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지속 마법 카드. [[파일:デッキロック.jpg]] || 한글판 명칭 ||'''덱 로크'''|| || 일어판 명칭 ||'''デッキロック'''|| || 영어판 명칭 ||'''Deck Lockdown'''|| ||<-2> 지속 마법 || ||<-2>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서로 드로우 이외의 방법으로 덱에서 카드를 패에 넣을 수 없으며, 덱에서의 특수 소환도 할 수 없다. 발동 후 2번째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시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덱에서 서치 및 리크루트를 봉인하는 효과, 2턴째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에 자괴하는 효과를 가진 지속 마법. 서치와 리크루트라는 덱 회전의 중심이 되는 행위를 봉쇄하므로 메타 카드로서의 성능은 높다. 유사한 효과를 가진 [[번개왕]], [[미스테이크(유희왕)|미스테이크]]와 비교하자면, 이 카드는 리크루트까지 봉인해주는 메리트가 있다. 다만 [[번개왕]]은 모든 소환 선언으로 실행하는 특수 소환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더 우수하며, 메타 비트 덱에서도 해당 카드가 더 쓰기 쉽다. 마찬가지로 [[미스테이크(유희왕)|미스테이크]] 역시 상대의 서치에 체인해서 상대의 허를 찌르는 것으로 어드밴티지를 1장 정도는 소모시킬 수가 있으므로 디메리트가 없는 이들에 비하면 단순히 사용감에서 밀린다. 그러나 이 카드는 지속 마법이라 즉효성이 있으며, 따로 소환권을 쓸 필요도 없다. 자괴하는 디메리트가 있긴 해도 애초에 듀얼이 고속화되는 현 환경에서 2턴이나 상대의 서치, 리크루트를 막아만 준다면 충분히 제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 셀프 바운스 덱이라면 [[안개 골짜기의 팔콘]], [[빙결계의 범왕 듀로렌]] 같은 카드와 같이 사용하여 자괴하기 전에 바운스해줄 수도 있다. 등장 당시에는 [[빛의 봉인검]]처럼 턴 제한도 있는 데다, 마법 / 함정 제거 카드에 의해 제거되기도 쉽다. 그래서 발매되고 한동안 안 쓰이고 버려지는 카드였다. 그런데 이 카드를 사이드 덱에 넣은 [[벨즈]] 덱 유저가 2013 유희왕 아시아 챔피언십에 참전, [[정룡]]과 [[마도(유희왕)|마도]] 사이에서 준우승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정룡의 제외 후 서치 및 특수 소환, 마도의 드로우 및 특수 소환을 전부 막는 이 카드가 대항마로 쓰인 것이다. 하지만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가 등장하고 채용이 크게 줄었다. 차별점이라면, 하루 우라라는 1턴에 1번만 사용 가능하단 것 정도.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 LODT-JP06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 LODT-EN060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Astral Pack Three || AP03-EN023 || [[노멀]] || 미국 || || || Duel Overload || DUOV-EN090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파괴의 빛]] || LODT-KR06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