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도로명주소)] [목차] == 개요 == 도로에 이름을 붙인 후 건물 번호를 매겨서 주소를 표시하는 도로명주소 방식은 전세계적으로 많이 쓰이나 세부적인 적용 양상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주소 붙이는 방법에 관하여서는 [[https://en.wikipedia.org/wiki/House_numbering|영문 위키피디아]] 문서를 참고하면 좋다. 한편 아래에 나와 있는 규칙은 대부분의 경우에 적용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https://www.mjt.me.uk/posts/falsehoods-programmers-believe-about-addresses/|이 문서]]도 참조. 도로명주소 도입 초창기 당시 널리 퍼진 오해 중 하나는 "도로명주소는 서구권처럼 도로가 잘 깔린 곳에서만 유용하고[* 사실 이 역시 오해로, 오히려 유럽권은 중세 시절 도시가 지금까지 남아있는 곳이 매우 많기 때문에 한국 골목 저리 가라 할 정도로 구불구불한 길이 많다.] 한국 같은 데서는 쓰기 어렵다"라는 것인데, 실제로는 전세계적으로 도로명주소를 쓰는 곳이 훨씬 더 많고 오히려 한국처럼 [[지번주소]]를 쓰는 곳이 드문 편이다. 이들 지역이 모두 길이 다 잘 뚫려있을 리는 만무하다. 오히려 유럽의 경우 [[독일]]의 [[만하임]]처럼 블록 형태로 잘 정비된 곳에서 예외적으로 지번주소를 사용하고 있다. == 번호의 방향 == === 지그재그 === 도로 한쪽 끝에서부터 시작하여 왼쪽-오른쪽-왼쪽-오른쪽 식으로 번호를 매기는 방법. 그렇게 하면 길은 두 변이 있으므로 한쪽엔 홀수, 한쪽엔 짝수만 오게 된다. 특별히 필연적인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전세계적으로 숫자가 커지는 방향에서 왼쪽 부분부터 1로 시작하여 왼쪽이 홀수인 경우가 많다. ==== 건물 순 ==== 건물이 등장할 때마다 위와 같이 지그재그로 번호를 붙여나가는 방식. 같은 거리를 가더라도 건물의 폭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짝수번과 홀수번의 격차가 크게 날 수도 있다. 유럽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방식. ==== 거리 비례 ==== 도로에서 일정 거리에 따라 숫자가 커져 나가는 방식. 극단적 형태의 [[협소주택]]이 아니고서야 보통 건물의 일반적인 최소 폭은 존재하므로 일정 거리 내에 건물이 몰려있어 곤란한 일이 아주 많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다만 [[판잣집]]과 같은 좁은 부지의 집이 몰려있는 경우 가지 번호가 붙을 때가 가끔 생긴다. 대체로 계산하기 좋게 5m나 10m마다 숫자가 커지는 식으로 짜여진 경우가 많다. 한국의 [[도로명주소]]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로명주소]] 문서에 소개된 대로 '-로, 대로'가 1번 당 10m, '-길'은 5m이다. 프랑스는 15m 간격으로 번호를 붙이고 있다. [[라틴아메리카]]에서도 이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고 한다. ==== 행정구역에 따른 변화 ==== 도로가 다른 행정구역으로 진입했을 때 숫자의 특정 자리의 수를 올려 주는 방식. 때문에 바로 옆집임에도 100 이상 숫자가 차이가 날 때가 있다. [[미국]]에서 이 방식을 사용한다. === 시계방향 === 도로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한 변을 일련해서 쭉 돌고 다른 쪽 길 끝에서 돌아오는 방식. 이와 같은 번호 방식은 홀수/짝수가 몰려있지 않다는 게 특징이다. 그러나 위의 방식과는 달리 길의 양쪽 끝이 정해져 있어야지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서 사용되는 곳이 매우 적다. 도로 두 끝이 정해져 있어야 하므로 주로 막다른 골목이나 광장에서 이 순서를 사용한다. 혹은 오래 전부터 주소가 붙어있는 골목에서 관습적으로 쓰이기도. [[https://www.google.co.kr/maps/place/Werner+Liefeld/@52.3694358,13.0847015,94m/data=!3m1!1e3!4m5!3m4!1s0x47a8f58763fa874d:0x1147a8a5a5ef6200!8m2!3d52.36952!4d13.08609|독일 포츠담의 사례]] 이 방식으로 제일 유명한 것은 [[다우닝 가 10번지]]. 