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덴마)] [목차] 각종 서브컬쳐 [[패러디]]들로 점철된 다른 웹툰들과는 다르게 서브컬쳐 패러디가 많지는 않다. 하지만 군데군데 패러디가 보이기는 한다. 작중 등장인물의 이름이나 기관 등 대부분의 명사를 [[성경]]에서 따왔다. 특히 성경 관련 지명들이 행성 이름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클리셰도 은근히 있다. 한 영어판 독자가 [[TV Tropes]] 항목을 만들었다. [[http://tvtropes.org/pmwiki/pmwiki.php/Webcomic/DenmaTheQuanx|Denma The Quanx]]. 여기에서 작품에 있는 각종 클리셰들을 볼 수 있다. 해외판 한정(★)도 포함한다. == 챕터 1 == === [[덴마/파마나의 개|파마나의 개]]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화]](1화) * [[사보이(덴마)|사보이]]의 [[사보이|이름]] * [[다이크 휴빙|다이크]]의 [[다이크|이름]]. 다이크는 [[그리스어]]로 정의를 뜻하는 단어 디케(Δίκη)를 영어식으로 읽은 [[다이크]](Dike)에서 온 듯하다. [[성경]]에서 등장인물의 이름을 잘 따오는 작가답게 이 단어도 [[http://biblehub.com/topical/d/dike.htm|성경에 나온다.]] 또한 디케는 그리스의 정의의 여신을 뜻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영어식으로 ˈdiːkeɪ 또는 ˈdɪkiː라고 읽는다.] 저울이 상징이며 눈을 감고 죄의 무게를 잰다.~~ 그리고 인간 저울 덴마(다이크)는 초코바의 무게를 잰다.~~ 또한 [[다이크|Dike와 Dyke]]는 둘 다 제방을 뜻한다. 제방은 물 주위에 쌓는 둑을 뜻한다. 이 중 Dike는 영국식으로 변기, 화장실을 뜻하는데 [[덴마/콴의 냉장고|나중에 다이크에게 일어난 일]]과 연관된다.(...) * [[우라노(덴마)|행성 우라노]]의 [[우라노|이름]] * [[퀑]]의 이름.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에서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110|유래했다]]는 설이 있는데 '''사실이다.''' 서울 와우북 페스티벌 행사의 일환으로 2016년 9월 30일에 열린 [[http://wowbookfest.com/index.php?mid=lecture2016&page=2&document_srl=3918|SF 만화, 인간과 우주의 이야기]]에서 작가가 이걸 보고 다음 작품에 퀑을 등장시키려고 했다고 밝혔다. [[http://blog.naver.com/chling/220828103027|링크]] 물리학에서 양자역학의 양자를 뜻하는 QUANTUM도 참고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2화]](2화): [[테라(덴마)|행성 테라]]의 [[테라#s-1|이름]] === [[덴마/해적선장 하독|해적선장 하독]]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1화]](5화) * [[덴마/택배 관련인물#s-2|에돔 연대]]. 이름의 유래는 이스라엘 · 요르단, 팔레스타인의 옛 지방인 [[http://kcm.kr/dic_view.php?nid=22275&key=2&kword=%BF%A1%B5%BC&page=|에돔(Edom)]] * [[덴마/행성#s-2.2|행성 레카]]. 어원은 '떠나가라'라는 뜻을 지닌 [[히브리어]] 레크 레카(Lech Lecha). * [[덴마/택배 관련인물#s-2|하독]]. 이름의 유래는 [[땡땡의 모험|땡땡 시리즈]]에 등장하는 욕쟁이 선장 [[아독 선장|아독]](Haddock, 여기서의 H는 묵음)에서 따온 듯도 하지만, [[하록 선장]]의 등장인물인 [[하록]]이라는 절대적인 네임밸류를 지닌 인물이 있는지라...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2화]](6화) * [[덴마/택배 관련인물#s-2|민G]]. 실존 아이돌인 [[공민지]]를 모델로 한 것 같다. 여담이지만 [[양영순]]이 공민지 팬이다.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48|48화]]에서 팬클럽에 가입했다는 걸 알렸다. * [[패왕(덴마)|패왕]]의 [[패왕|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4화]](8화) * [[덴마/행성#s-2.3|행성 가데스]]. 어원은 [[http://kcm.kr/dic_view.php?nid=21021&key=&kword=%B0%A1%B5%A5%BD%BA&page=|가데스 바네아]](kadesh-barnea)의 가데스(Kadesh). * [[덴마/행성#s-2.4|행성 바네아]]. 어원은 [[http://kcm.kr/dic_view.php?nid=21021&key=&kword=%B0%A1%B5%A5%BD%BA&page=|가데스 바네아]](kadesh-barnea)의 바네아(Barnea). * [[덴마/용어#s-3|아바타]]의 [[아바타|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6화]](10화): 매듭의 색깔.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23|23화]]부터 나온 시니스의 매듭의 색깔에서 따왔다. * [[덴마/해적선장 하독#s-2.2|<해적선장 하독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1화]](11화): [[하도르]]의 [[하토르|이름]] === [[이브(덴마)#s-2|이브(EVE)]]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1화]](12화) * [[이브(덴마)|이브]]의 [[이브#s-2|이름]] * [[야와]]. [[가톨릭]]의 [[야훼]]에서 따온 것이다. 이는 야와가 [[YHWH]]라는 마크가 그려진 의자에 앉아 있는 것에서 증명된다. YHWH는 [[히브리어]]로 기록된 구약에서의 야훼를 의미하는 신성한 이름. === [[덴마/이브 라헬|이브 라헬]]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3|1화]](13화): [[라헬(덴마)|라헬]]의 [[라헬(창세기)|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4|2화]](14화): [[애플(덴마)|애플]]의 [[사과|이름]]. [[선악과]]가 일반적으로는 [[사과]]로 묘사되는 것에서 따왔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5|3화]](15화): [[덴마/등장인물#s-2.1|만기된 실버퀵 퀑 기사]]의 대사 "[[난 살아 있다구, 이 니기미 씨부랄것들아!|살아남았어! 난 살아남았다고! 실버퀵, 이 개자식들아!]]" === [[덴마/블랙아웃|블랙아웃]]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6|1화]](16화): [[덴마(덴마)|덴마]]가 보고 있는 만화. [[비타민(만화가)|비타민]]의 웹툰인 [[야후! 카툰세상#s-3|오로보바투]]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8|3화]](18화): [[아담(덴마)|아담]]의 [[아담|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9|4화]](19화) * [[기두]]의 [[손오공|생김새]] * [[엘 리뇨 아르케딜라마 누브레 소셰키아스|엘]]의 [[엘#s-2|이름]] * [[덴마/등장인물#s-4.2|사천왕]]의 [[사천왕#s-2|이름]] * [[덴마/용어#s-3|팍스 중공업]]의 [[팍스#s-1|이름]] * [[덴마/블랙아웃#s-2.2|<블랙아웃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2|1화]](22화) * [[아셀]]. 이름의 유래는 구약[[성경]]에 나온 야곱의 12명의 아들 중 하나인 아셀(Asher)에게서 온 것으로 보인다. * [[발락(덴마)#s-2|발락]]의 [[발락|이름]] * [[덴마/블랙아웃#s-2.2|<블랙아웃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3|2화]](23화): [[야와]]의 대사 "발락군은 역시 유용해. [[대부(영화)#s-4|거절할 수 없는 조건을 걸게.]]" === [[아담(덴마)|Band of Brothers]] === [[밴드 오브 브라더스|Band of Brothers]]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4|1화]](24화) * [[삼익악기|SAMICK]] * [[궁디팡팡|궁디 팡팡!]] === [[덴마/야엘 로드|야엘 로드]]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5|1화]](25화) * [[덴마/택배 관련인물#s-3|야엘]]. [[히브리어]]로 '오! 신이여'라는 뜻이라고 한다. * [[러시모어 산|영웅의 전당]] * [[피코]] * [[네게브|행성 네게브]]의 [[http://kcm.kr/dic_view.php?nid=41445&key=2&kword=%B3%D7%B0%D4%BA%EA&page=|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6|2화]](26화) * [[넥타르]] * [[데카(접두어)|데카]], [[헥토]] * [[루저의 난|키로 인한 계층간 적대감]]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0|6화]](30화): [[데바림]]. [[히브리어]]로 '말씀들'이라는 뜻이고, [[성경]] 중에서는 토라의 마지막 책인 [[신명기]]를 뜻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1|7화]](31화): [[아론(덴마)|아론]]의 [[아론#s-1.1|이름]] * [[덴마/야엘 로드#s-2.2|<야엘 로드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5|1화]](35화): [[덴마(덴마)|덴마]]가 부른 노래. [[G-DRAGON]]의 [[Heartbreaker(G-DRAGON)|Heartbreaker]]다. === [[바헬#s-2.1|반장 바헬의 하우 투 킬]]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6|1화]](36화): [[바헬]]의 대사 "떼려고 할수록 더 엉겨 붙어. 살과 혓바닥에 녹아 붙어서 뱉을 수도 없고. 향기가 신경을 자극하니까 누구나 다 무작정 씹어보고 싶어 하더라."