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쿄메트로의 전동차)] ||<-3> [[도쿄메트로|[[파일:도쿄메트로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ac9b '''도쿄메트로 {{{+1 9000계 전동차}}} {{{-1 (에이단 9000계 전동차)}}}'''[br]{{{-1 Tokyo Metro}}} 9000 series[br]営団9000系電車}}} ||}}} || ||<-3> [[파일:Tokyometro9118.jpg|width=100%]] || ||<-3> {{{#00ac9b ▲ 9000계 2~4차차(1996~)}}}[* 제 10~21편성][* B수선 이전 1~2차차(제 1~9편성) 도 모습이 동일했다.] || ||<-3> [[파일:Tokyometro9122.jpg|width=100%]] || ||<-3> {{{#00ac9b ▲ 9000계 5차차(2009~)[* 제 22~23편성]}}} || ||<-3> [[파일:Tokyometro9103.jpg|width=100%]] || ||<-3> {{{#00ac9b ▲ B수선 공사 이후 9000계 1차차(2016~)}}}[* 제 1~9편성] || ||<-3> '''차량 정보''' || || '''용도''' ||<-2>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6량 1편성[* 1차차 제 1편성~8편성][br]8량 1편성[* 2차차 제 9편성~5차차 23편성, [[사가미 철도]] 직결 대비] || ||<|4> '''운행노선''' || [[도쿄메트로]] ||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width=16]] [[도쿄메트로 난보쿠선|{{{#00ac9b 도쿄메트로 난보쿠선}}}]] || || [[사이타마 고속철도|사이타마[br]고속철도]] || [[사이타마 고속철도선|[[파일:SaitRailway.svg|width=17]]{{{#395ea3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직통운전''' || || [[도큐 전철]] || [[도큐 메구로선|[[파일:TK-MG.svg|width=16]]{{{#009cd3 메구로선}}}]]·[br][[도큐 신요코하마선|[[파일:TK-SH.svg|width=16]]{{{#8e65a9 신요코하마선}}}]] '''직통운전''' || || [[사가미 철도]] || --[[파일:Sotetsu-SO.svg|width=16]] [[소테츠 본선|{{{#0071c1 본선}}}]]·[br][[파일:Sotetsu-SO.svg|width=16]] [[소테츠 신요코하마선|{{{#0071c1 신요코하마선}}}]] '''직통운전'''--[* 9~23편성 한정. 동시에 진행되는 8량 증결, B수선 공사와 소테츠 대응 신호설비 장착이 늦어져 현재는 도큐/소테츠 경계역인 [[신요코하마역]]까지 운행하는 중으로, 8량 증결, B수선 공사, 소테츠 대응 신호설비 장착이 완료되는대로 소테츠선에 직통운행할 계획이다.] || || '''도입시기''' ||<-2> [[1990년]] ~ [[2000년]](1~4차차)[br][[2009년]](5차차)[br][[2021년]] ~ [[2022년]](증결분) || || '''제작사''' ||<-2> [[가와사키 차량|[[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30]]]][*1,2차,증결분][br][[킨키차량|[[파일:긴키차량 로고.svg|width=120]]]][br][[도큐차량제조|[[파일:tokyucar.svg|width=130]]]][*3차][br][[일본차량제조|[[파일:일본차량제조 로고.svg|width=130]]]][*2,4,5차] || || '''소유기관''' ||<|2><-2> [[도쿄메트로|[[파일:도쿄메트로 로고.svg|width=100]]]]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2> [[1991년]] ~ 현재 || ||<-3> {{{#000,#fff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2> 선두차 20,660㎜[br]중간차 20,000㎜ || || '''전폭''' ||<-2> 2,780㎜ || || '''전고''' ||<-2> 1~4차차 4,080㎜[br]5차차 4,042㎜[br]팬터그래프 부착차량 4,140㎜ || || '''궤간''' ||<-2> 1,067㎜ || || '''차중''' ||<-2> 25.7~33.5t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2> [[열차자동제어장치|CS-ATC]], [[열차자동운전장치|ATO]][*난보쿠선/사이타마][br]ATC-P, [[정위치 