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데이비드 니븐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0C0000><-5><:> {{{#E5D85C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 ||<#FFFFFF,#191919><-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0C0000><-5><:> [[아카데미 남우주연상|{{{#E5D85C '''남우주연상'''}}}]] || ||<:> ''' 제30회 [br] ([[1958년]]) ''' ||<:> {{{+1 → }}} ||<:> ''' 제31회 [br] ([[1959년]]) ''' ||<:> {{{+1 → }}} ||<:> ''' 제32회 [br] ([[1960년]]) ''' || ||<:> [[알렉 기네스]][br]([[콰이강의 다리]]) ||<:> {{{+1 → }}} ||<:> '''데이비드 니븐'''[br]('''애수의 여로''') ||<:> {{{+1 → }}} ||<:> [[찰턴 헤스턴]][br]([[벤허]]) || ||<#0C0000><-5><:> || ---- ||
<#0C0000><-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FFFFFF,#191919><-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0C0000><-5><:> {{{#E5D85C '''남우주연상 - 드라마(영화)'''}}} || ||<:> ''' 제15회 [br] ([[1958년]]) ''' ||<:> {{{+1 → }}} ||<:> ''' 제16회 [br] ([[1959년]]) ''' ||<:> {{{+1 → }}} ||<:> ''' 제17회 [br] ([[1960년]]) ''' || ||<:> [[알렉 기네스]][br]([[콰이강의 다리]]) ||<:> {{{+1 → }}} ||<#FFFFFF,#191919><:> '''[[데이비드 니븐]]'''[br]('''애수의 여로''') ||<:> {{{+1 → }}} ||<:> [[앤서니 프랜시오서]][br](캐리어) || ||<#0C0000><-5><:> {{{#E5D85C '''남우주연상 - 뮤지컬 및 코미디(영화)'''}}} || ||<:> ''' 제10회 [br] ([[1953년]]) ''' ||<:> {{{+1 → }}} ||<:> ''' 제11회 [br] ([[1954년]]) ''' ||<:> {{{+1 → }}} ||<:> ''' 제12회 [br] ([[1955년]]) ''' || ||<:> [[도널드 오코너]][br]([[사랑은 비를 타고]]) ||<:> {{{+1 → }}} ||<:> '''데이비드 니븐'''[br]('''푸른 달''') ||<:> {{{+1 → }}} ||<:> [[제임스 메이슨]][br]([[스타 탄생]]) || ||<#0C0000><-5><:> ||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데이비드 니븐,영어명=DAVID NIVEN,분야=영화,입성날짜=1960년 2월 8일,위치=6384)]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Vine Street),한글명=데이비드 니븐,영어명=DAVID NIVEN,분야=텔레비전,입성날짜=1960년 2월 8일,위치=1623)] }}} || ||<-2> '''{{{+1 데이비드 니븐}}}[br]David Niven'''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VCPBDDANIEC010H__68965.1541993015.jpg|width=100%]]}}} || || '''본명''' ||제임스 데이비드 그레이엄 니븐[br]James David Graham Niven || ||<|2> '''출생''' ||[[1910년]] [[3월 1일]] || ||[[영국]] [[잉글랜드]] [[런던]] 벨그레이비어|| ||<|2> '''사망''' ||[[1983년]] [[7월 29일]] (향년 73세) || ||[[스위스]] 샤토 데||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 '''묘지''' ||[[스위스]] 샤토 데|| || '''신장''' ||183cm|| || '''배우자''' ||프리뮬러 수전 롤로^^(1940년~1946년 사별)^^[br]요르디스 옌베리^^(1948년 결혼)^^ || || '''자녀''' ||아들 데이비드 니븐 주니어^^(1942년생)^^[br]아들 제임스 니븐^^(1945년생)^^[br]딸 크리스티너 니븐[br]딸 피오너 니븐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영화배우이자 저술가. 물론 전자 쪽으로 훨씬 유명하다. 진중한 이미지와 패션, 특유의 콧수염 덕에 영국 신사의 대표적인 전형으로 꼽히는 배우였다. == 상세 == 니븐은 젊은 시절 영국 왕립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경보병단에서 중위로 복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연기에 대한 열망때문인지 군을 떠나 [[할리우드]]에 입성, 초기에는 잡다한 역할만을 주로 맡았다. 