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151 9%, #6BB981 9%, #6BB981 11%, #2A9151 11%, #2A9151 29%, #6BB981 29%, #6BB981 31%, #2A9151 31%, #2A9151 49%, #6BB981 49%, #6BB981 51%, #2A9151 51%, #2A9151 69%, #6BB981 69%, #6BB981 71%, #2A9151 71%, #2A9151 89%, #6BB981 89%, #6BB981 91%, #2A9151 91%)" {{{#ffffff '''데이미언 더프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UEFA 챔피언스 리그 도움왕(2000년대)|[[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UEFA 챔피언스 리그 도움왕(2000년대)|{{{#ffffff '''2004-05 UCL 도움왕'''}}}]]}}}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2002 UEFA 올해의 팀|[[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868D6; font-size: 0.9em" [[틀:2002 UEFA 올해의 팀|{{{#ffffff '''2002 UEFA 올해의 팀'''}}}]]}}}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9151 9%, #6BB981 9%, #6BB981 11%, #2A9151 11%, #2A9151 29%, #6BB981 29%, #6BB981 31%, #2A9151 31%, #2A9151 49%, #6BB981 49%, #6BB981 51%, #2A9151 51%, #2A9151 69%, #6BB981 69%, #6BB981 71%, #2A9151 71%, #2A9151 89%, #6BB981 89%, #6BB981 91%, #2A9151 91%)" {{{#ffffff '''데이미언 더프의 기타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아일랜드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3> {{{+1 [[셸번 FC|{{{#fff '''셸번 FC'''}}}]]}}} || ||<-3> {{{#fff '''Shelbourne F.C.'''}}}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uff_Shelbourne_1.webp|width=100%]]}}} || ||<-2> {{{#fff,#e5e5e5 ''' 이름 ''' }}} || {{{+1 '''데이미언 더프'''}}}[br]'''Damien Duff''' || ||<-2> {{{#fff,#e5e5e5 ''' 본명 ''' }}} ||데이미언 앤서니 더프[br]Damien Anthony Duff || ||<-2> {{{#fff,#e5e5e5 ''' 출생 ''' }}} ||[[1979년]] [[3월 2일]] ([age(1979-03-02)]세) / [br] {{{-1 [[아일랜드]] [[더블린]] 발리보덴}}} || ||<-2> {{{#fff,#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아일랜드)] || ||<-2> {{{#fff,#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77cm / [[체중]] 75kg[* 현역 시절 기준이며, 사이트에 따라 60kg, 75kg, 82kg 다양하게 나온다.] || ||<-2> {{{#fff,#e5e5e5 ''' 직업 ''' }}} ||[[축구 선수]] ([[윙어]] / ^^은퇴^^)[br][[축구 감독]] || ||<|2> {{{#fff,#e5e5e5 ''' 소속 ''' }}} || {{{#fff,#e5e5e5 ''' 선수 ''' }}} ||'''[[블랙번 로버스 FC]] (1996~2003)''' [br] '''[[첼시 FC]] (2003~2006)''' [br]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2006~2009) [br] [[풀럼 FC]] (2009~2014) [br] [[멜버른 시티 FC]] (2014~2015) [br] [[샴록 로버스 FC]] (2015) || || {{{#fff,#e5e5e5 ''' 감독 ''' }}} ||[[샴록 로버스 FC|샴록 로버스 U-15]] (2015) [br][[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 