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쿄도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도쿄도 제17구}}}}}}'''[br]{{{-1 {{{#fff 東京都第17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Tokyo17.svg|width=100%]]}}}|| ||<-2><:>'''선거인 수'''||<-2><:>475,912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도쿄도]]|| ||<-2><:>'''하위 행정구역'''||<-2><:> [[카츠시카구]] ||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히라사와 가쓰에이]]||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쿄도]]의 [[카츠시카구]]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원래는 [[에도가와구]] 일부 지역까지 관할했으나, 2022년 선거구 조정으로 카츠시카구만을 관할하게 되었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히라사와 가쓰에이]]. 경찰 최고위직 출신으로 이 지역구에서 9선을 역임중이며, 특이사항으로 대학생 시절 초등학생 [[아베 신조]]의 가정교사를 지냈다. == 상세 == 대체적으로 자민당이 우세한 도쿄도 동북부에서도, 야당 후보가 석패율제로 구제되어 당선된 적이 딱 한번밖에 없을 정도로 유독 자민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선거구이다. 9번의 선거 모두 자민당 히라사와 의원이 승리를 거두었다. 여담으로 [[공명당]] 대표인 [[야마구치 나쓰오]]도 이 지역구에 2차례 출마한 적이 있다. 2차례 모두 히라사와에게 패한뒤, [[2001년]] 제19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도쿄도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현재도 참의원 의원으로 재직중이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도쿄도 제17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9> [[히라사와 가쓰에이]] ||<|9>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17구}}}}}}'''[br]{{{#fff 카츠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라사와 카츠에이]]''' || '''73,72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4.01%'''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야마구치 나츠오]] || 63,732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29.4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스기에 아키라 || 34,66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5.99%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요네야마 쿠미코 || 33,667표 || 4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15.53% || 낙선 || ||<|2><#808080> {{{+3 {{{#fff 無}}}}}} || 세키네 시게노부 || 9,236표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4.26% || 낙선 || ||<|2><#5dbd3f> {{{#fff 緑の党}}} || 시나가와 기요코 || 1,755표 || 6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5dbd3f,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녹색당)] || 0.8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6,778표 ||<|2> '''투표율'''[br]53.56%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17구}}}}}}'''[br]{{{#fff 카츠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부(코이와 사무소 관내)}}}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라사와 카츠에이]]''' || '''95,60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7.61%''' || '''당선''' || ||<|2><#F67E27>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50]]]] || [[야마구치 나츠오]] || 74,633표 || 2위 || ||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 29.36% || 낙선 || ||<|2><#808080> {{{+3 {{{#fff 無}}}}}} || 요네야마 쿠미코 || 42,882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6.8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미오다 준이치 || 41,08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6.1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4,204표 ||<|2> '''투표율'''[br]61.91% || || 선거인 수 || 421,805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17구}}}}}}'''[br]{{{#fff 카츠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부(코이와 사무소 관내)}}}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라사와 카츠에이]]''' || '''142,91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2.00%'''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니시코오리 아츠시 || 65,26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8.3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스가노 마사히로 || 22,31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6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0,501표 ||<|2> '''투표율'''[br]57.39% || || 선거인 수 || 427,432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17구}}}}}}'''[br]{{{#fff 카츠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부(코이와이 사무소 관내)}}}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라사와 카츠에이]]''' || '''161,32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2.96%'''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니시코오리 아츠시 || 67,300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6.2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고지마 사와코 || 27,59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7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6,221표 ||<|2> '''투표율'''[br]63.73% || || 선거인 수 || 430,522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17구}}}}}}'''[br]{{{#fff 카츠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부(코이와 사무소 관내)}}}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라사와 카츠에이]]''' || '''138,51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1.37%'''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야카와 구미코 || 106,89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9.64%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아라이 스기오 || 21,44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95%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후카오 잇페이 || 