다우닝 가(Downing street)의 옆집은 12가 아니라 11인 것을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특수한 표기 == === 같은 번호의 집 구분 === 거리 비례 체계의 경우 좁은 폭에 건물이 여러 채 들어서는 경우에 같은 번호의 집이 여럿 생길 수 있다. 건물 순으로 붙이는 경우에도 기존의 건물이 나눠지는 경우 보조 번호가 필요할 수 있다. 가령 13번 자리에 건물이 두 채 이상 들어섰을 때의 구분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알파벳 * 소문자: 13a, 13b, ... * 대문자: 13A, 13B, ... * 숫자: 13-1, 13-2, ... * 기타 * 프랑스나 스페인에서는 13bis, 13ter, 13quater 식으로 구분한다. === 합쳐진 건물의 표시 === 13번 건물과 15번 건물이 합쳐졌을 경우, 13/15 식으로 슬래시를 쓰는 곳도 있다. 13/15/17 등 세 채 이상이 합쳐지면 13-17 식으로 범위로 나타내기도 한다. 범위로 쓰여져 있긴 해도 짝수번 건물은 길 건너편에 있으므로 14, 16은 포함되지 않음에 유의. == 도로의 종류 == === 작은 도로 === 유럽의 경우에는 한국에서처럼 지선을 숫자로 지정하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은 듯하다. 대신 그 많은 골목에 '''모조리 이름을 다 붙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관광 지도에 아득히 많은 길 이름들이 목록으로 나열되어 있기도 한다. 도로명을 오랫동안 쓰다 보니 그런 골목 하나하나 자체가 지명으로 굳어진 것이다. 가령 [[런던]]의 택시 기사는 자격시험을 치를 때 25,000개의 도로명을 암기해야 한다. 20세기 들어서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덕분에 도로명으로 쓸만한 이름들이 엄청나게 늘어났다. 주로 도로들에 전쟁 참전용사들 이름을 갖다 쓰거나 양차대전 주요 전투가 일어났던 지역을 이름으로 갖다 붙이곤 한다. === 막힌 길과 뚫린 길 === 국가에 따라서 막힌 길과 뚫린 길의 이름을 달리 짓는 경우도 있다. * 프랑스: Impasse * 영국: Close === 광장 === 유럽에서는 광장 주변의 건물은 그 광장의 이름을 붙여 'OO 광장 1' 식으로 붙이기도 한다. 사실 '광장'이라는 단어가 주는 어감과는 달리 매우 좁은 길목을 '광장'이라고 붙여놓은 경우도 꽤 많은데, 어찌 되었든 간에 광장으로 취급되면 둘레를 빙 둘러 가는 식으로 번호를 붙이므로 지그재그로 붙이는 도로명 번호 방식과는 양상이 다르다. == 주소 팻말 == 유럽에서 도로명 표기는 주로 도로가 시작하는 초입 및 다른 도로와의 교차로에 붙어있는 경우가 많다. 도로 중간의 집들에는 8, 10 등등의 숫자는 써져 있지만 길 이름까지 써져 있지는 않다. [[https://www.google.co.kr/maps/@48.8721263,2.2965393,3a,15y,69.03h,88.2t/data=!3m6!1e1!3m4!1sn8VjGI7y17AXt360JpWdmg!2e0!7i13312!8i6656|파리시의 82 Avenue Marceau. '82'라고 써진 것이 건물 번호이다.]] == 도로명주소의 번역 == 주소는 특정 국가에서 특정 언어로 사용하는 데다 언어 및 지역별로 개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주로 번역하지 않지만, 유명한 길이나 건물이 고유명사화 되었을 때에는 번역해서 쓰이는 경우가 간혹 있다. 한국에서는 그간 외국의 도로명주소를 번역할 때 대체로 'OOO 가(街)'를 주로 사용하였다. 길을 뜻하는 단어가 꽤 여럿 쓰이지만 번역되어 들어올 때는 '가'로 통일하는 편이다. [[베이커가 역]], [[다우닝 가 10번지]] 등. 2017년 6월까지는 외래어의 경우에는 '가' 앞을 띄어 써야 했으나, 이후 외래어에서 띄어 쓰는 예외를 삭제하여 '종로3가'와 마찬가지로 '베이커가' 역시 붙여 쓰게 되었다. Avenue는 [[샹젤리제]] 거리 등을 봐도 알겠듯이 '거리'로 번역되는 일이 많다. 