그러다 프로듀서 새뮤얼 골드윈에게 주목받으면서 천천히 한계단씩 올라간 사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때는 다시 군에 입대하여 중위 신분으로 복귀, 연대장으로 전역했으며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에게 훈장도 받은 바 있다. 팬텀 시그널이라는 특수한 부대(정보부대)의 일대를 지휘했으며 중령으로 전역했다. 1946년 다시 할리우드로 돌아온 후, 그가 찍은 <천국으로 가는 계단>(1946), <주교의 부인>(1947), <매혹>(1948) 등은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왕성하게 활동한 니븐은 [[윌리엄 홀든]]과 주연을 맡은 <푸른 달>(1953)로 [[골든 글로브]] 남우주연상을 탔다. 필리어스 포그로 출연한 <[[80일간의 세계일주]]>(1956)는 작품상을 수상했고, 흥행도 성공했다. 그리고 (1958)에선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면서, 15분 38초라는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 역사상 가장 짧은 출연시간이라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그의 유일한 아카데미 후보작이자 수상작. 흔히 [[양들의 침묵]]의 [[안소니 홉킨스|앤터니 홉킨즈]]를 남우주연상 수상자 중 가장 짧은 출연 시간(16분)을 기록한 배우로 알고 있지만, 엄밀히 따지면 니븐이다.][* 일단 [[기네스북]]에는 [[안소니 홉킨스|앤터니 홉킨즈]]가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 역사상 가장 짧은 출연 시간이라는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데,[[https://www.guinnessworldrecords.com/world-records/91205-shortest-screen-time-for-a-best-actor-oscar-win|#]] 니븐 측이나 관계자들이 기네스 기록에 연연하지 않는 듯 수정치 않고 있다.] 이후 TV와 영화계, 라디오를 넘나들며 왕성하게 활동했다. <[[나바론의 요새]]>(1961), <[[북경의 55일]]>(1963), <[[5인의 명탐정]]>(1976), <[[나일강의 죽음(1978)]]>, <바다의 늑대들>(1980)을 찍는다. 이후 그를 대표하는 작품이자, 마지막 작품인 <[[핑크 팬더]]의 추적>(1982), <핑크 팬더의 저주>(1983)를 끝으로 배우 생활을 마감한다. 67년 작인 [[카지노 로얄(1967)|007 카지노 로얄]]을 찍으면서 [[제임스 본드]] 역할도 해봤던 적도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007 시리즈]]의 적자가 아니어서 정통 본드로는 인정받지 못하지만, 원작자인 [[이언 플레밍]]이 영화화 시 1순위로 고려했던 배우가 바로 니븐이기도 했을 정도로 제임스 본드와 이미지가 잘 부합하는 편이다. 영화 자체는 패러디 영화로서 괴작 취급을 받지만, [[피터 셀러스]], [[오슨 웰스]], [[우디 앨런]], [[데버러 카]], [[윌리엄 홀든]], [[존 휴스턴]], [[장폴 벨몽도]], [[피터 오툴]]이라는 미친 캐스팅에서 나오는 아스트랄함이 돋보인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가장 인상적인 순간으로 회자하는 46회 시상식 당시 [[http://www.youtube.com/watch?v=2IIl3zSYL8k|라버트 오펄(Robert Opel)의 알몸 난입 사건]] 때 호스트이기도 했다. [[엘리자베스 테일러]]를 소개하기 위해 준비하던 중 갑작스러운 난입으로 분위기가 어수선했는데, 이때 니븐의 재치있는 반응이 압권(이는 작가들이 당시 스트리킹이 유행하기 때문에 무대에 출연하는 사람들에게 다 알려줬는데, 우연히 말을 할 기회가 니븐에게 돌아간 것 뿐이라고 한다). >Well, ladies and gentlemen, that was almost bound to happen... But isn't it fascinating to think that probably the only laugh that man will ever get in his life is by stripping off and showing his shortcomings?"[* 자아, 신사 숙녀 여러분, 일이 터져버린 것 같군요. 하지만 생각해보면 대단히 흥미로운 일 아닙니까? 저 사람이 인생을 살면서 다른 사람에게 웃음을 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발가벗고 나와서 남들 앞에서 자신의 약점을 노출하는 것 뿐이라는 사실이 말입니다.] [[알렉 기네스]]와 배우로서의 행적이 상당히 유사한데, Sir가 붙는 기네스와 달리 니븐은 [[기사작위]]를 받진 못했다. ~~이게 다 [[스타워즈]] 때문이다.~~[* 스타워즈 드립은 농담이고 재정적인 이유로 생애 후기에는 스위스나 프랑스에서 거주했는데, 이것이 세금을 피해서 떠났다는(Tax exile) 이미지가 생겨서 영국에서 좋은 평가는 못받았다고 한다.] 