2,787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0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9,639표 ||<|2> '''투표율'''[br]65.22% || || 선거인 수 || 436,886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17구}}}}}}'''[br]{{{#fff 카츠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부(코이와 사무소 관내)}}}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라사와 카츠에이]]''' || '''131,47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5.11%''' || '''당선''' || ||<|2><#ffffff>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구 일본 유신회 로고.png|width=50]]]] || 고바야시 토오루 || 45,285표 || 2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include(틀:모두의 당)] 추천] || 18.99%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야카와 구미코 || 37,592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15.76%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아라이 스기오 || 20,298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5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8,529표 ||<|2> '''투표율'''[br]58.87% || || 선거인 수 || 439,362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17구}}}}}}'''[br]{{{#fff 카츠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라사와 카츠에이]]''' || '''125,35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9.34%''' || '''당선''' || ||<|2>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다카하시 미호 || 46,156표 || 2위 || || [include(틀:유신당)][* [include(틀:민주당(일본))] 도쿄도 연합 추천] || 21.8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아라이 스기오 || 39,72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8.8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1,231표 ||<|2> '''투표율'''[br]51.55% || || 선거인 수 || 441,780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17구}}}}}}'''[br]{{{#fff 카츠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라사와 가쓰에이]]''' || '''127,63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57.95%'''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니시다 치카라 || 49,485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22.4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아라이 스기오 || 43,13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9.5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0,255표 ||<|2> '''투표율'''[br]50.04% || || 선거인 수 || 471,496인 || 예상대로 자민당 히라사와 의원이 2위와의 격차가 35%가 넘는 업승을 거두었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쿄도 제17구}}}}}}'''[br]{{{#fff 카츠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라사와 가쓰에이]]''' || '''119,38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50.15%''' || '''당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50]]]] || 이노구치 사치코 || 52,260표 || 2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21.95%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아라이 스기오 || 36,30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5.25% || 낙선 || ||<|2><#003f88> [[국민민주당(2020년)|[[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width=50]]]] || 마도카 요리코 || 30,103표 || 4위 ||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12.6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8,056표 ||<|2> '''투표율'''[br]53.06% || || 선거인 수 || 475,912인 || ||<-10> {{{#ffffff '''49회 중원선 도쿄도 제17구 개표 결과'''}}} || || '''정당''' ||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50]]]] ||<#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003f88> [[국민민주당(2020년)|[[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width=50]]]]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ffffff '''히라사와 가쓰에이'''}}} || {{{#fff '''이노구치 사치코'''}}} || {{{#fff '''아라이 스기오'''}}} || {{{#fff '''마도카 요리코'''}}}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19,384 [br] (50.15%)'''}}} || '''52,260 [br] (21.95%)''' || '''36,309 [br] (15.25%)''' || '''30,103 [br] (12.65%)''' || '''+ 67,124 [br] (△28.20)''' || '''475,912 [br] (53.06%)''' || || '''카츠시카구''' || {{{#D7003A 50.09%}}} || '''22.13%''' || '''15.33%''' || 12.55% || △27.96 || '''53.28''' || || '''에도가와구'''[* 에도가와구(17구) 코이와사무소, 카미잇시키 1~3초메, 혼잇시키 1~3초메, 오키노야마쵸.] || {{{#D7003A '''50.37%'''}}} || 21.23% || 14.93% || '''13.47%''' || △'''29.14''' || 52.17 || 현역 자민당 [[히라사와 가쓰에이]] 의원은 만 76세의 고령이지만, [[스가 내각]] 출범 이후 부흥대신에 임명되는 등 제2의 정치적 전성기를 맞았기 때문에 재출마한다.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후보를 내지 않았고, 대신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이 마도카 요리코 전 참의원의원을 공천했다. 2010년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제22회 참원선]]에 비례대표에 도전했지만 4선 도전에 실패한 이후 모든 국정선거에서 낙선을 거듭하고 있고, 이번에는 지역구도 [[도쿄 8구]]에서 17구로 옮겼다. [[일본 공산당|공산당]]은 지난 총선에 출마한 아라이 스기오 후보를 다시 공천했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도 의사인 이노구치 사치코 후보를 공천했다. 투표 결과, 예상대로 자민당 히라사와 가쓰에이 후보가 큰 표차로 승리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선거구가 조정되면서 카츠시카구만 관할될 예정이다.[* [[https://ja.wikipedia.org/wiki/%E6%9D%B1%E4%BA%AC%E9%83%BD%E7%AC%AC17%E5%8C%BA|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별 일이 없으면 [[히라사와 가쓰에이]] 의원이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에서는 의사인 이노쿠치 사치코 후보가 재출마한다.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에서는 저번에 출마한 마도카 요리카 전 참의원이 공인 후보로 내정되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도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