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도전 골든벨)] [include(틀:도전 골든벨 방영 목록)] [목차] == 설명 == * [[도전 골든벨]]에서 나온 역대 참가한 해당 연도별 학교 및 방영된 골든벨 명예의 전당에 등극자를 정리한 문서를 나열했다. * 홈페이지의 이전다시보기(2000.03.31~2015.06.21) 메뉴의 [[2000년]] [[3월 31일]]부터 [[2001년]] [[10월 26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되어 다시보기가 뜨지 않은 이후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고 있었던 상태였다. * 홈페이지의 이전다시보기(2000.03.31~~2015.06.21) 메뉴의 [[2000년]] [[3월 31일]]부터 [[2015년]] [[6월 21일]] 이전까지 이후 [[2015년]] [[6월 28일]]부터 다시보기가 가능했다. * 홈페이지의 다시보기의 메뉴는 ([[2015년]] [[6월 28일]] ~ [[2020년]] [[4월 5일]])까지 예고가 가능했다. * 홈페이지의 미리보기의 메뉴는 ([[2013년]] [[4월 7일]] ~ [[2020년]] [[4월 5일]])까지 미리보기가 가능했다. *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09년]] 이전의 [[1999년]] ~ [[2008년]]까지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였다. *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09년]] ~ [[2012년]]까지 리스트가 기록된 상태였다. *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12년]] [[12월 23일]] 이후 [[2013년]] [[1월 6일]]부터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였다. * [[도전 골든벨]]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 메뉴에서 (1대~113대) 이후 (114대~131대(재도전))에 등극한 리스트가 기록이 되지 않은 상태였다. * KBS 포토뱅크 홈페이지의 [[2012년]] [[11월 4일]] 이전까지 이후 [[2012년]] [[11월 11일]]부터 촬영되지 않은 상태였다. === 준수사항(등재 기준) === * 전체 : 100일 이상 * 지역별 공백기간 : 광역시, 도는 2000일, 시, 군은 3000일 이상 * 남학생/여학생별 : 300일 이상 == 50번 골든벨 문제 출제 == >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참가한 학교의 최후의 1인은 선택한 문제의 제시된 분야의 남성 아나운서 MC가 각 색의 통 속의 선택한 제시된 분야의 문제에서 교장선생님께서 전달하여 마지막 문제를 출제한다.(특집편 및 연합 특집인 경우 각 대표하는 사람과 대표자(CEO, 대표자, 회장, 사장님이나 진행하는 KBS 여자 아나운서)님이 문제를 출제한다. 단 KBS 남자 아나운서가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가 공개됐습니다"를 멘트로 한다.) 간혹 교감선생님도 출제하기도 하며, 영일외고 편에서는 교장선생님이 떨려서 출제를 못해 교무부장 선생님이 대신 출제했었다. >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최후의 1인이 학생이 선택한 제시된 분야의 각 색의 통을 전달하여 교장선생님이 각 색의 통 속의 문제를 출제한다. >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여자 아나운서 MC의 마이크를 교장선생님께 전달하여 교장선생님이 통 속의 문제를 출제하여 읽는다. > * 마지막 골든벨 문제 정답 발표는 교장선생님께서 발표한다. > * 마지막 골든벨 문제 유형은 선택한 제시된 색깔의 문제 유형이다. > * 마지막 골든벨 문제의 난이도는 최고수준에 달한다. > * 마지막 골든벨 문제의 내용 바탕은 노란색으로 노란색 바탕의 검정색 글씨이다. > * 마지막 골든벨 문제의 최후의 1인의 학생이 풀 때 10초 이내의 여유시간을 준다. > * 마지막 골든벨 문제의 정답 발표 중에 정답 바탕의 노란색과 연필 그림 표시와 중 초록 바탕의 흰색 글씨이다. >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여자 아나운서 MC가 "정답 발표해주시죠" 멘트로 교장선생님의 정답 발표 후 정답은 (?) (O) 등극 시 - "13?대 골든벨에서 등극하여 축하합니다."를 멘트 짓는다. >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등극한 골든벨을 울린 학생은 명예의 전당에 그 이름과 등극한 탄생한 영광의 얼굴들로 사진이 영원히 새겨진다. > * 수 천명의 학생들이 도전한 결과 탄생한 영광의 얼굴들이다. >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등극 후 방송에서 등극한 영광의 얼굴들이 나온다. > * 마지막 멘트에서 여자 아나운서 MC의 "네 오늘 OO고등학교 편에서 최후의 1인 OOO 학생이 등극 시 - 제13?대 골든벨에 등극했습니다"를 멘트로 진행하여 최후의 1인에서 인터뷰의 소감을 밝힌다. > * 마지막 골든벨 문제를 맞힌 최후의 1인의 학생은 등극하여 폭죽을 터트린다. > * 마지막 골든벨에 등극하면 대학입학등록장학금, 골든벨 장학금, 해외 배낭여행 연수비를 [[삼성카드]]가 후원하며 해외연수를 [[가천대학교]]에서 주어진다. > * 마지막 골든벨에 등극할 경우 축하의 꽃다발과 상패를 전달한다.(상패는 골든벨에 등극한 학생의 대수로 표시) > * 다음주 학교 예고의 '다음주에는 <○○고등학교>/<○○여자고등학교>가 제13?대 골든벨에 도전합니다"를 예고한다. > * 다음주 학교 예고의 '다음주에는 <○○고등학교>/<○○여자고등학교> 편이 방송됩니다"를 예고한다. > * 명예의 전당에 등극한 출신 학교의 학생이 작성자 강민승 씨는 경우 홈페이지의 시청자 참여 메뉴의 시청자 게시판에서 - 13?대 골든벨 탄생-(13?대 등극 기준)을 제목으로 작성하여 "드디어 OOO 학생 13?대 골든벨 탄생!!!"를 게시판에 작성한다.(100대 골든벨 전북여자고등학교(김희주 당시 3학년) ~ 기준으로부터 함) == 50번 골든벨 문제 유형(색) 선택 == === 초창기([[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 33대 ~ 105대) === * [[1999년]] [[1월 8일]] ~ [[2014년]] [[12월 14일]] : 도(빨간색), 전(노란색), 골(파란색), 든(하얀색), 벨(초록색)의 5개의 통 중 제시된 분야에서 1개 통을 선택한다.[* 2009년 기준에는 골든벨 문제 선택 규칙에서 제시된 분야의 5개의 서로 다른 문제 중 선택한 글자에 해당하는 제시된 문제가 출제된다.] * 26대 골든벨 도전 당시 : 과학(노란색), 문학(초록색), 시사상식(하얀색), 예술(빨간색), 역사(파란색)의 제시된 분야에서 5개의 통 중 1개 통을 선택한다. * 27대 ~ 32대 골든벨 도전 당시 : 역사(노란색), 과학(파란색), 예술(초록색), 시사상식(빨간색), 문학(하얀색) 제시된 분야에서 5개의 통 중 1개 통을 선택한다. === ([[2015년]] [[1월 4일]] ~ [[2019년]], 106대 ~ 129대) === * 현재(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현재''') : 도(남색), 전(빨간색), 골(회색), 든(보라색), 벨(진한 보라색)을 5개의 제시된 분야에서 통 중 1개 통을 선택한다. ~~[[해리포터]] 폰트~~ === 현재([[2020년]] ~, 130대 ~ '''현재''') === ||<-6> 분류 || |||| 첫 도전 등극 학교(◎) |||| 2회 재도전 등극 학교(◇) |||| 3회 이상 재도전 등극 학교(◆) || |||| 골든벨 왕중왕전 우승자(☆) |||| 골든벨 왕중왕전 준우승자(★) ||||<:> {{{#ffffff 골든벨 왕중왕전 최후의 1~4인(▣)}}} || ||<-3> {{{#ffffff 2학교 이상 출연 학교(□)}}} ||<-3> 3학교 이상 출연 학교(■) || ||<-3> {{{#ffffff 골든벨 남학생 수상자}}} ||<-3> {{{#ffffff 골든벨 여학생 수상자}}} || ||<-6> {{{#ffffff 골든벨 왕중왕전 각 학교의 참가자}}} || == 골든벨 등극자 학교 지역과 연도별 골든벨 탄생수 == * [[1998년]] [[10월 16일]]에 접속 신세대를 시작하여 [[1999년]] [[1월 8일]]부터 [[1999년]] [[8월 27일]]까지 접속! 신세대 코너와 [[도전 골든벨]] 코너의 첫 방송을 시작하여 [[1999년]] [[9월 3일]] 독립 편성한 이래 1999년 9월 3일 (독립 편성) 이후 약 15년 9개월(5,623일) 만인 [[2014년]] [[7월 13일]] 방송에서 100번째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가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4&aid=0003172293|탄생했으며]], 현재 131명의 골든벨 수상자가 나왔다.(공식 골든벨 수상자만 인정) * 프로그램 역사가 99년도 접속 신세대부터인지라 벌써 --30대를 이미 지나고-- 40대에 이르게 된 골든벨 수상자도 있다. [[일본]] 대학에서 초끈 이론 연구하는 사람이나 검사, 판사, 사업가, 교사, 의사 등등. * 2014년 6월 21일에 역대 골든벨을 울린 100명의 골든벨 수상자들을 위한 축제를 열기도 했다. * 현재까지의 프로그램 횟수를 고려했을 때 골든벨을 울린 학생이 나올 확률은 약 15% 정도이며, 재도전을 하더라도 골든벨을 울릴 확률은 약 10%도 안 된다. * 현재까지 총 참가 학교는 730개 학교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는 131대 및 121명 학생, 116개 학교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는 131대 및 121명 학생 중 (대한민국 120명, 해외의 재중동포 재학생 중 중국 1명)이 등극한 국가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의 131대 및 121명 학생 중 (접속! 신세대 코너의 5명, 독립 편성의 116명)이 등극한 수상자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의 131대 및 121명 학생 중 방송채널 중 (KBS 1TV - 5명(접속 신세대 코너), KBS-2TV(금요일은 18명), KBS-1TV(일요일은 98명)의 총 KBS 1TV : 103명, KBS 2TV : 18명)이 등극한 수상자이다. *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 메뉴에서 (~113대) 이후 (114대 골든벨~)에 등극한 리스트가 기록이 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의 왕중왕은 총 8명 학생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의 준왕중왕은 총 7명 학생이다. * 현재까지 재도전 학교는 69개 학교이며(6개 학교는 골든벨을 울린 상태에서 재도전),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수상자가 나온 경우는 단 7개 학교 밖에 없다.(대전대신고등학교(◇)는 2명 배출) * 현재까지 3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는 4개 학교이며(골든벨을 울리지 않은 상태에서 3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는 없으며),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수상자가 나온 경우는 없다. * 현재까지 한 회에서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이 도전한 학생은 단 2회로 경북 구미여자고등학교에서 46대(김지혜-2학년)~47대(김유진-1학년) - 여학생 2명 등극[* 정답은 기형도], [[대전대신고등학교]](재도전)에서 83~84대에 등극하여 남학생 2인 동시 등극하여 배출한 학교이다.[* 정답은 칼레] 그러나 남, 녀 공학 및 남학생, 여학생은 2명 이상 나오지 않았다. * 현재까지 한 회에서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이 도전하여 학생이 2명 중 1명이 등극한 학생은 단 4회로 최후의 2인 중 1명이 등극한 학교이다. * 현재까지 100일 이후 넘게 수상자가 나오지 않은 횟수는 16회이다. * 100일 이후 넘게 수상자가 등극한 횟수는 12회, 200일 이후 넘게 수상자가 등극한 횟수는 2회이다. * 현재까지 대거 탈락 문제(60명 이상 탈락 및 40명 생존 기준, 정답률 40% 이하 오답률 60% 이상 기준, 대거 탈락의 총 5문제의 골든벨 수상자 대거 탈락 5명 기준)의 대거 탈락의 골든벨 수상자의 등극한 횟수는 5회이다.