U-15 대표팀]] (2016 / ^^코치^^) [br][[샴록 로버스 FC|샴록 로버스 U-17]] (2016~2018 / ^^수석 코치^^) [br] [[샴록 로버스 FC]] (2018 / ^^코치^^) [br] [[셀틱 FC]] (2019~2020 / ^^코치^^) [br]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 대표팀]] (2020~2021 / ^^수석 코치^^) [br] [[셸번 FC|셸번 FC U-17]] (2020~2021) [br] [[셸번 FC]] (2021~ ) || ||<-2> {{{#fff,#e5e5e5 ''' 국가대표 ''' }}} ||100경기 8골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 / 1998~2012)^^ || [목차] [clearfix] == 소개 == [[아일랜드]]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 선수 시절 포지션은 [[윙어]] 은퇴 후 현재는 [[셸번 FC]] 감독으로 지내고 있다. [[블랙번 로버스 FC|블랙번 로버스]]와 [[첼시 FC|첼시]]에서 전성기를 보냈고, 블랙번 시절에는 [[UEFA 올해의 팀]] 선에 선정되었으며 첼시 시절에는 '우 더프 좌 [[아르연 로번|로번]] 라인'으로 이름을 떨쳤다. == 클럽 경력 == === [[블랙번 로버스 FC]]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uff_Blackburn_1.jpg|width=100%]]}}} || 1996-97 시즌, 그는 [[레스터 시티 FC]]전에서 약관의 나이인 18살의 나이로 데뷔했다. 최종라운드에서 MOM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는 다음해인 1997-98 시즌부터 풀타임 주전 윙어로 입지를 굳히게 되고 리그에서 4골을 기록했다. 다음해에 자신의 소속팀인 블랙번이 강등하자 팀에 남아 2001년, 블랙번이 다시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프리미어 리그]]에 승격하는데 공헌했다. 2001-02 시즌에는 블랙번이 [[풋볼 리그 컵]]에 우승하는데 일조했고, 로버스와 4년 재계약을 맺었다. 2002-03 시즌에는 11골을 기록하며 블랙번에서의 커리어 하이 기록을 세웠고, 팀이 [[UEFA컵]]에서 인상적인 성적을 내는데에 공헌했다. 이 공로를 인정 받아 더프는 UEFA에서 선정한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다. === [[첼시 F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uff_Robben_Chelsea_1.jpg|width=100%]]}}} || || {{{#fff '''당대 최고의 날개라인이라 불렸던 우 더프, 좌 [[아르연 로번|{{{#fff 로번}}}]] 시절'''}}} || 2002-03 시즌의 활약으로 유수의 빅클럽들이 더프를 눈여겨 보았는데, 그 중 [[로만 아브라모비치]]의 인수로 빚을 모조리 청산하고 도리어 엄청난 자금력을 손에 쥐게 된 첼시가 2003-04 시즌 더프를 17m의 이적료로 영입했다. 그리고 2003년 8월,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슬로바키아의 팀인 [[MSK 질리나]]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르게 된다. 그 경기에서 비록 골을 터뜨리지는 못했지만 센세이션한 활약과 시원시원한 돌파력으로 언론에게 호평을 받았다. 그는 첼시에서의 데뷔골을 2003년 9월, [[울버햄튼]]과의 리그 경기에서 기록하고, 시즌 23경기에 출장해 5골을 기록하는 상대적으로 이적료에 비해선 저조한 활약을 보냈다. 첼시는 그 시즌 프리미어리그 출범 이래 최고의 성적인 2위에 올라섰고, 챔피언스리그에서도 4강을 기록하는 역대 최고의 성적을 거두지만 무관에 그치자 구단주 [[로만 아브라모비치]]는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감독을 경질시킨다. 2004-05 시즌, '스페셜 원' [[주제 무리뉴]]가 첼시에 도착하고, 후술하듯 더프와 최고의 호흡을 보여준 네덜란드의 떠오르는 신성 [[아르옌 로벤]]이 스쿼드에 합류하자, 모두 아시다시피 첼시는 엄청난 포스를 보이면서 95점의 승점, 단 15점의 실점[* 프리미어리그 역대 최소 실점이다.]으로 우승을 거둔다. 