朽木道子) ''생몰년 미상'' || ||차녀 ||이름||카케이 요시코[* 카케이 모토사다(筧元貞)의 부인](筧善子) ''생몰년 미상'' || ||삼녀 ||이름||이시노 시즈코[* 자작 이시노 모토츠네(石野基恒)의 부인](石野静子) ''생몰년 미상'' || ||사녀 ||이름||사사키 나카[* 자작 도다 다다카즈 부인 이후 사사키 코지의 부인이 된다.](佐々木中) ''생몰년 미상'' || ||오녀 ||이름||후지타 토코[* 남작 후지타 고이치(藤田光一)의 부인이 된다.](藤田当子) ''생몰년 미상'' || ||장남 ||이름||가쓰 요시타카(勝芳孝) [[1915년]] ~ 미상 || === 측실 나카네 사치 소생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akane_Sachi.jpg|width=100%]]}}} || || [[측실]] [br] 나카네 사치 || || 측실 ||||||||||||{{{+1 '''나카네 사치(中根幸)[* 하타모토 나카네 요시사부로의 딸로 태어나 후에 하타모토 나리타 신쥬로의 양녀가 됐다. 메이지 유신 후에도 요시노부를 측실로서 섬긴 것은, 신무라 노부와 나카네뿐이다.], 1851~1915'''}}} || ||<|164>자녀 ||차남 ||이름 ||||||||__도쿠가와 젠지(徳川善事)__ [[1871년]] ~ [[1872년]] || ||삼남 ||이름 ||||||||__도쿠가와 타쿠마(徳川琢磨)__ [[1872년]] ~ [[1873년]] || ||<|9>사남 ||이름 ||||||||__도쿠가와 아츠시[* 귀족원 남작 의원으로 활동했다. [[천리교]]의 신자였으며, [[뺑소니]]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徳川琢磨)__ [[1874년]] ~ [[1930년]] || ||아내 ||||||||도쿠가와 사토코[* 요시노부의 맹우이자 후쿠이 번 전 번주 마츠다이라 슌가쿠(松平春嶽)의 육녀. 일본 [[적십자사]]에서 일했다.](徳川里子) [[1878년]] ~ [[1954년]] || ||<|7>자녀||장남 ||이름||||도쿠가와 노부토[* 아내는 시라이 신타로의 장녀 미요코다. 아버지를 뒤이어 귀족원 남작 의원이 됐다.](徳川喜翰) [[1897년]] ~ [[1938년]] || ||차남||이름||오오키 요시후쿠[* 백작 오오키 엔이치의 양자가 되었으며, 귀족원 백작의원으로 활동했다. 도쿄공업학교의 설립자다.](大木喜福) [[1889년]] ~ [[1972년]] || ||삼남||이름||도쿠가와 키요시[* 사기강도죄로 수감된 전과가 있다.](德川喜好) [[1899년]] ~ [[1959년]] || ||사남||이름||도쿠가와 키이치(德川喜知) [[1901년]] ~ [[1929년]] || ||장녀||이름||도쿠가와 키쿠코(徳川喜久子) [[1902년]] ~ [[1923년]] || ||오남||이름||도쿠가와 요시카타[* 형 노부토의 양자가 되어 남작이 됐다.](德川喜堅) [[1907년]] ~ [[1971년]] || ||차녀||이름||도쿠가와 키와코(德川喜和子) [[1910년]] ~ [[1997년]] || ||차녀||이름 ||||||||__도쿠가와 카네코(徳川金子)__ [[1875년]] 4월 3일 ~ 7월 22일 || ||<|5>사녀 ||이름 ||||||||__하치스카 후데코[* 하치스카가 17대 당주 하치스카 마사아키와 결혼했다. 시인으로 활동해 시집도 냈다.](蜂須賀筆子)__ [[1876년]] ~ [[1907년]] || ||남편 ||||||||하치스카 마사아키[* 하치스카가 제17대 당주.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를 졸업했다. 귀족원 후작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부의장이 되기도 했다.](蜂須賀正韶) [[1871년]] ~ [[1932년]] || ||<|3>자녀||장녀 ||이름||||하치스카 토시코[* 남편은 츠야마 마츠다이라가 당주 자작 마츠다이라 야스하루(松平康春).](蜂須賀年子) [[1896년]] ~ [[1970년]] || ||차녀||이름||하치스카 후에코[* 남작 마츠다 마사유키(松田正之)의 아내가 된다.](蜂須賀笛子) [[1898년]] ~ [[1937년]] || ||장남||이름||하치스카 마사우지[* 조류학자, 탐험가, 비행가. 멸종새인 [[도도(생물)|도도]] 연구의 권위자다. 