혹은 [[맨해튼]] 방식의 직교형 Avenue-Street 체계에서는 이를 각각 '~번가'와 '~가'로 번역한다. Boulevard 계열은 대체로 '대로'. Quai(강변길)라거나 Impasse(막힌길) 등 어떤 특성을 가진 도로의 경우에도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가'로 옮기는 경우가 많다. [[https://www.google.co.kr/maps/place/Quai+de+Bercy,+%ED%94%84%EB%9E%91%EC%8A%A4/@48.8288762,2.3825341,17z/data=!4m5!3m4!1s0x47e67240af2b9f01:0x81f22f138c011799!8m2!3d48.8246389!4d2.3943648|#]] 한편, 한국 도로명주소를 영문으로 옮길 때는, daero, ro, gil과 같이, 로마자 표기 그대로 옮겨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영어식 표기를 병기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이 때, '대로'는 Blvd.(Boulevard), '로'는 St.(Street), '길'은 Rd.(Road)로 번역한다. [[https://www.juso.go.kr/CommonPageLink.do?link=/street/GuideBook|링크]] == 각국의 길 이름 == 건물 번호를 붙여서 주소로 사용하는 것만 기록하였다. 길 이름은 고유명사이므로 대체로 대문자로 쓰는 경우가 많다. 건물 번호를 길 이름 앞에 쓰는지 뒤에 쓰는지는 나라마다 관습이 다르다. 영국/미국에서의 도로명 약어에 관해서는 [[http://www.semaphorecorp.com/zp4/abbrev.html|이 페이지]]를 참조. === 아시아 === ==== 한국 ==== 도로명과 길 명칭 사이에는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다. * 대로 * 로 * n로 *도로: [[울산광역시]]에서 쓰인다. [[북부순환도로]], [[남부순환도로]], [[방어진순환도로]] 등의 도로명에 쓰인다. * 길 * -로n길 * -로(동서남북)n길 * -로n(가나다…)길 * -로n번길 * -길n길 * -길n번길 * -안-안길 * 가 * 거리: 특이하게도 [[중구(울산광역시)|울산광역시 중구]]에서만 사용한다. '-가' 대신 사용한다. * 고개: 거리처럼 [[중구(울산광역시)|울산광역시 중구]]에서만 사용한다. 계변고개라는 도로명에 쓰인다. 주요한 길에만 도로명을 설정하고 작은 골목은 숫자를 이용해서 이름을 붙인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건물 번호는 길 뒤에 쓴다. 이 때 번호는 공식적으로는 '○번'과 같이 읽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가지번호가 있는 경우 하이픈(-)은 “의”라고 읽도록 되어 있다(도로명주소법 시행규칙 제2조 제1항). 즉, '충무로 1-2'이면 '충무로 일의 이번'이라고 부르도록 되어있는 것. 그러나 이와 같이 건물번호에 '번'을 붙여 읽는 방식은 전혀 정착되지 않았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저러한 규정이 있는지도 모르는 일반 국민들로서는 건물번호를 '○번'으로 읽는 방식을 표기에서 도저히 연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규정이 있는지 아마 행정안전부 담당 공무원들도 모를 거다.~~ 도로명주소 도입 초창기에는 오랫동안 [[지번주소]]를 쓰던 관습의 영향으로 '충무로 일번지'와 같이 '번지'를 붙여 읽는 경우도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번'이든 '번지'든 붙이지 않고 그저 숫자만 읽는 방식으로 사실상 정착했다. 방송에서도 대부분 그렇게 읽는다. 하이픈(-)은 주로 영어 '대시(dash)'에서 유래된 발음인 '[[다시]]'로 읽는 것이 일반적. 즉 '충무로 1-2'는 일상생활에서는 대부분 '충무로 일 다시 이'로 읽히고 있다. 한국에서의 도로명주소의 활용에 대해서는 [[도로명주소]]와 [[도로명주소법]]을, 비판점에 대해서는 [[도로명주소/비판]]을 참조. ===== 도로명주소 시행 이전 ===== 전통적으로는 '~로n가(街)'가 사용되었으나 현 도로명주소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동 이름으로만 흔적으로 남아있다. '~로n가' 식의 표기는 언뜻 보기에는 지금의 '~로n번길'과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르다. 