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룡종]][[분류:중형 몬스터]][[분류:몬스터 헌터 시리즈/등장 생물/메인 시리즈]]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쥬라기 원시전 시리즈의 유닛, rd1=람포스(쥬라기 원시전 시리즈))] || [[파일:도스람포스 무인 렌더링.webp|width=100%]] || [[파일:external/static4.wikia.nocookie.net/MH4-Velocidrome_and_Velociprey_Render_001.png|width=100%]] || || {{{#ffffff 몬스터 헌터}}} || {{{#ffffff 몬스터 헌터 4}}} || ||<-2> 중앙이 도스람포스, 양 옆이 람포스 || [목차] == 도스람포스 == ||<-9> '''도스람포스 인게임 아이콘''' || || [[파일:도스람포스 포터블 아이콘.png|width=51]] || [[파일:도스람포스 세컨드 아이콘.png|width=51]] || [[파일:도스람포스 크로스 아이콘.png|width=51]] || [[파일:도스람포스 스토리즈2 아이콘.png|width=51]] || || [[몬스터 헌터|MH]] || [[몬스터 헌터 도스|MH2]] || [[몬스터 헌터 4|MH4]] ||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 2|MHST2]]|| ||
<|4> {{{#!wiki style="margin: 0px -5px" [[파일:도스람포스 스토리즈2 아이콘.png|width=100]]}}} || 이름 ||도스람포스 / ドスランポス / Velocidrome || || 별명 ||없음 || || 분류 ||용반목-조각아목-주룡하목-람포스과 || || 종별 ||[[조룡종]] || || 아이콘([[몬스터 헌터 스토리즈 2|MHST2]]) || 등장 ||[[몬스터 헌터|MH]], [[몬스터 헌터 G|MHG]], [[몬스터 헌터 포터블|MHP]], [[몬스터 헌터 도스|MH2]],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MHP2]],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 G|MHP2G]], [[몬스터 헌터 4|MH4]], [[몬스터 헌터 4G|MH4G]], [[몬스터 헌터 크로스|MHX]], [[몬스터 헌터 더블 크로스|MHXX]],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MHF]],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MHST]],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 2|MHST2]]|| ||
전투 BGM ||소란스러운 방문자[* [[몬스터 헌터 4]]의 중형 몬스터 범용 BGM이다.][br](喧々たる来訪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AtXRlsg_0s,width=460, height=50)]}}} ||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지상형 중형 [[조룡종]] 몬스터. 람포스 무리의 우두머리로 덩치가 크며, 빨간 볏이 달리고 덩치가 더 큰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헌터]]가 처음으로 접하는 보스 몬스터이지만 그래봐야 람포스 기반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으며, 말 그대로 한 번 잡아보라고 넣어준 튜토리얼 격의 몬스터이기 때문에 정말 [[발컨]]이거나 방심한 것이 아니라면 대부분 크게 어렵지 않게 잡을 수 있다. [[고룡종]]이 아니기 때문에 용속성이 먹히지는 않으나 대부분의 속성이 잘 들어가며, 특히 빙속성에 취약하다. 사실 속성이라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을 정도로 약한 몬스터이기에 신경 쓸 필요는 없다. == 람포스 == ||<-9> '''람포스 인게임 아이콘''' || || [[파일:람포스 포터블 아이콘.png|width=51]] || [[파일:람포스 크로즈 아이콘.png|width=51]] || [[파일:람포스 라이즈 아이콘.png|width=51]] || [[파일:람포스 스토리즈2 아이콘.png|width=51]] || || [[몬스터 헌터|MH]] || [[몬스터 헌터 4|MH4]] ||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MHRSB]] ||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 2|MHST2]]|| ||
