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지정되지 않는 경우]][[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목차] == 개요 == [[유희왕/OCG]]의 일반 [[함정 카드]] 테마. '~의 [[덱 파괴]] 바이러스'란 이름을 가졌으며, 대부분이 어둠 속성 몬스터 카드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상대 필드와 패, 그리고 3턴 동안 드로우한 카드를 확인 후 해당하는 종류에 맞으면 파괴하는 효과가 있다. 원작에만 등장한 카드 개념인 '[[바이러스(유희왕)|바이러스 카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중 원조격인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는 원작에서 가공할 수준의 사기 성능을 지녔으며 하향판조차 너무나 강력한 범용성 및 성능을 지녀서 유일하게 금지로 오른 뒤에 에라타되어, 다른 덱 파괴 바이러스들과 조금 이질적인 효과를 가지게 되었다. 대부분의 덱 파괴 바이러스는 잘 먹힌다면 상당히 강력하지만 느린 속도로 인해 퍼미션에 취약하며, 파괴 내성을 갖추거나 묘지에 자원을 쌓거나 묘지에서도 발동할 수 있는 카드들이 매우 많아져서 [[오르페골]]같이 묘지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덱한테는 오히려 어드밴티지를 벌어다 주기도 하고 파괴 대상이 공격력 / 수비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상성을 꽤 타는 편이다. 덤으로 염왕 카드군에게 사용하면 패의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 때문에 상대 염왕 유저의 패에 염왕신수 가르도닉스 같은 것이 터져나가면 블랙홀을 처맞는 경우도 생긴다. 허나 악의 덱 파괴 바이러스를 제외하면 코스트도 가벼운 편에 그 지정 몬스터도 범용성 높은 어둠 속성이라 메타에 따라 사이드 덱으로 간택되는 경우가 자주 생기는 편이다. 영어권에서 바이러스 카드들을 번역할 때 바이러스 이름들의 첫 글자들을 맞추며, 알파벳 순서대로 짓는다. 사덱파는 C(Crush Card), 마덱파는 D(Deck Devastation), 암덱파는 E(Eradicator Epidemic), 영덱파는 F(Full Force), 악덱파는 G(Grinning Grave). 이 스트럭처에서 정립된 이후에 발매된 바이러스 컨셉 왕들의 칭호([[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L'''ord of the '''L'''air]], [[악왕 아흐리마|'''W'''icked '''W'''arden]], [[영왕 듀크셰이드|'''S'''inister '''S'''hadow Lord]], [[사악왕 트라카렐|his '''M'''alevolent '''M'''ajesty]])에도 이 법칙이 적용됐다는 것 또한 재미있는 점. ||<-2> {{{#ffffff '암흑의 주술'의 테마 몬스터}}} || || 덱 파괴 바이러스 || 왕(王) || || 죽음(死)의 덱 파괴 바이러스 || [[리치(유희왕)|사왕(死王) 리치로드]] || || 마(魔)의 덱 파괴 바이러스 ||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암흑의 마왕(魔王) 디아블로스]] / [[마왕 디아블로스(유희왕)|마왕(魔王) 디아블로스]] || || 어둠(暗)의 덱 파괴 바이러스 || [[암왕 프로메티스|암왕(暗王) 프로메티스]] || || 악(悪)의 덱 파괴 바이러스 || [[암흑세계-섀도우 디스토피아-|악왕(悪王) 아흐리마]] || || 그림자(影)의 덱 파괴 바이러스 || [[영왕 듀크셰이드|영왕(影王) 듀크셰이드]] || || ? || [[사악왕 트라카렐|사악왕(邪王) 트라카렐]] || 바이러스 카드를 사용한 인물인 만큼,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에게 전용 대사가 모두 존재한다. == 카드 목록 == ===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 === 처음이자 원조격인 덱 파괴 바이러스 카드. === 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 === [[파일:DeckDevastationVirus-SR06-JP-C.png|width=3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 일어판 명칭=()のデッキ破壊(はかい)ウイルス, 영어판 명칭=Deck Devastation Virus, 효과1=①: 자신 필드의 공격력 2000 이상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 상대의 패\, 상대 턴에서 세어서 3턴 동안에 상대가 드로우한 카드를 전부 확인하고\, 그 중의 공격력 1500 이하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통칭 '''마덱파.'''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와는 정 반대로 공격력 2000 이상을 요구하고, 파괴하는 카드도 공격력 1500 이하의 카드. 기존엔 코스트도 까다롭고 파괴하는 대상도 한정적이라 잘 안 쓰였다. 그러다 [[싱크로 소환]]이 나오며 메인 덱에 투입하는 몬스터의 태반이 하급 위주가 되며 상황이 역전, 오히려 죽덱파보다 이 카드로 파괴할 수 있는 카드가 더 많아지게 됐다. 