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29|29화]]에서 도미토스가 시니스의 매듭에 묶여 풀려고 할수록 더 목을 죄여 왔다고 독백하는 부분을 떠올리게 한다. === [[덴마/만드라고라|만드라고라]] === * [[덴마/만드라고라#s-2.1|<만드라고라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7|1화]](37화) * [[에드레이]]. 이름의 유래는 [[성경]]에 나오는 지명 중 하나인 [[http://kcm.kr/dic_view.php?nid=22276&key=&kword=%BF%A1%B5%E5%B7%B9%C0%CC&page=|에드레이]]다. 참고로 에드레이의 정확한 의미는 불명이지만 일단 '[[캐릭토님|강한]]' 혹은 '곡물의 땅'이라는 뜻으로도 알려진 것 같다. * [[게오르그 필터]]. [[스카우터]]의 오마주로 추측된다. * [[사보이(덴마)#s-2|마루타]]의 [[마루타|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8|1화]](38화) * [[덴마/택배 관련인물#s-4|나오미 수녀]]의 [[나오미|이름]] * [[덴마/용어#s-3|만드라고라]]의 [[맨드레이크|이름]] * [[덴마/택배 관련인물#s-4|벧엘 자매의 집]]의 [[베델|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0|3화]](40화) * [[덴마/종교#s-1|고엘 정교회]]. 고엘(Goel)은 ~~스랄~~ [[히브리어]]로 '친족', '잃은 것을 회복시켜 주는 자'를 뜻한다. * [[덴마/행성#s-5.2|행성 에반]]의 [[에반|이름]] * [[덴마/만드라고라#s-2.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1|1화]](41화): [[덴마/용어#s-3|브엘라해로이 이미테이트로스]]의 이름. 브엘라해로이(Beer-lahai-roi)는 [[히브리어]]로 ‘나를 보시는 살아 계신 분의 우물’이란 뜻. 아브라함의 몸종 하갈과 그의 아들 이스마엘이 사라의 격노를 피하여 네게브를 거쳐 이집트 쪽으로 도주할 때, 천사를 만난 우물을 지칭한다. === [[덴마/사보이 가알|사보이 가알]] === * [[덴마/사보이 가알#s-2.1|<사보이 가알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8|1화]](48화) * [[랜돌프|응가이]]의 [[듀크 토고|생김새와 자신의 등 뒤에 다른 사람이 서는 것을 극단적으로 싫어하는 점.]]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9|1화]](49화) * [[기아자동차|GIA]] * [[가알]]의 [[http://kcm.kr/dic_view.php?nid=703&key=&kword=%B0%A1%BE%CB&page=|이름]] * [[한나(덴마)|한나]]의 [[한나|이름]] * [[보일(덴마)|보일]]의 [[정준하|생김새]] * [[전사체]]. 이름의 유래는 RNA의 발현체로서 "상호작용체"라는 뜻을 가진 [[전사(생물학)|전사체]](轉寫體, transcriptome)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0|2화]](50화): [[에드레이]]가 부른 노래. 영화 Dhoom 2의 OST인 [[https://www.youtube.com/watch?v=C3RDJI1YAnM|Crazy Kiya Re]]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1|3화]](51화): [[펜타곤(덴마)|펜타곤]]의 [[펜타곤|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2|4화]](52화): [[이델]]의 이름. [[성경]]에 나오는 지명 중 하나로, 다윗의 30용사 중 카렐의 고향인 이델(Ithrita)에서 따왔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8|10화]](58화) * [[덴마/등장인물#s-3.5|마돈나]]의 [[마돈나#s-1|이름]] * [[태모신교#s-5|믓시엘]]. 어원은 구약[[성경]] 창세기에 나온 [[카인]]의 후손 중 한 사람인 므두사엘(Methushael)로 추정된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61|어느 화의 사라진 베댓]]에 따르면 [[그리스어]]로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를 뜻하는 [[자비송|키리에 엘레이손(Kyrie eleison)]]은 키리에 엘레이숨(Kyrie eleisum)이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그 중 엘레이숨(eleisum)을 거꾸로 쓰면 믓시엘(musiele)이 된다고 추측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우선 (구) 영어판에서는 Methushael, (신) 영어판에서는 [[http://www.webtoons.com/en/sf/denma/11-savoy-gaal-10/viewer?title_no=921&episode_no=58|Me-thu'-s]][[http://www.webtoons.com/en/sf/denma/12-sixteen-2/viewer?title_no=921&episode_no=89|(h)a-el]]로 번역했다. * [[가알]]의 대사 "부모 원수는 잊어도 제 돈 떼먹은 놈은 못 잊는 법이지." [[군주론]] 중 "사람은 자기 부모를 죽인 원수는 세월이 지나면서 잊을 수 있어도, 부모의 유산을 가로채간 이는 평생 기억한다."라는 부분에서 따왔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0|12화]](60화): 셋이 부른 노래. [[조용필]]의 노래인 [[단발머리#s-3|단발머리]]다. 아예 조용필의 얼굴이 화면에 나온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1|13화]](61화): [[미라이 닷수]]의 [[미라이 나가수|이름]]. 여담으로, [[미라이]]는 일본어로 미래를 뜻한다. 여러모로 의미심장하다. 하지만 작가가 당시에 캐릭터의 이름을 지을 때는 일본어 뜻을 몰랐다고 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3|15화]](63화): [[이델]]의 목에 난 꿰맨 자국. [[1001(웹툰)|1001]] [[https://www.myktoon.com/web/works/viewer.kt?timesseq=39|4화]] [[1001 1번째 이야기|1번째 이야기]]에 나온 이맘 선생의 목에 난 꿰맨 자국과 똑같이 생겼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5|37화]](85화): [[고라#s-3.1.1|미생물 고라]] * [[덴마/사보이 가알#s-2.3|<사보이 가알 A,E.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7|1화]](87화) * [[GS25|CS24]] * 국적국적. [[누들누드]]에서 성관계를 할 때 나온 효과음이다. === [[덴마/식스틴|식스틴]]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8|1화]](88화): [[이델]]이 오에게 준 [[황남빵|빵]]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9|2화]](89화): [[햄(덴마)|햄]]의 [[함#s-4|이름]]. 또는 선생님→샘→[[햄(동음이의어)|햄]]으로 추정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0|3화]](90화): [[태모신교#s-5|무녀]]의 [[무녀#s-2|유래]]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2|5화]](92화): [[넬(덴마)|넬]]의 [[넬#s-3|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4|7화]](94화) * 수호사제 복장의 가슴팍에 달린 장식 한 쌍.(...) 수도꼭지같이 생겼는데, 수도꼭지와 젖꼭지라는 단어 뒤에 붙은 '꼭지'라는 공통점 때문인 듯.[* [[철견무적]]에서 먼저 나왔다. [[라미레코드]]에서도 다시 나왔다.] * [[덴마/등장인물#s-3.2|가브리엘]]의 [[가브리엘|이름]] * [[덴마/등장인물#s-3.2|시므이]]. 이름의 유래는 [[히브리어]]로 ‘(여호와께서) 응답하셨다’, ‘유명한’이란 뜻을 가진 [[성경]]의 인물 시므이(Shimei)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7|10화]](97화): [[덴마/종교#s-2|누트 대신교]]. 누트(Nut)는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이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8|11화]](98화) * [[덴마/용어#s-3|아하시야]]. 이름의 유래는 남 유다 왕국의 왕으로 오므리 왕조의 3대 왕으로 즉위했는데, 뭔가 제대로 한 일도 없이 옥상에서 떨어져(...) 끙끙 앓다가 세상을 떠나는 아하시야(Ahaziah). * [[Z용]]. 모티브는 [[G-DRAGON]]으로 보인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0|13화]](100화): [[아비가일(덴마)|아비가일]]의 모습. [[1001(웹툰)|1001]] [[1001 2번째 이야기|2번째 이야기]]에 나온 백발귀의 머리 모양과 색이 똑같이 생겼다.[* [[아비가일(덴마)|아비가일]]은 [[철견무적]]에서 먼저 나왔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1|14화]](101화) * [[덴마/등장인물#s-3.4|시드기야 여단 대표]]. 이름의 유래는 이스라엘 왕국 최후의 왕인 시드기야(Zedekiah). * [[덴마/등장인물#s-3.4|갈렙 형제]]. 이름의 유래는 민수기의 등장인물 갈렙(Galeb).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3|16화]](103화) * [[태모신교#s-5|예배]]의 [[예배|이름]]. 행위는 성관계다. 고대 메소포타미아나 레반트 지역같은 경우, 신을 모시는 무녀들이 풍요를 기원하는 뜻에서 신도들과 성관계를 하는 경우가 간간히 보였다고 한다. [[태모신교]]의 다른 모티브와 마찬가지로 여기서 따왔을 듯.[* 참고로 그 유명한 로마의 엘라가발루스 황제는 이러한 분위기에서 성장해서 당시 로마 내에서 유일하게 순결을 지켜야 할 베스파 여신의 여제사장을 자기가 원래 있었던 지역의 무녀들처럼 대해서 물의를 일으켰다고.] * [[태모신교#s-5|부흥회]]의 [[부흥회|이름]]. 