지금의 도로명주소에서 '~로n번길'이 '~로'에서 갈라지는 지선을 가리킨다면, '~로n가'는 본선 자체를 1, 2, 3, 4... 개로 쪼개서 본선 인근의 지역을 가리키는 말로 쓴 것이다. 종로1, 2, 3가가 종로를 따라서 쭈욱 오른쪽으로 길게 이어지는 모습을 보면 그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관습적인 '~로n가'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로n가' 식으로 도로명을 사용하는 것은 힘들었을 수 있다. 현 도로명주소 체계 상으로 '종로3길'인 길을 '종로3가'라고 부른다면 그간 '종로3가'라고 부르던 곳과는 전혀 다른 곳이므로 헷갈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식으로 'O가'와 'O길'은 한국에서 다르게 사용되지만 [[중국어]]로 번역할 때에는 둘 다 街로 번역된다.[[https://map.hanchao.com/dforum/9376|을지로4가(乙支路4街)와 창경궁로5길(昌庆宫路5街)]] 일본에서는 '길'의 의미로 通(とおり)이라는 글자를 쓰므로, 이를 한국식으로 읽은 '~통'도 흔적으로 남아있기도 하다. [[서울]] [[세종대로]]와 [[충무로]]를 각각 '광화문통(光化門通り)', '본정통(本町通り)'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로n가'는 대체로 [[주소/일본|일본에서 쓰는 '[[丁目]](ちょうめ)']]에서 기원한 경우가 많다. 이 '丁目'라는 단어는 길에만 쓰이는 건 아니고 町와 같은 마을에도 붙는데, 나중에 町를 대체로 일괄적으로 동(洞)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동1가'와 같이 바뀌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용산동(서울)|용산동]]의 경우 龍山町1丁目이 해방 이후에 용산동1가로 바뀌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지금도 天塚町三丁目와 같이 町 뒤에도 丁目를 쓴다. 이런 지명들은 애초에 길에 붙은 게 아니기 때문에 '~가'라고는 해도 길의 형태를 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금호동1가]] 등. 이런 경우엔 그냥 '금호1동' 같은 식으로 번호를 매긴 거나 별 차이가 없다. 주요한 길을 따라서 형성된 町에 丁目가 붙은 경우 해방 이후에 '鐘路三丁目→[[종로3가]]'의 사례처럼 길 이름으로 바뀌기도 하였다. 이러한 '~로n가'는 오늘날 생산성을 잃어서, '성수동1가'와 같은 동이 분리된다고 해도 '성수동n가' 식으로 되진 않고 이제는 '성수1가n동'으로 분리된다. 반면 일본에서 丁目는 여전히 활발히 쓰이고 있다. ==== 중국 ==== * 路 [lù] * 街 [jiē] * 坊 [fāng] * 弄 [lòng] * 桥 * 巷 * 大道 * 道 * 胡同 지역마다 명칭 사용 규칙이 제각각이나, 대체로 간선도로는 路, 道, 大道를, 이보다 좀 더 좁은 도로는 街를, 골목길은 坊, 弄, 巷을 많이 쓴다. 건물 번호로는 号(호)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한국에서는 지번주소의 소단위 외에도 아파트 같은 데서의 방 하나하나에 '호'를 쓰는데, 중국에서는 그 대신 室(실)을 쓰는 듯하다. 아래는 예시. > 北京市朝阳区东方东路20号[* [[주중한국대사관]]의 주소.] > [[베이징시]] [[차오양구]] 둥팡둥루 20호 > 四川省成都市锦江区东御街18号百扬大厦14层[* 주청두 총영사관의 주소.] > [[쓰촨성]] [[청두시]] 진장구 둥위제 18호 바이양빌딩 14층 ==== [[북한의 주소|북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북한의 주소)] [[1955년]] [[니키타 흐루쇼프]]가 공산권 전체의 주소 체계를 통일하라고 [[소련]] 당 회의에서 결정했다. 이에 [[북한]]에서도 [[김일성]]의 지시로 [[1958년]] [[지번주소]]를 폐지하고 [[도로명주소]]로 전환했다고 알려져 있다. 북한의 도로명주소 체계, 또는 도로 분류체계는 이렇다. * 거리: 왕복 6차로 이상이면 거리다. * 도로: 남한의 로. * 길: 남한의 길 북한의 길급 도로명은 남한처럼 기초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이 아니라, 대다수 유럽 국가처럼 길이 갈라지면 그 자리에 새 이름을 가져다 붙인다. [[북한]] 시/도당 인민위원회가 매우 골머리를 썩는다고 한다. 