(2006년 1월 15일 53대 박나영 - 광주 정광고(62명 탈락), 2007년 1월 21일 61대 김신해 - 경북 경산 하양여고(78명 탈락), 2008년 10월 26일 71대 김도영 - 부산남고(82명 탈락), 2015년 8월 16일 110대 전진웅 - 경기 하남고 & 2015 역사통일 골든벨(62명 탈락), 2016년 4월 24일 113대 신한비 - 경남 김해가야고(78명 탈락)(2016년 연도별 골든벨 등극으로 늦은 날짜 - 4월 24일)) * 현재까지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중 연도별로 가장 늦은 날짜에 나온 횟수는 2회(2010년 - 3월 21일 서울 동덕여고 76대 송정인, 2016년 - 4월 24일 경남 김해가야고 113대 신한비)이다. * 아직까지 한 해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유형(색) 선택에 등극하여 수상자 중에서 (26대 등극 도전 당시 : 과학(노란색), 문학(초록색), 시사상식(하얀색), 예술(빨간색), 역사(파란색)를 제시된 분야에서 5개의 통 중 1개 통을 선택), (27대 ~ 32대 등극 당시 : 역사(노란색), 과학(파란색), 예술(초록색), 시사상식(빨간색), 문학(하얀색)를 제시된 분야에서 5개의 통 중 1개 통을 선택), (33대 ~ 105대 등극 도전 당시 : 도(빨간색), 전(노란색), 골(파란색), 든(하얀색), 벨(초록색) 중 제시된 5개의 통 중 1개의 통을 선택), 현재(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106대 등극 ~ 현재) : 도(남색), 전(빨간색), 골(회색), 든(보라색), 벨(진한 보라색)을 5개의 제시된 분야에서 통 중 1개 통을 선택하여 현재까지 아직 한 해에서 각 선택의 5개 통(도, 전, 골, 든, 벨)을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각 모든 5개(도, 전, 골, 든, 벨)의 모두 제시된 분야의 색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106대 백승호(경기 파주 운정고) 이후 & 도(남색), 전(빨간색), 골(회색), 든(보라색), 벨(진한 보라색)을 5개의 제시된 분야에서 통 중 1개 통을 선택) * 현재까지 한 해에서 각 모든 5개(도, 전, 골, 든, 벨)의 모든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 * 그동안 [[충청남도]] 지역은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통(도(빨간색), 전(노란색), 골(파란색), 든(하얀색), 벨(초록색))의 선택에서 [[충청남도]] 모두 (도, 전, 골, 든, 벨)을 모두 5개의 각 색의 통을 선택하여 '''[[충청남도]]'''의 각 통의 모두 선택하여 등극한 학교(2004년 3월 28일 38대 이윤수 - 서산 서일고, 2006년 5월 7일 55대 - 석정완(◎) - 예산고(◎), 2006년 9월 17일 57대 손명균 - 공주사대부고, 2007년 8월 26일 64대 김성환 - 보령 대천고, 2012년 2월 5일 86대 - 이건희(2명 중 1명 등극)) - 충남외고)의 5개를 모두 등극하였다. * 그동안 [[경기도]] 지역은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 현재(2015년 1월 4일 ~ 현재, 106대 ~ 현재)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통의 선택에서 경기도(2004년 11월 7일 43대 지관순 - 파주 문산여고(현 문산수억고), 2005년 7월 17일 50대 이덕원 - 광명 진성고, 2005년 10월 23일 51대 최원녕(◎)(★) - 경기 군포고(◎), 2006년 10월 1일 58대 오동환 - 수원고, 2008년 8월 24일 69대 임윤진 - 수원 태장고, 2014년 1월 5일 98대 이지수(◇, 재도전) - 성남 태원고(◇, 재도전), 2014년 9월 14일 102대 신명규 - 이천 효양고, 2014년 9월 14일 105대 권대규(★) - 김포 장기고 ~ 2015년 2월 1일 106대 백승호 - 파주 운정고, 2015년 8월 16일 110대 전진웅 - 하남고 & 2015년 광복절 특집 1부 역사통일 골든벨, 2015년 9월 7일 112대 서민석 - 안양 부흥고, 2016년 7월 17일 114대 권민성 - 성남 판교고, 2016년 8월 28일 116대 김민철 - 군포 부곡중앙고(현 군포중앙고) ~ 2016년 11월 13일 117대 조한희 - 이천양정여고(2명 중 1명 등극), 2017년 5월 7일 120대 함태원 - 남양주 청학고, 2017년 6월 18일 121대 윤병희(◇, 재도전) - 안양고(◇, 재도전)) 지역은 모두 도, 전, 골, 든, 벨을 16개 통을 모두 5개를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였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KBS]] 아나운서의 여자 진행자([[박은영(방송인)|박은영]], [[차다혜]], [[가애란]]) 3명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09년, 2012년)씩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2012년 [[차다혜]], [[가애란]]의 2명 여자 아나운서로 진행하여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2012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진행자([[차다혜]], [[가애란]]) 2명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12년)의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2012년 [[차다혜]], [[가애란]]의 2명의 여자 아나운서로 진행하여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2017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진행자([[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17년)의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2017년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여자 아나운서로 진행하여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2018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진행자([[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18년)의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고 있다.(2018년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여자 아나운서로 진행하여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고 있다.) * 현재까지 2017년 ~ 2018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진행자([[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2017년 등극 없이 2018년 다음 해인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고 있다.(2017년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의 여자 아나운서로 진행하여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여학생은 2009년(4회 실패), 2012년(0회 없음), 2017년(2회 실패) 3회의 한 해씩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남학생은 2009년(4회), 2012년(7회 - 2인 동시 등극 포함), 2017년(4회) 3회의 한 해씩 남학생이 등극하여 여학생 등극 없이 한 해에서 모두 남학생이 등극했다. * 아직 지금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서는 첫 방송부터 지금까지 공식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 연도별 골든벨 인원 수는 9명이 최대였다.(한 해([[1999년]], [[2005년]])에 등극한 학교의 아직 한 해에 10명 이상을 기록하지 못했다.) * 현재까지 전라북도 지역에서는 남학생 1명, 여학생 4명 중 남학생이 단독으로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았으며 남학생은 특집편에서만 1명(101대)밖에 등극하지 못하고 있다. * 현재까지 단독으로 골든벨 수상자에 등극한 횟수는 2명 및 2개 학교인데 단 2명(95대, 103대)이 특집편에서만 2명이 나왔으나 아직 단독으로 학교체에 골든벨 수상자에 등극하지 않고 있다. * 현재까지 과학고가 단독으로 등극하지 않고 있으며, 단 한 번도 없으며, 특집편에서만 단 2명(54대, 96대) 밖에 없다. * 현재까지 같은 학교에서 골든벨에 2번 이상 등극한 경우는 3개 학교이다. * 한 학교에서 두 번 이상 (첫 도전/재도전)하여 골든벨에 도전하여 등극하여 실패한 경우 3개 학교이다. * 매 학교에 참가할 때마다 출연 학교의 벽걸이를 걸어 최근 10회 이상 등극한 학생의 얼굴의 사진을 게시하여 제13?대 - 골든벨? 등극한 학교(예시 제13?대 골든벨 - ㅁㅁ고등학교 ㅁㅁㅁ)를 게시하고 있다. * 아직 두 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에서 두 번 이상 골든벨에 등극한 학생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 아직 세 번 이상 3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에서 세 번 이상 골든벨에 등극한 학생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12년 12월 23일 이후 2013년 1월 6일부터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KBS 포토뱅크의 홈페이지의 2012년 11월 4일 이전까지 이후 2012년 11월 11일부터 촬영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에서 등극한 도전자의 113대 ~ 이후 114대 골든벨에 등극한 리스트가 기록이 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참고로 골든벨 수상자 가운데서 50번을 달고 등극한 학생은 4명이 유일하다. * 참고로 골든벨 수상자 가운데서 최후의 99번을 달고 등극한 24대 골든벨 서수연([[백석고등학교(경기)|경기 고양 백석고등학교]] 3학년, ◇)이 유일하다.(재도전 학교에서만 99번을 달고 24대 등극) * 참고로 골든벨 수상자 가운데서는 100번을 달고 등극한 55대 골든벨 석정완([[예산고등학교|충남 예산고등학교]] 2학년, ◎)이 유일하다. * 골든벨 수상자 중에서 한 자리수 번호를 단 사람은 거의 없다.(6대 6번, 7대 3번, 73대 6번, 92대 6번, 103대 5번) * 참고로 골든벨 수상자 가운데서는 패자부활전으로 올라온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적으면 30개를 풀거나, 40~49개 가량을 풀고 골든벨을 울린 경우도 있다. 실제로 101번을 달고 골든벨을 울린 경우는 19대 골든벨 조형규([[대원외국어고등학교|서울 대원외국어고등학교]] 스페인어과 3학년 - [[2001년]] [[5월 4일]] [[KBS 2TV]])가 유일하여 단 1명 뿐이다.(통과 전의 각 문제에서 아쉽게 탈락 후 101번 통과) * 50번 골든벨 문제 유형(색) 선택의 등극한 학교에서 누락된 부분은 기재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1999년 접속! 신세대 코너, 독립 편성~2000년~2001년) * 50번 골든벨 문제 출제의 교장선생님의 4명이 이름이 기재되지 않아 등극한 학교에서 누락된 부분은 기재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1999년 접속! 신세대 코너, 독립 편성~2000년~2001년) * 현재까지 한 회에서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이 도전하여 학생이 2명 중 1명이 등극한 학생은 단 4회로 최후의 2인 중 1명이 등극하여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고 있는 누락된 학교이다. == 역대 골든벨 수상자 == === 1999년(1~9대, 9명 등극)[* 1999년 접속 신세대 코너 5명, 독립 편성 이후 4명으로 총 9명이 울렸으나 최초로 10회 이상 아쉽게 넘지 못하고 울리지 못했다. ] === ==== 『접속! 신세대』 코너 시절(접속! 신세대 10~43회 - 1대~5대, 5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과, 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br] 최종정답 || || 7(접속! 신세대 16) || [[2월 19일]] || '''1(초대)''' || 이병렬[br](2학년,95번)[* 1999 하반기 왕중왕전 26번] || [[분당고등학교|경기 성남 분당고등학교]] || 문두희[*교감] || [[봉황]][* <접속! 신세대> 코너 첫 등극] || || 15(접속! 신세대 24) || [[4월 16일]] || 2 || 박찬혁[br](과 3학년,11번)[* 1999 하반기 왕중왕전 22번] || 인천 부평 영일외국어고등학교[br](현 [[인천외국어고등학교]]) || 최명동[*교무부장 교무부장이 대신 출제] || [[만파식적]][* 힌트 - 고구려에 나타난 신라의 신적을 적는 문제였다.] || || 21(접속! 신세대 30) || [[5월 28일]] || 3 || 이찬경[br](3학년,35번)[* 1999 하반기 왕중왕전 25번] || [[한영고등학교(서울)|서울 한영고등학교]] || 이충환 || [[태평소]] || || 28(접속! 신세대 35) || [[7월 2일]] || 4 || 양선이[br](3학년,70번)[* 1999 하반기 왕중왕전 17번] || [[이리남성여자고등학교|전북 익산 이리남성여자고등학교]] || 박동래 ||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대한민국은[br]민주공화국이다]] || || 32(접속! 