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고속도로)]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TOMEI_EXP.svg|width=50]]||{{{#ffffff {{{+1 '''도메이고속도로'''}}}[br]東名高速道路[br]Tōmei Expressway}}}||}}}|| ||<-2> '''{{{#fff 노선 번호}}}''' || ||<-2> '''E1번''' || ||<-2> '''{{{#fff 기점}}}''' || ||<-2> [[도쿄도]] [[세타가야구]] || ||<-2> '''{{{#fff 종점}}}''' || ||<-2> [[아이치현]] [[코마키시]] || ||<-2> '''{{{#fff 연장}}}''' || ||<-2> 346.7 km || ||<-2> '''{{{#fff 최초 개통일}}}''' || || 1968년 4월 15일 || 도쿄IC - 아츠기IC[br]후지IC - 시즈오카IC[br]오카자키IC - 코마키IC || ||<-2> '''{{{#fff 관리 기관}}}''' || || 전 구간 || [[NEXCO 중일본|[[파일:Nexco_nakanihon_logo.svg|width=120]]]] || ||<-2> '''{{{#fff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스소노IC - 시미즈JC[br]시미즈IC - 시즈오카IC[br]야이즈IC - 닛신JC[br]나고야IC - 카스가이IC[br]코마키JC - 코마키IC || || 5차로 || 고텐바JC - 스소노IC[br]시즈오카IC - 니혼자카터널[br]니혼자카PA - 야이즈IC || || 6차로 || 도쿄IC - 야마토터널[br]야마토터널 - 아야세BS[br]에비노JC - 오이마츠다IC[br]아시가라PA - 고텐바JC[br]시미즈JC - 시미즈IC[br]니혼자카터널 - 니혼자카PA[br]닛신JC - 나고야IC[br]카스가이IC - 코마키JC || || 7차로 || 아야세BS - 에비노JC[br]오이마츠다IC - 아시가라PA[br]니혼자카터널 || || 8차로 || 야마토터널 || ||<-2> '''{{{#fff 구조}}}''' || ||<-2> [[나들목]] 44개소, [[분기점]] 9개소,[br][[터널]] 18개소, [[고속도로 휴게소|휴게소]] 23개소 || ||<-2> '''{{{#fff 주요 경유지}}}''' || ||<-2> [[도쿄도|도쿄]] ↔ [[가와사키시|가와사키]] ↔ [[요코하마시|요코하마]] ↔ [[시즈오카시|시즈오카]] ↔ [[하마마츠시|하마마츠]] ↔ [[오카자키시|오카자키]] ↔ [[토요타시|토요타]] ↔ [[나고야시|나고야]] ↔ [[코마키시|코마키]] || ||<:>[youtube(KZ6MGTFBsMM)]|| || {{{#fff ▲전구간 주행영상 (도쿄→코마키)}}}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고속도로 노선. 노선번호는 1호선.[* 원래 일본은 한국과 달리 고속도로 노선번호를 붙이지 않았다가, 2010년대 중반부터 고속도로 노선번호를 붙이고 있다.] 법정명은 '제1도카이자동차도(第1東海自動車道, 제1동해자동차도)'이다. 전구간 [[NEXCO 중일본]] 소속이다. 이름(東名, 동명)의 뜻은 [[도쿄도]]('''東'''京, '''동'''경)와 [[나고야시]]('''名'''古屋, '''명'''고옥)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도쿄도]]에서 출발해 [[아이치현]] [[나고야시]]를 지나 근교의 [[코마키시]]에서 끝난다. 코마키 분기점에서 [[주오자동차도]]와 교차하며 [[코마키IC]]에서 [[메이신고속도로]]와 연결되어 도로 자체는 [[오사카]]까지 이어진다. 한국의 [[경부고속도로]]처럼 일본 고속도로의 제1간선축으로 번호도 1번이고 전구간이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메이신고속도로]]와는 노선 자체도 하나로 이어져있고, 노선번호(E1)까지 동일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나들목 번호 및 기점 거리 계산을 도메이선 시점, 도쿄 기준으로 잰다. 즉, 이름만 다르지 실질적으로는 같은 노선이라는 뜻.[* [[대한민국]]의 고속국도 제35호선(E35)이 '''[[통영대전고속도로|통영대전]] · [[중부고속도로]]'''로 노선이 나뉘어 있는 모습과 동일하다.] 2012년에 이 노선의 바이패스인 [[신토메이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아직 고텐바JC~토요타히가시JC까지만 개통되었고 완전 개통은 아니지만, 이 도로의 개통으로 도쿄~나고야 간의 이동 거리가 다소 단축되었다. 도메이고속도로가 나고야의 북쪽으로 순환하는 형태라면 신토메이고속도로는 [[이세완간자동차도]]와 직결하여 나고야의 남부 해안을 관통한다. 이세완간자동차도는 2019년에 [[신메이신고속도로]]와 직결되었다. 개통 전까지는 [[히가시메이한자동차도]]에서 분기하는 형태로 되어있었다. 실제로 주행해 보면 여러번 확장을 거치면서 개량된 한국 고속도로들과는 달리 1960년대에 신설된 노반을 그대로 쓰고 있어서인지 선형이 굉장히 불량하다. 시속 100km/h로 달리는 것도 위험한 구간이 많아 해당 구간은 시속 80km/h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 구간 == * 괄호안은 공사중 * JC : 분기점 / TG : 본선요금소 / PA : 간이휴게소 / SA : 휴게소 / SIC : 스마트IC (ETC전용) * IC는 기호 생략 <<[[수도고속도로 시부야선]] 직결 - [[도쿄IC|도쿄]] - (도쿄JC - 슈쿠가와라JC) - 도쿄TG - 토메이카와사키 - 요코하마아오바 - 코호쿠PA - 요코하마마치다 - 아야세 SIC - 에비나SA - 에비나JC - 아츠기 - 이세하라 - 하다노나카이 - 나카이PA - 오오이마츠다 - 아유자와PA - 아시가라SA - 다이니고텐바 - 다이이치고텐바 - 고텐바JC - 코마카도PA - 스소노 - 누마즈 - 아시타카PA/(SIC) - 후지 - 후지카와SA/SIC - 유이PA - 시미즈JC - 시미즈 - 니혼다이라PA - 시즈오카 - 니혼자카PA - 야이즈 - 요시다 - 마키노하라SA - 사가라마키노하라 - 키쿠가와 - 카케가와 - 오가사PA - 후쿠로이 - 이와타 - 엔슈토요다PA/SIC - 하마마츠 - 미카타가하라PA/(SIC) - 하마마츠니시 - 하마나코SA - 밋카비 - 밋카비JC - 신시로PA - 토요카와 - 아카츠카PA - 오토와가마고오리 - 미아이PA - 오카자키 - 토요타JC - 카미고SA - 토요타 - 토메이미요시 - 토고PA - 닛신JC - 나고야 - 모리야마PA/(SIC) - 카스가이 - 코마키JC - [[코마키IC|코마키]] - [[메이신고속도로]] 직결>> == 사건 사고 == * [[도메이고속도로 3중 추돌사고]] == 아시안 하이웨이 == || [[카프쿨레|{{{#!html카프쿨레}}}]] {{{#!html방면}}}[br]← [[메이신고속도로]] ||<-2>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Tabliczka_AH1.svg.png|width=36]][br]{{{#!html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 || [[도쿄|{{{#!html도쿄}}}]] {{{#!html방면}}}[br][[수도고속도로 시부야선]] → || [[분류:도메이고속도로]][[분류:나무위키 도로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