그러나 도로 이름을 최종 변경하려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정령이 있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삼지연시]] 같은 지방도시 도로 이름도 이렇게 정했다. [[http://www.s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052|#]] 그런데 정책과 현실이 따로 노는지 탈북민 사이에서는 북한에서 도로명주소란 것을 들어본 적 없다는 증언이 종종 들린다. 동, 읍, 리까지만 적힌 주소나 주민이 사는 곳은 '반'까지 적힌 주소가 대외적으로 공개가 많이 된다. 특히 [[노동신문]], [[우리민족끼리]], 북한의 각종 포장지 등에서 언급되는 주소에서 도로명주소가 쓰인 것은 없다시피 하다. 대외적으로 '거리'가 표시된 주소는 현재 상당히 찾기 힘들다. 아파트에 빨간명판으로 몇 반이라고 적힌 경우는 있으나 거리는 '도로리정도'라는 지도에 언급되는 정도지 그것을 주소로 삼는 경우가 찾기 어렵다는 뜻이다. 도로의 이름은 있지만 그것을 주소로 쓰지 않는 경향이 강한 듯하다. > [[함경북도]] [[청진시]] [[포항구역]] 남향동 12반 홍길동 > [[함경북도]] [[경성군]] 경성읍 10반 김갑돌 > [[량강도]] [[갑산군]] 신정리 5반 개똥돌 > [[함경북도]] [[길주군]] 일신로동자구 45반 임꺽정 > 출처: [[http://nkd.or.kr/community/qna/view/4823|링크]] 이런 식이다. 그러나 한 탈북민의 증언에 따르면 [[평양시]]는 특이해서 "평양시 중구역 [[창광거리]] XX동 23반 황진희"같은 식이라고 한다. 다만 인민반이 그 지역의 모든 것을 꿰뚫고 있기에 도로명주소가 없어도 그쪽에서 원하는 주소를 찾을 수 있다고 한다. 과자 봉지 등의 공장 주소 같은 경우 평양이라도 동까지만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https://www.dispatch.co.kr/1587194|#]] [[북시탈tv]]의 김강유 씨의 경우 '평양시 동대원구역 동신1동 37반'이라는 주소를 언급하기도 했다. 북한이 인터넷으로 대외적으로 공개하는 기관의 주소[* 김일성종합대학, 북한 외무성, 관광 관련 사이트 등에서 언급되는 주소다.]나 북한 주재 해외대사관의 주소는 평양이라도 동까지만 나타낸다. [[태영호]] 의원도 스스로 '평양시 중구역 종로동'에서 태어났다고 언급한다. 일반 가정집의 주소를 나타낼 때는 "평양시 대성구역(려명거리) 룡흥동(51-44 호동) 188 반 67 층 3 호 김영수동지 앞"이라고 쓸 수 있다는 북한의 교재가 있기는 하다. [[https://archive.org/details/north_korean_language_textbooks/%EC%A1%B0%EC%84%A0%EC%96%B4%EB%B0%B0%EC%9A%B0%EA%B8%B0%201%20%28%D0%9A%D0%9E%D0%A0%D0%95%D0%99%D0%A1%D0%9A%D0%98%D0%99%20%D0%AF%D0%97%D0%AB%D0%9A%201%29%28compressed%29/page/130/mode/2up|#]] 의외로 [[2015년]] 이전까지 [[김일성]]거리, [[김정일]]거리가 없었다. [[1984년]] 당시 후계자로 내정된 [[김정일]]이 "[[김일성]]과 [[김정일]]의 이름을 거리 이름으로 쓰지 마라"고 지시했기 때문이다. 안 그러면 각 지역에서 김일성거리, 김정일거리가 넘쳐나서 구분이 안 갔을 것이다. 2015년 김일성거리 부활설과 도로명주소 도입설이 내부소식통을 인용한 보도에서 등장하였으나 김일성거리 도입은 확인이 되지 않고 있고 북한의 인터넷이 연결된 대외매체에서 도로명을 나타낸 주소는 거의 없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150320_0013548544|#]] ==== 일본 ==== 일본에서는 대체로 [[도로명주소]]를 사용하지 않는다. 아주 드문 예외로 [[야마가타현]] 히가시네(東根)시 남부 일부 지역이 있어서([[https://www.mlit.go.jp/road/torimei/toorina/nerai.htm|국토교통성]]) 히가시네시는 도로명 방식과 가구 방식의 주거표시와 기존 지번주소가 시가지에서 병립하는 케이스이다. 