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도쿄이과대학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도쿄도의 사립대학)] [include(틀:도쿄이과대학)] }}} || ---- ||<-2> {{{+1 {{{#fff '''[ruby(東京理科大学, ruby=とうきょうりかだいがく)]'''}}}}}}[br]{{{#fff '''도쿄이과대학'''}}}[br]{{{#fff '''Tokyo University of Science'''}}} || ||<-3><#fff> [br][[파일:도쿄이과대학 로고 개선.png|width=330]][br][br]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설립 연도''' ||[[1881년]] {{{-1 ([age(1881-01-01)]주년)}}}[* 대학으로의 설립은 1949년이다.] || ||<|4> '''소재''' ||카구라자카(神楽坂) 캠퍼스[br] {{{-2 [[도쿄도]] [[신주쿠구]] 카구라자카}}} || ||노다(野田) 캠퍼스[br] {{{-2 [[치바현]] [[노다시]] 야마자키}}} || ||카츠시카(葛飾) 캠퍼스[br] {{{-2 [[도쿄도]] [[카츠시카구]] 신주쿠}}} || ||오샤만베(長万部) 캠퍼스[br] {{{-2 [[홋카이도]] 야마코시군 오샤만베쵸}}} || || '''표어''' ||Con'science'〜21世紀の「科学」は「良心」へ向かう〜[br]Con'science'〜21세기의 「과학」은 「양심」으로 향한다〜 || || '''분류''' ||[[사립대학]] || || '''설립자''' ||사쿠라이 후사키 (櫻井 房記) 포함 21인[*생략 테라오 히사시, 타카노세 무네노리, 센모토 요시타카[br]나카무라 키시오, 나카무라 쿄헤이[br]코바야시 우나리, 야스다 무네타[br]도요타 슈에이, 노부타니 사다지[br]야타베 우메키치, 가토 다이스케[br]아카기 치카유키, 미모리 마모루[br]난바 타다시, 와다 유지[br]사와노 타다모토, 미와 칸이치로[br]나무라 테이조, 사메지마 신[br]키리야마 도쿠사부로] || || '''총장''' ||제11대 이시카와 마사토시 (石川 正俊) || ||<|4> '''구성원''' ||[[학부|학부생]] {{{-2 ([[학사|학사과정]])}}}[br] {{{-2 15,954명 (2023년)}}} || ||[[대학원|대학원생]] {{{-2 ([[석사|석사과정]] • [[박사|박사과정]])}}}[br] {{{-2 2,988명 (2023년)}}} || ||[[유학생]] {{{-2 (留學生)}}}[br] {{{-2 834명 (2023년)}}} || ||[[교직원]] {{{-2 (教職員)}}}[br] {{{-2 782명 (2023년)}}} || || '''마스코트''' ||[[파일:Rikadai bottyang.jpg|width=50%]] || || '''링크''' ||[[https://www.tus.ac.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US_PR,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TUS.PR/?locale=ja_JP|[[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tokyouniversityofscienc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4sC3ZLDpcFfcxN1xZJIj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東京理科大学 神楽坂, 너비=100%)]}}} || || {{{#white '''카쿠라자카 캠퍼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東京理科大学 野田, 너비=100%)]}}} || || {{{#white '''노다 캠퍼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東京理科大学 葛飾, 너비=100%)]}}} || || {{{#white '''카츠시카 캠퍼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東京理科大学 長万部, 너비=100%)]}}} || || {{{#white '''오샤만베 캠퍼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kagurazaka.jpg|width=100%]] || || {{{#f5f5f5 '''카구라자카 캠퍼스 전경'''}}} || || [[파일:葛飾.jpg|width=100%]] || || {{{#f5f5f5 '''카츠시카 캠퍼스 전경'''}}} || || [[파일:noda.jpg|width=100%]] || || {{{#f5f5f5 '''노다 캠퍼스 전경'''}}} || ||[youtube(eNmjKCJBkeM, width=900, height=300)] || || {{{#f5f5f5 '''도쿄이과대학 교가'''}}} || || [[파일:TUS souritsu.jpg|width=100%]] || >'''실력주의(実力主義)''' >---- >도쿄이과대학이 내세우는 교육방침 [[https://www.tus.ac.jp/today/archive/20210310_0817.html|#]] 도쿄이과대학(東京理科大学, Tokyo University of Science)은 [[도쿄도]] [[신주쿠구]]에 본부를 둔 [[일본]]의 최상위권 4년제 명문 사립 이공계 종합대학이다. 