행위는 난교다. * [[호르마]]의 [[http://kcm.kr/dic_view.php?nid=22398&key=&kword=%C8%A3%B8%A3%B8%B6&page=|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6|19화]](106화) * [[인과율]]. [[1001(웹툰)|1001]] [[1001 3번째 이야기|3번째 이야기]]에도 나온다. * [[란(덴마)|란]]의 [[다음 웹툰/연재종료#s-1.9|이름]] * [[란(덴마)|란]]의 [[양영순|생김새]]. 단행본 2부 파트 1 출판 기념으로 출판사에서 2017년 9월 17일 오후 4시에 한 서점에서 개최한 사인회인, [[https://twitter.com/neobooks_studio/status/909304922486669312|양신, 양형, 양선생을 만나는 시간]]에서 작가가 [[덴마]] 세계관에서 다시 태어난다면 란이 되고 싶어하는데, 그래서 일부러 작가 본인과 닮게 그렸다고...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1|24화]](111화) * [[고라(덴마)|고라]]의 [[고라#s-2.1|이름]] * [[고라(덴마)|고라]]가 [[사이코메트리|기억 읽기]] [[퀑]] 능력을 쓰는 부분. [[1001(웹툰)|1001]] [[1001 3번째 이야기|3번째 이야기]]에 나온 안경쓴 중국풍의 마신이 [[사이코메트리]] 능력을 쓴다. * [[발락(태모신교)|발락]]의 [[발락|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2|25화]](112화): [[고라(덴마)|고라]]가 [[사이코메트리|기억 읽기]] [[퀑]] 능력을 통해 야한 장면을 보는 부분. [[1001(웹툰)|1001]] [[1001 3번째 이야기|3번째 이야기]]에 나온 안경쓴 중국풍의 마신도 [[사이코메트리]] 능력을 통해 야한 장면을 본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6|29화]](116화) * [[크리스마스|태모성탄제]] * [[테아르]]의 [[티어#s-2|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3|36화]](123화): 아브로나 교도소의 이름. 이름의 유래는 [[성경]]에 나오는 지명 중 하나인 [[http://kcm.kr/dic_view.php?nid=22209|아브로나]].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4|37화]](124화): [[삼다수|사다수]]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35|48화]](135화): [[덴마/등장인물#s-12|다브네스 왕가]]. 이름의 유래는 히브리어로 '왕의 아내'를 뜻하는, [[성경]]에 나오는 파라오의 아내인 다브네스(Tahpenes).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43|56화]](143화): 2NE1의 곡 [[Can't Nobody]]의 뮤직비디오 중 [[https://www.youtube.com/watch?v=Ihi_kJJj_8A&t=76s|1분 16초]]경의 [[공민지]]의 의상과 안무 * [[덴마/식스틴#s-2.2|<식스틴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48|4화]](148화): [[가츠(덴마)|가츠]]와 [[막스]], [[발락(태모신교)|발락]]의 포지션. [[1001(웹툰)|1001]] [[1001 5번째 이야기|5번째 이야기]]에서 구도와 감찰대장 2명의 이야기를 생각나게 한다. === [[덴마/피기어|피기어]] === [[피기어]]. 돼지의 영어명인 pig 또는, 돼지같은을 뜻하는 piggier 또는, 돼지의 귀를 뜻하는 pigear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된다. 영어판은 후자로 결정되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59|2화]](159화): [[훈(덴마)|훈]]의 [[김훈(태권V)|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65|8화]](165화): [[제트(덴마)|제트]]의 대사 "쯧! 방심하면 별것도 아닌 게... 치졸한 수작은 용납 못 해!"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11|11화]]에서 상대의 허를 찌르는 예상 밖의 선빵이 나온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70|13화]](170화): [[훈(덴마)|훈]]의 대사 "[[지금 만나러 갑니다|지금... 만나러 갑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88|31화]](188화): [[덴마/택배 관련인물#s-2|뮤이]]의 대사 "전... 그 남자의... 등을 보고 자랐거든요." 뮤이가 자신의 아버지의 등을 떠올리는데, 이 부분은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3|3화]]의 내용을 떠올리게 한다. === [[덴마/God's lover|God's lover]] === [[공민지]]의 당시 트위터 프로필에 있던 문구들 중 하나에서 따왔다. [[http://mwave.interest.me/en/kstar/159647/gong-minji/sns/twitter|링크 1]], [[http://www.koreaboo.com/news/trending-minzy-removes-2ne1-tag-from-instagram-and-twitter/|링크 2]] [[https://twitter.com/mingkki21|2NE1을 나온 이후에는 쓰지 않는다.]] 전술한 사인회에서 작가가 공민지에게 한 트위터 팔로우 신청이 받아져서 기뻤는데, 그 당시 [[덴마/피기어|<피기어>]] 이후 다음 에피소드를 준비해야 해서 이때 프로필에 있던 문구들 중 God's lover로 이름을 붙인 뒤 이야기를 짜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God's lover는 신의 연인이라 해석되기도 하고 [[고드(덴마)|고드]]의 연인이라 해석되기도 한다. 둘 다 맞을 듯. ~~아가페 돋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04|9화]](204화): [[고라(덴마)|고라]]가 마신 [[기네스|맥주]]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08|13화]](208화): [[고드(덴마)|고드]]의 [[신(종교)|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10|15화]](210화): [[덴마/용어#s-3|A.N.G.E.L.]] 마크는 눈알 모양인데, [[일루미나티]]를 상징하는 전시안(All Seeing Eye)과 닮았으며, 엔젤 프로젝트 자체는 일루미나티가 추진한다고 음모론에서 주장하는 통합 시스템인 [[베리칩]]을 연상시킨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11|16화]](211화): [[이마트|ee Mart]]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12|17화]](212화): [[배스킨라빈스 31|32 ice]]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14|19화]](214화): [[버거킹|BURGERBANG]]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16|21화]](216화) * [[트랜스포머: 다크 오브 더 문(영화)|TRANSPERM 3]] * [[써니(영화)|쩌니]] * [[바이더웨이|BY the WAY 24]] * [[맥스(맥주)|WAX]] ~~왁스를 마시다니~~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19|24화]](219화): [[신라면|푸라면]]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27|32화]](227화): 한 미용사의 대사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지켜주지 못해 미안!]]"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32|37화]](232화): [[호가든|맥주]]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35|40화]](235화): [[하이네켄|KE:Hein]]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37|42화]](237화): [[덴마/택배 관련인물#s-6|메이 체리 블라섬]]의 [[메이|이]][[벚꽃|름]]. 본인 말로는 성의 없는 네이밍이라지만 그녀가 원하는 결혼식과 큰 [[캐릭토님|관련]]이 있는 이름이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38|43화]](238화) * [[덴마/택배 관련인물#s-6|행성 벨라의 주인의 집사]]의 [[아돌프 히틀러|생김새]] * [[42(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42번째]]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43|48화]](243화): [[몸·마음 문제|심신이원론]]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49|54화]](249화): 샘과 이즈미가 "오, 이런 맙소사..."라고 말하는 부분. [[1001 3번째 이야기|3번째 이야기]]에서 자무시가 "오, 이런 맙소사!"라고 말하는 부분을 떠오르게 한다. 그 밖에도 [[덴마]]에서는 "오 이런, 맙소사"라는 대사가 자주 나온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59|64화]](259화): [[와플(동음이의어)#s-8|Waffle]]. 네이버 웹툰 [[가우스전자]]에 나오는 가우스전자의 최대 경쟁사로 [[Apple|애플]]을 패러디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62|67화]](262화): [[덴마(덴마)|덴마]]의 대사 "우쭐대는 꼴은 재수 없는데, [[사랑합니다 고객님|사랑합니다, 고객님!]]"