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A 중앙경마 중상경주)] ||<-3> ''' {{{#fff 東京スポーツ杯2歳ステークス}}}[br]{{{#fff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astrique.jpg|width=100%]][br]'''2022년 우승마 가스트리크'''}}} || ||<-2> 개최국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2> 주최 || [[일본중앙경마회]] || ||<-2> 개최지 || [[도쿄 경마장]] || ||<-3> '''{{{#fff 경주 정보}}}''' || ||<-2> 거리 || 잔디 1800m 좌회전 || ||<-2> 등급 || G2 || ||<-2> 상금 || 1착 3800만엔 || ||<-2> 출주조건 || 서러브레드계 2세 || ||<-2> 부담중량 || 마령 || ||<-3> '''레이스 레코드''' || ||<-3> [[콘트레일]](2019년) '''1:44.5''' || [목차] [clearfix] == 개요 == JRA의 2세마 한정 중상경주. == 상세 == 코스는 2코너를 향해 비스듬하게 스타트한다. 출발 후 코너까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바깥쪽 말은 불리해진다. 백 스트레치 중반에 오르막이 있고, 거기서 3코너에 걸쳐서는 내리막에 최종직선은 525.9m. 직선 입구에서 곧바로 약 160m의 오르막(높낮이차 2.0m)이 있고 나머지 약 300m는 거의 평탄하다. 출발 직후의 2코너에서 코스를 잘 탈 수 있는 기술이 있어 백 스트레치에서 속력을 온존할 수 있는 타입이 유리하다. 잔디 1800m는 G1 레이스가 열리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독특한 적성이 요구되어서 속된 말로 "1800m 여포"가 역배를 터트리는 경우가 많다. == 역사 == 1966년에 창설된 2세마 오픈 특별경주 '도쿄 3세 스테이크스'가 전신으로, 당초에는 도쿄 경마장의 잔디 1400미터에서 행해지고 있었다. 1968년에 후츄[* 도쿄 경마장이 위치한 지역의 이름] 3세 스테이크스로 개칭됐고, 1984년에 거리를 400m 연장해 잔디 1800m가 되었다. 그 후 1996년에 2세마 중상경주의 로테이션을 정비함에 따라 G3로 격상되었다. 1997년에 도쿄스포츠배 3세 스테이크스로 개칭된 뒤 2001년에 마령표시의 국제기준 변경에 따라 현 명칭인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가 되었다. 2021년 부터 G2로 격상. == 역대 우승마 == [include(틀: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 === 기록 === == 기타 == * 이 경기에서 승리한 말은 추후에 G1 경주 승리를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 경주 자체가 G2급으로 상당히 수준있는 경주인 덕도 있지만 다른 2세 한정 G2인 [[케이오배 2세 스테이크스]]와 [[데일리배 2세 스테이크스]]와 비교해도 유의미하게 많다. * 세 레이스가 모두 국제경주로 지정된 2010년 이후 2021년까지 우승마 12마리 중 데일리배는 4마리[* 2010년 우승마 [[레브 디소르]], 2017년 우승마 [[장다름(말)|장다름]], 2018년 우승마 [[어드마이어 마스]], 2021년 우승마 [[다논 스콜피온]]], 케이오배는 단 2마리[* 2010년 우승마 [[그랑프리 보스]], 2017년 우승마 [[타워 오브 런던(말)|타워 오브 런던]]]의 G1마를 배출하는 동안 도쿄스포츠배는 '''9마리'''[* 2010년 우승마 [[사다무 파텍]], 2011년 우승마 [[딥 브릴란테]], 2013년 우승마 [[이슬라 보니타]], 2014년 우승마 [[사토노 크라운]], 2017년부터 순서대로 [[와그네리안]], [[니시노 데이지]], [[콘트레일]], [[다논 더 키드]], [[이퀴녹스]]. 장애물 그레이드인 J•G1을 포함한다.]나 배출했다. 나머지 두 레이스가 1984년부터 G2 등급인데 비해 도쿄스포츠배는 2021년에야 G2로 격상된 것을 생각하면 놀라울 따름. [[분류:경마 대회/일본]][[분류:일본중앙경마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