신세대 41) || [[8월 13일]] || 5 || 장태진[br](3학년,39번)[* 1999 상반기 왕중왕전 10번] || [[중산고등학교(서울)|서울 중산고등학교]](1) || 장병환 || 딸깍발이[* <접속! 신세대> 코너 마지막 등극] || ==== 독립 편성(6대~9대, 4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과, 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 2 || [[9월 10일]] || 6 || 변보영[br](2학년,6번)[* 1999 하반기 왕중왕전 9번] || 서울 상명여자고등학교 [br] (현 [[상명고등학교]]) || 배예숙 || [[황룡사 9층 목탑|황룡사 9층탑]][* 독립 편성 첫 등극] || || 8(첫 도전) || [[11월 5일]] || 7(첫 도전) || 남재균[br](2학년,3번)(◎) || [[강릉고등학교|강원 강릉고등학교]](◎) || 권오성 || [[직지심경]][br](직지심체요절)[* 역대 골든벨 수상자 중 가장 낮은 번호를 단 상태로 골든벨을 울린 주인공] || || 11 || [[11월 26일]] || 8 || 이명진[br](3학년,17번)[* 1999 하반기 왕중왕전 7번] || [[인창고등학교(경기)|경기 구리 인창고등학교]] || 이승직 || [[시일야방성대곡]] || || 14 || [[12월 17일]] || 9 || [[김수영(작가)|김수영]][* 1999 하반기 왕중왕전 13번][br](금융정보과 3학년,44번)(★ 하반기) ||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전남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 이병조[*교감 교장선생님을 대신해서 출제했다.] || [[칠지도]][* [[특성화고등학교]] 첫 골든벨] || === 2000년(10~16대, 7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 20 || [[2월 11일]] || 10 || 조아라[br](1학년,50번)[* 2000 상반기 왕중왕전 52번] || [[의정부여자고등학교|경기 의정부여자고등학교]] || 홍종백 || [[짚신]] || || 22(첫도전) || [[2월 25일]] || 11(첫도전) || 최정은[br](3학년,42번)[* 2000 상반기 왕중왕전 28번](◎) || [[서대전여자고등학교|대전 서대전여자고등학교]](◎) || 김대두 || [[앙부일구]][br](앙부일영) || || 31 || [[4월 28일]] || 12 || 이동섭[br](3학년,30번) || [[인항고등학교|인천 인항고등학교]] || 한수영 || [[홍범 14조]] || ||<|2> 38 ||<|2> [[6월 16일]] ||<|2> 13 || 권보원[br](2학년,27번)[* 2000 상반기 왕중왕전 33번](★ 상반기) ||<|2> [[경북고등학교|대구 경북고등학교]] ||<|2> 성훈 ||<|2> [[매천야록]] || || (☆ 하반기) || || 40 || [[6월 30일]] || 14 || 김보석[br](3학년,46번)[* 2000 상반기 왕중왕전 48번, 900회 특집 2번] || [[이매고등학교|경기 성남 분당이매고등학교]] || 한두희 || 크로스 보팅[br]([[교차투표]])[* 당시 김보석 학생은 "크로스 보트"라고 적었는데 뜻을 확실하게 알고 있고, 명사형을 동사로 적었다고 해서 틀리게 할 수 없다는 전문가의 자문에 따라 정답으로 처리했다.] || || 47(첫도전) || [[8월 18일]] || 15(첫도전) || 이창순[br](3학년,50번)[* 상반기 왕중왕전 12번](◎)(☆상반기) || [[이천고등학교|경기 이천고등학교]](◎) || 이을준[*교감] || [[여민락]] || || 54 || [[10월 6일]] || 16 || 박진우[br](3학년,27번)(★) || [[대인고등학교|인천 대인고등학교]] || 최권팔[*교감] || [[조선책략]] || === 2001년(17~24대, 8명 등극)[* 유일하게 2001년 왕중왕전은 (17대, 100회 특집 왕중왕전으로 대체) 했다.]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과, 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출제자[br](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비고 || || 68 || [[1월 17일]] || 17 || 박장미[br](2학년,59번)(☆) || [[진명여자고등학교|서울 양천구 진명여자고등학교]] || 양준 || 프랑스, 독일 || [* 105일 넘게 울리지 않았으며 - 329일 만의 여학생 등극, 100회 특집 2001년 왕중왕 등극][* 17대 울린 안경 벗은 여학생의 100대 등극한 도전자의 여자 MC로 진행한 [[김보민]] 아나운서와 얼굴이 닮았다.][* 중앙대 의과대학(2002 학번) 졸업] || || 72 || [[2월 16일]] || 18 || 박지영[br](2학년,58번) ||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전북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 김경주 || [[대전통편]] || [* 최후의 1인 단독 도전으로 18대 등극] || || 83 || [[5월 18일]] || 19 || 조형규[br](스페인어과 3학년,73번 → 101번) || [[대원외국어고등학교|서울 광진구 대원외국어고등학교]] || 남봉철 || [[노블리스 오블리제]] || [* 유일하게 101번을 달고 19대 골든벨 등극][* 19대에 울려 101번에 통과한 학생은 [[MBC 뉴스데스크]]에 나와 인터뷰를 했다. 얼굴의 도깨비 소년, 100회 특집 왕중왕전 참가] || || 92 || [[7월 6일]] || 20 || 김성수[br](3학년,33번) || [[원주고등학교|강원 원주고등학교]] || 원순만 || 연산군, 광해군, 고종, 순종 || [* 타방송사 퀴즈 프로그램에 다수 출연경력과 수상경력까지 보유] || || 100(이후 참가학교 도전) || [[9월 7일]] || 21 || 선지원[br](과 3학년,63번)[* 22회(첫도전) 10대 울린 최정은(서대전여고(첫도전))의 사촌 동생] || 한국테크노과학고등학교 [br](현 [[부산보건고등학교]]) || 김덕겸 || 언문지 || [* 교명 변경 전 21대 골든벨 탄생] || || 101 || [[9월 14일]][* 도전 골든벨 최초 연속 골든벨] || 22 ||<:>{{{#ffffff 이정호[br](3학년,67번)(▣)[* 2002년 왕중왕전 최후의 4인]}}} || [[동아고등학교|부산 동아고등학교]] || 박재욱 || 조선사 연구 [br] (朝鮮史 硏究) || [* 2주 연속 탄생] || || 102(첫도전) || [[9월 21일]] || 23(첫도전) || 한성식[br](3학년,12번)(◎)[* 2002 왕중왕전 참가, 600회 특집 1부 - 역대 골든벨 도전자에 참가] || [[구리고등학교|경기 구리고등학교]](◎) || 정남석 || [[반구대 암각화|울산 울주군 반구대 바위그림]] || [* 3주 연속 탄생][* 명예의 전당 중 유일 3연속 골든벨, 골든벨 울린 이후 2TV 채널 마지막] || || 111(재도전) || [[11월 25일]] || 24(재도전) || 서수연[br](3학년,99번)(◇)[* 2002년 왕중왕전 참가] || [[백석고등학교(경기)|경기 고양시 백석고등학교]](◇) || 한일순[*교감 現 [[경기도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교육장] || 측은지심[br]수오지심[br]사양지심[br]시비지심 || [* 1TV 방송시간 변경 이후 24대 등극][* 고양시 지역 미표기][* 2001년 3월에 부임하여 취임한 정수길 교장이 아닌 교감이 문제 출제] || === 2002년(25~30대, 6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 120(첫도전) || [[2월 3일]] || 25(첫도전) || 유은영(3학년,59번)(◎)(☆) || [[춘천여자고등학교|강원 춘천여자고등학교]](◎) || {{{#ffffff 예술 분야(빨간색)}}} || 임흥수 || [[도스토예프스키]] || || 127 || [[3월 24일]] || 26 || 이유정(2학년,85번) || 부산 학산여자고등학교 || {{{#ffffff [[문학]] 분야(초록색)}}} || 김재원 || [[충무공 이순신]] || || 138 || [[7월 14일]] || 27 || 김동원(3학년,38번) || 서울 [[선정고등학교]] || [[역사]] 분야(노란색) || 방현기 || [[갈리아 전기]] || || 149 || [[11월 3일]] || 28 || 김민희(3학년,48번) || [[쌘뽈여자고등학교|충남 논산시 쌘뽈여자고등학교]][* 現 논산시(일부 읍면 지역 계룡시 분리)(2003년 행정구역 재조정)] || [[역사]] 분야(노란색) || 손민숙? 수녀[br](교장선생님) || 흠흠신서(欽欽新書)[* 112일이 넘게 27대~28대 사이의 골든벨 명예의 전당이 등극자가 나오지 않았다. ] || || 154 || [[12월 8일]] || 29 || 박홍준(2학년,54번) || [[서울세종고등학교]] || {{{#ffffff [[과학]] 분야(파란색)}}} || 박찬혜 || [[웜홀]] || || 155 || [[12월 15일]] || 30 ||<:>{{{#ffffff 윤슬기(3학년,10번)(▣)}}} || [[진선여자고등학교|서울 진선여자고등학교]] || {{{#ffffff [[과학]] 분야(파란색)}}} || 한기수 || [[줄기세포]] || === 2003년(31~36대, 6명 등극)[* 2003년 유일하게 2년 연속 6명이 울렸으나, 7회 이상 울리지 못했으며, 2003 왕중왕전 울린 학생 6명 중 1명이 31대 도전자가 불참했다.]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 162 || [[2월 9일]] || 31 || 박진희(3학년,65번)[* 2003 왕중왕전 불참 및 참가 미확정] || 충북 충주여자고등학교 || 역사 분야(노란색) || 윤경로 || [[에드워드 카|E.H 카]] || || 178 || [[6월 22일]] || 32 ||<#000080> {{{#ffffff 이정주(3학년,50번) }}} || 전남 영광군 해룡고등학교 || 역사 분야(노란색) || 권재홍 || [[곤여만국전도]] || || 181 || [[7월 13일]] || 33 ||<#000080> {{{#ffffff 김세연(3학년,51번) }}} || 대구 달서구 효성여자고등학교 || 전(노란색) || 한팔용 || [[퀘이사]] || || 188 || [[8월 31일]] || 34 ||<#000080> {{{#ffffff 안경민(3학년,49번) }}} || [[진주동명고등학교|경남 진주동명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김병간 || [[판문점]] || || 189 || [[9월 7일]] || 35 ||<#000080> {{{#ffffff 김승필(2학년,66번) }}} || 울산 북구 무룡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김성춘 || [[동문선]] || || 201 || [[11월 30일]] || 36 ||<#000080> {{{#ffffff 송영석(3학년,77번)}}} || [[창원중앙고등학교|경남 창원중앙고등학교]] || 전(노란색) || 박태길 || [[타키온]] || === 2004년(37~43대, 7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 214 || [[2월 29일]] || 37 || 박진(2학년,89번)(☆)[* 900회 특집 33번] || [[춘천고등학교|강원 춘천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이창섭 || 브라질(B)[br]러시아(R)[br]인도(I)[br]중국(C)[* 900회 특집 우승] || || 218 || [[3월 28일]] || 38 ||<:>{{{#ffffff 이윤수(3학년,11번)(▣)}}} || [[서령고등학교|충남 서산 서령고등학교]] || 든(하얀색)[br](문학 문제) || 김기찬 || 전태일 분신 사건 || || 220 || [[4월 11일]] || 39 || 김준설(3학년, 34번) || [[마산중앙고등학교|경남 마산중앙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신호형 || || || 235 || [[8월 1일]] || 40 || 황은영(3학년,59번)[* 900회 특집 44번] || 부산 대덕여자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강두선 || || || 237(여름방학 특집)[br](청학동 특집) || [[8월 15일]] || 41 || 김종현(3학년,88번)[* 900회 특집 34번] || 대구 성광고등학교 || 든(하얀색) || [[김보민]](아나운서) || [[판옥선]][* [[광복절]] 특집 [[청학동마을|청학동]] 골든벨] || || 239(첫도전) || [[8월 29일]] || 42(첫도전) || 김학명(3학년,60번)[* 900회 특집 35번] || [[제천고등학교|충북 제천고등학교]](◎) || 든(하얀색) || 안문웅 || || || 248 || [[11월 7일]] || 43 || 지관순(3학년, 71번) || 경기 파주 문산여자고등학교[br](현 [[문산수억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채갑진 || [[드레퓌스 사건]] || === 2005년(44~52대, 9명 등극)[* 2005년 총 9명 중 한 학교의 2명 동시 쌍둥이가 울렸으나 최초로 10회 이상 아쉽게 넘지 못하고 울리지 못했으며, 같은 해 2005 왕중왕전 울린 학생 9명 중 1명이 52대(300회 특집 독서골든벨 우승) 특집편 소속 학교의 학생 도전자가 불참했다.]