21명의 [[도쿄제국대학]] 물리학과 졸업생들에 의해 1881년에 세워져 14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한다. 2022년 현재, 일본의 사립 대학으로서는 유일하게 [[노벨상]] 수상자(오무라 사토시, 노벨 생리학·의학상, 2015년)를 배출한 대학이기도 하다.[* 오무라 사토시는 가축의 기생충 구제에 효과를 보이는 이버멕틴(Ivermectin)을 발견・개발해낸 공적으로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도쿄물리학강습소(東京物理学講習所)를 전신으로 하는 대학이다. 설립 당시인 1880년대에는 자연과학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은 일본에 [[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과 도쿄물리학강습소밖에 없었기에, 일본의 자연과학 교육 기관 중 두 번째로 긴 역사를 가지고 할 수 있다. 개교 2년 후, 도쿄물리학강습소는 도쿄물리학교(東京物理学校)라는 이름으로 개칭된다. 도쿄물리학교 시절의 졸업생들은 주로 수학, 물리학을 가르치는 선구적인 교원으로 활동하였고, 따라서 도쿄물리학교는 당시 교육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후 1949년, 도쿄물리학교는 도쿄이과대학(東京理科大学)으로 그 이름을 바꾸게 된다. 7학부 33학과를 가진 일본을 대표하는 규모의 이공계열 종합대학이다. 전신인 도쿄물리학강습소와 도쿄물리학교는 주로 야간에 학생을 가르치는 야간학교의 성격을 띄고 있었기 때문에, 현재도 그 전통을 이어 야간학부인 이학부 제2부를 보유하고 있다. 1993년에는 도쿄이과대학 내 유일한 문과 계열의 학부인 [[경영학부]]가 설치되었다. 영문명은 '''TOKYO UNIVERSITY OF SCIENCE''' 약칭 '''{{{+1 '''[ruby(理科大, ruby=리카다이)]'''}}}''', '''{{{+1 '''[ruby(理大, ruby=리다이)]'''}}}''' 또는 '''TUS'''이다. 일본의 최상위권 사립 대학 4개([[와세다대학]],[[게이오기주쿠대학]],[[조치대학]],[[도쿄이과대학]])를 묶어 '''소케이조리(早慶上理)'''라고도 불린다. 대학 평가로는 2024년 [[QS 세계 대학 랭킹]] 일본 18위, 2023년 [[THE 세계 대학 랭킹]] 일본판에서 33위, 2023년 [[ARWU]]에서 일본 14-19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2022년 [[CWTS]] 레이던 랭킹 P기준에서 일본 19위, [[CWUR]]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2023년 일본 26위를, 학술 연구 성과 지표인 [[네이처 인덱스]] 교육기관 순위에서는 2022년 일본 22위를 기록했다. == 상징 == * 표어 2006년 동학 창립 125 주년을 계기로 '''"Con'science [* 칸샨스 : 영어·프랑스어로 '양심'의 뜻] ~ 21세기의 '과학'은 '양심'으로 향한다 ~"'''의 개념을 내놓았다. *교훈 '''이학의 보급을 이루어 국운발전의 기초로 한다.''' *교풍 1. 실력주의 2. 조용함 3. 유년 4. 실용적 == [[도쿄이과대학/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쿄이과대학/역사)] == [[도쿄이과대학/캠퍼스|캠퍼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쿄이과대학/캠퍼스)] === 부속 기관 === *부속 도서관 *카구라 자카 도서관 *노다 도서관 *오샤만베 도서관 *카츠시카 도서관 *세미나 하우스 *학생 지원 기구 *학제 지원 센터 *캐리어 지원 센터 *종합 교육 기구 *교육 개발 센터 *교직 지원 센터 *자연 교육 연구 센터 *정보 과학 교육 센터 *{{{#!folding ▼종합 연구 기구▼ 2005년 11월 연구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연구부 *태양광 발전 연구 부문 *생태계 연구 부문 *차세대 데이터 마이닝 연구 부문 *산악 대기 연구 부문 *인텔리전트 시스템 연구 부문 *양자 생명 정보 연구 부문 *창약 프런티어 연구 부문 *오샤만베 지역 사회 연구 부문 *이미징 프런티어 연구 부문 *첨단 정보 통신 연구 부문 *거시 나노 계면 열 유체 역학 국제 연구 부문 *나노 카본 연구 부문 *바이오올가노메타릭스 연구 부문 *미이용 열 에너지 변환 연구 부문 *계면 과학 연구 부문 *분자 연관 상승계 연구 부문 *첨단 도시 건축 연구 부문 *아카데믹 디 테일링 데이터베이스 부문 *해석 리서치 부문 *연구 센터부 *화재 과학 연구 센터 *적외선 자유 전자 레이저 연구 센터 *그린&안전 연구 센터 *전략적 물리 제제학 연구 기반 센터 *RNA과학 종합 연구 센터 *전략적 환경 차세대 건강 과학 연구 기반 센터 *첨단 홀로그래피 기술 연구 개발 센터 *키라리티ー 연구 센터 *광촉매 국제 연구 센터 *연구 기술부 *연구 기기 센터 *사회 연대부 *미쓰비시 화학 나트륨 이온 전지 개발 프로젝트 *공동 이용·공동 연구 추진부 }}} *{{{#!folding ▼생명의 과학 연구소▼ *면역 생물학 연구 부문 *분자 생물학 연구 부문 *생명 정보 과학 연구 부문 *분자 병태학 연구 부문 *발생 및 노화 연구 부문 *실험 동물학 연구 부문 *임상 연구 부문 *공동 연구 부문 *객원 연구 부문 *국제화 추진 센터 *환경 안전 센터 }}} == 조직 == === [[도쿄이과대학/학부|학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쿄이과대학/학부)] === [[도쿄이과대학/대학원|대학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쿄이과대학/대학원)] == 학생생활 == === 시간표 === >'''카구라자카,카츠시카 캠퍼스''' >'''1교시:8:50~10:20''' >'''2교시:10:30~12:00''' >'''점심시간:12:00~12:50''' >'''3교시:12:50~14:20''' >'''4교시:14:30~16:00''' >'''5교시:16:10~17:40(야간1)''' >'''6교시:18:00~19:30(야간2)''' >'''7교시:19:40~21:10(야간3)''' >'''노다 캠퍼스''' >'''1교시:8:50~10:20''' >'''2교시:10:30~12:00''' >'''점심시간:12:00~13:00''' >'''3교시:13:00~14:30''' >'''4교시:14:40~16:10''' >'''5교시:16:20~17:50''' >'''오샤만베 캠퍼스''' >'''1교시:8:30~10:00''' >'''2교시:10:10~11:40''' >'''점심시간:11:40~12:40''' >'''3교시:12:40~14:10''' >'''4교시:14:20~15:50''' >'''5교시:16:00~17:30''' === 축제 === 축제는 '''리다이제(理大祭)'''라고 불리며, 카구라자카 지구·카츠시카 지구·노다 지구에서 11월에 개최. 오샤만베에 대해서는 10월에 "캠퍼스제"를 개최하고 있다. 또 카츠시카 지구 리다이제는 프로젝션 매핑·토산물 전시회 등의 카츠시카구 및 기업과 연계한 기획이나 대학의 입지 조건을 살린 외부와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는 점을 토대로 체육관과 강의 탑 1층 전체를 사용한 이과 대학 특유의 실험 교실도 아이들의 가족으로 북적거리고 있는 점이 평가되고 있다. 2016년 학원제 그랑프리에서는 준 그랑프리를 획득하기도 하였다. === 유급 === 이과 대학 하면 유급. 유급 하면 이과대. 즉, 이과대 ≒ 유급인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유년(유급)하는 사람의 수가 많아서 그렇지 비율은 그다지 높지 않다. 매년 유년비율을 조사하면 국공립대학에서 유급하는 비율이 훨씬 높다.] [[도쿄대학]]은 일류(一流) 대학이지만, 도쿄이과대학은 일류(一留) 대학이다.[* 東京大学は一流大学だが、東京理科大学は一留大学である]라는 말이 있을 정도. 한 때는 학과의 40%가 단위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유급율이 높고 성적에 대해 절대 관대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문부과학성에서 유급하는 비율을 낮추라고 해서 이공계는 15%, 의학은 10% 정도로 낮아졌다.다만 자퇴비율이 타 대학의경우 보통 3%정도인 반면 이과대는 6%정도로 2배정도 높다. "졸업하기 어려운 대학"으로 알려지면서 학생은 부지런한 이미지가 있는 것에서 졸업생의 사회적 평가는 높다. "입학 시험에서의 비슷한 수준의 다른 대학과 비교하여 취업 상황은 매우 양호하다며" 인풋에 비해 아웃풋이 매우 좋은 편이다. 