또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섬]] 사이에 그어진 생물지리학상의 선인 하치스카선에 이름을 남기고 있다.](蜂須賀正氏) [[1903년]] ~ [[1953년]] || ||오녀||이름 ||||||||__도쿠가와 오사무코(徳川脩子)__ [[1878년]] 8월 17일 ~ 10월 8일 || ||<|3>칠녀||이름 ||||||||__마츠다이라 유키코(松平浪子)__ [[1880년]] ~ [[1954년]] || ||남편 ||||||||마츠다이라 나리타미[*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아들 마츠다이라 히토시(松平斉)의 아들.](松平斉民) [[1874년]] ~ ''미상'' || ||<|1>자녀||장남 ||이름||||마츠다이라 나리아쓰[* 정치사상사학자. [[메이지대학]] 교수.](松平斉光) [[1896년]] ~ [[1970년]] || ||<|2>칠녀||이름 ||||||||__오코우치 쿠니코(大河内国子)__ [[1882년]] ~ [[1942년]] || ||남편 ||||||||오코우치 테루하루[* 귀족원 자작 의원.](大河内輝耕) [[1880년]] ~ [[1955년]] || ||<|3>십녀||이름 ||||||||__시죠 유키코(四条糸子)__ [[1883년]] ~ [[1953년]] || ||남편 ||||||||시죠 타카요시[* 귀족원 후작 의원.](四条隆愛) [[1880년]] ~ [[1938년]] || ||<|1>자녀||장남 ||이름||||시죠 타카노리[* 수의사. 도쿄대 교수.](四条隆徳) [[1907년]] ~ [[1977년]] || ||남자||이름 ||||||||__없음__ [[1884년]] 사산(死産) || ||팔남||이름 ||||||||__도쿠가와 야스시(徳川寧)__ [[1885년]] ~ [[1886년]] || ||<|4>구남||이름 ||||||||__도쿠가와 마코토[* 귀족원 남작 의원이자 사업가.](徳川誠)__ [[1887년]] ~ [[1968년]] || ||아내 ||||||||도쿠가와 하코[* 귀족원 남작 의원 나와 나가노리(名和長憲)의 딸.](徳川霽子) ''생몰년 미상'' || ||<|2>자녀||장남 ||이름||||도쿠가와 히토시[* [[일본군]] 육군소령.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했다.](徳川熙) [[1916년]] ~ [[1943년]] || ||차남||이름||도쿠가와 오사무(徳川脩) [[1920년]] ~ [[1996년]] || ||여자||이름 ||||||||__없음__ [[1891년]] 사산(死産) || === 외첩 오요시 === お芳 (생몰년 미상)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외첩(딴살림하는 첩)이다. 보통 첩으로 표기되며 측실로도 표기될때도 있다. 에도의 마치히케시(町火消, 오늘날의 [[소방관]][* 일본은 예전부터 지진과 목조건물로 인한 화재가 빈번했던지라 일찍부터 소방쪽이 발달됐다.])이자 요시노부와 친분이 있는 [[협객]] 신몬 타츠고로[* 훗날 요시노부가 근신하고 있던 우에노 간에이지 사원의 경호를 하기도 했다. 요시노부가 근신하게 되었을 때, 2만 냥의 코슈금을 수송하고, 도쿠가와가의 슨푸(시즈오카현) 이주에도 따라다니며, 끝까지 좌막파의 의리를 지켰다.](新門辰五郎)의 딸이다. 요시노부가 오사카성을 탈출해 에도성으로 도망칠때 오요시도 같이 있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요시노부를 따르지 않았다.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주인공으로 한 대하드라마 '[[도쿠가와 요시노부(드라마)|도쿠가와 요시노부]]', 그 이전 작인 '[[나는 듯이]]'에서도 등장한다. === 양자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esato_and_Yoshinobu.jpg|width=100%]]}}} || || 도쿠가와 이에사토(왼쪽)와 도쿠가와 요시노부 || ||<|164>자녀 ||양자 ||이름 ||||||||__도쿠가와 모치나가[* 히토츠바시 도쿠가와 가문 10대 당주, 타카스번(高須藩) 11대 번주, 오와리번(尾張藩) 15대 번주.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대신해 히토츠바시가 당주를 계승했다.](徳川茂徳)__ [[1831년]] ~ [[1884년]] || ||양자 ||이름 ||||||||__[[도쿠가와 이에사토]](徳川家達)__ [[1863년]] ~ [[1940년]] || [[분류:도쿠가와 가문]][[분류:도쿠가와 요시노부]][[분류:가족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