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68|73화]](268화): [[덴마/용어#s-3|루시퍼]]의 [[루시퍼|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73|78화]](273화): [[고산 공작]]의 [[고산#s-2.3|이름]]. 그런데 '그릇된 '''계산'''', '잘못'을 뜻하는 오산(誤算)이라는 단어는 [[일본어]]로 [[고산#s-4|고산]](ごさん)이라 발음된다. 의도된 바가 아닐 수 있지만, 그간 고산의 행보를 보면 무척 절묘하다. 참고로 고산(Gozan) 혹은 고센(Goshen)은 그 유래가 불명확한 지명으로, 발음이 정확하다는 전제하에서 '경작된 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고산 공작이 [[덴마/용어#s-3|8우주]]의 주인이면서 금수저의 상징임을 감안하면, '경작된 땅'이라는 뜻도 상당히 많이 통한다. 아버지로부터 미리 경작된, 즉, 미리 [[태모신교|종단]]을 이용해먹은 아버지의 음모로 인해 8우주의 주인이 된 공작이면서, 동시에 잘못을 저질렀다는 뜻까지 통한다. ~~양영순 작가가 이것까지 노린 거라면 도대체 이런 걸 어디서 배운 건지가 궁금해진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76|81화]](276화): [[고드(덴마)|고드]]의 대사 "못 믿겠다면 시험 삼아 내게 1분 짜리 투명 망또를 보내줘. [[대부(영화)#s-4|거절할 수 없는 대가를 줄 테니.]]"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77|82화]](277화): [[덴마/택배 관련인물#s-6|곤사마]]의 [[배용준|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78|83화]](278화): [[덴마/택배 관련인물#s-6|히타스]]. [[비타스]]의 이름을 변형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79|84화]](279화): Boutique [[앙드레 김|Andre]]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80|85화]](280화): [[장화신은 고양이]]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86|91화]](285화) * 벨라 키로넥스 헬. 이름의 유래는 해파리 중에서도 독성이 강한 키로넥스 플렉케리(Chironex fleckeri - 바다말벌) * [[고드(덴마)|고드]]가 벨라 키로넥스 헬에 쏘였을 때의 벨라민의 민간 요법이 독을 오줌으로 중화한다고 말하는 부분. [[프렌즈]]에서 모니카가 해파리에 쏘이자 챈들러가 오줌을 누는 걸 떠올리게 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05|110화]](305화): [[배트맨|영화 속 다크 히어로]] * [[덴마/God's lover#s-2.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14|2화]](314화): [[빵봉지|빵봉투]]. [[양영순]]의 연령대와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옛날 김철호가 보물섬에서 연재하던 권투+축구만화(?) [[빵야빵야|빵야 빵야]]의 오마주임을 알 수 있다. 유명 권투선수로서의 정체를 숨기기 위해 [[빵봉지]]를 뒤집어쓰고 축구경기에 출장하는 주인공의 선수등록 이름부터 '''빵봉투'''다. * [[덴마/God's lover#s-2.3|]]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19|1화]](319화): [[야와]]의 대사 "미지근한 건 정말 싫다구. 뜨겁거나 차게 굴란 말이다." [[성경]]의 [[요한묵시록#s-2.1|요한계시록 3장 15~16절]]의 '내가 네 행위를 아노니 네가 차지도 아니하고 뜨겁지도 아니하도다. 네가 차든지 뜨겁든지 하기를 원하노라. 네가 이같이 미지근하여 뜨겁지도 아니하고 차지도 아니하니 내 입에서 너를 토하여 버리리라.' 부분에서 따왔다. == 챕터 2 == === [[덴마/a catnap|a catnap]] === 쪽잠, 토막잠 또는 선잠을 뜻하는 영어 낱말.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23|1화]](323화) * [[라미레코드#s-5|심방]]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80611&cid=50762&categoryId=51371|이름]][* 이름과 행위 자체는 [[라미레코드]]에서 먼저 나왔다.] * [[가이아(덴마)|가이아]]의 [[가이아|이름]] * [[아비가일(덴마)|아비가일]]의 [[아비가일|이름]] * [[하데스(덴마)|하데스]]의 [[하데스|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28|6화]](328화): [[태모신교#s-5|태모]]의 [[교황|포지션]]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29|7화]](329화): [[츄파춥스|사탕]]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33|11화]](333화): [[초코파이]]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34|12화]](334화): WFC. [[UFC]]와 [[세계 권투 평의회|WBC]]를 합한 듯하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38|16화]](338화): [[피에타#s-1.2|미켈란젤로의 피에타]]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69|46화]](368화): [[내가 고자라니|테아르와 의사의 대화]]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77|54화]](376화): [[조슈아#s-3.1|조슈아]]의 [[조슈아|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80|57화]](379화): [[맥심 T.O.P|P.O.T]]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83|60화]](382화) * [[엘 리뇨 아르케딜라마 누브레 소셰키아스|엘]]의 [[유비|포지션]] * 전대 공작의 [[조조|포지션]] * [[태모신교#s-5|조슈아의 눈]]. [[1001(웹툰)|1001]] [[1001 1번째 이야기|1번째 이야기]]부터 나오는 마신의 눈알을 떠올리게 한다. * [[엘 리뇨 아르케딜라마 누브레 소셰키아스|엘]]의 이름 중 엘 리뇨는 [[엘니뇨]]의 변형이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82|59화]](381화): 교복. 죄수복을 뜻한다. 조직폭력배들이 교도소를 학교라고 부르는 은어에서 따왔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84|61화]](383화): [[하즈(덴마)|하즈]]의 [[하즈#s-2|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85|62화]](384화): [[엘 리뇨 아르케딜라마 누브레 소셰키아스|엘]]의 별명인 [[손책|소패왕]]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92|69화]](391화): [[공작(덴마)|공작]]의 대사 "오... 나의 [[FANTASTIC BABY|판타스틱 베이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08|85화]](407화): 하아켄의 대사 "그래? 어디 실력 좀 볼까? [[럭키짱/명대사|네 큐브를 저 친구에게 던져봐.]]"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09|86화]](408화): [[태모신교|종단]]의 계획. ~~던퀑도넛~~ 구에서 도넛으로 넘어가는 모양은 미분기하학에서 나오는 [[푸앵카레 추측]]과 매우 유사하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16|93화]](415화): 가속 능력을 이용하면 눈 대신 몸으로 볼 수 있다는 말은 수십 년 된 무협지에 나온 오래된 클리셰에서 차용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35|112화]](434화): [[사촌형(덴마)|고산 공작의 사촌형]]의 [[하후돈|포지션]][* 하지만 실질적으로 집안 살림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는 [[순욱]] 포지션이라고 할 수 있겠다. [[고산 공작]]처럼 백경대의 두 주인 중 하나로 취급되는 점에서 순욱 이상의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애꾸눈과 조카라는 공통점 때문에 [[하후돈]]과 엮이는 것 같지만...]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64|141화]](463화): [[파우스트(덴마)|파우스트 박사]]. [[고산 공작]]의 [[빵봉지|빵봉투]]를 보면 아마도 [[길티기어 시리즈]]에 나오는 [[파우스트(길티기어)|파우스트]]의 패러디인 듯하다. 다만 빵봉투는 작가의 연령대와 연관지어 생각한 빵야빵야의 패러디라는 의견이 더 많고 [[파우스트(희곡)|파우스트]]라는 이름은 괴테의 희곡에서 유래된, 악마와 계약한 인간이라는 클리셰로 자주 나오는 이름이다. 작가가 길티기어 시리즈를 플레이 했다는 인증이 나오지 않는다. 단, [[라미레코드]]에 메피스토라는 병이 나오긴 한다. 작가가 길티기어 시리즈를 플레이 했다는 인증이 나오지는 않지만, 당시 고산 공작이 처음 나왔을 때 빵봉투를 보고 파우스트가 떠오른다는 댓글이 있어서 이름을 따온 게 아닐까 하는 추측이 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72|149화]](471화): [[아비가일(덴마)|아비가일]]이 너무 커진 유진에게 하는 대사 "[[너 같은 할머니가 어디 있어|너무 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79|156화]](478화): [[이드|원초아]], [[자아]], 초자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85|162화]](484화): [[아오리카|행성 아오리카]]의 [[아프리카TV|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88|165화]](487화): [[롯(덴마)|롯]]의 [[롯|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85|166화]](488화): 도피성(逃避星). 