이외에 [[교토시]]나 [[삿포로시]] 등 다른 곳에 비해 도로에 이름이 많이 붙은 곳은 교차되는 도로의 이름으로 타 지역의 [[초메]](丁目)에 해당하는 구역 명칭을 붙이기도 한다. 도로에 이름을 붙이는 경우에는 通(とおり, 도리)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한다. 길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 연탁되어 どおり가 된다. [[교토]]나 [[오사카]] 등지에서는 동서축 도로에 대해서는 条(죠)를, 남북측 도로에 대해서는 筋(스지)를 쓰는 관습이 발견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오사카의 [[미도스지]]가 그러한데, 지하철 [[미도스지선]]은 미도스지 도로를 따라서 만든 노선이다. 자세한 것은 [[주소/일본]] 참조. ==== [[태국]] ==== * ถนน 또는 ถ.(타논, 대로) * ซอย 또는 ซ.(쏘이, 길) * หมู่ 또는 ม.(무반, 마을 - 주로 시골 지역에서 사용) ==== [[대만]] ==== * 大道(대도, Boulevard) 대로에 해당. * 路(로, Road) 로에 해당. * 街(가, Street) 길에 해당. * 段(단, Section) 한국의 ○○로○가처럼 도로를 구간별로 나누는 체계이다. 한국과 달리 오늘날에도 주소 체계의 일부로 쓰이고 있다.[* 즉, 종로3가는 역사적 지명으로 현재는 '-로1가' 따위가 잘 생겨나지 않는 데에 비해 대만에선 지금도 도로를 '-단'으로 나누는 것이다.] 구역번호로 쓰이고있다. 도로가 길어져도 구역을 나눠서 번호가 수천번대로 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 巷(항, Lane) 大道, 路, 街에서 갈라지는 길. ○○로○번길에 해당하며 한국과 마찬가지로 갈라지는 지점의 건물번호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中正路 160에서 길이 갈라진다면 中正路160巷이 된다. * 弄(롱, Alley) 巷에서 갈라지는 길. * 衖(항, Sub-Alley) 弄에서 갈라지는 길. * 號(호) 건물번호. 한국과 가장 비슷한 도로명주소 체계를 쓰고 있다. 한국이 '街'와 '衖에 해당하는 단위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아파트에서는 큰 차이가 있는데, 아파트에서는 한국과 달리 각 '라인'에 도로명주소를 부여한다. *호까지 쓰고 그 위에 *층이라고 표기한다. 즉, 아파트의 옆집 주소가 다르고 윗집은 같으며 층으로만 구분한다. 도로명은 아래 세 가지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 [[중국 국민당|국민당]] 핵심가치: [[쑨원|중산]]([[중산고속공로]]), [[장제스|중정]](중정로), [[삼민주의|민족로, 민생로, 민권로]], [[국광 작전|국광로]] 등 * 유교적 가치 : 충효, [[신이구(타이베이)|신의]], 돈화, 인애 등 * [[대만]] 고유 문화: 케타갈란(凱達格蘭) 대도[* [[대만 원주민]] 부족의 이름을 땄다.] * 중국의 다른 지명: 이 지명들은 국민당 독재 시절에 대륙 수복 의지를 고취하기 위해 붙인 것이다. [[타이베이]]에는 '''[[울란바토르|쿠룬]]제'''[* [[몽골]]도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자국의 일부]]로 보고 이름을 붙였다.], '''[[난징]]둥루'''라는 도로가 있다. * 자매결연지역의 이름 차용: [[타이난시]]의 경우 자매결연관계인 [[광주광역시]]를 기려 '''광저우루''' (光州路)라는 도로[* 여담으로 광주에도 타이난(臺南)의 지명을 딴 [[대남대로|도로]]가 있다.]가 있다. ==== [[홍콩]] ==== [[영국]]의 체계와 [[중국]]의 체계가 뒤섞인 모습이다. === 유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rassburgroad.png|width=400px]]}}} || ||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의 도로[[https://fr.wikipedia.org/wiki/Rue_des_Fr%C3%A8res_(Strasbourg)|#]][br]Rue des Frères / Bruederhofgasse || 접경 지역이 많은 유럽의 특성 상 길 이름도 다양한 언어로 [[병기]]된 경우가 많다. 독일식 도로명과 프랑스식 도로명이 병기된 [[스트라스부르]] 등.[* 프랑스어/알자스어 [[병기]] 도로명판은 1995년에 설치되었다고 한다. 