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비고 || || 260 || [[1월 30일]] || 44 || 김희탁(3학년,79번)[* 900회 특집 1번] || [[능인고등학교|대구 능인고등학교]] || 든(하얀색) || 류종환 || [[천상열차분야지도]] || || || 263 || [[2월 20일]] || 45 || 배순영(3학년,91번)[* 900회 특집 43번] || [[김해고등학교|경남 김해고등학교]] || 든(하얀색) || 박화옥 || 하노이의 탑 || || ||<|2> 265(공사창립 특집) ||<|2> [[3월 6일]] || 46 || 김지혜(2학년, 41번) ||<|2> [[구미여자고등학교|경북 구미여자고등학교]] ||<|2> {{{#ffffff 벨(초록색)}}} ||<|2> 이강룡 ||<|2> [[기형도]] || [* [[한국방송공사|KBS]] 78주년 특집 골든벨 사상 최초로 2명이 골든벨 등극] || || 47 || 김유진(1학년, 60번) || || || 267 || [[3월 20일]] || 48 || 박정애(3학년,37번) || 경북 구미 오상고등학교 || 든(하얀색) || 장준재 || [[유루분]] || || || 271 || [[4월 17일]] || 49 || 박종순(3학년,68번) || [[당곡고등학교|서울 당곡고등학교]] || {{{#ffffff 도(빨간색)}}} || 허만길 || [[브라운 운동]][br]광양자 가설[br][[특수 상대성 이론]] || [* 이후 같은 해 292회 전남 화순군 능주고 편([[김현욱(방송인)|김현욱]] 前 아나운서 남자 새 MC)의 싱크 코리아 문제에서 1기 해외 역사 탐방을 한 학생은 49대 울린 학생이 문제를 출제했다.] || || 284 || [[7월 17일]] || 50 || 이덕원(3학년,46번) || [[진성고등학교|경기 광명 진성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정일웅 || 텔로미어 || || || 295(첫도전) || [[10월 23일]] || 51(첫도전) || 최원녕(2학년, 32번)(★)(◎) || [[군포고등학교|경기 군포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안동규 || 김산, 아리랑 || [* KBO 리그 2005년 한국시리즈 2차전 (두산 베어스:삼성 라이온즈) (대구시민야구장)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되어 , 저녁 7시에 KBS 1TV의 열린음악회로 대체편성 방송 관계로 줄줄이 결방후 1주 뒤에 연기] || || '''300(독서골든벨 특집)''' || [[11월 27일]] || 52 || 김은정(2학년,52번)[* 2005 왕중왕전 불참 및 미확정, 300회 특집 도전! 독서 골든벨] || [[안동여자고등학교|경북 안동여자고등학교]] (소속) || {{{#ffffff 벨(초록색)}}} || 최영희 위원장[br](국가청소년위원장) || 코델리아 - 리어왕[br]오필리아 - 햄릿[br]데스데모나 - 오셀로 || 300회 특집 도전! 독서 골든벨 [br] [* 모두 셰익스페어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인데 작품명과 주인공 이름을 연결 지어서 쓰는 문제였다.][* 이후 52대 등극한 경북 안동여고 소속 최후의 1인 울린 학생은 2005년 왕중왕전에 아쉽게 불참했으며, 2011년 11월 27일 방송분의 600회 특집 1부 - 역대 골든벨 출연자에서 잠시 참가했다.] || === 2006년(53~60대, 8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과, 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 306 || [[1월 15일]] || 53 || 박나영(3학년,63번) || [[정광고등학교|광주 정광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정인영 || 침묵의 봄 || || 309(특집) || [[2월 5일]] || 54 || 표하림(3학년,41번)(★) || [[서울과학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이혜숙 소장 겸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가정센터] || 라부아지에[* 도전! 와이즈(WISE) 골든벨[* 여성 과학 기술자를 지원하는 모임인 'WISE' 소속 100명의 출신 학교 및 과학고 학생이 골든벨에 참가하여 도전하였다.]] || || 322(첫도전) || [[5월 7일]] || 55(첫도전) || 석정완(2학년,100번)(◎)[* 900회 특집 45번] || [[예산고등학교|충남 예산고등학교]](◎) || {{{#ffffff 도(빨간색)}}} || 최재경 || [[탄소 나노 튜브]][* 이후 872회 방송분에서도 경기 안양시 안양고(재도전) 121대(재도전) 울린 윤병희 학생과 문제 및 정답과 동일하다.] || || {{{#ffffff 327(2학교 이상)(□)}}} || {{{#ffffff [[6월 11일]]}}} || {{{#ffffff 56(2명 중 1명 등극) }}} || 윤문열(1학년,72번)(☆) || {{{#ffffff 경북 칠곡군 순심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ffffff 함정호 교장[* 경북 칠곡군 순심고 교장]}}} || {{{#ffffff "제자 - 요사네스 케플러 [br] 스승 - 브라헤"(O)[* 제자와 스승의 이름을 적는 문제] [br][* 경북 칠곡 순심고 & 순심여고(□)(2학교 이상)[* 2개 학교 모두 학교법인 순심학원 소속 재단이다.]] }}} || || 340 || [[9월 17일]] || 57 || 손명균(3학년,74번) ||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충남 공주시 국립공주대 위치한 사대부설고] || {{{#ffffff 골(파란색)}}} || 김금일 || 엄마, [[백남준]] || || 342 || [[10월 1일]] || 58 || 오동환(3학년,88번) || [[수원고등학교|경기 수원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홍순복 || [[범패]] || || 348(독서 특집) || [[11월 12일]] || 59 || 문형범(2학년,92번) || [[춘천고등학교|강원 춘천고등학교]] || {{{#ffffff 도(빨간색)}}} || 최영희 위원장(국가청소년위원회) || [[승정원 일기]][* 2006 독서 골든벨[* 책을 사랑하는 전국 100학교 100명의 학생들이 2006년 최고의 독서왕 자리에 도전하였다., 214회의 37대 울린 이후 같은 학교에서 2번 이상 울렸음]] || || 349 || [[11월 19일]] || 60 || 김연재(3학년,96번) || 전남 순천강남여자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김연수 || 승보 - 송광사[br]법보 - 해인사[br]불보 - 통도사 || === 2007년(61~65대, 5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과, 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 358 || [[1월 21일]] || 61 || 김신해(3학년,19번)[* 2007 왕중왕전 3번, 900회 특집 57번] || 경북 경산 하양여자고등학교 || 전(노란색) || 김석근 || 가 - [[무오사화]][br]나 - [[갑자사화]][br]다 - [[기묘사화]][br]라 - [[을사사화]] || || 365 || [[3월 18일]] || 62 || 김한나(2학년,92번)[* 2007 왕중왕전 4번, 900회 특집 50번] || 인천 부평여자고등학교 || {{{#ffffff 도(빨간색)}}} || 이유순 || m(미터) || || 379 || [[7월 1일]] || 63 ||<:>{{{#ffffff 이민주(2학년,25번)[* 2007 왕중왕전 5번]}}} || [[평창고등학교|강원 평창고등학교]] || 전(노란색) || 최대식 || [[브라운 각서]] || || 387 || [[8월 26일]] || 64 || 김성환(1학년,32번)[* 2007 왕중왕전 6번] || 충남 보령 대천고등학교 || 전(노란색) || 이병직 || 로하스 운동([[LOHAS]]) || || 402 || [[12월 9일]] || 65 || 이규인(2학년,76번)[* 2007 왕중왕전 7번] || [[김천고등학교|경북 김천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강흥구 || [[푸엥카레 추측]] || === 2008년(66~71대, 6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과, 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br] 최종 정답 ||<:> 비고 || || 412 || [[2월 17일]] || 66 || 빙현진(2학년,51번)[* 방씨 아닌 빙씨 학생이 아닌 66대 울린 학생, 2008 왕중왕전 3번] || 광주중앙여자고등학교[br] (현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박균식 || IPCC(정부 전 기후협약)[*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 [* 336일만에 여학생 등극, 교명 변경 전 66대 등극, 방씨 학생이 아닌 빙씨 학생으로, 아쉽게 방씨 학생을 가진 '방현진' 학생이 등극한 이름이 나올 뻔했다.][* 지체장애인 네 손가락의 피아니스트 이희아 얼굴 닮음] || || 421 || [[4월 20일]] || 67 || 이선화(2학년,86번)[* 2008 왕중왕전 4번, 600회 특집 1부 - 역대 골든벨 도전자에 참가, 900회 특집 역대 최강자전 참가] || [[정화여자고등학교|대구 정화여자고등학교]] || 든(하얀색) || 한형기 || 유년필독 || || || 434 || [[7월 20일]] || 68 || 정경식(3학년,31번)[* 482회 대전 충남기계공고 최후의 4인 정원식(당시 이후 2학년,83번) 도전자 학생의 형, 45번(think korea 문제 - 2명 동시 중 68대 도전자가 통과), 2008 왕중왕전 5번, 900회 특집 56번] || 충남 연기 조치원고등학교[br](현 [[세종고등학교(세종)|세종고등학교]])(1) || {{{#ffffff 벨(초록색)[* '''패자부활 이후 21번,27번,31번(도전!골든북- ),35번,40번~41번~42번,44번~45번(think korea 문제 - 2명 동시 통과)~46번~47번~48번~49번 통과, 번,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68대''' ]}}} || 김광섭 || [[흥수아이]][* 구석기 시대로 이 화석의 이름을 적는 문제] || [* 연기군 지역 미표기, 교명 변경 전의 68대 등극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전의 등극, 224일 만의 남학생 등극][* 찬스를 사용하지 않고 68대 골든벨 등극][* 68대에 울린 친형으로 친동생은 482회 대전 충남기계공고 최후의 4인 까지 도전하여 1학년 재학중이었으나, 인터뷰에 응하여 37번 문제에서 아쉽게 탈락했다.] || || 438 || [[8월 24일]] || 69 || 임윤진(3학년,85번)[* 2008 왕중왕전 6번] || [[태장고등학교|경기 수원 태장고등학교]][* 現 수원시 영통구(2003년 11월 영통구 신설 및 영통구 내 행정구역 편입 재조정] || 든(하얀색) [br] (미확정) || 이춘성 || 타키온 || [* [[수원시]] 지역 마지막 등극자] || || 442 || [[9월 21일]] || 70 || 최수진(1학년,85번)[* 2008 왕중왕전 7번] || [[현풍고등학교|대구 달성군 현풍고등학교]] || 든(하얀색) || 곽진명[*교감] || [[가이아 이론]] || [* 70대 이후 76대 까지 이후 여학생이 546일넘게 골든벨에 울리지 못했다.] || || 447 || [[10월 26일]] || 71 || 김도영(1학년,89번)[* 2008 왕중왕전 8번] || [[부산남고등학교]][* 부산 영도구에 위치한 학교] || 든(하얀색) || 박경옥 || [[토카막]] || [* 1번 문제에서 대거 82명 탈락 - 대거탈락 2위][* 2008년 8회 이상 등극 실패, [[오정연]] 前 아나운서의 여자 MC로 10회 이상 등극 실패] || === 2009년(72~75대, 4명 등극)[* 2009년 유일하게 여학생 등극 없이 남학생 4명으로 단독으로 울렸다, 3학년 학생이 울리지 않았으며, 2009년 왕중왕전 등극자 4명 중 모두 참가(72대 ~ 75대), 여자 MC [[박은영(방송인)|박은영(33기)]] 前 아나운서의 진행으로 여학생 등극 없음, 2009년 여자 MC [[정다은(아나운서)|정다은(34기)]] 前 아나운서의 여학생 등극 없음)]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br] 정답 ||<:> 비고 || || 458 || [[1월 11일]] || 72 || 이수홍(2학년,25번) || [[중앙고등학교|서울 중앙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윤시탁 || [[암흑물질]] ||<:> [* 당시 15세로 최연소 골든벨 주인공이 되었다. 