어원은 구약의 모세오경에서 우발적 살인자들이 재판없이 보복살해를 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도망갈 수 있는 성읍을 설정한 것(逃避城)에 근거한다. 여기서의 도피성은 정황상 치외법권지역이나 무법지대를 일컫는 말인 듯하다. * [[덴마/a catnap#s-2.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499|5화]](498화): [[OB맥주#s-5.1.1|QB OLDEN LAGER]] ~~큐베가 아니다~~ * [[덴마/a catnap#s-2.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01|6화]](500화): [[교차공간#s-3.2|커다란 짐승]]. ~~[[롯(덴마)|롯]]~~ [[1001(웹툰)|1001]]에 나오는 쌍두귀가 모티브로 추정된다. * [[덴마/a catnap#s-2.2|]] [[https://www.webtoons.com/en/sf/denma/chapter-2-1-ae-12/viewer?title_no=921&episode_no=506|12화]](505화)(★): [[철견무적]]의 영어 번역 Iron Dog [[존 도|John Doe]]. 무적(無籍)이 적을 둘 곳이 없다는 뜻이라는 걸 고려하면 적절한 번역이다. ==== [[라미레코드]]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09|1화]](508화) * [[태모신교]]의 [[가톨릭|모티브]] * [[덴마/등장인물#s-3.5|존]]의 [[존#s-1|이름]], [[나자렛의 요셉|포지션]], [[석가모니|생김새]] * [[조슈아#s-3.1|죠슈아]]의 [[예수|포지션]] * [[덴마/등장인물#s-3.5|마돈나]]의 [[성모 마리아|포지션]] * [[십자가형|십자가 처형]] * [[12사도|죠슈아의 열두 제자]] * 사랑과 보복. [[성경]]에서 사랑을 중요시 했던 신약 부분과 눈에는 눈 이에는 이를 강조했던 구약 부분을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 [[태모신교#s-5|새끼사제]]. [[불교]]의 [[사미#s-5|사미승]]이 모티브다. * 버고 인택티움. 어원은 virgo intacta = 처녀다. * [[김일성|일성]]문화회관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10|2화]](509화) * 1-307A 지구의 3-48의 [[한반도|모티브]]. 극심한 이념 대립으로 지난 40년간이나 [[북한|공산진영]]과 [[대한민국|자유진영]]으로 분단되어 있으며, 공산진영에서 탈출한 사람을 남측에서는 [[탈북자]]라고 부른다. * [[라미레코드#s-4|사채업자]]의 대사 "부모 죽인 원수는 용서해도 자기 돈 떼먹는 놈은 잊지 못하는 게 사람 마음 인데..." [[군주론]] 중 "사람은 자기 부모를 죽인 원수는 세월이 지나면서 잊을 수 있어도, 부모의 유산을 가로채간 이는 평생 기억한다."라는 부분에서 따왔다. [[덴마]]의 <사보이 가알>보다 먼저 패러디했다. * [[라미레코드#s-5|메피스토]]의 [[메피스토|이름]] * 이승과 저승의 경계에 있는 천사들. 삼반이조에 등장하는 존재와 비슷하다. * [[라미레코드#s-5|마오지 탄광]]의 [[아오지 탄광|이름]] * 햇빛 정책의 [[햇볕정책|이름]] === [[덴마/콴의 냉장고|콴의 냉장고]] === * [[덴마/콴의 냉장고/A.E.|<콴의 냉장고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18|6화]](517화): [[오호대장군|엘의 다섯 손가락]] * [[덴마/콴의 냉장고/A.E.|<콴의 냉장고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21|9화]](520화) * [[마빈(덴마)|마빈]]의 이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28|16화]](527화)에서 [[헤글러]]가 언급된 후 80년대의 실존 복서 [[마빈 해글러]]에서 따온 것 같다는 팬들의 추측이 나왔다. * [[아인(덴마)|아인]]의 모습.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40|40화]]에 나온 작가의 얼굴과 닮았다. 사실 여기서 작가의 모습이 빨갛게 나오는데, 원래는 빨갛지 않다. * [[카인(덴마)|카인]]의 [[카인|이름]]과 [[유선(삼국지)|포지션]]과 코.(...) 코에 달린 고추는 '음경이 코의 크기와 비례한다'라는 도시전설에서 따왔다. * [[하즈(덴마)|하즈]]의 포지션. 하즈의 조언 덕분에 엘 가가 크게 성장하자, 독자들은 하즈를 '[[제갈량|돼갈량]]'이라고 칭송했는데, [[엘 리뇨 아르케딜라마 누브레 소셰키아스|엘]]의 별명인 소패왕이란 부분과, 하즈가 엘을 대하는 태도 등에서 둘의 사이를 [[손책]]과 [[주유(삼국지)|주유]]같은 관계로 보는 견해도 있다. * [[덴마/콴의 냉장고/A.E.|<콴의 냉장고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28|16화]](527화) * [[아인(덴마)|아인]]의 [[아인#s-3|이름]] * [[헤글러]]의 [[마빈 해글러|이름]] * [[네이버]] 홈페이지 * [[덴마/콴의 냉장고/A.E.|<콴의 냉장고 A.E.>]]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35|23화]](534화): [[덴마/등장인물#s-2.1|파란해골 13호]]의 [[태권동자 마루치 아라치#s-2|생김새]]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37|1화]](536화): [[모압(덴마)|행성 모압]]의 [[모압|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39|3화]](538화): 카마엘의 보은. 아색기가에 나온 [[http://i.imgur.com/AzWjdJO.jpg|암자의 구멍]]에서 따왔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40|4화]](539화): [[콴(덴마)|콴]]의 [[콴|이름]]. 宽[kuān]은 중국어로 (폭이) 넓다, 드넓다, 너르다, 널따랗다, 널찍하다를 뜻한다. 내부 공간이 무한정 증식하는 콴의 냉장고의 특성과 결부하면 여러모로 의미심장하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43|7화]](542화): [[지로(덴마)|지로]]의 [[지로#s-3|이름]]. 支路는 큰길에서 갈린 작은 길을, 指路는 길을 가리켜 인도함을 뜻하는데, 이 중 [[성경]]에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96344&cid=50762&categoryId=51387|'길 안내인']]이란 뜻으로 쓰인 '[[지로#s-3|지로(指路)]]'에서 따온 듯하다. 영어로 [[지로#s-4]](zero)는 별볼일 없는 인간', '잉여인간' 등을 뜻하는 말이기도 하다. [[덴마/The knight|]] 17화에서 [[공자(덴마)|공자]]의 이름이 밝혀진 후, 지로의 이름에 획 하나만 늘면 [[공자]]의 애제자 [[자로]]가 되는 것에 주목하는 독자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44|8화]](543화): 주완의 대사 "얼마를 상상하든 그 이상을 받게 될 거야." 카피라이터 정승혜가 [[매트릭스(영화)|매트릭스]]에서 처음 사용한 카피인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될 것이다.'에서 따왔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61|25화]](560화): 콴의 냉장고의 [[타디스|밖에서 보는 것에 비해 안이 더 넓은 특성]]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68|32화]](567화): [[헬게이트]]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76|40화]](575화) * [[규오]]의 이마에 있는 甲. 규오가 처음 나왔을 당시였던 2013년에는 [[갑과 을|갑을문제]]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었다. * [[규오]]의 대사 "설사 너희 덕에 내가 종신형을 받게 되더라도 [[조두순 사건|불과 몇 년 뒤면 몸짱 돼서]] 다시 너희 앞에 나타나게 돼 있어."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77|41화]](576화) * [[패왕(덴마)|패왕]]이 입고 있는 옷에 있는 그림. [[1001(웹툰)|1001]]에서 마신을 자신의 몸에 가둔, 즉 [[1001 4번째 이야기|역(逆)마주눈]]한 모습이다. * [[패왕(덴마)|패왕]]의 대사 "머리 색이 왜 이래? 그 예쁜 검은 생머리... 감히 우리 [[덴마/택배 관련인물#s-2|민G]]의 귀한 머리결을 이따위 색깔로... 당장 [[YG엔터테인먼트|기획사]] [[양현석|사장]]이랑 코디 잡아와!" [[:파일:TIfRI0e.jpg|그 당시 공민지의 머리 색이 바뀐 상태였다.]] ~~양형이 [[공민지]] 머리색이 별로 맘에 안 들었던 듯~~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90|54화]](589화): [[덴마/등장인물#s-9|버드 대위]]의 [[배트맨|생김새]]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595|59화]](594화): [[맥심 T.O.P|T.O.B]]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05|69화]](604화): [[제트(덴마)|제트]]의 [[마징가Z(로봇)|이름과, 별명인 무쇠돌이]]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15|79화]](614화): [[퀑#s-3|사물 퀑]]과 사물 퀑의 [[전사체]]의 결합에 의한 행성 파괴력을 가진 대폭발은 물질-반물질(입자-반입자)의 결합에 의한 쌍소멸 에너지로 만들 수 있는 반물질 폭탄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23|87화]](622화): [[지로(덴마)|지로]]의 대사 "[[대한민국 경찰청/마스코트#s-3.2|잡았다! 요놈!]]"