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네츠크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러시아의 행정구역, rd1=도네츠크 인민공화국)]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3> {{{#3399fe {{{+1 '''도네츠크주'''}}}[br]'''Донецька область | Донецкая область'''}}} || ||<-2> [[파일:도네츠크 주기.svg|width=100%]] || [[파일:도네츠크 주장.svg|width=55%]] || ||<-2> '''주기''' || '''주장'''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Донецька область, 너비=100%, 높이=100%)]}}} || ||<-3> '''{{{#ffffff 행정}}}'''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가 주 일부를 점령하고 있다.] || || '''주도''' ||[[도네츠크]][br][[크라마토르스크]] {{{-2 (임시주도)}}} || || '''시간대''' ||UTC+2[br]UTC+3 {{{-2 (서머타임)}}} ||}}}}}}}}} || ||<-3> '''{{{#fff 인문 환경}}}'''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인구''' ||<-2>4,100,280명^^[[2021년|(2021년)]]^^ || || '''인구 밀도''' ||<-2>79.2명/km² || || '''면적''' ||<-2>26,517km² {{{-2 (명목상)}}} ||}}}}}}}}} || ||<-3> '''{{{#fff 정치}}}'''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주지사 권한대행''' ||<-2> 이호르 모로즈 [include(틀:무소속)] || }}}}}}}}} || || '''설립''' ||<-2> 1938년 6월 3일 || || '''ISO 3166-2''' ||<-2> '''UA-14''' || || '''공식 사이트''' ||<-2> [[http://dn.gov.ua/|[[파일:도네츠크 주장.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네츠크주'''는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주로, 주도는 [[도네츠크]]이다.[* 그러나 러시아 점령하에 있는 관계로, 주의 행정 중심지는 [[크라마토르스크]](Краматорськ)가 담당하고 있다.] 현재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이 주의 절반 이상을 통치하고 있다. 한때 우크라이나 인구의 1/10을 차지했으며, 중공업이 발달해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이다. 특히 석탄이 많이 나는 곳으로, 주 인구 500만명 중 20만명이 탄광업에 종사하며 이와 연계된 노동자만 100만명에 이른다.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 두 곳의 석탄 생산량이 우크라이나 전체의 95%를 차지한다. 도네츠크주, [[루한스크주]] 2개 주를 [[돈바스]] 지역이라 하는데, [[돈바스]] 지역은 '소련과 우크라이나의 [[루르 공업 지대]]'라는 별명이 생겼다. 현재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도네츠크주의 50% 가량이 러시아군과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에게 점령당한 상황이다. == 도시 == 2022년 2월 23일 이전까지 우크라이나가 통제했던 지역들은 #표시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우크라이나]]의 실효 통치 지역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슬로뱐스크]](Слов'янськ) - [[돈바스 전쟁]]의 격전지.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크라마토르스크]](Краматорськ) - 기계공학공업의 중심지로, 돈바스 전쟁의 또 다른 격전지이다. 현 도네츠크주의 임시주도.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부흘레다르]](Вугледа́р) - 원래 우크라이나가 통치하던 곳이었으나 2022년 3월 20일 전투 끝에 분리주의 세력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그러다가 또 다시 2022년 4월 20일경 우크라이나군이 탈환했다. 그리고 2023년 들어 재차 전장이 되었다.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리만(도시)|리만]](Лиман) - 도네츠크주 북부의 철도 중심지이다. 2022년 5월 26일 러시아가 점령하여 약 4개월 동안 통치했으나 10월 2일 우크라이나군이 탈환했다.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아우디이우카]](Авдіївка) - 2022 ~ 2023년간 지속적으로 러시아군이 공격 중이다. 그러나 여기는 돈바스 전쟁 당시부터 최전선이던 관계로 요새화가 단단히 되어있어 교착상태다.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시베르스크]](Сі́верськ)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쿠라호베]](Кура́хове)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토레츠크]](Торецьк)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포크로우스크]](Покровськ)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드루즈키우카]](Дружківка)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코스탼티니우카]](Костянтинівка)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연방]]의 실효 통치 지역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도네츠크]](Донецьк) - 주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마리우폴]](Маріуполь)# - [[아조프 해]]에 있는 항구로 2012년 기준 48만 명의 인구를 가진 도네츠크주 [[제2의 도시]]. [[소련]] 시절에는 이곳 출신 정치가 [[안드레이 즈다노프]]의 이름을 따 즈다노프로 불렸다. 도네츠크주에 거주하는 [[우룸인]]과 [[흑해 그리스인|폰토스 그리스인]] 7만여명 중 2만여명이 이 도시에 거주한다. [[유로마이단]] 이후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의 임시 주도였다가 다시 크라마토르스크로 옮겼다. 2022년 3월 [[마리우폴 전투]]에서 도시가 러시아군에게 포위된 채 제36해병여단과 [[아조프 연대]]가 결사항쟁을 벌였다. 2022년 5월 17일 아조우스탈 공장 지대마저 러시아군이 점령하며 도시 전체를 러시아군과 도네츠크 반군이 장악하였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마케옙카|마키이우카]](Макіївка) - 도네츠크 시 바로 동쪽에 있어 같은 도시권이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고를롭카|호를리우카]](Го́рлівка) - 영어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2019년 4월 우크라이나 군당국은 이 도시를 탈환했다고 선전했지만 공식적인 발표는 아니다. 그러나 여전히 분리주의 세력의 지배를 받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 도시를 기반으로 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는 6TV가 있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예나키예베(Єна́кієве) - 우크라이나 前 대통령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고향이다. 호를리우카와 갈은 도시권에 속한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토레즈|치스탸코베]](Чистякове)[* 2016년부터 우크라이나에서는 현재의 명칭을 따르고 있으나, 러시아와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측은 [[토레즈]](Торез)라는 기존 명칭을 고수하고 있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샤흐툐르스크|샤흐타르스크]](Шахтарськ)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올레니우카(Оленівка)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일로바이스크(Ілова́йськ) - [[돈바스 전쟁]] 중 일로바이스크 학살이 일어난 곳이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노보아조우스크(Новоазо́вськ)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유일한 [[항구 도시]]였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솔레다르]](Соледар)# - 우크라이나가 통치중이었는데 러시아가 2023년 1월 이곳을 점령하였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바흐무트]](Бахмут)# - 약 9개월 간의 [[바흐무트 전투|기나긴 전투 끝에]] 러시아군이 2023년 5월 20일 바흐무트를 점령하였다. == 관련 문서 == * [[도네츠크]] * [[루한스크주]] * [[돈바스]]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도네츠크, paragraph=2, version=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