의미는 "형제의 길"로 동일하다.] 특히 공용어가 두 개 이상인 지역의 경우 길 이름도 두 개 이상으로 표시되기도 한다. [[영어]]와 [[아일랜드어]] 도로명이 모두 있는 [[아일랜드]]나, [[스페인어]]와 [[바스크어]] 도로명이 모두 있는 [[스페인]]의 [[바스크]] 지역 등. ==== 영국 ==== 주로 '[[베이커가|Baker Street]]'와 같이 '(이름) (도로 단어)'로 도로명을 쓰고 중간에 스페이스를 둔다. * Road (Rd.) * Street (St.) * Avenue (Ave.) 위의 셋이 제일 잘 알려진 '길'을 의미하는 영단어로, 그 외에도 꽤 많은 길 이름이 쓰인다. * Circle (Cir.) * Court (Ct.) * Crescent: '[[초승달]]'이라는 이름 뜻답게 원형으로 휘어지는 길에 이 이름이 많이 붙는다. * Drive (Dr.) * Embankment * Grove * Green * Hill * Lands * Lane (Ln.) * Mews * Mount * Passage * Rise * Row * Vale * Villas * Walk * Way: 일반명사로서는 유명하지만 주소에서는 'way'로 된 길이 별로 없다. * Close (Cl.): 막다른 길 (ex. Gibbs Green Close) 간혹 스토니소프(Stoneythorpe)와 같은 오래된 마을 이름을 길 이름으로 쓰기도 한다. 광장을 뜻하는 단어로는 다음이 쓰인다. * Gardens * Park * Place (Pl.) * Square * Terrace ==== 독일 ==== *길 * 전치사 zu, an, unter, in + 관사 + 지명 * -allee * (-)Straße (Str.) * (붙여서)weg * Chaussee * Damm * -gasse * Graben * -gracht * (-)Ufer * -zeile *광장 * -platz * -ring 건물 번호는 주로 길 뒤에 쓰는 편이다. 대시 기호를 쓰거나 붙여서 써서 한 단어를 만드는 경향이 큰 독일어의 특성 상 도로명도 붙여서 쓰는 일이 많다. 전치사 + 관사 + 지명이 도로명으로 굳어져서 쓰이는 것이 특징이다.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와 같이 강, 산 등 주변 경관에 전치사를 붙여서 지명을 한정하는 것은 [[뉴캐슬어폰타인]]처럼 다른 나라에서도 자주 쓰이는데 이런 현상이 도로명에서도 발견되는 것이다. [[만하임]]의 경우 도로명주소를 쓰지 않는다. 만하임 항목 참조. ==== 프랑스 ==== 아래 단어들 뒤에 de + 관사를 붙여 도로명을 형성한다. 간혹 de나 관사가 없는 도로명도 있다. 건물 번호는 주로 길 앞에 붙인다. * 길 * Rue: 제일 일반적인 길 이름이다. * Avenue (Av): 그 유명한 [[샹젤리제]] 거리 역시 Avenue des Champs-Élysées이다. * Boulevard (Bd) * Allée * Route * Chemin * Chaussée * Sentiere * Quai: 강/바다 주변 길 * Impasse: 막다른 길 * 광장 * Square * Place * Esplanade ==== 이탈리아 ==== 건물 번호는 주로 '도로명, n' 식으로 쉼표 후 스페이스로 띄우고 숫자를 쓴다. * 길 * Via * Riviera * Vicolo * 광장 * Piazza * Prato ==== [[터키]] ==== 전형적인 유럽식 도로명주소를 사용하고 있으나, 한국처럼 동(mahalle, 약자 Mah.)로 구획을 구분하고 그 다음에 도로명주소가 들어간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새로 건설된 도시나 도로에는 새로 이름이 부여되기 전에는 임시로 번호로 구분하기때문에 3042 sokak (3042 골목) 같은 주소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옛 소련스럽게(...) 4월 2일 거리(İki Nisan caddesi) 같은 날짜를 딴 도로들도 볼 수 있다. * Cadde (Cd.) '길' * Bulvar '대로' * Sokak (Sk.) '골목', 보통 Cadde에서 갈라진 길을 말한다. 막다른길은 Çıkmaz sokak 이라고 쓰지만 일반적으로 '막다른' (çıkmaz)은 생략해도 무방하다. 각각의 도로명주소를 쓸 때에는 약자는 상관없지만 풀로쓸때는 터키어 한정사를 3인칭 단수 -(s)I 에 맞게 표기한다. 즉 Atatürk Bulvar (아타튀르크 대로)가 아니라 Atatürk Bulvar'''ı'''가 맞다. 