코스트로는 쉽게 소환할 수 있는 싱크로 몬스터인 [[A·O·J 카타스톨]]을 쓰는 경우가 많았다. [[엑시즈 소환]]이 나온 뒤로는 엑시즈 소재로 쓰인 몬스터들의 스탯이 그렇게 낮지 않아 다시 이전만큼 쓰이진 않게 됐지만, 후술할 어둠의 덱 파괴 바이러스의 조건을 쉽게 채우는 덱들이 어느 정도 같이 채용하기도 했다. 또한 대부분의 [[패 트랩]] 몬스터를 이 카드로 파괴할 수 있다.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등장 이후로는 카운터로서의 성능이 주목받아 사이드 덱에 종종 채용되고 있다. 특성 상 레벨 2 몬스터로 전개를 하는데, 메인 덱 레벨 2 몬스터 중에는 공격력이 1500을 초과하는 몬스터가 없기 때문.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영원한 화염]] || FET-KR058 || [[슈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3 || HGP3-KR178 || [[슈퍼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데블즈 게이트]]- || SD21-KR033 || [[노멀]] || 한국 || || || [[익스팬션 팩]] Vol.4 || ESP4-KR039 || [[골드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암흑의 주박]]- || SR06-KR032 || [[노멀]] || 한국 || || || [[영원한 화염|FLAMING ETERNITY]] || FET-JP058 || [[슈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3 || EE3-JP178 || [[슈퍼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암흑의 주술|暗闇の呪縛]]- || SD12-JP028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데블즈 게이트|デビルズ・ゲート]]- || SD21-JP033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R -[[암흑의 주박|闇黒の呪縛]]- || SR06-JP032 || [[노멀]] || 일본 || || || [[영원한 화염|Flaming Eternity]] || FET-EN058 || [[슈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3 || DR3-EN178 || [[슈퍼 레어]] || 미국 || || || Champion Pack: Game Five || CP05-EN009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 || Gold Series 4: Pyramids Edition || GLD4-EN049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데블즈 게이트|Gates of the Underworld]] || SDGU-EN033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 LCKC-EN047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암흑의 주박|Lair of Darkness]] || SR06-EN032 || [[노멀]] || 미국 || || === 어둠의 덱 파괴 바이러스 === [[파일:闇のデッキ破壊ウイルス.jpg|width=3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어둠의 덱 파괴 바이러스, 일어판 명칭=(やみ)のデッキ破壊(はかい)ウイルス, 영어판 명칭=Eradicator Epidemic Virus, 효과1=①: 자신 필드의 공격력 2500 이상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여\, 카드의 종류(마법 / 함정)를 선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상대의 패\, 상대 턴에서 세어서 3턴 동안에 상대가 드로우한 카드를 전부 확인하고\, 그 중의 선언한 종류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통칭 '''어덱파.''' 상대 턴 기준 3턴간 상대의 마법 / 함정을 전부 파괴할 수 있는 카드. 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보다도 더 높은 공격력을 요구해서 사용 가능한 덱은 한정되지만, 일단 발동하면 밥값은 한다. 특히 가장 자주 썼던 덱은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를 투입한 [[암흑계]]. [[정룡]]덱이 [[No.11 빅 아이]]를 코스트로 이 카드를 발동하곤 했다. 당시 티어 덱 중 하나였던 [[마도(유희왕)|마도]]에게 이 카드는 굉장히 치명적이라 자주 채용되는 편이었다. 그 외에 [[Sin(유희왕)|Sin]] 덱에선 [[Sin 붉은 눈의 흑룡]]을 제외한 모든 상급 Sin 몬스터들이 이 카드의 혜택을 받기에 시너지가 좋다. 딱 2500 라인에 들어오는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블랙 매지션]] 덱이나 [[오드아이즈]] 덱에서 쓸 수도 있다. 처음 사용했을 때에는 세트된 카드, 패 등을 모두 확인하고 파괴하지만 이후 3턴간은 드로우한 카드만 파괴하므로 드로우 이외의 방법으로 서치한 카드는 파괴되지 않는다. 때문에 마법, 함정카드의 중요도가 높은 테마라도 [[데스피아]], [[용사(유희왕)|용사]], [[전뇌계]] 등 마법, 함정 카드의 서치 난이도가 낮은 테마에는 생각보다 큰 위력을 보이지 않는다. 