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35|98화]](633화) * 신 백경대 주황머리가 [[롯(덴마)|롯]]에게 외롭게 자라면서 자신만의 공간에 갇혀 이런 능력으로 발현되었다고 설명하고, 롯이 그의 방어막을 뚫으며 외롭게 자라면서 따돌림에 왕따까지 당하면 접촉에 대한 열망이 커져 누구에게라도 비집고 들어가고 싶어 한다고 말하는 걸로 보아 [[신세기 에반게리온|에반게리온 시리즈]]의 [[AT 필드]]에서 따온 걸로 추정된다. * 신 백경대 주황머리와 [[롯(덴마)|롯]]의 대사 [[럭키짱/명대사|"마... 말도 안 돼!", "돼."]]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38|101화]](636화): [[마이크 타이슨]]의 [[핵이빨]]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49|112화]](647화) * [[우로보로스]]. 여담이지만 우로보로스는 [[1001(웹툰)|1001]] [[1001 5번째 이야기|5번째 이야기]]에도 나온다. * [[덴마/용어#s-3|양자 통신]]. [[덴마]] 세계관에서의 양자 통신은 아마도 '양자 얽힘'을 이용해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기술로 보인다. 이론상 서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상관없이 특정 조건에 있는 한 쌍의 양자는 동시에 서로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실제로 양자 통신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가 진행된 적이 있다곤 하지만, 양자 얽힘 현상에서 실질적인 고전적 정보 전달 과정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통신수단으론 당분간 사용 불가능한 걸로 결론지어졌다.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양자_얽힘|양자 얽힘]] 문서와 위키피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Faster-than-light#Quantum_mechanics|Faster than light 문서의 Quantum mechanics 부분]]을 읽어보자.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57|120화]](655화): [[지로(덴마)|파란색 인간]]이 뿜어내는 기운으로 인해 공간이 왜곡되어 [[덴마/택배 관련인물#s-7|갈색]], 노란색, [[덴마(덴마)|진갈색 피부]]의 인간들이 그가 있는 쪽으로 끌려가는 모습. [[블랙홀]]과, 강한 중력은 시공간을 휘게 한다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따왔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77|140화]](675화) * [[덴마/행성#s-11.3|행성 이온]]. 어원은 [[히브리어]]로 황폐한을 뜻하는 [[http://kcm.kr/dic_view.php?nid=28484&key=&kword=%C0%CC%BF%E6|이욘]](Ijon)의 변형으로 추정된다. * [[덴마/행성#s-11.4|행성 갈란]]. 어원은 [[골란 고원]]의 페르시아어 발음인 갈란(Galan)으로 추정된다. * [[덴마/행성#s-11.2|행성 네카르]]. 어원은 히브리어로 이방인, 이방신을 뜻하는 네카르(Nekar)로 추정된다. * [[덴마/행성#s-11.7|행성 두오모]]. 어원은 히브리어로 하느님의 집, 즉 성당을 뜻하는 두오모(Duomo)로 추정된다. 여담이지만 두오모는 [[밀라노 대성당]]을 뜻하기도 한다. * [[덴마/행성#s-11.8|행성 헤론]]의 [[헤론|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78|141화]](676화): [[아인(덴마)|아인]]의 대사 "[[마음의소리|마음의 소리]]에 귀 기울여 보세요."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682|145화]](680화): [[덴마/용어#s-3|양자 통신 뇌파 공진기]]의 기기 작동 정지 암구호 '빨갛게 익은 내 얼굴이 그걸 증명해'. [[AKMU]]의 곡 중 하나인 [[PLAY(AKMU)#s-3.1.2|200%]]의 가사 중 일부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00|163화]](698화) * 매듭의 색깔.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23|23화]]부터 나온 시니스의 매듭의 색깔에서 따왔다. * 호조 후작의 경호대가 붙잡은 사람들을 목을 매달아 처형하는 모습.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42|42화]]에서 테세우스가, 죽은 살인귀 일당의 시신을 주변 곳곳에 걸어놓은 모습과 똑같다. * 호조 후작의 경호대가 도망가는 꼬마의 삼촌이 쏜 총알 두 개를 막고는, 그걸 삼촌의 양 다리에 날려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모습. [[1001(웹툰)|1001]] [[1001 3번째 이야기|3번째 이야기]]에 나온 뚱뚱한 마신이 두 손으로 다이아몬드를 창조하여 그걸 샤이드의 양 팔과 다리에 날려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부분과 똑같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01|164화]](699화) * [[시타(덴마)|시타]]의 [[시타|이름]] * [[덴마/택배 관련인물#s-7|아그니 자매회]]의 [[아그니|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09|172화]](707화) * 윤락녀가 오이를 가를 때 [[마빈(덴마)|마빈]]이 "아야!"라고 말하는 부분. 아색기가에 나온 김밥주던 할머니 스토리를 오마주했다. * [[의료민영화|의료 민영화]]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30|193화]](728화): [[시타(덴마)|시타]]가 부른 노래. [[섬집 아기]]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35|198화]](733화) * [[롯(덴마)|롯]]의 대사 "[[하데스(덴마)|아저씨]], 내가 친근하게 느껴질 순 있을 거야. 처맞기 전까지는." 유명 복서 [[마이크 타이슨]]의 명언인 "누구나 다 그럴듯한 전략을 가지고 있다. 한 방 맞기 전까지는."에서 따왔다. * [[마빈(덴마)|마빈]]의 대사 "[[가을동화#s-4|얼마야? 얼마면 돼?]]" [include(틀:스포일러)]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58|221화]](756화) * [[고산 공작]]의 외형.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48|48화]]에서 부터 등장한 메네스테우스의 외형과 비슷하게 생겼다. * [[고산 공작]]의 대사 "이른바 [[덴마/용어#s-3|8우주]] 정복. [[하즈(덴마)|한 놈]]만 치면 엘 가를 고스란히 삼킬 수 있어."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97|97화]]에서 메네스테우스가 한 대사인 "생각을 단순하게 고쳐먹었더니... 아테네가 내 손에 들어왔어!"를 떠오르게 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59|222화]](757화): 가야(인간)가 [[롯(덴마)|롯]](붉은 피부 악마 형태의 외계인)을 살리며 임신했다는 얘기를 하는 모습. 여러모로 [[헬보이 실사영화 시리즈|헬보이 2: 골든 아미]]에서 리즈 셔먼(인간)이 헬보이(붉은 피부 악마)를 살린 후 임신 소식을 알리는 모습이 떠오른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63|226화]](761화): [[덴마/등장인물#s-3.5|유진]]의 대사 "[[이대로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어요|이대로... 이대로 모든 것들이 전부 멈춰버렸으면 좋겠어.]]"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65|228화]](763): [[하즈(덴마)|하즈]]의 대사 "소개하지. 엘 가의 자랑, 붉은 늑대들이야."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61|61화]]에서 팔라스가 한 대사인 "소개하지. 우리 아테네 군단의 자랑, 무로노스야!"를 떠오르게 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78|241화]](776화): [[덴마/등장인물#s-5.3|마왕 팀]] 구성원들인 [[엘 리뇨 아르케딜라마 누브레 소셰키아스|엘]](+가이린)과 [[롯(덴마)|롯]](+나즈레), 그리고 [[지로(덴마)|지로]]. 각 컷에 나온 등장인물의 첫글자를 보면 [[엘롯기]]가 떠오른다~~ * [[덴마/콴의 냉장고#s-2.3|<콴의 냉장고 A.E.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91|13화]](789화): [[알보칠|구내염 치료제]] * [[덴마/콴의 냉장고#s-2.3|<콴의 냉장고 A.E.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92|14화]](790화): [[오징어짬뽕|ㅉㅃ]]. [[오징어짬뽕]]과 비슷한 이미지다. * [[덴마/콴의 냉장고#s-2.3|<콴의 냉장고 A.E.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796|17화]](793화): [[고산 공작]]의 대사 "왜 때리냐고 묻거든 복장이 무례했다 전해." 이애란의 곡 [[백세인생]]의 가사와 비슷하다. === [[덴마/The knight|The knight]]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06|9화]](803화): [[태왕(덴마)|태왕]]의 [[이명박|생김새]]~~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10|13화]](807화) * [[태왕(덴마)|태왕]]의 [[태왕|이름]] * [[블랭크(덴마)|블랭크]]의 [[블랭크|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14|17화]](811화): [[공자(덴마)|공자]]의 [[공자|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15|18화]](812화): [[놉(덴마)|놉]]의 [[놉#s-2|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16|19화]](813화): [[놉(덴마)|놉]]의 포지션. 