정차장치|TASC]][*메구로선][br]--ATS-P--[*소테츠 사가미 철도 직결 대비로 개조 예정.] || || '''제어방식''' ||<-2> --[[히타치 제작소|히타치]],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GTO(반도체)|GTO]]--[*제1,3,5,7편성 1편성은 히타치, 미쓰비시제 모두 탑재했고, 3편성은 히타치제, 5, 7편성은 미쓰비시제를 탑재했다.][*B수선이전][br]히타치제 3레벨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제2,4,6,8편성][*B수선이전][*2차차][br]미쓰비시제 3레벨 VVVF-IGBT[*3차차][br][[도시바]]제 2레벨 VVVF-IGBT[*4차차][br]미쓰비시제 2레벨 VVVF-IGBT[*5차차][br]미쓰비시제 VVVF-SiC[*1차차 제1-8편성][*B수선이후] || || '''동력장치''' ||<-2>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 || '''기어비''' ||<-2> 14:109 || || '''제동방식''' ||<-2> ATC연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주전동기 출력''' ||<-2> 190kW[*B수선이전][br]225kW[*B수선이후] || ||<|2> '''최고속도''' || 영업 || 80㎞/h([[도쿄메트로 난보쿠선|난보쿠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사이타마 고속철도선]])[br]110㎞/h([[메구로선]]) || || 설계 || 110㎞/h || || '''가속도''' ||<-2> 3.3㎞/h/s || ||<|2>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2> 4M2T[*B수선이전][br]3M3T[*1차차 B수선이후, 5차차][br]4M4T[* 사가미 철도 직결 대비로 8량으로 증결 예정이다. 다만 1990-1991년산 1~8편성은 이미 6량인 상태에서 B수선 공사를 마쳤기 때문에 증결 대상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해당 차량들은 [[도쿄도 교통국 6300형 전동차|미타선 6300형 3차차]], 사이타마 고속철도 2000계 전동차와 함께 신요코하마역까지만 운행할 예정이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쿄메트로]](당시에는 [[제도고속도교통영단]])가 1991년 [[도쿄메트로 난보쿠선|난보쿠선]] 개통에 맞추어 투입한 전동차이다. 전반적인 사양은 [[도쿄메트로 05계·N05계 전동차|도쿄메트로 05계 전동차 3~4차차]]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한창 0N계 시리즈들이 도입되고 있는 시점에서 특이하게 구 넘버링을 따른 것은 다분히 '''의도적인 것'''으로, '''난보쿠선 건설 이래 최초의 전동차니까 4자리 숫자의 구 넘버링을 매긴다'''는 뭔가 말도 안 되는 이유로 이렇게 매겨진 것이라고 한다. 이후 2004년 도쿄메트로로 민영화되면서 2009년에 또 한 차례 신차가 2편성 도입되는데, 이때에는 새로운 계통번호 부여 규정에 맞춰서 (가칭) 19000계가 된 것도 아니고, 하다못해 에이단의 당시 계획에 맞춰서 (가칭) 09계로 쓴 것도 아니고 그냥 9000계 넘버링 그대로 도입되었다.(...) 위 사진의 차량인데 05계/N05계 전동차처럼 디자인이 구 9000계와 판이하게 다르다. 참고로 구 9000계에 비해 여러 모로 외관이나 구조가 다른 신 9000계는 기술적으로는 [[도쿄메트로 08계 전동차|08계]]와 [[도쿄메트로 10000계 전동차|10000계]] 사이에 걸쳐 있는 차량. 도입 당시부터 1996년까지는 4량으로 운행하다가 이후 6량으로 증결되었고, 2000년에 도큐의 [[도큐 메구로선|메구로선]] 분리개업[* [[도큐 메구로선]] 항목 참조.]에 맞추어 직통 대응 개조가 이루어졌다.[* TASC 설비와, 측면 LED 안내기 설치를 했다. 측면 LED의 경우 당초에 준비는 해놓고, 난보쿠선의 비난간형 홈 도어에서는 시인성이 떨어져서 설치는 하지 않았었다.] 