보통 채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마법을 지정하지만, 상대 덱이 [[버제스토마]], [[얼터가이스트]].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와 같은 함떡이거나 세트 카드가 많을 경우 함정을 지정할 수도 있다. 펜듈럼 덱을 상대로 마법을 지정했을 경우 일단 펜듈럼 존에 세팅된 카드들은 전부 파괴되지만, 이후 드로우하는 카드들은 몬스터 취급이라 파괴할 수 없으며 당연히 펜듈럼 스케일로 세팅될 때도 파괴할 수 없으니 주의. 11기 이후 [[비스테드]]가 범용 사이드 카드로 사용되는데, 6레벨 전원이 어덱파의 발동 조건에 맞아떨어진다. 종합적인 평가는 메타나 덱 상성을 많이 타는 카드. 몬스터 위주의 환경일 땐 성능이 떨어지지만, [[루닉]],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 [[퓨어리]] 등 마법 / 함정 위주의 카드군이 티어에 오르면 상대적인 성능이 올라간다. 카이바가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와 함께 덱 파괴를 위해 사용하였던 원작의 [[마법 제거 세균 병기]]의 모습을 그나마 구현할 수 있는 카드이기도 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익스팬션 팩]] Vol.2 || ESP2-KR068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데블즈 게이트]]- || SD21-KR034 || [[노멀]] || 한국 ||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Vol.1 || AE01-KR010 || [[슈퍼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 [[마스터 오브 펜듈럼]] || SD29-KR040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암흑의 주박]]- || SR06-KR033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암흑의 주술|暗闇の呪縛]]- || SD12-JP02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데블즈 게이트|デビルズ・ゲート]]- || SD21-JP034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마스터 오브 펜듈럼|マスター・オブ・ペンデュラム]] || SD29-JP040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R -[[암흑의 주박|闇黒の呪縛]]- || SR06-JP033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파괴자의 힘|Force of the Breaker]] || FOTB-EN068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The Duelist Genesis: Special Edition || TDGS-ENSE1 || [[슈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데블즈 게이트|Gates of the Underworld]] || SDGU-EN034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마스터 오브 펜듈럼|Master of Pendulum]] || SDMP-EN040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 LCKC-EN048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암흑의 주박|Lair of Darkness]] || SR06-EN033 || [[노멀]] || 미국 || || === 그림자의 덱 파괴 바이러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1217_1.jpg|width=3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그림자의 덱 파괴 바이러스, 일어판 명칭=(かげ)のデッキ破壊(はかい)ウイルス, 영어판 명칭=Full Force Virus,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수비력 2000 이상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 상대의 패\, 상대 턴에서 세어서 3턴 동안에 상대가 드로우한 카드를 전부 확인하고\, 그 중의 수비력 1500 이하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통칭 '''영덱파.''' 어둠의 덱 파괴 바이러스 이후 9년 만에 나온 덱 파괴 바이러스다. 일러스트가 위의 것보다 훨씬 단순하고 덜 그로테스크하다. 코스트로 쓸 수 있는 범위가 넓어 굳이 하급 어둠 속성 몬스터가 필요하지도 않고,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와 달리 수비력이 높은 몬스터 저격이 불가능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하급 몬스터도 함께 사냥할 수 있어 상호 호환이다. 수비력 0인 [[인벨즈]], [[엄브럴]], [[시라누이(유희왕)|시라누이]] 등은 당연히 손실이 크고 대부분이 수비력 1500 이하인 [[제왕(유희왕)|제왕]] 이나 [[후완다리즈]]덱 역시 이 카드가 뜨면 곤란해진다. 