덤으로 중학교 과정을 1년만에 마쳤고, 서울대 수리/통계학부에 최연소로 입학했다.] || || 484 || [[7월 12일]] || 73 || 김주현(2학년,6번) || [[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ffffff 도(빨간색)}}} || 김광수 || 서전서숙 || [* 182일 넘게 울리지 않았다.][* 골든벨 최후의 1인(73대 등극하여 울림) 출신의 선생님(출신 학교 - 서울 여의도여고 전은주 - 당시 국어 담당 선생님)] || || 493 || [[9월 20일]] || 74 || 김청휘(2학년,95번) || [[영신고등학교(대구)|대구 영신고등학교]][* 남학교에서 남녀공학 전환] || 든(하얀색) || 박성진 || [[탈분극]] || [* 2004년 11월 23일 봉무동 신축 기공으로 이후 2006년 1월 23일 대구 봉무동 교사로 이전과 남녀공학으로 전환] || || '''500(특집)''' || [[11월 8일]] || 75 || 김주송(2학년,77번)[* 900회 특집 48번] || [[중산고등학교(서울)|서울 중산고등학교]] || {{{#ffffff 도(빨간색)}}} || [[최경환(1955)|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 [[대한국민의회]] ||<:> [* 500회 특집 전국 고교 최강전[* 500회 특집 방송으로 [[인천광역시|인천]] [[송도국제도시|송도]]에 위치한 투모로우시티에서 녹화했다.][* 이 때는 우승자에게 100만 원의 장학금이 주어졌으며, 보너스 3문제(각각 100, 200, 300만 원)를 통해 최대 700만 원까지 가져갈 수 있었다.]][* 그리고 문제의 수준 역시 방송 10년을 기념하는 전국 고교 최강전 답게 평소 골든벨보다 1.5배 정도 어려운 수준으로 출제됐다.][* 1999년 8월 13일(접속! 신세대 코너) 5대 장태진(당시 3학년) 이후 10년 3개월여(3,741일) 만에 같은 학교의 학생이 2번 등극] || === 2010년(76~79대, 4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대수 ||<:> 이름(학년)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비고 || || 517 || [[3월 21일]] || 76 ||<:>{{{#ffffff 송정인(2학년,78번)}}}[* 2010 왕중왕전 참가, 900회 특집 역대 최강자전(1부~2부) 59번] || [[동덕여자고등학교|서울 동덕여자고등학교]] || 든(하얀색) || 전상룡 || 팩토리 || [* 가수 [[아이유]]가 참가 했던 학교이다.][* 최후의 1인은 131대에 등극하여 든든하게 교장선생님의 피자를 드려서 책임지게 싶어서... 든(하얀색)을 선택][* 여학생은 546일만에 등극, 119일 동안 넘도록 울리지 않았다.] || || 520 || [[4월 18일]] || 77 || 김새롬(3학년,29번)[* 2010 왕중왕전 참가, 2011 600회 특집 역대 골든벨 도전자 1부 - 우승, 900회 특집 역대 최강자전(1부~2부) ] ||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전남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 || 든(하얀색) || 박재근 || 패권주의 || [* 이미 등극하여 졸업하여 서울대학교 의예과 재학중인 상태에서 600회 특집 역대 골든벨 출연자에서 우승했다.3학년 학생은 602일만에 등극] || || 538 || [[8월 22일]] || 78 || 고건호(3학년,71번) || [[충주고등학교|충북 충주고등학교]] || 전(노란색) || 오진택 || 흑묘백묘 || [* 126일 넘게 울리지 못했다.] || || 553 || [[12월 19일]] || 79 || 김효진(2학년,28번) || [[장덕고등학교|광주 장덕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임관표 || 역린 || [* 43번 문제에서 여학생 2명이 탈락하여 남학생 최후의 1인 결정, 아쉽게 여학생이 최후의 1인 결정될 뻔 했다.][* 119일 동안 넘도록 울리지 않았다.] || === 2011년(80~82대, 3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대수 ||<:> 수상자(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 558 || [[1월 23일]] || 80 || 염동호(3학년,65번)[* 900회 특집 47번] || [[포항영신고등학교|경북 포항 영신고등학교]] || 든(하얀색) || 백운령 || || || 571 || [[4월 24일]] || 81 || 김유리(3학년,20번)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김용선 || || || 585 || [[7월 31일]] || 82 || 김태우(3학년,13번)(☆)[* 900회 특집 31번] || 경북 예천 대창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현우택 || [[초조대장경]] || === 2012년(83~89대, 7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과, 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정답 || ||<|2> 607(재도전) ||<|2> [[1월 15일]] || 83(재도전) || 김덕호(3학년,15번)(◇)[* 900회 특집 14번] ||<|2> [[대전대신고등학교]](◇) ||<|2> 전(노란색) ||<|2> 박영진 ||<|2> [[칼레]][* 6년 10개월(2,506일) 만에 역대 2번째로 2명 동시 탄생. 2,506일 만에 2명 동시 배출, 대전에서는 4,342일 만에] || || 84(재도전) || 서문규(2학년,92번)(◇)[* 900회 특집 15번] || || 609 || [[1월 29일]] || 85 || 조해창(2학년,36번) || [[대구고등학교]] || 든(하얀색) || 이용도 || || || 610 || [[2월 5일]] || 86 || 이건희(영어과 3학년,77번) || [[충남외국어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안덕규 || [[적색편이]] || || 637 || [[9월 9일]] || 87 || 김준희(2학년,91번) || 전남 [[여수화양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최동우 || || || 638(재도전) || [[9월 16일]] || 88(재도전) || 유은식(3학년,96번)(◇) || [[배재고등학교|서울 배재고등학교]](◇) || 든(하얀색) || 김용복 || 비석:백두산정계비[br]강:토문강 || || 651 || [[12월 16일]] || 89 || 김태준(3학년,14번)[* 900회 특집 78번] || [[한서고등학교|서울 한서고등학교]] || {{{#ffffff 벨(초록색)}}} || 김용수 || 핵심생산인구[* 900회특집 준우승] || === 2013년(90대~97대, 8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이름(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br] (최종 정답) || 비고 || || 653 || [[1월 6일]] || 90 || 한종현(1학년,44번)[* 2013 왕중왕전 2번] || [[대광고등학교|서울 동대문구 대광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변희주 || 침묵의 나선 이론 ||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38기)]] 아나운서 새 여자 MC[* 남학생 9연속 등극] || || 667 || [[4월 14일]] || 91 || 정찬렬(3학년,91번)[* 2013 왕중왕전 3번] || [[진주고등학교|경남 진주고등학교]][* 경남 진주시 위치한 공립 남학교] || {{{#ffffff 골(파란색)}}} || 정명규 || 펜로즈의 계단 || [* 경남지역은 2,975일 만에 등극, 남학생 10연속 등극] || || 669 || [[4월 28일]] || 92 || 최정서(3학년,6번)[* 2013 왕중왕전 4번] || 전남 완도고등학교[* 전남 완도군에 위치한 군지역의 농촌학교] || {{{#ffffff 도(빨간색)}}} || 김재점 || 무역적자, 재정적자[* 2가지를 적는 문제] || [* 2년여(735일) 만의 여학생 등극, 여자 MC 이후 4개월 만에 첫 여학생 등극, 방송일(4월 28일)지난 2000년(KBS 2TV 편성 당시) 12대에 이어 같은 날짜의 2번째로 골든벨 등극 ] || || 677 [br] (팔도 최강전) || [[6월 30일]] || 93 || 김진욱(3학년,25번)[* 2013 왕중왕전 5번](☆) || [[세종고등학교(세종)|세종고등학교]][* 舊 충남 연기군 조치원고] || 전(노란색) || 신정균 교육감[*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교육감] || [[안톤 체호프]] || 팔도 최강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1주년 특집[* 같은 학교(교명 변경 전 충남 연기군 조치원고 → 세종고)에서 우승, 방송일(6월 30일) 지난 2000년(KBS 2TV 편성 당시) 14대에 이어 같은 날짜의 2번째로 골든벨 등극] || || 688 || [[9월 8일]] || 94 || 최지원(3학년,16번)[* 2013 왕중왕전 6번, 900회 특집 76번] || 경북 포항여자고등학교[* 경북 포항시에 위치한 여학교] || 든(하얀색) || 김말분 || 떠나가는 배 || || || 690(추석 특집) || [[9월 22일]] || 95 || 진성일(3학년,30번)[* 2013 왕중왕전 7번, 900회 특집 19번] || 전남 여수시 여남고등학교 || 전(노란색) || 변태수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2013 추석 특집 고향 골든벨[* 전남 여수시 남면 위치하여 금오도 섬이라서, 전교생 수가 적은 학생수 40여명 뿐이어서 학교의 동문 및 여남중학교 학생까지 참여하여 참가하였다.][* 최후의 1인 단독 도전으로 95대 등극 , 서울대 인문대학 철학과 진학 - 인문계열(학교 최초), 나주 헌병일병 현역으로 공익근무 요원][* 전남지역 남학생 2번째 등극][* 전남지역은 그동안 남학교가 단독으로 학교체에 등극하지 않았다.] || || 697(과학 특집) || [[11월 17일]] || 96 || 김주훈(1학년,24번)[* 2013 왕중왕전 8번] || [[세종과학고등학교|서울 구로구 세종과학고]] || {{{#ffffff 골(파란색)}}} || [[전주리]](아나운서) || "작가 : 레오나르도 다빈치 [br] 제목 : 비트루비우스의 인체비례"[* "전형적인 이 그림"의 작가와 제목을 적는 문제] || 2013 특집 도전! 과학 골든벨 [* 2013 과학골든벨의 이 중에서 인터뷰 9명 중 3학년 학생이 인터뷰를 하지 않았으며, 최종 2인 결정 중 3학년 전원 탈락][* 과학골든벨 특집편의 찬스를 사용하지 않고 96대 골든벨 등극] || || 701 || [[12월 15일]] || 97 || 박승두(1학년,98번)[* 2013 왕중왕전 9번] || [[빛고을고등학교|광주 북구 빛고을고등학교]] || {{{#ffffff 도(빨간색)}}} || 김순애 || F - 파렌하이트[br]K - 켈빈[br]C - 안데르스 셀시우스[* 화씨의 F는 수은 온도계 만든 A, K는 열역할을 확립한 공헌자 B, 섭씨의 C는 100분의 눈금의 한란계를 창시한 C가 있는데 A와 B 그리고 C는 각각 이름의 누구를 적는 문제] || 광주광역시 지역 등극 마지막[br][* 43번 문제에서 최종 3인이 결정된 이후 여학생 2명이 탈락하여 남학생이 최후의 1인 결정][* 개교한지 아직 1회 졸업생이 배출하지 않은 학교이다.][* 광주지역 남학생 최초로 배출함(97대)][* 동영상 예고편(701회,12월 15일)의 편성일 나오지 않았음 97대 울린 이후 최종 엔딩 멘트에서 기타 반주를 연주한 학생, 인터뷰를 하지 못하고 엔딩(ED) 및 작별인사를 함] || === 2014년(98대~105대, 8명 등극) === ||<:> 회차 ||<:> 방송일 ||<:> 대수 ||<:> 수상자(학과, 학년, 번호) ||<:> 출신학교 ||<:> 선택(색) ||<:> 출제자(교장선생님) ||<:> 골든벨 문제 [br] (최종정답) ||<:> 비고 || || 704 || [[1월 5일]] || 98(재도전) || 이지수(3학년,19번)[* 2014 왕중왕전 2번](◇) || [[태원고등학교|경기 성남 태원고등학교]](◇) || 든(하얀색) || 김영수 || [[녹둔도]] || [* 성남시 지역의 효성고와 분당구내 수내고가 참가할 뻔 했다. 