현재 운행 구간은 메구로선의 기종점인 [[히요시역(가나가와)|히요시역]]에서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의 [[우라와미소노역]]까지 전 구간에 걸쳐 있지만, 메구로선에서 직통운행으로 한솥밥 먹고 사는 [[도에이 미타선|미타선]]과는 직통하지 않는다. 2022년 현재 총 23편성 138량이 재적중이다. LCD 안내기가 설치된 편성은 제 1~9, 22, 23편성이고 앞으로는 전 차량 LCD로 교체될 예정이다. '''도입 28년 만에''' 8량 증결 계획이 발표되었고 [[도큐 3020계 전동차|도큐 3020계]]를 기점으로 2022년에 8량 대응 공사 완료 및 운행을 시작하였다. [[https://www.tokyometro.jp/corporate/profile/plan/pdf/tmp2021.pdf|도쿄메트로 플랜 2021]] 다만 모든 편성을 8량화하지 않을 계획이다. 1990~1991년에 제작되어 이미 B수선 공사까지 마친 제 1~8편성은 8량화 및 사가미 철도 직결 개조 대상에서 제외되어 [[도큐 신요코하마선]] [[신요코하마역]]까지만 운행하게 된다. 제 9편성부터 B수선 공사 때 8량으로 증결하고[* 9~21편성은 1996~2000년 사이에 제조되었으므로, 증결되는 2량과 기존 6량은 연식 차이만 20~25년이나 나게 되는 셈이다. 다만 [[도쿄메트로 8000계 전동차]] 6차차(1994년식) 14량을 증결에 활용한다는 설도 있었지만, 8000계 제 7편성은 6차차 2량 포함 전체가 폐차되었다. 결국 중간 차량이 [[https://www.youtube.com/watch?v=lWNeyPekMDo|카와사키 중공업 효고 공장에서 신조]]되면서, 8000계 6차차 개조는 불발되었다.], [[사가미 철도]] 직결 개조도 받을 예정이다.[[https://ja.wikipedia.org/wiki/営団9000系電車#将来計画|#]] 현재 9000계는 증비차가 어느 정도 도입되었음에도 불구, 단 한편성도 8량 대응 공사를 진행하지 않았다가 2023년 5월 22일 드디어 8량화되었다. 다만 중간에 계획에 변경이 있었다는 S 텔레비전 방송국의 소식이 있었다. [[https://www.youtube.com/post/UgkxR0s2LKO3X4bMoM5vKLcAWLMSvTUZtYQd|#]] == 특징 == [[파일:Tokyometro9113.jpg|width=100%]] 이것이 바로 영단 시절 도입된 구 9000계이다. 첫 전동차랍시고 6000계나 8000계 등과 같이 앞창이 절반 가까이 막혀있는 형태로 뽑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 영단 내부적으로는 이 차들을 각각 4개의 조로 나누어 A, B, C, D로 분류하였다. 1차차 그룹인 제 1-8편성은 홀수 편성번호가 A조(1차차), 짝수 편성번호가 B조(선두차 1차차, 중간차 2차차 짬뽕), 제 9-15편성을 C조(2차차, 3차차), 제 16-21편성을 D조(4차차)로 각각 구분하였다고 한다. A조 중 제 1편성은 미츠비시/히타치제 GTO 짬뽕, 제 3편성은 히타치제 GTO, 제 5,7편성은 모두 미츠비시제 GTO가, B조(제 2,4,6,8편성)는 히타치제 3레벨 IGBT가 탑재되어 있었다.[* 사실 이렇게 된 이유는 좀 복잡하다. 원래 제 1-8편성은 4량으로 도입되었다. 그리고 제 1, 5-8편성은 미츠비시 GTO[* 05계 14편성에 탑재되었던 그 소자 맞다. 이쪽은 2012년에 B수선 공사로 도시바제 2레벨 IGBT로 개조되면서 더 이상 들을 수 없지만.]가 탑재되어 있었고, 제 2-4편성은 히타치 GTO가 탑재되어 있었다. 그런데 1996년 난보쿠선을 6량으로 증결할 때 제 1-8편성 중에서 B조(제 2, 4, 6, 8편성)의 동력차들을 A조(제 1, 3, 5, 7)편성에게 끼우는 방식으로 6량화를 하였다. 선두차만 남게 된 B조는 2차차와 같은 사양의 새 부수차들을 끼우는 방식으로 6량화가 되었고, 1차차 선두차+2차차 부수차 짬뽕편성이 되었다. 그래서 B조는 C조의 2차차와 같은 히타치 3레벨 IGBT가 되었고, A조는 1편성이 짬뽕편성이 되고 복잡해진 것이다.] 그리고 C조 중 2차차(제 9-13편성)는 히타치제 3레벨 IGBT, 3차차(제 14, 15편성)는 미츠비시제 3레벨 IGBT, D조(제 16-21편성)는 도시바제 2레벨 IGBT를 탑재했다. C조의 히타치 IGBT는 초기형인 3레벨이라서 그런지, 비동기음이 엄청 높은 고음인데 듣기 싫을 수준으로 높다. 그리고 눈썰미가 좋은 사람이라면 아마 위의 신 9000계와 구 9000계 간의 측면 도색 차이[* 노선띠의 색상배열이 반대로 되어 있다.]와 더불어 '''전두부 형태가 똑같은데 신형 쪽이 더 세련되어 보이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현재 A, B조(1~8편성)는 전부 VVVF-SiC 소자로 교체. 제 1편성은 짬뽕 인버터였는데, 한 편성에 미츠비시 GTO와 히타치 GTO가 함께 탑재되어 있어서 구동음이 아스트랄(...)했으나 이마저도 2019년에 SIC소자로 개조되면서 더 이상 들을 수 없게 되었다. 또한 1차차 그룹(제 1-8편성)은, 통로문 근처의 좌석이 고정 크로스시트로 되어 있다. 