따라서 기업에서의 선호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며, 졸업 후 실력만큼은 인정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최상위권 국립대와 동급으로 취급되기도 한다고 한다. [[파일:20220211002323.jpg]] >'''놀고 싶은 사람이 선택할 대학이 아니다.''' >'''어느 학과의 학생이''' >'''4년간 쓴 레포트·논문의 장수는 약 1,000장.''' >'''석사·박사 과정까지 포함하면 약 1,200장.''' >'''이 숫자가 나타내는 나날의 노력 위에''' >'''실력은 쌓여 갑니다.''' >'''「진정으로 실력을 몸에 익힌 학생만을 졸업시킨다.」''' >'''창립 이래 136년간 변하지 않는 「실력주의」는''' >'''현재도 관문 과목에 합격하지 않으면 진급할 수 없는''' >'''엄격한 제도로 계승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관문을 극복하는 것은''' >'''세계를 무대로 활약할 수 있다는「증표」가 된다는 것을''' >'''졸업생이 증명하고 있습니다.''' >'''꾸준히 노력을 쌓은 경험이 평생 사용할 수 있는 힘이 된다.''' >'''진지하게 배우고 싶은 학생이 모이는 장소.''' >'''그것이 도쿄이과대학.''' 이과대의 이러한 파격적인 신문광고 때문에 한 때 일본에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타 대학의 경우 보통 성실하지 않은 학생이 유급하는 반면 이과대의 경우 학과마다 다르지만 보통 방대한 양의 과제와 관문 과목의 시험 때문에 성실한 학생이여도 자칫 잘못하면 유급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4년제 대학이 아닌, 5년제 대학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 이과대의 졸업생에 의하면 시험 기간인데도 불구하고 매주 있는 실험에 대해 레포트를 40~50장 이상 작성해야 했다고 할 정도로 방대한 양의 과제때문에 졸업한 지금도 가끔 유급당하는 꿈을 꾼다고 한다. 따라서 유학생입시의 경우 현지 입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쉬운 반면 멋모르고 들어왔다가 상당히 고생하는 수가 있다. 하지만 대학 측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있는지 입학 전에 각종 특별 전형으로 들어온 신입생들을 모아서 2주간 이과 기초과목을 아침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돌려준다고 한다. 다만 이 이후에는 유학생을 일반 현지 학생들과 완전히 같은 취급을 하기 때문에 이점을 유의해야 한다.(실제로 1학년 때 보이던 중국인 유학생들이 2학년으로 올라간 후 한 명도 보이지 않아 알아본 결과 모두 유급했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의 수업과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것에 반해 대학 생활에 있어 상당히 고생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공부에 열의가 있는 학생은 추천하는 반면 대학 생활을 즐기고 싶은 학생에게는 추천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 관문제도 === 학과마다 시행 시기와 지정과목수의 차이가 있지만, 보통 다음 학년으로 진급할 때 있다. 지정 8과목 중 6과목, 지정 5과목 중 4과목 등 아래의 단위가 안 되면 진급하지 못하고 유급 확정되는 제도이다. === 동아리 활동 === *{{{#!folding ▼1부 체육국▼ *카구라자카 캠퍼스 *체육국 본부 *합기도부 *아이스 하키부 *웨이트 트레이닝부 *궁도부 *검도부 *경식 야구부 *산악부 *유도부 *소림사 권법부 *수영부 *탁구부 *연식 야구부 *농구부 *배드민턴부 *무도 연구부 *양궁부 *남자 라크로스부 *노다 캠퍼스 *체육국 노다 지부 *합기도부 *미식 축구부 *궁도부 *검도부 *항공부 *경식 정구부 *경식 야구부 *준경식 야구부 *축구부 *소림사 권법부 *자동차부 *유도부 *수영부 *취주악부 *스키부 *소프트볼부 *탁구부 *연식 정구부 *핸드볼부 *농구부 *배드민턴부 *발리볼부 *복싱부 *남자 라크로스부 *여자 라크로스부 *럭비부 *육상 경기부 *양궁부 *카츠시카 캠퍼스 *체육국 카츠시카 지부 *가라테부 *경식정구부 *골프부 *축구부 *자동차부 *스키부 *발리볼부 *핸드볼부 *요트부}}} *{{{#!folding ▼2부 체육국▼ *카구라자카 캠퍼스 *체육회 본부 *합기도부 *가라테부 *검도부 *경식정구부 *산악부 *축구부 *유도부 *스키부 *소프트테니스부 *탁구부 *연식야구부 *배구부 *무도연구부 *육상경기부 *농구부}}} *{{{#!folding ▼1부 문화회▼ *카구라자카 캠퍼스 *바둑부 *노래 부르는 친우회 *영화 연구부 *카구라 자카 1번가 통신국 *관현악단 *혼성 합창단 *장기부 *미술부 *방송 연구부 *만담 연구회 *노다 캠퍼스 *노다 문화회 본부 *바둑부 *영어 연구회 *화학 연구회 *기계 공학 연구회 *기타부 *글리 클럽 *다도부 *경음악 재즈 연구회 *경음악 록 연구회 *사진부 *천문 연구회 *전기 공학 연구회 *미술 집단 *물리 연구회 *앨범 위원회 *약리반 *서예부 *VOICE TRAINING부 *봉사 동아리 코코사포 *수학 연구회 *ADME *태고 