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제방송채널)] [include(틀:ARD의 지역 방송국)] [[파일:도이체 벨레 로고.svg|width=200]] {{{+1 Deutsche Welle}}} [[http://www.dw.de|홈페이지]] [[https://www.youtube.com/user/deutschewelle|DW(독일어) 유튜브]] [[https://www.youtube.com/user/deutschewelleenglish|DW English 유튜브]] [목차] == 개요 == [[독일]]의 공영 국제 방송. [[한국어]]로 번역하면 "독일의 전파"라는 뜻이다. 본부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본(독일)|본]]에 있다. == 연혁 == 설립 초기에는 [[서부독일방송]]이 편성을 담당했지만, [[1960년대]]에 해외향 방송은 [[독일 정부]]의 외교권에 속한다는 법원의 [[유권해석]]이 내려지면서 지금처럼 별도의 [[법인]]에서 운영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미국의 소리]], [[KBS 월드 라디오]]처럼 독일의 해외 [[프로파간다]]를 담당했다.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베를린]]의 [[주독미군]]이 송출하던 텔레비전 방송국인 RIAS-TV(Rundfunk im Amerikanischen Sektor, 미국관리지구방송)를 인수해서 DW-TV를 3개 언어[* [[독일어]], [[영어]], [[스페인어]]] [[위성방송]]으로 개국했다. [[냉전]] 종식 이후에는 프로파간다보다는 단순 보도 위주로 운영된다. == 성향 == [[https://mediabiasfactcheck.com/dw-news/|Media bias fect check]]에 의하면 [[프랑스 24]]보다 조금 더 좌파적이며, 근거보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왔다. [[다큐멘터리]]의 질은 준수하지만, 단순 보도의 수준이 경쟁사 대비 저조한 경우가 상당히 많다. == 방송 송출 == 방송 송출 [[언어]]는 [[독일어]]와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세르비아어]], [[스와힐리어]], [[하우사어]], [[인도네시아어]], [[불가리아어]], [[루마니아어]], [[슬로베니아어]], [[그리스어]], [[힌두어]], [[벵골어]], [[우르두어]], [[표준중국어]], [[암하라어]], [[마케도니아어]], [[파슈토어]], [[다리어]], [[알바니아어]], [[우크라이나어]] 이다. [[한국어]] 방송은 애초에 시작도 하지 않았고,[* 다만, 영어를 잘하면 볼 수는 있다.] [[일본어]] 방송은 [[1969년]]부터 [[2007년]]까지 실시했다. [[단파방송]]을 위한 송신소는 구 [[서독]]에 두곳, 구 [[동독]]에 한곳, [[스리랑카]], [[포르투갈]]에 각각 한곳씩 있었는데 모두 폐지되었고 [[2015년]] [[3월 28일]]부로 [[르완다]] 키갈리 중계소까지 송출을 중단하였다. 그래서 2015년 현재 DW 단파방송 송신소는 죄다 다른 방송사에서 리스한 것들로, 태반이 [[유럽]]과 [[서아시아]]향 송출이다. 폐지 전 르완다 키갈리 송신소에서는 [[아프리카]],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향으로 암하라어, 다리어, 영어, 프랑스어, 하우사어, 파슈토어, 포르투갈어, 스와힐리어, 우르두어 방송을 송출하였다. 나머지 언어는 도이체 벨레 홈페이지에서 들을 수 있다. 특이하게도 재전송에 별 제한을 걸지 않아서, 몇몇 국가들은 DW-TV의 프로그램을 [[지상파]]나 [[케이블]]로 재전송하기도 한다.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http://www.asiasat.com//technology/technical-support/channel-guides|Asiasat 7]]에서 영어, 독일어 TV와 [[라디오]]를 DVB-S 직접수신으로 시청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2001년부터 5년여 간 [[아리랑TV]]에서 블록편성을 하다가 [[olleh tv]](IPTV)에서 영어방송을 송출 중. [[홈페이지]] 구축 10주년을 기념해서 [[2004년]]에 [[클링온]] 버전의 홈페이지를 개통했다.[[http://klingon.dw-world.de/klingon/index.php|#]] 역시 [[오덕|덕국]]. 이후에 업데이트는 안 한 것으로 보인다. == 날씨 음악 == [youtube(acUxMN4fWbI)] [[2019년]]부터 바뀐 날씨음악 * [[https://youtu.be/FUEwUeTjFMs|2015년]] * [[https://youtu.be/y94x1SReflw|2014년]] - [[2011년]]에도 같은 음악이 쓰였다. == 어학 학습 == [[https://www.dw.com/en/learn-german/s-2469|인터넷 홈페이지]]에서는 도이체 벨레의 뉴스를 [[유럽언어기준]]에 맞게 나눠서 [[Goethe-Zertifikat|괴테 시험]] 준비자료로 쓸 수 있게 제공한다. B1과 B2-C1 수준이 제공되므로 도이체 벨레에서 제공하는 읽기 문제와 단어장, [[MP3]] 파일을 적절하게 활용해 보자. 사실 독일어를 학습하는 입장에서 여러 모로 공부하기 편하게 구성되어 있다. 어학 부분은 [[https://www.facebook.com/dw.learngerman|페이스북 페이지]]도 따로 가지고 있다. [[분류:ARD]][[분류:국제방송]][[분류:보도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