여러모로 [[도에이 미타선|미타선]]의 [[도쿄도 교통국 6300형 전동차|6300형 전동차]]와 닮았는데, 통로문 근처의 크로스시트라던가 사양이라던가 디자인이 미묘하게 닮았다. 사실 겨우 생산시기가 2년 차이 나는 전동차에다가 투입하는 노선들도 사양이 비슷하거나 같다. 참고로 6300형 쪽이 후배이다. 다만 9000계 1차차 그룹은 B수선 공사를 하면서 크로스시트가 사라졌다. 이로써 도쿄메트로는 주요 대형 사철 중에서 유일하게 크로스시트 열차를 운행하지 않는 회사가 되었다.[* 원래 이전에는 [[케이오 전철]]이 이 타이틀을 갖고 있었는데, [[케이오 라이너]] 투입용으로 크로스시트로 전환 가능한 열차인 [[케이오 5000계 전동차]]가 도입되며 케이오 전철은 크로스시트 열차를 가지게 되어 이 타이틀이 없어졌다. 반면 도쿄메트로는 9000계 1차차의 통로문 근처 고정 크로스시트가 없어지며 이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 또한 영단 최초로 차내 LED가 2단식으로, 상하단을 나누어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럼 뭐해 도큐선내에서는 그냥 1단처럼 쓰는데...-- 이 LED는 6300형에서도 거의 비슷하게 도입된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1차차 그룹(제 1-8편성)에 B수선 공사를 완료했다. 차체 측면부 띠 도색을 물결 디자인으로 변경하고 창문 위에 띠 도색을 추가하였으며, 행선지 표시기를 기존의 저휘도 3색 LED에서 풀컬러 LED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가장 최신인 5차차에도 없는 '''2화면 LCD'''를 '''9000계 최초'''로 채용했다.[* 왼쪽은 영상 광고(Tokyo Metro 비전)용으로, 우측은 행선지·환승 안내 표시용으로 사용된다. 5차차의 경우 제작 당시에는 1화면 LCD로 설치되긴 했으나, 왼쪽에 광고용 모니터 설치 공간은 미리 확보해 놓았다.] 상술한 것처럼, 1차차만의 특징이었던 통로문 근처 크로스시트도 사라졌다. 냉방기도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교체하였으며, 제어장치도 도쿄메트로 최신 전동차들의 트렌드인 미쓰비시제 풀 VVVF-SIC 인버터로 교체하였다. 또한 동력차인 9300번대 중간차를 전장 해제하여, 1차차 그룹(제 1-8편성) 편성들도 MT비를 4M2T에서 5차차처럼 3M3T로 변경하였다. 상술하였듯이 도쿄메트로에서 남은 9000계 편성들에는 B수선 공사와 동시에 8량 증결, 사가미 철도 직결 개조를 시행하기로 발표했으므로, 3M3T로 MT비 변경을 제외한 나머지 개조 내용들은 남은 편성들에도 적용되고, 동시에 8량 증결과 사가미 철도 직결 개조가 실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 여담 == [[파일:SaitRail-2103F.jpg]] * 본 차량의 3~4차차 사이의 기술로 이루어진 파생형으로 [[사이타마 고속철도 2000계 전동차]]가 있으나, 9000계와는 다른 부분이 있는 편이라 [[209계 전동차]]와 [[린카이선]]의 [[도쿄 임해고속철도 70-000형 전동차|70-000형 전동차]]의 관계와 같이 두 차량을 완전히 동일한 차종으로 분류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다만 운전대는 색상을 제외하면 완전히 동일하고, 사양도 제어소자를 제외하면 거의 비슷하다. * [[https://i.ytimg.com/vi/F2CqHL6z1N8/mqdefault.jpg|이런 사고]]도 있었다. 2015년 9월 17일 오후 1시 20분경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신키바 차량기지 내에서 모터 및 추진제어장치 개수를 마치고 구내시운전을 하던 9000계 전동차가 제동취급 미숙으로 '''선로종단점을 들이받고 하늘로 치솟아 오를 뻔 한''' 아찔한 사고였다.(...) [[http://mainichi.jp/select/news/20150918k0000m040079000c.html|관련 기사(일어)]]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도쿄메트로]] * [[도쿄도 교통국 6300형 전동차]] * [[도쿄도 교통국 6500형 전동차]]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도쿄메트로]][[분류:전동차]][[분류:1990년 출시]][[분류:2009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