동아리 이츠키 *마술 동아리 PALM *카츠시카 캠퍼스 *영어 연구부 *연극반(나진 몽타) *사진부}}} *{{{#!folding ▼2부 문화회▼ *카구라자카 캠퍼스 *노래회 *연극반 *기악 앙상블 *사진부 *미술부 *방송 연구부}}} *{{{#!folding ▼1부 연구회▼ *카구라 자카 캠퍼스 *응용 수학 연구부 *화학 연구부 *수학 연구부 *생물 연구부 *천문 연구부 *물리 연구부 *카츠시카 캠퍼스 *Mice *무선 연구부}}} *{{{#!folding ▼2부 연구회▼ *카구라자카 캠퍼스 *화학 연구부 *수학 연구부 *생물 연구부 *지구 과학 연구부 *천문 연구부 *특허 연구부 *무선 연구부}}} *{{{#!folding ▼1부 동호회,기타▼ *카구라자카 캠퍼스 *아카펠라 서클 Pe☆ rappella *환경 동아리 에코 태스크 *가구라자카 취주 악단 *마술 동아리 *기타부 *고전 기타 동아리 *서예부 *장도·거처 합도부 *적십자 봉사단 *졸업 앨범 위원회 *특허 연구부 *동영상 연구 동호회 *Fish in Fins *모던 재즈 그룹 *Logical Works *구키 배구부 *경영 학부 배드민턴부 *노다 캠퍼스 *노다 학생회 *노다 동호회 본부 *극단 포코 포코 *고전 기타 동아리 *기초 스키 동호회 BLITZ *컴퓨터 연구회 *연식 야구 동아리 *이륜회 *하이킹 동호회 *만화 연구회 *유스 호스텔 *로쯔경(경식 테니스) *탐험부 ROVERS *철도 연구회 *피아노회 *테니스 벌레의 모임 *장기부 *N.A.S. 풋살 클럽 *Yosakoi 소란 부 *Aircraft Makers *TUSCOM *로봇 쿠리에 타즈 *환경 계열 동아리 I.L.E. *가라테 동호회 *저글링부 DOMINUS SOMNI *제조 동아리 Create *경음악·공작 연구회 ACT!! *GASSES(스트리트 댄스) *음악 연구회 *카츠시카 캠퍼스 *이아에스테 *자전거 동호회 *DJ&DANCE AQUARIUS *철도 여행 클럽 *새 사람 동아리-새과 *만화 연구 동호회}}} *{{{#!folding ▼2부 동호회,기타▼ *카구라자카 캠퍼스 *게임 서클 포레토레 *포크 마을 *만화 연구회}}} *{{{#!folding ▼오샤만베 운동부※기초 공학부 1학년 대상▼ *오샤만베 캠퍼스 *검도부 *농구부 *궁도부 *배드민턴부 *탁구부 *경식 테니스부 *축구부 *골프부 *수영부 *요사코이 댄스 동아리 *발리볼 부 *풋살부 *야구·소프트부 *소프트 테니스부}}} *{{{#!folding ▼오샤만베 문화계※기초 공학부 1학년 대상▼ *오샤만베 캠퍼스 *천문부 *요리부 *사진부 *대중 음악 학부 *낚시부 *피아노부 *영화 연구부 *이벤트 기획부}}} == 입시요강 == === 일반전형 === *A방식 [[http://www.tus.ac.jp/admis/fac/seido/ahoshiki.html|요강]] *B방식 [[http://www.tus.ac.jp/admis/fac/seido/bhoshiki.html|요강]] *C방식 [[http://www.tus.ac.jp/admis/fac/seido/choshiki.html|요강]] *글로벌 방식 [[http://www.tus.ac.jp/admis/fac/seido/globalhoshiki.html|요강]] === 사비외국인유학생 전형 === *외국인 전형 [[http://www.tus.ac.jp/admis/fac/seido/gaikokujin.html|요강]] === 귀국자녀 전형 === *귀국자녀 전형 [[http://www.tus.ac.jp/admis/fac/seido/kikoku.html|요강]] == 대외관계 == 지방 자치 단체와의 협정 *도시 연구소 설립 협정(2005년 체결) *(오부세마치) *나쓰메 소세키,"도련님"을 인연으로 한 문화 교류, 과학 계발 등에 관한 협정(2016년 체결) *([[마츠야마시]]) *제휴 사업에 관한 협정(2016년 체결) *([[카츠시카구]] 교육 위원회) *파트너십 협정(2016년 체결) *([[노다|노다시]] 교육 위원회) *([[카와구치시]] 교육 위원회) *포괄 제휴 협정(2016년 체결) *([[도쿄도]] [[카츠시카구]]2009년 체결) *([[홋카이도]] [[오샤만베초]]2015년 체결) *([[치바현]] [[노다시]] 2020년 체결) *([[치바현]] [[나가레야마시]] 2020년 체결) *([[니가타현]] [[무라카미시]] 2022년 체결) *([[도쿄도]] [[신주쿠구]] 2023년 체결) *타 대학 협정 *수도 대학원 컨소시엄 협정(2002년 체결) *[[사립공대간담회]](도서관 상호 이용 협정) *자매학교 *[[산요오노다 시립 야마구치도쿄이과대학]] *공립스와도쿄이과대학 *{{{#!folding ▼포괄 제휴 협정 ▼ *[[신슈대학]](1996년 체결) *[[준텐도대학]](2002년 체결) *[[쓰쿠바대학]](2009년 체결) *[[니혼의과대학]](2009년 체결) *[[여자미술대학]](2011년 체결) *[[도쿄지케이카이의과대학]](2013년 체결) *[[오사카대학]](2016년 체결) *[[도쿄대학]](2018년 체결) *[[요코하마국립대학]](2020년 체결)[* 교원 양성 