재도전 학교의 찬스를 사용하지 않고 최종 98대 골든벨 등극][* 재도전 학교의 98대 및 5번째로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에 배출한 학교의 성남시 지역 학교 미표기][* 최후의 1인의 98대 재도전에 울린 도전자의 어머니(임혜숙) 인터뷰][* 98대 울린 도전자 '이지선' 학생 이름이 울려 나올 뻔했다.][* 3,290일 만에 재도전 - 대전대신고등학교(2명 동시 등극-83대~84대)와 같다.] || || 714 || [[3월 23일]] || 99 || 이나현(2학년,52번)[* 2014 왕중왕전 3번] || 부산여자고등학교 || 든(하얀색) || 나명희 || 옥타브 법칙 || || || 727 || [[7월 13일]] || '''100(금자탑)''' || 김희주(3학년,96번)[* 900회 특집 22번] || [[전북여자고등학교]] || 전(노란색) || 송지현 || [[방관자 효과]][br](제노비스 신드롬) || 100대 골든벨 돌파 및 금자탑[br][* 2014년 4월 13일 ~ 5월 4일 세월호 침몰 참사의 애도 분위기 조성으로 이후 3주 연속 결방하여 112일만에 등극, 이후 첫 골든벨이 나온 후 5,623일 만에 100대 골든벨이 나왔으며, 전북지역은 역대 최장기간 공백기로 4,895일 만에 등극][* 전북지역 침묵 기간으로 이 중에서 그동안 남학생 및 남녀공학 학생은 등극하지 않았다.] || || 729(수학 특집) || [[7월 27일]] || 101 || 송현서(1학년,37번)[* 2014 왕중왕전 4번, 900회 특집 51번] || [[상산고등학교|전북 전주 상산고등학교]] || {{{#ffffff 도(빨간색)}}} || 박형주 교수[* 세계수학자 조직위원장] || 41번째 || 특집 수학 골든벨[br][* 이 최종 정답은 수학 문제인만큼 풀이까지 모두 맞아야 정답으로 인정되었다.][* 전북지역은 최초로 남학생이 등극했지만, 특집편에서만 101대 등극 729회(2014년 7월 27일) 특집편 방송분 이후 단독으로 아쉽게 그동안 전북지역의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남학생은 224일만에 등극] || || 736 || [[9월 14일]] || 102 || 신명규(2학년,16번)[* 2014 왕중왕전 5번] || [[효양고등학교|경기 이천 효양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장민훈 || [[우토로]] || [* 방송일의 날짜(9월 14일)(KBS 2TV 편성 당시)의 지난 2001년 22대에 이어 2번째로 같은 최종문제인 50번 골든벨 문제 등극에서 2번 이상 등극] || || 737(관광 특집) || [[10월 5일]] || 103 || 이정담(경영학과 3학년,5번)[* 2014 왕중왕전 6번, 900회 특집 7번] || [[서울관광고등학교]] || 든(하얀색) || 강옥희[* [[한국관광공사]] 상임이사] || [[MICE]][br](Meeting, Incentives, Convention, Exhibition) || 특집 관광 골든벨[br][* 전국 13개 관광 특성화고등학교 100인의 참가했다.][* 특집에서 한 학교(서울관광고 당시 소속) 중 103대에 등극한 후 942회 참가했던 학교로 참가] || || 739(재도전) || [[10월 19일]] || 104(재도전) || 문성호(3학년,43번)(◇)[* 2014 왕중왕전 7번, 900회 특집 63번] || [[동산고등학교(인천)|인천 동산고등학교]](◇) || 전(노란색) || 김건수 || A:컴플렉스[br]B:페르소나 || [* 남자 MC [[박태원(아나운서)|박태원]]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 팀장의 아버지 박용호의 출신 학교(인천 동산고)이며, 같은 학교의 재도전(◇)에 2번 이상 참가하여 2014년 10월 19일 학교가 재도전하여 참가한 적이 있었으나 최후의 1인 문성호(당시 3학년) 학생이 도전 후 50번 골든벨 문제에 등극하여 104대에 등극하여 울린 경우였다.] || || 747 || [[12월 14일]] || 105 || 권대규(1학년,94번)(★)[* 2014 왕중왕전 8번, 900회 특집 68번] || 경기 김포 장기고등학교 || {{{#ffffff 골(파란색)}}} || 남기엽 || 마하의 원리 || || === 2015년(106대~112대, 7명 등극) === ||<|2><:> 회차 ||<|2> {{{#008000 방송일}}} ||<|2><:> 대수 ||<|2> {{{#ffcc00 수상자}}} ||<|2> {{{#008000 '''출신학교'''}}} || {{{#ffffff '''선택'''}}} ||<|2> 출제자[br](교장선생님) || {{{#ffffff '''골든벨 문제'''}}} ||<:><|2><#008000> {{{#FFD700 비고}}} || || '''(색)''' || '''(최종정답)''' || || 754 || [[2월 1일]] || 106 || 백승호(1학년,28번)[* 2015 왕중왕전 5번] || [[운정고등학교|경기 파주 운정고등학교]] || {{{#ffcc00 골(회색)}}} || 우제정 || [[체체파리]] || || || 762(재도전) || [[3월 29일]] || 107(재도전) || 전해청(1학년,32번)[* 2015 왕중왕전 17번](◇) || 경남 마산여자고등학교(◇) || {{{#ffcc00 골(회색)}}} || 신진용 || [[메치니코프]] || || || 772 || [[6월 7일]] || 108 || 류지윤(3학년,39번)[* 2015 왕중왕전 26번, 900회 특집 66번] || [[창녕옥야고등학교|경남 창녕옥야고등학교]] || {{{#ffcc00 전(빨간색)}}} || 하재경 || 기리고차 || || || 774 || [[6월 21일]] || 109 || 이예지(1학년,59번)[* 2015 왕중왕전 39번](★) ||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전북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 || {{{#ffcc00 골(회색)}}} || 박성옥[*교감] || 주심포 || 전북지역 최후의 등극 마지막 || || 780(역사통일 특집) || [[8월 16일]] || 110 || 전진웅(1학년,72번)[* 2015 왕중왕전 21번] || [[하남고등학교|경기 하남고등학교]] 소속 || {{{#ffcc00 전(빨간색)}}} || [[김지원(방송인)|김지원]][*31기](前 아나운서) || 동-흥인지문[br]서-돈의문[br]남-숭례문[br]북-숙정문 || 광복 70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이 중에서 도전자 100명 중 전국의 고등학교 소속 여학생이 인터뷰를 하지 않았다.] || || 782 || [[8월 30일]] || 111 || 최준희(2학년,77번)[* 2015 왕중왕전 1번] || [[밀양고등학교|경남 밀양고등학교]] || (색) || 이상훈 || [[자유]] || || || 783 || [[9월 6일]] || 112 || 서민석(2학년,42번)[* 2015 왕중왕전 49번, 900회 특집 75번] || [[부흥고등학교(경기)|경기 안양 부흥고등학교]] || {{{#ffcc00 골(회색)}}} || 조능식 || [[다이나모 이론]] || || === 2016년(113대~117대, 5명 등극) === ||<|2><:> 회차 ||<|2> {{{#008000 방송일}}} ||<|2><:> 대수 ||<|2> {{{#ffcc00 수상자}}} ||<|2> {{{#800080 '''출신학교'''}}} || {{{#ffffff 선택}}} ||<|2> 출제자[br](교장선생님) || {{{#ffffff '''골든벨 문제'''}}} ||<:><|2><#008000> {{{#FFD700 비고}}} || || '''(색)''' || '''(최종 정답)''' || || 816 || [[4월 24일]] || 113 || 신한비(3학년,18번)[* 2016 왕중왕전(1부~2부 포함) 불참, 900회 특집 36번] || 경남 김해가야고등학교 || {{{#ffcc00 든(보라색)[* 출제분야:윤리 - 서양의 윤리사상 문제]}}} || 정우영 || 마더 테레사 효과 || [* 최장기간 넘도록 231일 넘게 울리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308일만에 등극] || || 828 || [[7월 17일]][* 6월 12일이 아닌 7월 17일로 1개월 연기] || 114 || 권민성(2학년,28번)[* 2016 왕중왕전(1부~2부 포함) 참가] || [[판교고등학교|경기 성남 판교고등학교]] || {{{#ffcc00 벨(진한 보라색)[* 출제분야:세계 문학 저자 문제]}}} || 김길선 || [[앵무새 죽이기]] || [* 남학생은 315일만에 등극] || || {{{#gold 832(광복절 특집 2부)}}} || {{{#gold [[8월 21일]]}}} || {{{#gold 115(재중동포)}}} || {{{#gold 황미홍(2학년,38번)[* 2016 왕중왕전(1부~2부 포함) 불참]}}} || {{{#gold [* 중국 옌지시 연길시] 옌벤 [* 연변]제1중학교}}} || {{{#ffcc00 전(빨간색)[* 출제분야: 한국사 - 일제강점기 교육 문제]}}} || {{{#gold 주철기 이사장[*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 {{{#gold 서전서숙 }}} || {{{#gold 특집 제2회 2016 재중동포 청소년 골든벨[* 지난 485회 고려대사범대학부속고(73대)에 이어 정답이 중복된다.][* 재중동포 청소년 골든벨에 도전한 학생은 모두 중국 조선족, 중국조선족기업가협회 회장단이 연변TV와 함께 지난 5월 14일에 펼친 "중국조선족중학생민족지식퀴즈대잔치"를 통하여 중국지역에서 선발한 조선족 고등학생들이다.] }}} || || 833 || [[8월 28일]][* 7월 24일이 아닌 8월 28일로 1개월 연기, 방송일이 여러번 연기되었다.] || 116 || 김민철(3학년,59번)[* 2016 왕중왕전(1부~2부 포함) 참가, 900회 특집 60번] || 경기 군포 부곡중앙고등학교 [br] (현 [[군포중앙고등학교]]) || {{{#ffcc00 골(회색)[* 출제분야:물리 - 힘 문제]}}} || 김학일 || [[중력파]] || || || 844 || [[11월 13일]] || 117 || 조한희(2학년,89번)[* 2명 중 1명이 등극, 2016 왕중왕전(1부~2부 포함) 불참, 900회 특집 16번] ||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경기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 || {{{#ffcc00 전(빨간색)[* 출제 분야:한국사 문제-근세 조선시대의 정치 문제]}}} || 장대식 || 왕:세종[br]법의 명칭:전분 6등법, 연분 9등법 || 2명 동시 쌍둥이 골든벨 등극 실패 [br] [* 여학교는 2명 중 1명이 510일만에 등극 및 여학생은 511일만에 등극] || === 2017년(118대~121대, 4명 등극)[* 2017년 유일하게 겨우 4명 밖에 여학생이 울리지 못했으며, 남학생이 단독으로 4명이 울렸으나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중단될때 까지 울리지 않았다.] === ||<|2><:> 회차 ||<|2> {{{#008000 방송일}}} ||<|2><:> 대수 ||<|2> {{{#ffcc00 수상자}}} ||<|2> {{{#800080 '''출신학교'''}}} || {{{#ffffff '''선택'''}}} ||<|2> 출제자[br](교장선생님) || {{{#ffffff '''골든벨 문제'''}}} ||<:><|2><#008000> {{{#FFD700 비고}}} || || '''(색)''' || '''(정답)''' || || 852 || [[1월 22일]][* 2월 19일이 아닌 1월 22일로 1개월 앞당겨 방송일 변경] || 118 || 이익찬(2학년,64번)[* 2018 왕중왕전 불참, 900회 특집(1부~2부 포함) 역대 최강자전 92번] || 경남 함안고등학교 || {{{#ffcc00 전(빨간색)[* 출제분야:세계 인물(위인) 문제]}}} || 류청수 || [[앨런 튜링]] || [* 당초 855회 방송분으로 변경한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영석고로 1월 15일 방송 말미에 예고하였는데 방송날짜를 임의로 당겼다는 의혹이 있다.][* 2월 19일이 아닌 1월 22일로 연기, 아쉽게 다음 달인 2월 19일로 방송할 뻔했다.][* 경남지역 군지역의 남학교 하동고/의령고,함안군의 명덕고가 각각 참가하는 학교가 참가할 뻔했다.][* 당초 인터뷰 12명 중 여학생 2명 밖에 인터뷰를 하지 못했으나 10명이 대부분 남학생이 많이 인터뷰했으나 아쉽게 여학생이 2명(김수빈, 최종 4인 박지영 2명의 학생) 밖에 인터뷰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아쉽게 여학생이 많이 인터뷰할 뻔했다.][* 49번 문제에서 최종 4인 이후 생존자 3명 중 3학년 이상 2명 중 엄찬우, 박지영 2명이 탈락하여 최종 골든벨 문제 3명 동시 도전은 실패] || || 863 || [[4월 23일]][* 4월 16일이 아닌 4월 23일로 방송일의 1주일 연기] || 119 || 박우선(1학년,37번)[* 2명 중 1명이 이승한 학생이 동시 울리지 못하여 탈락하여 119대에 울렸다. 900회 특집(1부~2부 포함) 역대 최강자전 119대(2명 중 1명 등극) 13번] || [[홍천고등학교(강원)|강원 홍천고등학교]] || {{{#ffcc00 벨(진한 보라색)[* 출제 분야:물리 - 파동 문제]}}} || 이영욱 || [[렌츠 법칙|렌츠의 법칙]][* 렌즈의 법칙 정답이 나올 뻔했다.] || 2명 중 쌍둥일 골든벨 실패 및 1명이 실패 [br] [* 지난주 또는 지난회 862회 경기 용인시 죽전고 편 최후의 1인 이승윤 학생이 용인시 지역 최초 울린 것 및 여학생이 울리지 못하여 실패한 경우이다.][* 2017년 2월 7일 강원 홍천고에서 녹화, 홍천고가 경기도 용인시가 아닌 강원도 홍천군이다. 강원도의 양구군 양구고, 화천군의 화천고 그리고 용인홍천고가 참가할 뻔했다.][* 남학교에서 2012년 1월 15일 대전대신고(◇, 재도전)(83대~84대)의 2명이 동시 탄생하여 이후 강원 홍천고의 2명이 동시 등극이 나올 뻔했다.][* 2명이 동시 등극할 뻔했다.] || || 866 || [[5월 7일]] || 120 || 함태원(1학년,10번)[* 2018 왕중왕전 31번, 35번 인터뷰] || [[청학고등학교|경기 남양주시 청학고등학교]] || {{{#ffcc00 도(남색)[* 출제 분야:컴퓨터(정보산업-기술) 문제]}}} || 이기덕 || [[양자컴퓨터]] || [* 110대 ~ 120대 골든벨에 등극하여 630일만에 달성][* 101대부터 120대까지 등극한지 617일만에 등극 - 역대 3번째로 거의 600일 이후 등극함][* 2연속 1학년이 골든벨 배출][* 120대 울린 이후 다음 해인 2학년 진급하여 2018 왕중왕전에 참가했다.] || || 872(재도전) || [[6월 18일]] || 121[br](재도전) || 윤병희(3학년,70번)(◇)[* 2018 왕중왕전 불참] || [[안양고등학교|경기 안양고등학교]](◇)[* 남학교가 아닌 남녀공학으로 첫도전 이후 재도전한 학교 121대 울린 학교] || {{{#ffcc00 벨(진한 보라색)[* 출제 분야:화학 - 물질 문제]}}} || 송영민 || [[탄소 나노 튜브]] || [* 안양시의 사립 여학교 '안양여고'가 참가할 뻔했다. 