재미있는 건 이렇게 유사한 배우로서의 경력과 왕성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둘이 같이 출연한 작품은 76년 작인 <[[5인의 명탐정]]>이 유일하다.[* 기네스는 이 작품을 촬영하면서 자신에게 제의가 들어온 한 대본을 두고 출연을 고민하다가 결국 출연했다고 전해지는데, [[새로운 희망|그 작품]]은...] 말년에 [[루게릭병]]으로 크게 고생하다가, 73세를 일기로 [[스위스]]에서 생을 마감했다. == 출연작 == === 영화 === * 1937년 [[젠다성의 포로]] - 프리츠 본 탈런하임 대위 * 1939년 Eternally Yours[* 테이 가넷 연출. [[로레타 영]], [[세이주 피츠]] 출연.] * 1939년 Bachelor Mother - 데이비드 멀린[* 가슨 케이넌 연출. 노먼 크래즈너 대본. [[진저 라저스]], [[찰스 코번]] 출연.] * 1944년 The Way Ahead - 짐 페리 중위[* [[캐럴 리드]] 연출. [[피터 유스티노프]] 출연/대본.] * 1946년 천국으로 가는 계단(A Matter of Life and Death) - 영국 공군 비행중대장 피터 데이비드 카터[* 영국 제작. 삶과 죽음의 문제라는 제목으로도 유명하다. [[파웰과 프레스버거|파월과 프레스버거]]의 대표작.] * 1947년 주교의 부인(The Bishop's Wife) - 헨리 브루엄 주교[* 헨리 코스터 연출. [[케리 그랜트]], [[로레타 영]] 출연.] * 1947년 진실한 사랑(The Other Love) - 의사 토니 스탠튼[* [[바버라 스탠윅]] 출연. 안드레이 드토스 연출.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원작.] * 1948년 매혹(Enchantment) * 1948년 Bonnie Prince Charlie - [[자코바이트|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 1949년 A Kiss for Corliss - 유명 호색가 케니스 후작[* [[셜리 템플]] 출연.] * 1951년 Soldiers Three - 핀데니 대위[* [[러디어드 키플링]] 단편들 원작. 테이 가넷 연출. [[스튜어트 그레인저]], [[월터 피전]], [[댄 오헐러히]] 출연.] * 1953년 푸른 달(The Moon Is Blue) - 데이비드 슬레이터[* [[오토 프레밍어]] 연출. [[윌리엄 홀든]] 출연.] * 1954년 Carrington V.C. - 찰스 "코퍼" 캐링튼 소령 [[빅토리아 십자무공훈장|VC]] * 1954년 Happy Ever after - 재스퍼 오리어리[* 영국 제작. 마리오 삼피 연출. 이반 디 칼로, [[배리 피츠제럴드]] 출연.] * 1955년 The King's Thief - 브램프턴 공작[* 라버트 Z. 레너드 연출. 앤 블라이스, [[조지 샌더스]], [[로저 무어]] 출연.] * 1956년 The Birds and the Bees[* 시드니 쉘든 대본. 노먼 타우로그 연출.] * 1956년 [[80일간의 세계일주]] * 1957년 오두막집(The Little Hut)[* 영국 제작. [[에바 가드너]], [[스튜어트 그레인저]] 출연.] * 1958년 애수의 여로(Separate Tables) - 데이비드 앵거스 폴럭 소령[* [[델버트 만]] 연출. [[리타 헤이워스]], [[데버러 카]], [[버트 랜캐스터]], [[로드 테일러]] 출연.] * 1959년 Ask Any Girl - 마일스 도튼[* 찰스 월터스 연출. [[셜리 맥클레인]], [[기그 영]], [[로드 테일러]] 출연.] * 1961년 [[나바론의 요새]](The Guns of Navarone) - 밀러 교수 * 1962년 Guns of Darkness - 톰 조든[* [[예기치 못한 일|앤터니 애스퀴스]] 연출. [[레슬리 카롱]] 출연.] * 1963년 [[북경의 55일]] - 아서 * 1964년 Bedtime Story - 로런스 제임슨[* 랠프 리비 연출. [[말런 브랜도]] 제작/출연.] * 1967년 [[카지노 로얄(1967)|007 카지노 로얄]] - [[제임스 본드]] * 1969년 The Extraordinary Seaman[* [[존 프랭컨하이머]] 연출. [[미키 루니]], [[페이 더너웨이]], [[앨런 알다|앨런 알더]], 잭 카터 출연.] * 1976년 [[5인의 명탐정]] * 1978년 [[나일강의 죽음(1978)|나일강의 죽음]] - [[레이스 대령]] * 1979년 아테네 탈출(Escape to Athena) - 블레이크 교수 * 1980년 바다의 늑대들 * 1982년 [[핑크 팬더]]의 추적(Trail of the Pink Panther) - 찰스 리튼 경 * 1983년 [[핑크 팬더#속편|핑크 팬더의 저주]](Curse of the Pink Panther) - 찰스 리튼 경 == 여담 == * [[DC 코믹스]] [[시네스트로]]의 외모는 이 배우에서 따온 것이다. [각주] [[분류:영국 남배우]][[분류:1910년 출생]][[분류:1983년 사망]][[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벨그라비아 출신 인물]][[분류: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