유비군에 합류할 당시 [[제갈량]]이 20대의 젊은 나이여서 관우와 장비에게 애송이 취급 당했고, 대머리인데 굳이 동곳을 꽂은 관을 쓴 점, 그리고 [[복룡봉추|현재는 때를 기다리며 누운 용(伏龍)의 상태]]인 것이 유사한 점을 볼 때 놉이 제갈량 포지션인 것 같다는 추측이 나왔다. ~~그럼 [[하즈(덴마)|돼갈량]]은?~~ ~~주유나 사마의 정도~~ ~~엘이 유비 포지션이니 서서에 가까운 것 같은데~~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21|24화]](818화): [[공자(덴마)|공자]]가 쓰는, 공모전에 낼 [[논어|소설]] ~~그런데 공자는 논어를 쓰지 않았다. 공자의 제자들이 논어를 썼지~~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30|33화]](827화) * [[생강차]]. [[논어]] 향당편에 따르면 [[공자]]는 생강을 꾸준히 먹었다고 한다. 여기서는 생강차로 바꾸었다. * [[투썸플레이스|Two Thum(b)]]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37|40화]](834화): [[공자(덴마)|공자]]의 대사 "[[덴마#s-8.2|오오옵...]]" ~~이 오오옵에는 슬픈 전설이 있어~~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41|44화]](838화): [[헬맨]]의 이름. 지옥을 뜻하는 헬(hell)과 사람(남자)을 뜻하는 맨(man)의 합성어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55|58화]](852화) * 살인마들의 학살로 8우주 [[인과율]]의 어긋남이 발생한다는 부분. [[1001(웹툰)|1001]] [[1001 3번째 이야기|3번째 이야기]]에서 살육이 역사의 인과율에 영향을 준다고 나온다. * [[헬맨]]의 대사 "분노조절 장애? 그거 웃기는 말인 거 알아? [[https://t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t1.daumcdn.net/brunch/service/user/Fl7/image/PKOjxR6MI6cTLN_iG3mXv7VFBrA.jpg|너보다 센 놈한테도 조절이 안 되니?]] 그럼 인정해 줄게." 괜히 개폼 잡으면서 건들거리는 찌질이를 까기 위해 썼으며, '''너보다 강한 상대에게도 조절이 안되면 인정해 줄게'''란 대사에서 유추할 수 있듯 분노조절장애가 있는 사람은 상황 가리지 않고 분노를 터트린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56|59화]](853화): [[덴마/등장인물#s-8|팀장]]의 말을 따르는 부하. 여러모로 [[밀그램의 복종 실험]]을 떠오르게 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57|60화]](854화): [[샵(덴마)|샵]]의 이름. [[덴마/용어#s-3|가속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반올림을 뜻하는 [[샤프#s-1.3|♯]]인 듯하다고 독자들이 추정했다. 포토샵의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를 떠올리게 하는 [[가우스(덴마)|가우스]]의 이름과 결부지어서 포토샵의 샤픈 블러(Sharpen Blur)가 떠오른다는 주장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61|64화]](858화): [[가우스(덴마)|가우스]]의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이름]]. 단, 포토샵의 샤픈 블러(Sharpen Blur)를 떠올리게 하는 [[샵(덴마)|샵]]의 이름과 결부지어서 포토샵의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가 떠오른다는 주장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62|65화]](859화): 태왕 형제회 소속인 한 형제의 수하의 대사 "안녕, [[귀요미]]."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65|68화]](862화) * 대성목재. 우연인지는 모르겠으나, [[http://www.daeseongwood.com/|실존하는 곳]]이다.(...) * [[덴마/등장인물#s-12|목수]]. 긴 머리카락과 수염, 복장과 그의 직업이 목수인 걸 보면 [[예수]]에서 따왔다는 걸 알 수 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66|69화]](863화) * [[바질(덴마)|바질]]의 [[바질|이름]] * [[덴마/등장인물#s-12|편집장]]의 대사 "[[공자|작가 네이밍]]까지... [[논어|삼위일체]]네." * [[덴마/등장인물#s-12|편집장]]과 [[공자(덴마)|공자]]와의 대화. [[누들누드]] 데뷔 때의 경험담으로 추정된다. * ~~69화에 나온 야설 얘기~~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68|71화]](865화): [[덴마/용어#s-3|할]]의 [[HAL 9000|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69|72화]](866화): [[덴마/등장인물#s-12|빵집 직원]]의 대사 "[[Remapping The Human Soul#s-3.2|약은 끊는 게 아니라 참는 거야.]]"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73|76화]](870화) * [[블랭크(덴마)|블랭크]]들이 간 [[석빙고|카페 이름]] *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SNS는 인생의 낭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84|87화]](881화): [[지로(덴마)|지로]]의 생각 '이제 내게... 더 이상 떨어질 바닥이 있나...? 지겨워... 그만. 이제 그만할래.'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67|67화]]에서 아이게우스가 한 생각인 '내게 더 이상 잃을 것이 남아 있었던가?'를 떠오르게 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887|90화]](884화): [[덴마/등장인물#s-5.1|패왕 경호대 외근 근무자 중 하나]]가 한 대사 "선점? [[골키퍼(동음이의어)#s-3|골키퍼 있다고 골...]]"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06|109화]](903화): HOTEL 梁家. 梁은 작가의 성씨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09|112화]](906화): [[이토(덴마)|이토]]의 [[제갈량|포지션]]. 머리에 동곳을 꽂은 관을 썼기 때문에 [[놉(덴마)|놉]]처럼 [[덴마/등장인물#s-5.4|마왕 팀]]에 들어 올 새로운 [[제갈량]] 포지션인 것 같지만, 그가 야심을 드러내는 모습을 보고 제갈량이 아닌 [[사마의]] 포지션 같다는 독자들의 추측이 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12|115화]](909화): [[우루사(덴마)|우루사]]의 [[우루사|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27|130화]](924화) * [[프로스펙스|SPARK]] * "[[읍#s-1.1|읍... 읍!]]"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35|138화]](932화): [[스윙칩|SWING CHIPS]]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53|156화]](950화): [[지로(덴마)|지로]]가 손을 써서 [[덴마/등장인물#s-5.1|패왕 경호대원]]의 머릿속을 관통한 상태에서 팔을 돌려 뇌를 헤집어 놓는 장면. [[플루타크 영웅전(웹툰)|플루타크 영웅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251&no=112|112화]]에서 타우로스가 해안 경비대원을 죽이는 장면과 비슷하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80|183화]](977화) * 20컷에 나온 타투샵에 걸려 있는 가면들 중 위에서 3번째의 가면. [[1001(웹툰)|1001]]에 등장한 부하들의 가면과 똑같이 생겼다. * 사브작의 이름. 청정원의 쇠고기 육포인 사브작 오븐 슬라이스 육포 오리지널에서 따왔다. 작가가 인스타그램에 사브작 사진을 올린 후 나중에 이 화가 나왔다. ~~간접광고~~ * [[덴마/The knight#s-2.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83|1화]](980화): [[힉스(덴마)#s-2|힉스]]의 [[힉스 보손|이름]] * [[덴마/The knight#s-2.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992|10화]](989화) * [[마흐바론]]의 [[슈퍼로봇 마하바론|이름]] * [[덴마/등장인물#s-8|노벨]]의 [[알프레드 노벨|이름]]. [[놉(덴마)|놉]] + [[엘 리뇨 아르케딜라마 누브레 소셰키아스|엘]]일지도 모른다. == [[덴마/다이크|챕터 3]] ==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07|4화]](1004화) * [[핫식스|ㅅㄱㅅ]] * [[호두과자|HODU]]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15|12화]](1012화): [[매머독]]의 이름. [[매독]]의 변형으로 추정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18|15화]](1015화): [[구룡성채|구룡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22|19화]](1019화) * [[덴마/등장인물#s-4|마이두 후작]]의 이름. 중국어로 [[매독]]을 뜻하는 梅毒(méidú)의 변형으로 추정된다. * [[덴마/등장인물#s-4|마이두 후작]]의 [[http://en.wikipedia.org/wiki/Hand-in-waistcoat|포즈]]. 