고도화에 관한 제휴 협정] *후쿠시마현립의과대학}}} *{{{#!folding ▼ 국제 학술 교류 협정 ▼ *아시아 *[[중국]] *[[중국석유대학]], [[상하이교통대학]], [[톈진대학]], [[신장대학]], [[베이징과기대학]], [[저장대학]](부·국간 협정·이학부 제일부, 이학부 제이부), [[시안교통대학]], [[둥난대학]] [[상하이이공대학]], [[다롄이공대학]](부·국간 협정), [[취푸사범대]], [[시베이공업대학]], [[난징이공대학]], [[정주대학]], [[쿤밍이공대학]] *[[인도]] *인도 과학원, 하이데라바드 대학, 챠우다리카랑시 대학 *[[인도네시아]] *[[반둥 공과대학교]], 수라바야 공과 대학 *[[대한민국]]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부·국간 협정·경영 학부), *[[중앙대학교]](부·국간 협정·화재 과학 연구 센터), *[[성균관대학교]] *[[호서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인제대학교]] *[[전남대학교]](부·국간 협정 광촉매 국제 연구 센터) *[[홍익대학교]](부·국간 협정·MIP)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공과 대학 *[[대만]] *국립대만과학기술대학 *[[국립양명교통대학]] *[[국립중흥대학]] *[[국립칭화대학]](부·국간 협정) *국방의학원(부·국간 협정·생명 과학 연구과) *[[태국]] *치앙 마이 대학교, 콘깬 대학교, [[쭐랄롱꼰 대학교]] *[[베트남]] *베트남 국립 건설 대학(부·국간 협정) *[[필리핀]] *SMEAG *[[오세아니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북미]]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 [[빅토리아 대학교]]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산타바바라 캠퍼스]], [[캘리포니아 대학교/산타크루즈 캠퍼스]], [[캘리포니아 대학교/데이비스 캠퍼스]],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포틀랜드 주립대학교]], [[텍사스 대학교 시스템]] 알링턴 캠퍼스, [[코네티컷 대학교]](부·국간 협정)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해]] 국가 *[[아르헨티나]] *팔레르모 대학 *[[브라질]] *리오그랑데도놀테 국립 대학 *[[유럽]] *[[오스트리아]] *빈 공과 대학, 어퍼 오스트리아 응용 과학 대학 *[[벨라루스]] *벨라루스 공과 대학 *[[덴마크]] *올보르 대학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부·국간 협정) *[[프랑스]] *루이 파스퇴르 대학교,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 소르본]], 릴 제1대학, 앙제 대학(부·국간 협정·기초 공학부, 기초 공학 연구과) *[[독일]] *로스토크 대학교, [[라이프니츠 대학교]], 비스 마루 전문 대학, 레겐스부르크 응용 과학 대학, 이에나 응용 과학 대학, 오스트 바이에른 레겐스부르크 공과 대학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교]], 모데나 레지오 에밀리아 대학, 로마 토르 베르가타 대학 *[[아일랜드]] *얼스터 대학 *[[폴란드]]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대학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공과 대학, 야시 공과 대학 *[[러시아]] *모스크바 전력 공학 연구소(공과 대학) *[[스웨덴]] *[[룬드 대학교]] *[[스페인]] *하엔 대학 *[[영국]] *르 네루 대학, [[맨체스터 대학교]](국제화 추진 센터 간), [[킹스턴 대학교]](부·국간 협정·화재 폭발 연구 센터) *[[아프리카]] *[[모로코]] *카디 아이 야드 대학 *[[이집트]] *다만풀 대학}}} *{{{#!folding ▼연구 기관과의 협정▼ *[[일본]] *국립연구개발법인 토목 연구소(PWRI) *국립연구개발법인 산업 기술 종합 연구소(AIST) *이화학 연구소(RIKEN) *일반재단법인 화학 및 혈청 요법 연구소 *통계 수리 연구소(ISM) *[[독일]] *독일 연방 재료 시험 연구소(BAM)(부·국간 협정) *[[미국]] *[[NIST]]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부·국간 협정·종합 연구 기구 화재 과학 연구 센터) *미네타 교통 연구소(부·국간 협정) *[[브라질]] *브라질 산업 재산청(부국간 협정·이노베이션 연구과) *[[스페인]] *ICN(the Catalan Institute of Nanotechnology) *[[불가리아]]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인도]] *인도 국립 과학 연구소}}} == 출신 인물 == * 오오무라 사토시(大村智) - 2015년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 - [[야마나시대학]] 학예학부 졸업. 