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델타드로메우스}}}[br]Deltadromeu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ltadromeus_agilis_%282%29.jpg|width=100%]]}}} || ||<-2> [[백악기 후기]] ^^{{{-1 세노마눔절}}}^^[br]95,000,000 년 전[br][[아프리카]] || ||<-2> {{{#000 '''학명'''}}} || ||<-2> ''' ''Deltadromeus agilis'' '''[br]Sereno ''et al''., 1996 || ||<-2><#f96>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상목'''}}}]] ||[[공룡|공룡상목^^Dinosaur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용반목^^Saurischia^^]]|| || [[아목|{{{#000 '''아목'''}}}]] ||[[수각아목|수각아목^^Theropoda^^]]|| || {{{#000 '''계통군'''}}} ||†[[케라토사우루스류|케라토사우루스류^^Ceratosaur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노아사우루스과^^Noasau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델타드로메우스속^^''Deltadrome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델타드로메우스 아길리스 (''D. agilis'')^^{{{-1 [[모식종]]}}}^^[br]Sereno ''et al''., 1996||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gged-fang-designs-asdelta-04.jpg|width=100%]]}}} || || '''{{{#fff {{{+1 복원도}}}}}}'''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robinson-deltadromeus-skeletal-artstation.jpg|width=100%]]}}} || || '''{{{#fff {{{+1 골격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백악기]] 후기 세노마눔절 [[북아프리카]]에 살았던 [[수각류]] 공룡. 속명의 뜻은 '[[삼각주]]의 질주자'이다. == 특징 및 생태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5630846_3161450317246569_8526769216265895867_n.png|width=100%]]}}} || || '''{{{#fff {{{+1 인류와의 크기 비교}}}}}}''' || 몸길이 7~8m, 몸무게 1t 정도로 추정되는 노아사우루스과 내에서는 가장 큰 덩치를 지녔으며 꽤 날씬하고 가벼운 몸집에 날렵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크기를 볼때 주로 [[어류]]나 작은 동물은 물론 당시 공존하던 중소형 용각류 공룡인 [[아이깁토사우루스]]나 [[레바키사우루스]] 같은 대형 동물들도 잡아먹었을 것이다. 또한 루곱스나 아성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류처럼 크기가 비슷한 육식동물들과는 상당한 경쟁을 했을 것이고, 성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류나 [[스피노사우루스]]같은 대형 육식동물의 먹이가 되거나 죽임을 당하기도 했을 것이다. == 발견의 역사 ==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ltadromeus31DB.jpg|width=100%]]}}} || || '''{{{#fff {{{+1 용각류를 사냥한 델타드로메우스를 묘사한 구 복원도[* 이 당시 공미룡류^^(Coelurosauria)^^로 분류된 상태이다.]}}}}}}''' || 화석은 [[모로코]]의 [[켐켐층]]에서 [[루곱스]]와 [[스피노사우루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사우로니옵스]] 등의 다른 대형 육식공룡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이집트]]의 [[바하리야층]]에서 발견된 [[바하리아사우루스]]가 매우 가까운 친척뻘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둘이 사실은 동일한 종이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바하리아사우루스는 그 추정 크기가 11~12m로 추정되는 매우 거대한 육식공룡으로, 델타드로메우스와 크기 차가 꽤 나는 데다가 모식표본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실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가 힘든 상황. 한때 공미룡류로 알려져왔던 수각류이지만 현재는 [[케라토사우루스류]]로 밝혀졌고 [[노아사우루스]]나 [[마시아카사우루스]], [[엘라프로사우루스]] 같은 노아사우루스과에 속한다. 하지만 2016년에 [[후인쿨층]]에서 발견되어 명명된 신종 수각류인 [[구알리코]]와 관련된 논문에서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류, 메가랍토르류와 더 가깝게 분류되었다. 델타드로메우스도 [[구알리코]]와 신체적으로 유사한 점이 여러 개 있기 때문에, 델타드로메우스는 어쩌면 메가랍토르류와 더 가까운 공룡일 수도 있다. == 등장 매체 == [[파일:공룡킹 델타드로메우스.webp|width=500]] *[[고대왕자 공룡킹]] 2007년 시리즈부터 바람 속성 공룡으로 등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고대왕자 공룡킹/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에선 1기에서도 등장. 갠지스 강에 나타나 헤엄치던 미이나와 함께 석양을 향해 버터플라이를 하지만 뒤이어 나타난 [[스피노사우루스]]로부터 미이나를 구해주곤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만다. 이후 미이나는 공룡의 도움을 받았다며 공룡을 연구하는 학자라는 꿈이 생겼다고 한다. 다만 여기서는 목이 길고 체형이 가느다란 실제 델타드로메우스와 달리 평범한 수각류의 형태를 하고 있다. *[[공룡메카드]]에서는 수오가 사용하던 [[타이니소어]]로 등장했다. 여기서도 노아사우루스과의 체형은 반영되지 않았고, 앞발도 박수치듯 마주본 구조가 아닌 땅을 향해 있는 등 오류가 있다. [[분류:노아사우루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