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 대한민국 일본국 특명전권대사)] |||| [[파일:冨田浩司.jpg]] || ||<:> '''이름''' || '''도미타 고지''' (冨田 浩司) || ||<:> '''생년월일''' || [[1957년]] [[11월 8일]]([age(1957-11-08)]세) || ||<:> '''출생지''' || [[일본]] [[효고현]] [[고베시]] || ||<:> '''현직''' || 주미합중국 특명전권대사 || ||<:> '''학력''' || [[도쿄대학]] 법학부 || ||<:> '''약력''' ||<(> 2004년 : 재대한민국 일본대사관 공사 2009년 : 외무성 북미국 참사관 2012년 : 재미국 일본대사관 차석공사 2013년 : 외무성 북미국장 2015년 : 주이스라엘 특명전권대사 2018년 : G20정상회의 담당 특명전권대사 || [목차] == 개요 == 일본의 [[외교관]]이자 전 주한 일본대사, 현 주미 일본대사이다. == 생애 == 1981년 [[도쿄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입성하면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주로 [[북미]]국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북미국 참사관, 북미국장을 지낸 외무성의 대표적인 [[미국]]통이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유학하고 2차례 재영국 대사관에서 근무한 인연으로 [[마거릿 대처]] 평전을 쓰기도 했다. [[한국]] 근무 경험도 있는데 [[노무현 정부]] 당시 [[주한일본대사관]] 정무공사직을 수행했다. 이 당시 [[한국어]]를 열심히 공부했다고 한다. == 주대한민국 일본대사 == 2019년 11월 주 대한민국 주일대사로 부임하였다. 아그레망은 2019년 10월에 받았다. [[한일관계]]가 [[한일 무역 분쟁|매우 좋지 못한 상황]]에서 대사로 임명받아서 [[대한민국 외교부]]와 마찰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있었다. 2020년 3월 6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가운데 [[한국인]] 입국 제한 조치를 실행하자마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 의하여 한국 외교부로 [[초치]]당했다. 2020년 3월 24일 일본 [[문부과학성]]이 중학생용 교과서에 대한민국이 [[독도]]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내용을 올리자 외교부가 이에 항의하며 다시 초치하였다. 2020년 12월 25일부로 주미합중국 일본대사로 발령이 났는데, 이유는 [[조 바이든]] 정부 출범에 보조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고지 대사의 후임으로는 [[아이보시 고이치]] 주이스라엘 일본대사가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101663?sid=104|고려되었고]], 이후 아그레망을 받으며 공식 임기를 시작하였다. 주한 일본대사 시절 한일관계가 최악이였으나, 주미 일본대사 시절 한미일 관계가 강화된다는 점에서 자신의 외교관 경력에서 냉탕과 온탕을 오갔다고 볼 수 있다. == 여담 == *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일본의 중요 주변국 대사들과 비교하였을 때 급이 약간 낮다는 평도 존재한다. 전임, 전전임 주한 일본대사는 외무성 관료의 넘버2인 차관급 외무심의관 출신인데 도미타는 외무심의관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 장인이 소설가~~이자 또라이~~로 유명한 [[미시마 유키오]]이다. 물론 장인을 직접 본 적은 없다. 워낙 [[미시마 사건|어릴 때 장인이 자살]]했기 때문. [[분류:일본의 외교관]][[분류:1957년 출생]][[분류:고베시 출신 인물]][[분류:도쿄대학 출신]][[분류:주한일본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