역대 재도전 학교 가운데서 최장 공백기인 6,722일만에 도전][* 2017년까지 여학교와 여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았던 상황이었다.] || === 2018년(122대~124대, 3명 등극)[* 2018년 유일하게 겨우 3명 밖에 남학생이 울리지 못했으며, 여학생이 단독으로 3명이 울렸다.] === ||<|2><:> 회차 ||<|2> {{{#008000 방송일}}} ||<|2><:> 대수 ||<|2> {{{#ffcc00 수상자}}} ||<|2> {{{#800080 '''출신학교'''}}} || {{{#ffffff '''선택'''}}} ||<|2> 출제자[br](교장선생님) || {{{#ffffff '''골든벨 문제'''}}} ||<:><|2><#008000> {{{#FFD700 비고}}} || || '''(색)''' || '''(정답)''' || || 899 || 6월 3일 || 122 || 박지호(3학년,58번)[* 2018 왕중왕전 불참] || [[계룡고등학교|충남 계룡고등학교]] || (색) || 박상식 || [[여유]][* 정약용의 당호이자 서재의 이름으로도 활용된 문제] || [* 골든벨 역사상 최장 공백기(350일)를 기록했으며, 여학생은 567일만에 울렸다.][* 학교 홈페이지의 포토갤러리가 나오지 않았으며, 공지사항에만 게시되었다.][*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최초로 여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였으며 도전 직전에서 여학생이 2번 실패하였다.] || || 922 || 11월 11일[* 11월 4일이 아닌 11월 11일로 1주일 연기] || 123 || 이채연(보통과 3학년,38번)[* 2018 왕중왕전 56번 참가, 39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 [[평택여자고등학교|경기 평택여자고등학교]][* 경기 평택시에 위치한 보통과 및 전문계 융합한 여학교] || (색) || 강윤석 || [[밈]] || [* 2003년 평택여자종합고에서 지금의 교명 변경한 학교로 인문계 및 인문과정과 상업계열을 융합한 여학교이다.][* [[이혜성(방송인)|이혜성]] 前 아나운서가 진행할때 이씨 최초로 여자MC 골든벨 등극][* 161일 넘게 등극자가 나오지 않았다.][* 11월 4일이 아닌 11월 11일로 아쉽게 11월 4일이 앞당겨 방송될 뻔했다.][* 2018년 10월 10일 ~ 10일 11일 및 양일간 참가하여 녹화한 학교이다.] [* 참가하여 123대 골든벨에 등극하여 배출한 학교 홈페이지에 나오지 않았다.][* 11월 4일 921회<소방의 날 특집 - 소방관 특집 골든벨> 방송분의 방송 중 123대 골든벨 울린 학생의 사진이 걸려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23대 울린 이후 졸업하여 한 교육대학에 진학한 경우였다.] || || 923 || 11월 18일 || 124 || 이가온(1학년,74번)[* 2018 왕중왕전 불참] || 충남 청양군 정산고등학교 || (색) || 진호용 || [[유예]] || [* 충남지역 군지역 고등학교의 남녀공학 학교가 참가할 뻔했다. 2018년 10월 25일 참가하여 녹화함][* 당초 도전한 학생의 이름은 이가은 학생 이름이 나올 뻔했다.][* 청양군 지역에서 최종 3인 중 1명의 남학생 이준형 학생이 아쉽게 최후의 1인 및 최후의 1인 최초로 결정될 뻔 했다.][* 윤소연 사회담당 선생님 인터뷰] || === 2019년(125대~129대(재도전), 5명 등극 및 6회 이상 등극 실패) === ==== 125대 ~ 126대(재도전) ==== ||<|2><:> 회차 ||<|2> {{{#008000 방송일}}} ||<|2><:> 대수 ||<|2> {{{#ffcc00 이름(학년)}}} ||<|2> {{{#800080 '''출신학교'''}}} ||<:><#000000> {{{#FFFFFF '''선택'''}}} ||<|2> 출제자 [br] (교장선생님) || {{{#ffffff '''골든벨 문제'''}}} ||<:><|2><#008000> {{{#FFD700 비고}}} || ||<:><#FF8000> '''(색)''' || '''(최종정답)''' || || 939[* [[강서은]] 前 아나운서 새 여자 MC] || [[3월 10일]][* 당초 3월 3일이 아닌 3월 10일로 1주일 연기] || 125 || 송명(1학년,34번)[* 2019 왕중왕전 17번, 최종 왕중왕 등극](☆) || [[운암고등학교(대구)|대구 북구 운암고등학교]] || {{{#ffcc00 골(회색)[* 출제 분야:세계사 문제]}}} || 김동호 || [[메멘토 모리]] || [* 3월 3일이 아닌 3월 10일로 아쉽게 여자MC의 이씨 여자 아나운서가 최초로 진행기간 및 참가학교 내에서 남학생이 나올 뻔 했다.][* 112일 넘게 울리지 않았으며, 전임 이혜성 前 아나운서가 진행 기간 내에 남학생이 아쉽게 울리지 않았다, 그리고 남학생은 정적을 깨고 630일만에 등극][* 학교 홈페이지에 나오지 않았으며, 학교에서는 참가하여 125대에 등극한 학교로 공지사항과, 포토갤러리를 나오지 않았으며 이 중에서 공지사항의 125대 울린 학생의 도전자가 장학생 전달식 소식에만 나온것 1건 밖에 없다.][* 관련기사의 남학생이 표기되지 않았으며, 당초 남학생을 붙히지 않고 남학생만 내용이 나오지 않아, 남학생을 표기하여 붙여서 내용이 나오는 것이 좋다.][* 125대에 남학생이 울린 한 고등학교의 퇴직한 교사인 아버지 송재문, 어머니 여미숙 씨와 진학한 대학교 미확정] || || 952(재도전) || [[6월 9일]][* 5월 26일이 아닌 6월 9일로 2주일 연기] || 126 || 임도연(1학년,91번)[* 2019 왕중왕전 23번] || [[용문고등학교(서울)|서울 성북구 용문고등학교]](◇)[* 경기 양평군이 아닌 서울 성북구 지역이 재도전에서만 변경] ||<#7F00FF><:> {{{#ffcc00 든(보라색)}}} || 진영남 || [[하이퍼루프]][* 영화 아이언맨의 실제 모델로 유명한 엘론 머스크 테슬라 모터스 최고경영자(CEO)가 2013년 여름에 공개한 초고속 진공튜브 캡슐열차를 말한다.>에 관하여 이것을 적는 문제] || [* 2019년 5월 14일 본교에서 녹화하여 재도전하여 재참가][* 재도전 학교에 학교 홈페이지에 나오지 않았다.] || ==== 127대(재도전) ~ 128대 ==== ||<|2><:> 회차 ||<|2> {{{#008000 방송일}}} ||<|2><:> 대수 ||<|2> {{{#ffcc00 이름(학년)}}} ||<|2> {{{#800080 '''출신학교'''}}} ||<:><#000000> {{{#FFFFFF '''선택'''}}} ||<|2> 출제자 [br] (교장선생님) || {{{#ffffff '''골든벨 문제'''}}} ||<:><|2><#008000> {{{#FFD700 비고}}} || ||<:><#FF69B4> '''(색)''' || '''(최종정답)''' || || 961(재도전)[* 강서은 前 아나운서 마지막 MC] || [[8월 25일]] || 127 || 이휘리(2학년,37번)[* --이휘라--가 아닌 이휘리의 학생임, 2019 왕중왕전 27번, 온라인 도전 골든벨 3부(역대 참가학교 도전자별)(회차 없음)(2020년 5월 31일 방송분) 참가] || [[봉의고등학교|강원 춘천시 봉의고등학교]](◇) || {{{#ffcc00 벨(진한 보라색)[* 출제 분야:역사]}}} || 민광식 || [[환구단]] || [* 춘천시 지역 중 남학교(성수고), 여학교(성수여고), 전인고가 참가할 뻔했다.][* 2019년 7월 5일 재도전으로 재참가][* 춘천시 3연속 재도전 학교 참가, 학교 홈페이지에 나오지 않았음][* 여학생은 280일 만에 울렸다. 여학생 통산 51회 골든벨 등극][* 127대 울린 어머니의 미확정으로 표기하지 않았으나, 당초 여학생을 붙히지 않고 여학생만 내용이 나오지 않았는데 여학생을 표기하여 붙여서 내용이 나오는 것이 좋다] || || 963 || [[9월 8일]][* 9월 1일이 아닌 9월 8일로 1주일 연기] || 128 || 김민석(2학년,25번)[* 2019 왕중왕전 최후의 4인 28번] || [[하남고등학교|경기 하남고등학교]] ||<#7F00FF><:> {{{#ffcc00 든(보라색)[* 출제 분야:한국사]}}} || 정진보 || [[우당 이회영]] || [* 2015년 역사통일 골든벨 이후 같은 학교 소속 이후 2번 이상 등극, 94대(687회)에 이어 같은 방송일이 2번째 등극][* 참가하여 128대에 등극한 학교 홈페이지에 나오지 않았다.][* 방송일의 날짜(9월 8일)의 지난 687회에 이어 2번 이상 등극][* [[박지원(아나운서)|박지원(45기)]] 아나운서 여자 MC 진행 이후 9월 1일이며, 128대인데 아쉽게도 방송시간 변경으로 9월 1일이 아닌 9월 8일로 아쉽게 여자 MC 첫진행으로 남학생이 나올 뻔했다. 이후 역대 2번째로 여자MC 첫진행으로 남학생 첫 골든벨 등극 이후 첫 여자 MC로 3번째로 나올 뻔했으며,역대 2번째로 여자 MC 첫진행으로 남학생 첫 골든벨 등극(정지원 아나운서 - (90대), 강서은 아나운서 - (125대)에 이어 첫 여자 MC로 3번째로 나올 뻔했다.] || ==== 129대(재도전) ==== ||<|2><:> 회차 ||<|2> {{{#008000 방송일}}} ||<|2><:> 대수 ||<|2> {{{#ffcc00 수상자}}} ||<|2> {{{#800080 '''출신학교'''}}} || {{{#ffffff '''선택'''}}} ||<|2> 출제자[br](교장선생님) || {{{#ffffff '''골든벨 문제'''}}} ||<|2> {{{#FFD700 비고}}} || || '''(색)''' || '''(정답)''' || || 969(재도전) || [[10월 27일]] || 129 || 이재창(3학년,12번)[* 2019 왕중왕전 2번, 온라인 도전 골든벨 1부(역대 참가학교 도전자별)(회차 없음)(2020년 5월 17일 방송분) 참가] || [[마산삼진고등학교|경남 창원시 마산삼진고등학교]](◇) ||<:><#808080> {{{#ffcc00 골(회색)[* 출제분야:소설]}}} || 강상석 || [[불쾌한 골짜기]] || [* 2019년 9월 23일에 재도전한 학교이다.][* 초반 1번부터 19번 이후 틀림없이 패자부활 없이 이후 찬스를 사용하지 않고 129대에 울려 재도전 학교에 울린 경우이다.][* 129대 재도전 학교에서 울린 이후 담임교사와 기념촬영은 사진 모습이 나왔다. 최후의 1인의 담임교사와 어머니 미확정과 진학한 대학 이름 미확정][* 이후 6회 이상 등극 실패, 아쉽게 6회 이상 나올 뻔했다.] || === 2020년(130대~131대(재도전), 2명 등극) === ||<|2><:> 회차 ||<|2> {{{#008000 방송일}}} ||<|2><:> 대수 ||<|2> {{{#ffcc00 수상자}}} ||<|2> {{{#800080 '''출신학교'''}}} || {{{#ffffff '''선택'''}}} ||<|2> 출제자[br](교장선생님) || {{{#ffffff '''골든벨 문제'''}}} ||<|2> {{{#FFD700 비고}}} || || '''(색)''' || '''(정답)''' || || 981 || [[1월 19일]] || 130 || 류승현(1학년,51번)[* 온라인 도전 골든벨 2부(역대 참가학교 도전자별)(회차 없음)(2020년 5월 24일 방송분) 참가] || [[동천고등학교|부산 남구 동천고등학교]] || {{{#ffcc00 든(흰색)[* 출제 분야:음악]}}} || 강병로 || [[발키리]] || 남학생 최후의 등극 마지막 [br] [* 2년 만의 남학교 단독 학교체 참가, 남학생 통산 79회 등극, 이후 남학생 통산 80회 고지 등극 실패, 마지막 남학생 등극자][* 130대 울린 중 학교 홈페이지에 나오지 않았으며, 인스타그램에도 나오지 않았다.] || || 988(재도전) || [[3월 22일]] || 131(마지막) || 류한나(2학년,37번)[* 당초 류안나가 아닌 '안'자가 아닌 '한'자로 1글자 차이였다. 온라인 도전 골든벨 1부(역대 참가학교 도전자별)(회차 없음)(2020년 5월 17일 방송분) 참가] || [[청주여자고등학교|충북 청주여자고등학교]][* 남학교 '청주고'가 아닌 여학교 재도전으로 변경함] [br] (現 청주시 청원구[* 통합청주시 출범 후])(◇) || {{{#ffcc00 든(흰색)[* 1번- 100명 - 9명 탈락,6번- 79명- 1명 탈락,9번- 65명 - 13명 탈락,16번- 42명 - 14명 탈락,21번 15명 - 12명 탈락, 패자부활전원부활 성공 - 24번- 84명 -5명 탈락, 28번 - 60명 - 18번 탈락,31번 - 42명 - 13명 탈락,37번 - 15명 - 명 탈락, 출제 분야:과학]}}} || 정우정 || [[뮤온]] || 여학생 최후의 등극 마지막 및 최종 등극자 [br] [* 전체 도전자 100명 중 1명의 최후의 1인이 --박유정(당시 2학년)-- 학생이 결정되어 있었으나 아쉽게 도전자가 아닌 다른 학생의 131대 울린 학생 에 등극했다.아쉽게 131대에 나올 뻔했다.][* 210일 만의 여학생이 울렸다, 131대의 재도전에서 여학생 등극한 내용이 나오지 않았으며, 여학생 통산 52회 등극, 마지막 여학생 등극자 및 마지막 최후의 등극자] || == 골든벨 수상자 분포(131대 및 131명 등극 학생 기준, 116개 등극 학교 기준) == === 지역별 === * 두 명 이상의 골든벨의 명예의 전당에 등극한 지역은 (2)로 표시한다. ==== 지역 ==== ||<:> 지역 ||<:> 남자 ||<:> 여자 ||<:> 수상자 ||<:> 비고 || || [[서울특별시]] || 13 || 7 || 20 || [* 1999년 9월 10일 독립 편성에서 최초로 골든벨을 울린 서울 상명여고(現 상명고)의 5대 변보영][* 서울에서는 같은 학교 중산고(서울) - 5대 장태진, 75대 김주송(500회 특집 전국 고교 최강전)에서 등극] || || [[부산광역시]] || 5 || 2 || 7 || || || [[대구광역시]] || 5 || 3 || 8 || || || [[인천광역시]] || 4 || 1 || 5 || || || [[광주광역시]] || 2 || 2 || 4 || [* 현재까지 광주에서는 통산 4회 중 여학생 2회(53대, 66대), 남학생 2회(79대, 97대) 밖에 골든벨을 울린 후 재미있게도 남고가 아닌 모두 남녀공학, 여고가 있다는 게 특징.] || || [[대전광역시]](2) || 2 || 1 || 3 || [* 역대 2번째로 2012년 1월 15일 2인 동시 등극으로 대전대신고등학교(◇) 재도전으로 역대 재도전 학교가 2번째 골든벨 탄생][* 현재까지 대전에서는 이 두 개의 고등학교 밖에 골든벨을 울리지 못했다. 