<|4> {{{#!wiki style="margin: 0px -5px" [[파일:람포스 라이즈 아이콘.png|width=123]]}}} || 이름 ||람포스 / ランポス / Velociprey || || 별명 ||없음 || || 분류 ||용반목-조각아목-주룡하목-람포스과 || || 종별 ||[[조룡종]] || || 아이콘([[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MHRSB]]) || 등장 ||[[몬스터 헌터|MH]], [[몬스터 헌터 G|MHG]], [[몬스터 헌터 포터블|MHP]], [[몬스터 헌터 도스|MH2]],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MHP2]],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 G|MHP2G]], [[몬스터 헌터 4|MH4]], [[몬스터 헌터 4G|MH4G]], [[몬스터 헌터 크로스|MHX]], [[몬스터 헌터 더블 크로스|MHXX]],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MHRSB]],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MHF]],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MHST]],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 2|MHST2]]||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소형 [[조룡종]] 몬스터. 첫 등장은 [[몬스터 헌터]]. 서식지는 밀림, 숲과 언덕, 수해, 옛밀림. 몬헌의 유서깊은 [[잡몹]]이다. 지상형 [[조룡종]]의 기본이 되는 몬스터이며 공격력이나 맷집 둘 다 매우 약하다. 람포스보다 약한 육식형 몬스터는 [[기아노스]] 정도 뿐이며, 그마저도 특수 공격이 없어 기아노스보다 더 약하다는 느낌조차 들 때가 있다. 트라이와 그 확장팩에서 불참하였으나, 몬스터 헌터 4에서 복귀했다. 그러나 월드와 아이스본, 라이즈에서 불발되어 포지션은 거의 [[재기(몬스터 헌터 시리즈)|재기]]가 대신 담당했으나, 라이즈의 확장팩인 선브레이크에서 다시 한 번 모습을 드러내었다. 반면 그들의 우두머리인 도스람포스는 나오지 못했다. == 특징 및 공략 == [include(틀:몬스터 헌터 크로스/대형 몬스터)] 물기와 점프공격을 하며 딱히 [[상태이상]]을 유발하는 공격은 없다. 하지만 점프력이 상당하기 때문에 갑자기 확 달려드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어떤 무기를 사용해도 상관은 없지만 빠르기 때문에 역시 [[한손검(몬스터 헌터 시리즈)|한손검]]이나 [[쌍검(몬스터 헌터 시리즈)|쌍검]]이 편하다. 3시즌에선 기존에 있던 몬스터들이 [[물갈이]]당하고 그에 해당하는 비슷한 컨셉의 몬스터가 나오는 와중에 람포스를 포함해 그쪽 계열 몬스터가 몽땅 물갈이 당하고, 대신에 [[재기(몬스터 헌터 시리즈)|재기]] 계열 몬스터가 나오게 된다. 이후 [[몬스터 헌터 4]]에 참전. PV 영상에서 집단으로 헌터에게 포식을 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탐색이랑 [[길드 퀘스트]]로만 등장하는데, 아무래도 몬스터 헌터 4에는 람포스 계열이 서식할 만한 숲 지형이 탐색/길퀘에서만 나오는 '미지의 수해'밖에 없기 때문인 듯하다. 전작들의 물기와 점프의 무한 반복과는 다르게 크게 물러났다가 빠르게 전방을 무는 패턴이 추가. 근접하려는 타이밍에 아차하고 [[카운터]]를 맞기 십상이며 재기 계열과는 차별화된 회전력과 스피드로 초보들을 공격해온다. 물약이라도 마시려고 멀리 떨어졌는데 저멀리서 한 방에 점프해서 덮치는 도스람포스를 보자면 감회가 새로울 것이다. 또한 [[이블조]]처럼 짧게 덮쳐 구속 공격을 거는 패턴도 추가되었다. 