도쿄이과대학 석사, [[도쿄대학]] 박사. [[키타사토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에 도쿄이과대학에서 또 한번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2015년 현재 본교는 일본의 사립대학으로서 유일하게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대학이다.] 도쿄이과대학 대학원 이학 연구과 석사 과정을 1963년 수료하고 이학 박사를 1970년에 취득했다. * [[전평수]] - 1939년 도쿄물리학교(현, 도쿄이과대학)를 졸업. 당시 도쿄물리학교는 [[대학]]과 같은 [[고등교육기관]]은 아니었기에 그 후에 [[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국대학]]에 진학하여 물리학을 전공해 이학사 학위를 받는다. * 요시다 시게루(吉田茂) - 제45·48~51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 모토야마 카즈오(本山和夫) - 아사히 음료 전 대표 이사 사장, 학교법인 도쿄 이과 대학 제8대 이사장, [[도쿄이과대학]] 이공학부 졸업. * 가와사라 노리유키(唐澤範行) - 아사히 그룹 식품 전 대표 사장, [[도쿄이과대학]] 공학부 졸업. * 필립 콘딧(Philip M. Condit) - [[보잉]] 전 대표 이사 사장·CEO·회장 * 오가와 준코(大川順子) - [[일본항공]] 전 이사 부회장·현 특별 이사 * 이노우에 토시키(井上雅博) - [[야후! 재팬]] 전 대표 이사 사장 . 야후 주식 회사 창업자. 이 외에도 학교의 역사가 상당히 긴 만큼 수많은 유명 출신 인물이 다양한 분야에 퍼져있다. == 교육 및 연구 == 교육과 연구을 기본으로 중시하는 교육연구기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면에서는 건학 당시부터 전통인 “실력을 갖춘 학생만을 졸업시킨다”고 하는 실력주의를 이어받았다. 연구 부분에서는 정보과학교육기구, 종합연구소 그리고 생명과학연구소 등 연구에 대한 정비를 확충하고 있다. 2014년[[도쿄공업대학]]마츠나가 사부로(松永三郎) 교수([[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우주 과학 연구소 교수)와 [[도쿄이과대학]] 키무라 신이치(木村真一) 교수 등의 연구그룹이 초소형 인공위성(TSUBAME)를 개발해 발사하기도 하였다. [[편차치]]는 특히 약학부가 가장 높다. [[게이오기주쿠대학]]의 교리츠약과대학 합병 이전까지는 일본사립약대 [[편차치]] 1위, 합병 후에는 일본사립약대 [[편차치]]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실적 부분에서는 사립 내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는 일반적인 대학과 마찬가지로 입학입시가 개설되어 있지만, 도쿄 물리학교시대에는 “입학 시험을 하지 않고 희망자 전인원을 입학시켜서, 졸업 기준은 엄격하게, 실력이 없는 자는 졸업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방침이었다. 졸업자가 입학자의 10%도 되지 않았다. 그리고 일본이 근대화를 하고있었던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를 걸쳐 당시의 엘리트 육성학교인 사범학교와 중등교육의 수학, 물리학, 화학의교사들 중 실제로 절반 이상을 물리학교의 졸업생이 점유하고 있었다. 학부 졸업생의 60% 정도가 대학원석사과정에 진학하고, 자대학원뿐만 아니라 타 대학원에 진학하는 자도 많은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보통 일본의 이공계는 [[사립대]]보다는 [[국립대]]가 초강세를 보이기 때문에 학부는 사립대를 졸업하더라도 대학원을 사립대로 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 도쿄이과대학도 이는 마찬가지로, 학부생이 16,000명대에 이르지만 학부 졸업생의 60%가 대학원에 진학하는만큼, 도쿄이과대학 출신 대학원생은 자대뿐만 아니라 일본 어느 명문대 대학원을 가든지 찾아보기 쉽다.] 특히 도쿄대학대학원에 진학자수(도쿄대로부터 진학자를 제외하고)는 전대학 중 2위이다.