그 외에도 융합, 싱크로, 엑시즈 소환을 주축으로 사용하는 덱들은 메인 덱 몬스터의 스탯이 낮은 경우가 많기에 대부분의 몬스터들을 파괴하는 게 가능하다. 다만 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와는 반대로 [[원시생명체 니비루]]나 [[드롤&로크 버드]], [[이펙트 뵐러]] 같은 몇몇을 제외한 상당수의 패 트랩은 파괴하지 못하니 주의. 특히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는 터트릴 수 없다. 위의 덱 파괴 바이러스들을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덕분에 쉽게 사용 가능했던 [[암흑계]]에서도 어찌 사용은 가능하지만, 그라파의 수비력은 1800이라 암흑계의 문을 깔아 수비력을 2100으로 올려야 쓸 수 있다. 그 외에 대체로 수비력이 높은 [[타락천사(유희왕)|타락천사]] 덱이나, 어차피 잘 안 들어가는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을 제외한 모든 상급 / 최상급 몬스터가 어둠 속성 수비력 2000 이상인 [[붉은 눈(유희왕)|붉은 눈]]에서도 쓸 수 있다. 그 외에 [[Sin(유희왕)|Sin]] 덱에서도 [[Sin 레인보우 드래곤]]을 제외한 모든 상급 Sin 몬스터들도 혜택을 받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레이징 템피스트]] || RATE-KR078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암흑의 주박]]- || SR06-KR034 || [[노멀]] || 한국 || || || [[레이징 템피스트|RAGING TEMPEST]] || RATE-JP078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R -[[암흑의 주박|闇黒の呪縛]]- || SR06-JP034 || [[노멀]] || 일본 || || || [[레이징 템피스트|Raging Tempest]] || RATE-EN078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7 Mega-Tin Mega Pack || MP17-EN228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 LCKC-EN049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암흑의 주박|Lair of Darkness]] || SR06-EN034 || [[노멀]] || 미국 || || === 악의 덱 파괴 바이러스 === [[파일:악의 덱파괴 바이러스.jpg|width=3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악의 덱 파괴 바이러스, 일어판 명칭=(あく)のデッキ破壊(はかい)ウイルス, 영어판 명칭=Grinning Grave Virus, 효과1=①: 자신 필드의 공격력 3000 이하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500당 1장\, 상대는 자신의 패 / 덱에서 카드를 골라 파괴한다. 이 카드를 발동하기 위해 공격력 2000 이상의 몬스터를 릴리스했을 경우\, 상대 턴에서 세어서 3턴 동안에 상대가 드로우한 카드를 전부 확인하고\, 그 중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또한\, 이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져 있는 카드는\, 파괴된 턴에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통칭 '''악덱파.''' 이전의 덱 파괴 바이러스와는 약간 조건이 다른데, 일정 공격력 이상이 아닌 이 카드는 공격력 3000 이하를 요구한다. 대신 500 당 상대의 패 / 덱에서 1장을 파괴하므로 당연히 공격력이 높을수록 여러 장(최대 6장까지)을 털 수 있다. 본래의 덱 파괴 바이러스 효과도 있는데, 이 경우 릴리스 한 몬스터의 공격력 2000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일정 공격력 이상 / 이하가 아닌 몬스터기만 하면 전부 파괴하기에 기존의 덱 파괴 바이러스보단 파괴 효과를 볼 수 있는 범위가 훨씬 증가한 셈. 이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카드는 이 턴에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니 이제까지의 덱 파괴 바이러스의 단점을 보완한 소소한 장점이다. 다만 어찌됐든 상대 묘지 자원을 늘려주기에 상대 덱에 따라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단 파괴할 카드는 상대가 직접 지정하기 때문에 묘지에서 효과를 발동하는 몬스터가 잔뜩 있는 [[오르페골]], [[팬텀 나이츠]] 같은 카드군을 상대로 발동할 경우 다음 턴에 그야말로 지옥을 볼 수도 있다. 물론 소울 드레인으로 씹어버리면 그만이지만.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암흑의 주박]]- || SR06-KR030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R -[[암흑의 주박|闇黒の呪縛]]- || SR06-JP030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암흑의 주박|Lair of Darkness]] || SR06-EN030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