이 패턴의 경우, 사이드 스텝을 2회 밟고 덮친다. 또한 더블 크로스의 G급 개체는 사이드 스텝을 밟지 않고 바로 덮쳐서 구속 공격을 하기도 한다. 여단 퀘스트에서 탐색의 개념을 설명해 줄 때 처음으로 탐색에서 만날 수 있는 대형 몬스터이다. 극초반 탐색 퀘스트부터 등장하는데, 상당히 작은 몸집과 매우 빠른 속도 등 때문에 초반에는 고전할 수 있다. 쪼렙일 땐 그야말로 호구지만 레벨이 올라갈 수록 공격력·체력이 무식하게 늘어나고 125레벨 정도부턴 광룡화까지 되기 때문에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별거도 아닌 공격에 피가 뚝뚝 달고 점프 공격 한번에 피가 뭉텅이로 사라지는 무시무시한 몬스터로 돌변한다. 하지만 길퀘의 몬스터 중에서는 그래도 패턴이 만만한데다 담쟁이덩굴 위에서 머리경직을 주면 덩굴에 빠져서 허우적대는 '담쟁이덩굴 람포스'라는 꼼수의 발견으로 4G가 나오기 이전까진 길드 퀘스트 레벨업을 위해 엄청나게 많은 수가 썰려나갔다. [[분노]]시 전작과는 다르게 콧김이 보이며 재기 계열처럼 머리의 볏을 부위 파괴가 가능해졌다. [[몬스터 헌터 4G]]의 다운로드 퀘스트 '람포스들의 왕초!'는 격투장에서 최대 금관 도스람포스를 수렵하는 퀘스트인데, 여기에서 나오는 도스람포스는 크기가 무려 1736.40으로 해당 퀘스트에 같이 나오는 [[이블조]]와 몸 크기가 비슷하다. 도스람포스를 비롯한 지상형 조룡종들의 공통된 특징으로서, 행동 사이의 간격이 작고 먼 거리를 빠르게 점프하며 움직이는 데다가 소경직(움찔)이나 대경직(넘어짐) 후에도 큰 딜레이 없이 즉시 반격하는 경우가 많아 무작정 몰아붙였다가는 은근히 많은 반격을 허용하게 된다. 대경직이 곧 극딜 타이밍인 대부분의 다른 몬스터들과는 대조적이다. == 장비 및 소재 == === [[몬스터 헌터]] ~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 G]] === 람포스 이빨은 [[보우건(몬스터 헌터 시리즈)|보우건]]의 총알을 만들 때 쓰이고, 소리폭탄의 재료인 울음주머니를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몬스터가 도스람포스이기 때문에 오늘도 도스람포스는 썰리고 있다. 그래도 4편에서는 람포스 이빨은 용인족 상인으로 증식이 가능하고, 울음주머니는 광룡결정으로 늘리거나 도스재기를 썰면 되기에 썰릴 일이 줄었다. 람포스셋은 생긴 것도 괜찮게 생겼고 재료를 쉽게 모을 수 있으며, 초반에 얻을 수 있는 방어구 중에서는 그나마 튼튼하고 기절 무효에 조합 성공률 증가, 탄생산 증가까지 있어서 가난한 초보 헌터들이 많이 즐겨 입는다. 무기는 무속성이며, 게임 초반부부터 제작이 가능하다. 성능은 초반부 무기답게 그냥저냥이지만, 강화 트리가 여럿으로 갈라져 나오기에 거처가는 무기로 쓰이기도 한다. === [[몬스터 헌터 4]] ~ [[몬스터 헌터 4G]] === 방어구는 트라이 시즌의 재기셋의 구성을 가져와서 공격력 업(소)와 기절반감이 뜨고 천리안 포인트까지 붙었다. 여기에 다음 스토리에서 나오는 [[얀쿡크]]의 소재로 만든 허리방어구인 쿡크펄드까지 장착하고 1슬롯 호석, 공격주 두 개와 천리주 하나만 붙여주면 공격력 업(중)과 천리안을 띄울 수 있다. 상위에서는 공격력 업이 중으로 늘어나고, 장인/장전수UP 포인트가 조금 있다는 점을 빼면 하위 세트와 거의 같다. 식주까지 박으면 호석없이도 공대와 천리안, 기절반감이 뜬다. 고숫과 기절무효가 붙은 재기S의 업드레이드 느낌. 4G에서는 여단 상위에 도스람포스 쌍퀘가 있어서 장비 맞추기가 편해졌다. 람포스S메일의 경우 공격 3, 장인 2, 기절반감 2, 마비 -2, 1슬롯의 우수한 성능으로, 나머지 부위를 몸통배가로 맞추면 공격력 업(중), 예리도+1, 기절반감, 마비배가에 슬롯 하나×5 스킬을 띄울 수 있다. 4에서는 나르가 몸통배가 커스텀에 밀려 인지도가 얼마 없었지만, 4G에서는 나르가메일의 장인 수치가 너프되어서 이 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G급에서는 천리안이 뜬다는 점, 공격 포인트가 좀 더 많다는 점을 제외하면 상위셋과 같다. 무기는 취급이 이전작들과 대동소이. === [[몬스터 헌터 크로스]] ~ [[몬스터 헌터 더블 크로스]] === 방어구는 하위는 기절반감, 마비배가 스킬이 뜨고 물 속성 강화 포인트가 있으며, 상위는 마비배가가 안 뜨는 것을 제외하면 하위 세트와 구성이 거의 비슷하다. G급에서는 기절 무효, 물속성공격 강화 +1 스킬에 공격 포인트가 달려 있다. [[라이트보우건]] '샷보우건[창]'은 상위 초반부터 제작할 수 있으며, 레벨2 통상탄 속사를 지원하여 [[도스가레오스]] 소재의 '데저트스톰'과 더불어 공략 단계에서 거쳐가기 좋은 보우건으로 꼽힌다. ===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 === ||<-7>