재미있게도 남녀공학이 아닌 남고와 여고이며, 모두 서구에 있다는 게 특징.] || || [[울산광역시]] || 1 || 0 || 1 || [* 현재까지 2003년 9월 7일 - 34대의 울산에서는 이 한 개의 고등학교 밖에 골든벨을 울리지 못했다.] || || [[세종특별자치시]] || 2 || 0 || 2 || [* 교명 변경 전(2008년 7월 20일, 조치원고 - 68대) 이후 모두 등극한 횟수 2회로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기 전의 [[충청남도]] [[연기군]]이었다.][* 세종특별자치시(구 충남 연기군 지역)은 같은 학교 현 세종고(구 조치원고) - 68대 정경식(구 조치원고), 93대 김진욱(현 세종시 - 팔도 최강전 세종시 편)] || || [[경기도]] || 16 || 7 || 23 || [*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 1999년 2월 19일 초대 골든벨을 울린 경기 성남 분당고 이병렬][* 경기에서는 2016년 11월 13일 2명 중 1명 등극한 117대 조한희(이천양정여고)][* 그동안 [[경기도]] 지역은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 현재(2015년 1월 4일 ~ 현재, 106대 ~ 현재)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통의 선택에서 경기도(43대, 50대, 51대, 58대, 69대, 98대, 102대, 105대 ~ 106대, 110대, 112대, 114대, 116대 ~ 117대, 120대 ~ 121대) 지역은 모두 도, 전, 골, 든, 벨을 16개 통을 모두 5개를 선택하여 모두 등극함.] || || [[강원도]] || 6 || 1 || 7 || [* 강원에서는 같은 학교 춘천고 - 37대 박진, 59대 문형범(2006년 독서 골든벨)에서 등극] || || [[충청북도]] || 2 || 1 || 3 || [* 현재까지 충북에서는 통산 3회 중 남학생 2회, 여학생 1회 밖에 골든벨을 울리지 못했으며 충주와 제천 이외의 지역은 없다. 재미있게도 남녀공학이 아닌 남고와 여고가 있다는 게 특징.] || || [[충청남도]] || 5 || 1 || 6 || [* 충남에서는 2012년 2월 5일 2명 중 1명 등극 - 86대 이건희(충남외고)][* 충청남도 지역은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통의 선택(도(빨간색), 전(노란색), 골(파란색), 든(하얀색), 벨(초록색))에서 충청남도의 모두 도, 전, 골, 든, 벨을 모두 선택하여 모두 등극함] || || [[전라북도]] || 1 || 4 || 5 || [* [[2014년]] [[7월 13일]]에 방송된 전주 [[전북여자고등학교]] 편에서 100대 골든벨 김희주 양 학생이 등극하여 100대 골든벨 금자탑으로 첫 골든벨이 울린지 5,623일 만에 금자탑을 달성해 전북지역은 최장 공백기로 4,895일 만에 등극함][* 현재까지 전북에서는 통산 5회 중 여학생 4회(4대, 18대, 100대, 109대), 남학생 1회(101대 - 특집편) 밖에 골든벨을 울리지 못했으며 전주(18대, 100대~101대, 109대)와 익산(4대) 이외의 지역은 없다. 재미있게도 남자(101대의 특집에서만 등극, 단독 등극 없음)가 아닌 모두 여자이며 재미있게도 남녀공학이 아닌 여고(4대, 18대, 100대, 109대)가 있다는 게 특징이고 특집편에서만 남학생이 등극한 게 특징이고 남학생은 특집편 밖에 단독으로 전북지역이 참가 학교의 남학생이 등극한 적이 없다.] || || [[전라남도]] || 2 || 5 || 7 || [* 현재까지 전남에서는 통산 7회 중 여학생 5회(9대, 32대, 60대, 77대, 92대), 남학생 2회(87대, 95대) 밖에 골든벨을 울린 후 재미있게도 남고가 아닌 아닌 모두 남녀공학, 여고가 있다는 게 특징.] || || [[경상북도]](2) || 4 || 6 || 10 || [* 2005년 3월 6일 KBS 공사창립 특집의 경북 구미여자고등학교가 역대 최초로 한회의 한 학교에서 2명 동시 명예의 전당에 등극하였다.][* 경북에서는 2006년 6월 11일 2명 중 1명 등극 - 56대 윤문열(칠곡 순심고)][* 아직까지 경북지역에서는 남학생이 출신 공학에서는 등극하지 않고 있다.] || || [[경상남도]] || 7 || 3 || 10 || || || [[제주특별자치도]] || 0 || 0 || 0 || [* 참고로 지금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서는 2000년 1월 7일의 첫 방송부터 지금까지 공식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고 있다.] || || {{{#gold [[중국]]}}} || {{{#gold 0}}} || {{{#gold 1}}} || {{{#gold 1}}} || {{{#gold [* 2016년 8월 21일 재중동포 특집편에서 골든벨을 울린 여학생은 115대 황미홍]}}} || || 합계 || 76 || 45 || 131 || || ==== 순위 ==== ||<:> 순위 ||<:> 지역 ||<:> 남자 ||<:> 여자 ||<:> 수상자 || || 1 || [[경기도]] || 16 || 7 || 23 || || 2 || [[서울특별시]] || 13 || 7 || 20 || ||<|2> 3 || [[경상북도]](2) || 4 || 6 ||<|2> 10 || || [[경상남도]] || 7 || 3 || || 4 || [[대구광역시]] || 5 || 3 || 8 || ||<|2> 5 || [[전라남도]] || 2 || 5 ||<|2> 7 || || [[강원도]] || 6 || 1 || ||<|2> 6 || [[부산광역시]] || 5 || 2 ||<|2> 7 || || [[충청남도]] || 5 || 1 || ||<|2> 7 || [[인천광역시]] || 4 || 1 ||<|2> 5 || || [[전라북도]] || 1 || 4 || || 8 || [[광주광역시]] || 2 || 2 || 4 || ||<|2> 9 || [[충청북도]] || 2 || 1 ||<|2> 3 || || [[대전광역시]](2) || 2 || 1 || || 10 || [[세종특별자치시]] || 2 || 0 || 2 || ||<|2> 11 || [[울산광역시]] || 1 || 0 ||<|2> 1 || || {{{#gold [[중국]]}}} || {{{#gold 0}}} || {{{#gold 1}}} || || 12 || [[제주특별자치도]] || 0 || 0 || 0 || || 합계 || 17개 지역 [br] 중국 || 75 || 46 || 131 || === 연도별 === * 2명 동시에 등극한 경우 (2)로 표시한다. * 2명 중 1명만 등극한 경우 (1)로 표시한다. ||<:> 연도 ||<:> 남자 ||<:> 여자 ||<:> 수상자 ||<:> 누적 수상자 ||<:> 비고 || ||<|3> 1999 || 3 || 2 || 5 ||<|3> 9 || 접속! 신세대 코너 || || 1 || 3 || 4 || 독립 편성 || || 4 || 5 || 9 || || || 2000 || 5 || 2 || 7 || 16 || || || 2001 || 4 || 4 || 8 || 24 || || || 2002 || 2 || 4 ||<|2> 6 || 30 || || || 2003 || 3 || 3 || 36 || || || 2004 || 5 || 2 || 7 || 43 || || || 2005(2) || 5 || 4(2) || 9 || 52 || || || 2006(1) || 5(1) || 3 || 8 || 60 || || || 2007 || 3 || 2 || 5 || 65 || || || 2008 || 2 || 4 || 6 || 71 || || || 2009 || 4 || 0 ||<|2> 4 || 75 || || || 2010 || 2 || 2 || 79 || || || 2011 || 2 || 1 || 3 || 82 || || || 2012(2)(1) || 7(1) || 0 || 7 || 89 || || || 2013 || 6 || 2 ||<|2> 8 || 97 || || || 2014 || 5 || 3 || 105 || || || 2015 || 4 || 3 || 7 || 112 || || || 2016(1) || 2 || 3(1) || 5 || 117 || || || 2017 || 4 || 0 || 4 || 121 || || || 2018 || 0 || 3 || 3 || 124 || || || 2019 || 4 || 1 || 5 || 129 || || || 2020 || 1 || 0 || 2 || 131 || || === 등극횟수별 === ||<:> 순위 ||<:> 연도 ||<:> 남 ||<:> 여 ||<:> 등극자 || ||<|2> 1 || [[1999년]] || 4 || 5 ||<|2> 9 || || [[2005년]](2) || 5 || 4 || ||<|4> 2 || [[2001년]] || 4 || 4 ||<|4> 8 || || [[2006년]] || 6 || 2 || || [[2013년]] || 2 || 6 || || [[2014년]] || 5 || 3 || ||<|4> 3 || [[2000년]] || 2 || 5 ||<|4> 7 || || [[2004년]] || 5 || 2 || || [[2012년]](2) || 7 || 0 || || [[2015년]] || 4 || 3 || ||<|3> 4 || [[2002년]] || 3 || 3 ||<|3> 6 || || [[2003년]] || 3 || 3 || || [[2008년]] || 2 || 4 || ||<|2> 5 || [[2007년]] || 3 || 2 ||<|2> 5 || || [[2016년]] || 2 || 3 || ||<|3> 6 || [[2009년]] || 4 || 0 ||<|3> 4 || || [[2010년]] || 2 || 2 || || [[2017년]] || 4 || 0 || || 7 || [[2011년]] || 2 || 1 || 3 || || 합계 || 19년 || 75 || 46 || 131 || === 선택(색)별 === ====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 ==== ||<:> 선택(색) ||<:> 남자 ||<:> 여자 ||<:> 수상자 수 || || {{{#ffffff 도(빨간색)}}} || 5 || 4 || 9 || || 전(노란색) || 8 || 4 || 12 || || {{{#ffffff 골(파란색)}}} || 12 || 4 || 16 || || 든(하얀색) || 11 || 9 || 20 || || {{{#ffffff 벨(초록색)}}} || 9 || 6 || 15 || || 합계 || 45 || 27 || 72 || ====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2019년(106대 ~ 129대) ==== ||<:> 선택(색) ||<:> 남자 ||<:> 여자 ||<:> 수상자 수 || || {{{#ffcc00 도(남색)}}} || 1 || 0 || 1 || || {{{#ffcc00 전(빨간색)}}} || 3 || 3 || 6 || || {{{#ffcc00 골(회색)}}} || 3 || 2 || 5 || || {{{#ffcc00 든(보라색)}}} || 0 || 1 || 1 || || {{{#ffcc00 벨(진한 보라색)}}} || 3 || 0 || 3 || || 합계 || 10 || 6 || 16 || ==== 현재([[2020년]] ~, 130대 ~ '''현재''') ==== === 선택별 === ||<:> 선택 ||<:> 남자 ||<:> 여자 ||<:> 수상자 수 || === 성별 === ||<:> 성별 ||<:> 수상자 수 || || 남자 || 75 || || 여자 || 46 || || 합계 || 121 || === 학교 성별 === ||<:> 학교 성별 ||<:> 학교 수 || || 남고(2) || 39[* [[2017년]] [[4월 23일]] 119대([[홍천고등학교(강원)|강원 홍천고등학교]] 1학년) 현재 남학교 마지막 등극자] || || 여고(2) || 30[* [[2016년]] [[11월 13일]] 117대 조한희([[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경기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 2학년) 현재 여학교 마지막 등극자] || || 남녀공학 || 47[* [[2017년]] [[6월 18일]] 121대([[안양고등학교|경기 안양고등학교]](◇) 3학년) 현재 남녀공학 학교 마지막 등극자] || || 합계 || 116[* 같은 학교에서 2번 이상 울린 경우는 1회로 처리] || === 학교 유형 === ||<:> 학교 유형 ||<:> 등극 학교 수 || || 일반고 || 112 || || 특성화고 || 3 || || 해외 소재 고교 || 1 || || 합계 || 116 || === 학년별 === ||<:> 학년 ||<:> 수상자 수 || || 1학년 || 17 || || 2학년 || 35 || || 3학년 || 69 || || 합계 || 121 || === 참고 사항 === * 특집 방송분, 고등학교만을 대상으로 한다. * 교명 변경 전 및 교명 변경 후에 참가하여 등극한 경우에만 처리한다. * 2인 및 2명 동시 등극한 회차는 1학교로 처리한다. * 같은 지역에서 2학교 이상/3학교 이상이 등극한 회차는 1회로 처리한다. * 2번 이상 재도전/3번 이상 재도전해서 등극한 학교는 첫 번째로 출연한 경우만 들어간다. * 지역 연합은 1학교로 처리한다.(과학고 특집, 독서 골든벨이 연합해서 한 특집 제외)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도전 골든벨/각종 기록들,version=567)] [[분류:도전 골든벨]][[분류: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