기본적으로 도로명주소는 길, 대로, 골목 셋으로 구분하지만 참고의 의미로 광장(Meydan)이나 로터리(Göbek), 교차로(Kavşak)을 추가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도로명주소가 나온다. >Şekeroğlu Mahallesi, Lalapaşa caddesi no:11, Şahinbey/Gaziantep >셰케르오을루 동, 랄라파샤길 11, 샤힌베이구 가지안텝도 >Bosnahersek Mahallesi, Mesaj caddesi, Işıklar sokağı no:40, Kat:3 Daire:9, Selçuklu/Konya >보스나헤르섹 동, 메사지길, 으시윽라르골목 40, 건물 3층 9호, 셀축루구, 콘야도 >Alemdar Mah. Divanyolu Cd. no:12 (Atmeydanı karşısı), Fatih, İstanbul >알렘다르 동, 디완욜루길 12, (말의 광장 맞은편), 파티흐구 이스탄불도 (세 주소 모두 거리는 실제 존재하나 건물명등은 가상임) ==== 러시아 ==== ||Пьянков Андрей Сергеевич Новинский бульвар, 10 ст1 Москва 121069|| [[모스크바]] 연방시 노빈스키 대로 10 st1 ||Жигдылмеева Дарима Цыреновна Общежитие № 4 БГУ ул. Сухэ-Батора, 3А Улан-Удэ Республика Бурятия 670000|| [[부랴티아]] 공화국 수흐바타르 도로 3A 부랴티아국립대 4번 기숙사 수신인의 이름, 도로명, 건물번호, 건물, 호, 도시명, (연방주체), 우편번호 순으로 쓴다. * 소로 * Аллея (ал.) - 골목 * Переулок (пер.) - 길 * Проезд (пр., пр-д) - 길 * Тупик (туп.) - 막다른 골목 * 중로 * Дорога (дор.) - 거리 * Набережная (наб.) - 강변이나 수역에 있는 거리 * 대로 * Магистраль (маг.) - 대로 * Бульвар (бул., б-р) - 대로 * Проспект (просп., пр-кт) - (중앙분리대가 있는) 대로 * Улица (ул.) - 대로 * Шоссе (ш.) - 대로, 국도, 고속도로 * 광장 * Площадь (пл.) - 광장 ==== 아제르바이잔 ==== 구소련의 영향으로 러시아와 같은 구조이나 명칭들을 [[아제르바이잔어]]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49 Nəftçilər Prospekti, Bakı|| ||바쿠, 내프트칠래르 대로 49|| ||12, İyirmi Yanvar küçəsi, Şəki şəhəri, Şəki rayonu|| ||섀키 구, 섀키 시, 1월 20일(이이르미 얀바르) 거리 12|| === 아메리카 === ==== 미국 ==== 도로 종류는 영국과 거의 비슷하다. * Road (Rd.) * Street (St.) * Avenue (Ave.) * Lane (Ln.) * Pike * Drive (Dr.) * Circle (Cir.) * Court (Ct.) * Parkway (Pkwy.) * Boulevard (Blvd.) * Extension (Ext.) * Highway (Hwy.) 미국에서는 행정구역이나 블록이 바뀔 때 백의 자릿수를 바꾸는 식으로 도로명주소를 사용한다. 1627 OO Avenue 옆 건물이어도 블록이 바뀌면 1701과 같은 식으로 넘어가곤 한다. 이 때문에 미국의 도로명 주소는 거의 늘 4자리 숫자를 쓴다. [[펜실베이니아]]와 [[델라웨어 주]]의 경계 지역의 사례를 보면[[https://www.google.co.kr/maps/place/Boulevard+des+Italiens,+Paris,+Francia/@39.8322437,-75.4942935,235m/data=!3m1!1e3!4m5!3m4!1s0x47e66e39807d88d7:0xa67ca2875e9325!8m2!3d48.8714749!4d2.3370644?hl=it|#]] Zebley Road의 북쪽 펜실베이니아 지역은 1400번대가 붙어있는 반면, 남쪽은 델라웨어여서 바로 앞집임에도 1900번대로 번호가 붙어있다. == 문서가 존재하는 외국의 도로 == * [[월가]] * [[베이커가]] * [[샹젤리제 거리]] * [[조르주 생크 거리]] * [[카트르 셉탕브르 가]] * [[만수대거리]] * [[통일거리]] [[분류: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