|| ||<-7> '''람포스''' || || [[파일:방어력 월드 아이콘.png|width=20]] || [[파일:화속성 월드 아이콘.png|width=20]] || [[파일:수속성 월드 아이콘.png|width=20]] || [[파일:뇌속성 월드 아이콘.png|width=20]] || [[파일:빙속성 월드 아이콘.png|width=20]] || [[파일:용속성 월드 아이콘.png|width=20]] || 슬롯 || || 430 || 0 || 0 || 0 || -5 || 0 || [[파일:4레벨 슬롯 아이콘.png|width=22]]×3 [[파일:3레벨 슬롯 아이콘.png|width=22]]×2 [[파일:2레벨 슬롯 아이콘.png|width=22]]×1 [[파일:1레벨 슬롯 아이콘.png|width=22]]×3 || || 스킬 ||<-6>{{{#!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공격 5/7 | 기절 내성 3/3 | 풍압 내성 3/3 | 포획 명인 1/1}}}}}} || 방어구 스킬 배치는 다시 4 때와 비슷하게 돌아왔다. 밀림을 돌면서 람포스 사냥과 채집을 조금만 해주면 바로 만들 수 있지만 팔 빼고는 딱히 쓸만한 부위는 없다. 팔은 공격 2에 3-1 슬롯이라서 상위 때 자주 쓰던 레우스S 팔에서 바꿔서 마스터 랭크 초반을 나는 데 유용하다. 그 외에는 허리에 포획 명인이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몬스터헌터 스토리즈 2 파멸의 날개|몬스터헌터 스토리즈 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몬스터헌터 스토리즈 2 파멸의 날개/등장 몬스터)] == 기타 == * 검은 줄무늬가 들어간 푸른 비늘과 붉은 볏 등 상당히 화려한 색을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 [[후지오카 카나메]] 디렉터가 '몬헌 [[오키나와]] 투어'에서 밝힌 설정에 따르면 이는 [[보호색]]이라고 한다. "화려하지만, 그 환경에서는 람포스의 색도 위장이 될 수 있다"(派手ですけど、その環境においてはランポスの色も迷彩になり得るんです。)며 [[호랑이]] 및 [[판다]] 등을 예로 들었다. [[https://www.famitsu.com/blog/otsuka/2008/10/mhp_2nd_g13123.html|관련 내용이 실린 패미통 칼럼]] 게임 외적으로는 고생물학 내의 공룡과 관한 최신 학설들에서 '화려한 색을 가진 개체도 많았다'는 점을 도입한 부분이라고 한다.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FrontierGen-HC_Velocidrome_Render_001_%28Edited%29.png|width=400]]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에서 하드코어로 볏 모양이 다른 종이 존재한다. * 여담으로 [[캡콤]] 공식 팬클럽에서 조사한 크로스에서 등장하는 몬스터 인기투표에서 같은 친구인 [[도스이오스]][* [[도스게네포스]]와 [[도스마카오]]는 참가해서 각각 50위, 32위를 기록했다.], 크로스 최종 보스인 [[오스트가로아]]와 함께 투표에서 아예 이름이 빠진 전적이 있다.[* [[알바트리온]]도 투표에 이름이 없다.] *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에서 일반 개체인 람포스의 디자인이 최신 그래픽으로 나오게 되었다.[[https://gall.dcinside.com/monsterhunter/5617516|#]] 손가락이 없고 발톱만 통짜로 여러 개 박아 놓은 어색한 디자인이 수정되었다. == 관련 문서 == * [[몬스터 헌터 시리즈/몬스터 목록]] * [[조룡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