후술할 것이지만 [[공작(덴마)|공작]]이 [[덴마#s-7.1|단행본]]에서 먼저 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39|36화]](1036화): 가이린의 사념이 [[다이크 휴빙|다이크]]에게 들리는 부분. [[1001(웹툰)|1001]] [[1001 2번째 이야기|2번째 이야기]]에 나온 아즈릴의 사념이 마고에게 들리는 부분과 비슷하다. 단, 가이린은 말을 할 수 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57|54화]](1054화): [[태모신교#s-5|종무장]]. [[시천교]]에서 지방 교무를 총괄하는 교직인 종무장에서 따왔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70|67화]](1067화): [[덴마/등장인물#s-3.1|베레미즈 주교]]의 이름. 셈도사 베레미즈의 모험의 주인공인 13세기 페르시아의 수학자 베레미즈 사미르(Beremiz Samir)에서 따왔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078|75화]](1075화) * [[덴마/등장인물#s-3.1|표도르 주교]]의 [[표도르|이름]] * [[태모신교#s-5|종리장]]. [[시천교]]에서 대도사의 지휘를 받아 교무를 총괄하는 교직인 종리장에서 따왔다. * 베샤카의 아침. 오쇼 라즈니쉬가 쓴 책이다. 작가가 학창시절에 개인사정상 휴학을 하고 많이 힘들었던 시기에 읽었으며, 유일하게 두 번 넘게 펼친 책이다. 작가가 한 번 읽은 책을 다시 찾아보는 경우는 드물기에 더욱 기억에 남는 작품이라고 한다. [[http://www.whitepap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59|링크]]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11|108화]](1108화): [[덴마/행성#s-13.4|행성 하바나]]의 [[아바나|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13|110화]](1110화): [[TWICE|T와이스]], [[쯔위|Tzuyu]]. 이 화가 처음 올라왔을 때에는 대놓고 [[TWICE|트와이스]], [[쯔위]]라고 적혀 있었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36|133화]](1133화): [[덴마/등장인물#s-3.2|욤]]의 이름. 이름의 유래는 [[히브리어]] 욤(יום)으로 추측된다. 욤은 창세기 1장에서 나오는 단어로 보통 day에 대응되나 실재로는 하나는 24시간의 하루라는 의미, 두번째는 밤에 반대되는 12시간의 낮이라는 의미, 세번째는 어떤 시대나 시간을 나타내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Yom|링크]]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40|137화]](1137화): 다이크가 제트의 어깨를 잡는 부분이 [[조삼모사#s-5|조삼모사 패러디]]를 떠오르게 한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53|150화]](1150화): [[카인(덴마)|카인]]이 연쇄살인마라고 농담하는 부분. [[성경]]에서 [[카인]]은 최초의 살인자이다. 성경에서 잘 따오는 [[덴마]]답게 카인의 이름을 여기에서 딴 듯. 물론 [[엘 리뇨 아르케딜라마 누브레 소셰키아스|엘]]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힌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58|155화]](1155화): [[덴마/행성#s-13.5|행성 크로이츠]]의 [[크로이츠|이름]]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61|158화]](1158화): [[죽음의 무도(교향시)|죽음의 무도]]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70|167화]](1167화): [[하즈(덴마)|하즈]]가 [[사천왕(덴마)|사천왕]]에게 [[엘 리뇨 아르케딜라마 누브레 소셰키아스|엘]]의 염상이 있는 행성민을 절대 건드리지 않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과 그 후 염상 장갑 100개 주문 제작에 당장 착수하라는 명령을 내린 것. [[출애굽기]]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사는 모든 집의 문설주에 양의 피를 발라 이집트인들의 초태생을 모두 죽이는 밤에 재앙이 이스라엘 사람들을 넘어가도록 했다는 걸 떠오르게 한다.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187|184화]](1184화): [[매머독]]이 하얀 경비봇들에게 [[하즈(덴마)|하즈]]의 양팔과 양다리를 부러뜨려 버리라고 하는 건 [[이천 돼지도살 퍼포먼스 사건|이 사건]]을 떠오르게 한다.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11|208화]](1208화): [[엘 리뇨 아르케딜라마 누브레 소셰키아스|엘]]이 [[하즈(덴마)|하즈]]의 어깨를 잡는 부분이 [[조삼모사#s-5|조삼모사 패러디]]를 떠오르게 한다.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25|222화]](1222화): [[덴마/등장인물#s-4|견자단]]의 [[견자단|이름]].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29|犬]]이 나온 걸로 보아 犬子의 뜻도 있는 걸로 추정되는데, 이 둘을 합해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67|무협영화 덕후가 만든 동네 유기견 보호소 이름]]같다는 평이 나온다.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47|244화]](1244화): [[건물주]]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랩소디]]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54|251화]](1251화): [[테이(덴마)|테이]]의 [[라비앙로즈 (La Vie en Rose)|안무]]. 이 화가 올라오기 전에 작가가 작업실 벽에 [[IZ*ONE]] 브로마이드를 붙인 [[https://www.instagram.com/p/BrRzhRAHRBA/|사진]]을 인스타그램에 올리며 [[WIZ*ONE]]임을 인증했다.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69|266화]](1266화) * [[덴마/행성#s-13.7|행성 타나크]]의 [[성경#s-5|이름]] * [[덴마/등장인물#s-12|스승]]. 곱슬머리과 긴 귀를 보면 [[석가모니]]에서 따왔다는 걸 알 수 있다. * [[덴마/등장인물#s-3.5|유다]]가 [[덴마/등장인물#s-12|부처같은 사람]]의 제자인 점. 유다의 정체를 생각해 보면 [[예수 불자설]] 및 [[맨 프럼 어스]]의 패러디로 보인다. *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0382|소를 때려야 하는가 수레를 때려야 하는가]] * [[갈]]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70|267화]](1267화) * [[덴마/등장인물#s-3.5|이사]]의 [[이사(동음이의어)#s-2.1.1|이름]] * [[덴마/등장인물#s-12|제논]]의 [[제논#s-2|이름]]. [[헤라클레이토스]]의 사상인 [[데바림|'판타레이']]에 반대한 철학자 [[엘레아의 제논]]일 수는 있지만 우선 전개가 [[위경]]의 내용과 똑같은 걸 보면 아닌 듯. * [[예수|부활]] [[퀑]] 능력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71|268화]](1268화) * [[덴마/등장인물#s-3.5|유다]]의 [[유다#s-1|이름]] * [[예수|물 위를 걷는 능력]] * [[기네스|GuinㅔㄴS]]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73|270화]](1270화): [[덴마/등장인물#s-4.2|솔트배]]의 [[누스레트 괵체|이름]] [[파일:DenmaNudlnude.png]]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276|273화]](1273화): [[누들누드]] 국수집.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322|319화]](1319화): [[롯(덴마)|롯]]이 페드릭의 어깨를 잡는 부분이 [[조삼모사#s-5|조삼모사 패러디]]를 떠오르게 한다.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328|325화]](1325화): [[숫타니파타#s-2.3|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339|336화]](1336화): [[진라면|Jin NOODLE]]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1352|349화]](1349화): [[버블티#s-5.1|LiON SALT]] == 기타 == [[덴마#s-11|단행본]] * [[덴마/a catnap|]]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denma/images/0/00/A_catnap_2.jpg/revision/latest?cb=20171225141536|두 번째 이미지]]에서의 [[공작(덴마)|공작]]의 [[http://en.wikipedia.org/wiki/Hand-in-waistcoat|포즈]]. 여기서 먼저 나왔으며, 위에서 언급했듯이 [[덴마/등장인물#s-4|마이두 후작]]도 했다. [[덴마 어나더 에피소드|덴마 어나더 에피소드(레코드 더 퀑 - 덴마 S.E.)]] 물리적 오류 발생 보고서(The Puppet Show) * [[덴마/등장인물#s-5|야고보]]의 [[야고보|이름]] 별을 수확하는 자들(The Idolatry) * [[덴마/행성#s-14|행성 시나고그]]의 [[시나고그|이름]] 무간도 가이아의 성소(The Love Sick) * [[덴마/행성#s-14|행성 칼바리오]]의 이름. 어원은 해골, 특히 두개골을 뜻하는 아람어 gulgulta를 그리스식으로 음차한 골고다(Golgotha)의 뜻을 그대로 옮긴 [[그리스어]] 크라니온(κρανίον)의 [[라틴어]] 버전인 칼바리오(Calvario). 이는 성 예로니모의 불가타 성경에서 처음 등장한 말이다. [[분류:덴마]][[분류:패러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