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다리속]][[분류:생선]] ||<-2> '''{{{#fff {{{+1 도다리}}}[br]Righteye flound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IMG-P0000183547.jpeg.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Pleuronichthys cornutus'' '''[br]Temminck & Schlegel, 1846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가자미과(Pleuronect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도다리속(''Pleuronichthy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도다리(''P. cornutus'')'''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어||Righteye flounder|| ||중국어||角木葉鰈|| ||일본어||[ruby(目板鰈, ruby=メイタカレイ)]|| [[가자미]]과에 속하는 속으로, 바닥에 산다. [[넙치|광어]]와 헷갈리는 사람이 많지만 눈 위치로 구별한다. 낚시꾼들 사이에선 '좌광우도'라 하는데, 눈이 오른쪽으로 쏠리면 도다리이고, 왼쪽으로 쏠리면 광어라는 것이다. 도다리 자체가 [[가자미]]과에 속하므로 '왼넙치 오른가자미'라고 하기도 한다. 오른쪽과 도다리는 둘 다 세 글자, 왼쪽과 광어는 둘 다 두 글자임을 이용해 외우는 법도 있다. 다만 이 방법은 광어와 '표준명' 도다리를 구분하는 것으로 시중에서 도다리라고 취급되는 생선을 구분하는 데는 무용지물이다. [[강도다리]](Platichthys)라는 녀석은 넙치와 마찬가지로 '''왼쪽'''에 눈이 몰려있기 때문. [[낚시]] 동호인들은 많이 알지만 일반인은 잘 모른다. 애초에 흔히 잡히는 생선이 아니며 흔히 시중에 도다리라고 취급되는 것[* 문치가자미, 강도다리.]과는 다른 생선이다. 광어는 육식도 가능한 잡식어종이기 때문에 이빨이 있고, 도다리는 풀만 먹고 살기 때문에 이빨이 없다. 광어와 도다리를 구분하는 가장 쉬운 기준은 [[이빨]]의 유무에 있다고 보면 된다. 봄~가을까지가 제철로 '봄 도다리 가을 [[전어]]'라는 말이 있다. 그래서 봄 도다리 회를 먹으라고 광고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상인들이 만들어 낸 말뿐이고 실제로는 제철이 아니다. 여름부터 살이 오르다가 가을에 피크를 찍는 생선이다. 또한 앞서 말했다시피 시중에서 취급되는 건 표준명 도다리가 아니다. 주로 문치가자미를 참도다리라고 부르며 도다리쑥국[* 도다리쑥국은 봄이 제철인 음식이긴 한데, 도다리가 아니라 갓 돋아난 어린 쑥을 써야 하는 음식이기 때문이다.]이나 도다리 회에 내놓는데 문제는 이 생선의 제철 또한 여름~가을이고 겨울~봄에는 산란철에 접어들며 활어회로서는 가치가 떨어진다. 유념하고 먹을 생선을 택하자. == 기타 == * [[김진영(야구선수)|야구선수 김진영]]의 별명이다. * 시인 [[김광규(시인)|김광규]]는 이 생선을 소재로 해서 '도다리를 먹으며'라는 시를 지었다. 다음은 해당 시의 전문 >일찍부터 우리는 믿어왔다 >우리가 하느님과 비슷하거나 >하느님이 우리를 닮았으리라고 > >말하고 싶은 입과 가리고 싶은 성기의 >왼쪽과 오른쪽 또는 오른쪽과 왼쪽에 >눈과 귀와 팔과 다리를 하나씩 나누어 가진 >우리는 언제나 왼쪽과 오른쪽을 견주어 >저울과 바퀴를 만들고 벽을 쌓았다 > >나누지 않고는 견딜 수 없어 >자유롭게 널려진 산과 들과 바다를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누고 > >우리의 몸과 똑같은 모양으로 >인형과 훈장과 무기를 만들고 >우리의 머리를 흉내내어 >교회와 관청과 학교를 세웠다 >마침내는 소리와 빛과 별까지도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고 > >이제는 우리의 머리와 몸을 나누는 수밖에 없어 >생선회를 안주삼아 술을 마신다 >우리의 모습이 너무나 낯설어 >온몸을 푸들푸들 떨고 있는 >도다리의 몸뚱이를 산 채로 뜯어먹으며 >묘하게도 두 눈이 오른쪽에 몰려붙었다고 웃지만 > >아직도 우리는 모르고 있다 >오른쪽과 왼쪽 또는 왼쪽과 오른쪽으로 >결코 나눌 수 없는 >도다리가 도대체 무엇을 닮았는지를 닮은 꼴 사람을 일컫을 때 도다리 표현을쓴다. 예를 들어, 한기범 도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