[* 단, 도쿄이과대학의 이공계 학부생 수가 상당히 많은 것을 고려해야한다.] === 교육 === *특색 있는 대학 교육 지원 프로그램(2003년도) *기숙사제에 기초한 전인적 교양 교육 *자질이 높은 교원 양성 추진 프로그램(2006년도) *자연 교원 양성의 STC프로그램 개발 *현대적 교육 니즈 대응 지원 프로그램(2006년도) *전인적 교양 교육의 새로운 전개-과학자로서의 양심을 갖고 창조적 지성을 갖춘 인재 육성- *지역 의료 등 사회적 요구에 대응한 질 높은 의료인 양성 추진 프로그램(2006년도) *전국적 약학 교육 그리드의 구축 *자연 학생 응원 프로젝트(2007년도) *슈퍼 사이언티스트 육성 프로그램 *여자 중고생 이과 진로 선택 지원(2008년도) *"과학의 마돈나"프로젝트 *전문직 대학원 등의 고도 전문 직업인 양성 교육 추진 프로그램(2008년도) *컨셉트 필드·다이나믹스 교육 *대학 교육·학생 지원 추진 프로그램(2009년도) *지금이 소중한 취업 지원 활동을 중심으로 한 창조적 인재 육성 프로그램 *JST"사이언스 리다즈 캠프"(2013년도) *SSH레벨의 종합 지도력 양성, 체험을 통하여 익힌 수업, 실천력, === 연구 사업 === *{{{#!folding ▼21세기 COE프로그램▼ *2003년부터 21세기 COE프로그램로서 1건의 프로젝트가 채택되고 있다. *기계, 토목, 건축, 기타 공학계 *선도적 건축 화재 안전 공학 연구의 추진 거점}}} *{{{#!folding ▼글로벌 COE프로그램▼ *2008년부터 글로벌 COE프로그램로서 1건의 프로젝트가 채택되고 있다. *기계, 토목, 건축, 기타 공학 *선도적 화재 안전 공학의 동 아시아 교육 연구 거점}}} *{{{#!folding ▼사립 대학 학술 연구 고도화 추진 사업▼ *키랄 구조를 중심으로 하는 선도적 지향 재료의 개발과 고기능화 *키랄 머티어리얼 연구 센터}}} *{{{#!folding ▼첨단 기술 실증·평가 설비 정비 사업(산학관의 "기술의 중개 거점"정비 사업)▼ *광촉매 국제 연구 센터}}} *{{{#!folding ▼대학 교육의 국제화 추진 프로그램▼ *첨단적 국제 연계 지원 *2007년 : 글로벌 시대에 활약하는 이공계 인력 양성}}} *산학관 제휴 전략 전개 사업 *전략 전개 프로그램 * 국제적인 산학관 제휴 활동의 추진 *창조적 산학 연계 체제 정비 사업 보조금(창조적 산학 연계 사업) *복합 영역 『지적 재산 군』 창조적 활용 네트워크 구축(간사 학교) *대학 지적 재산 본부 정비 사업 *도쿄 이과 대학 과학 기술 교류 센터(RIDAI SCITEC) *대학 교육의 국제화 가속 프로그램 국제 공동·연계 지원(종합 전략형) *33건의 신청이 있는 사립 대학에서는 유일하게 채택된(6건 채택) *종합적인 국제 제휴에 기한 이공학 교육 거점 형성 *첨단 연구 시설 공용 이노베이션 창출 사업 *적외선 자유 전자 레이저 공용에 의한 첨단 계측 분석 기술 연구 거점 형성 *학술 프런티어 추진 사업 *기초 공학 제휴에 의한 혁신적인 물질·재료 창출 사업:원자력 기술을 기점으로 한 물질·재료 연구의 신전개 ― 폴리스 케일 테크놀로지의 창출 ― *{{{#!folding ▼사립 대학 전략적 연구 거점 형성 지원 사업▼ *나노·바이오 계면 기술의 발달과 그 응용 *암 의료 기반 과학 기술 창출 거점 형성 *안전 안심을 위한 물질 과학 연구 거점 *약물을 환부에 효율적 송달과 부작용의 경감을 목적으로 한 나노 DDS의 설계와 조제 *RNA을 중심으로 한 생명의 질서적 제어 메커니즘의 종합적 해석 *홀로그래피 기술에 의한 차세대 기록 매체 제작 기술 및 사차원 유체 계측 기술의 개발 *환경과 차세대 건강 과학 ― 질환 원인 해명과 예방을 위한 선진적 연구}}} *{{{#!folding ▼사립 대학 학술 연구 고도화 추진 사업▼ *하이테크·리서치·센터 정비 사업 *양자론으로 볼 정보와 생명 연구 *대식 세포를 겨냥한 신규 약물 송달 시스템의 개발, 특히 만성 난치성 감염증 및 폐 암 치료를 목적으로 한 경 폐 흡수제의 개발 및 저 침습성 유방 암 치료법의 개발 *키랄 머티어리얼 연구 센터 *유기 및 무기 첨단 재료, 특히 규소 재료, 세라믹 재료 혹은 하이브리드 재료의 합성·물성 기능의 분자 차원의 해명, 재료의 조직화에 의한 소자 개발}}} *{{{#!folding ▼고도 등 이용 그린 과학 기술 연구 센터▼ *광 환경 해석 프로젝트 *태양광 에너지 변환 프로젝트 *빛 반응 물질 창제 프로젝트}}} *계산기 가상 공간 내 실험 플랫폼의 구축과 첨단 계산 과학의 개척 *고기능 신소재의 합성과 해석 *학술 프런티어 추진 사업 *원자력 기술을 기점으로 삼은 물질·재료 연구의 새로운 전개-폴리스 케일 테크놀로지의 창출- *나노 입자의 건강 영향 규명과 그 극복에 관한 연구 *아포토시스 제어성 리드 화합물의 창제 *호리 스틱 어프로치에 의한 계산 과학의 새로운 전개 *사회 제휴 연구 추진 사업 *머슬 정장(R)의 실용화 개발 *첨단 기술 실증·평가 설비 정비 사업(산학관의 "기술의 중개 거점" 정비 사업) *나노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프로젝트 == 둘러보기 == [include(틀:사립공대간담회)] [[분류:도쿄이과대학]] [[분류:1949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