무리뉴는 4-3-3 역습 축구를 즐겨 사용했고 전술의 중심엔 타겟터 [[디디에 드록바]], 라이트 윙 더프와 레프트 윙 [[아르연 로벤]], 그리고 수비라인을 보호하는 [[클로드 마켈렐레]], 중원 유틸 [[프랭크 램파드]], 그리고 원톱에서 2선으로 내려온 [[아이두르 구드욘센]]의 3미들, 15실점이라는 괴랄한 수비력을 자랑하던 [[윌리엄 갈라스]]-[[존 테리]]-[[히카르두 카르발류]]-[[파울루 페헤이라]]로 이어지는 철의4백라인과 그 뒤로 골대를 지키는 [[페트르 체흐]]가 있었다. 그 중 백미는 '''우 더프 좌 로벤''' 라인이었는데, 이 둘은 폭발적인 스피드, 환상적인 시너지와 스위칭 플레이로 상대팀의 혼을 빼놓았다. ~~로벤이 부상으로 골골 댔다는건 안 비밀~~ 그 당시 첼시의 축구를 보여주는 경기가 2004-05 챔피언스 리그 16강전 [[FC 바르셀로나|바르샤]]와의 홈 경기인데, 이 경기에서 더프는 팀의 3번째 골을 기록한다.[* 이 경기에서 [[호나우지뉴]]가 자신의 인생골 중 하나를 넣기도 했다. [[호나우지뉴#s-2.2.2]] 항목 참조] 강팀, 그것도 초일류팀이라 불리우는 바르샤를 상대로 단 3번의 패스와 1번의 슈팅으로 수비라인을 박살내고 골을 만들어 냈는데, 이런 첼시의 '''선 수비 후 역습''' 전술은 [[레알 마드리드]]의 화려한 공격축구인 '''[[갈락티코스]]'''와는 별개로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물론 구단주 로짜르는 공격축구를 좋아했다~~[* 로만의 공격 축구 사랑은 옛날부터 유명하였으며 포르투 시절 공격적인 4-3-3 축구를 구사해오던 [[안드레 빌라스보아스]]나, 나폴리에서 사리볼이라는 특유의 점유율 축구를 구사한 [[마우리치오 사리]]를 데려왔던 것도 첼시에게 공격 축구를 입히기 위한 작업이었다. 하지만 빌라스보아스는 첼시에서 대실패를 하며 경질되었고 이는 [[로베르토 디 마테오]] 임시 감독의 [[첼램덩크]] 챔스 우승의 발판이 된다. 또한 사리 역시 유로파 리그 우승을 일구어 냈지만, [[은골로 캉테]]에게 맞지 않는 롤을 부여하거나 [[조르지뉴]]가 PL의 압박에 공략 당하는 등 한계점을 명확히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마시밀리아노 알레그리]] 감독의 이탈로 후임을 찾던 [[유벤투스]]의 오퍼를 수락하며 첼시와 꺼림직한 이별을 하는 등 첼시의 공격 축구는 그 끝이 참담했다.] 2005-06 시즌에도 철의 포백[* [[윌리엄 갈라스]], [[존 테리]], [[히카르두 카르발류]], [[파울루 페레이라]]]의 건재함과 강력한 역습을 뽐내면서 첼시는 구단 창단 100주년에 뜻깊은 리그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시즌 초반까지는 좌 로벤- 우 더프 라인이 건재했지만 시즌 중반을 넘으면서 [[조 콜(축구선수)|조 콜]]이 제대로 포텐을 터트리면서 더프가 주전경쟁에서 밀리게 되었고, 조 콜의 존재때문만이 아니라 본인도 후반기 들어서면서 부진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첼시에서의 미래가 불확실해보였다. 이적 후 11번이 공번이 되자 '''디디에 드록바'''가 물려받았다. 물론 드록바는 2004년부터 첼시 선수였고, 더프가 팀을 떠나기 전까지는 15번을 달고 뛰었다. 여담이지만, 은퇴 후 한 인터뷰에서 밝힌 바로는 커리어에서 가장 후회한 일이 첼시를 떠난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더프가 떠난 직후 시즌인 2006-07 시즌에는 부상으로 시즌을 거의 반정도 날려버린 [[조 콜(축구선수)|조 콜]]이나 여전히 벤치신세였던 [[숀 라이트필립스]] 등 윙어 포지션 선수들이 대부분 부진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나마 크랙역할을 담당해줬던 [[아르옌 로벤]]도 새로 영입된 [[안드리 셰브첸코]]를 기용하기 위해 주로 후반에 조커로 기용되거나 혹은 부상때문에 자주 출전을 하지 못했다. 시즌 중반 이후부터 무리뉴가 결국 셰브첸코를 간간히 제외시키며 다이아몬드 4-4-2에서 4-3-3 포메이션으로 팀의 전술을 이전처럼 바꿔놨을때도 부상에서 복귀했던 [[조 콜(축구선수)|조 콜]]이 극심한 부진을 보이자 팬들은 좌-로벤 우-더프 날개라인을 굉장히 그리워했다.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uff_Newcastle_1.jpg|width=100%]]}}} ||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부상으로 먹튀가 되어버렸고, 강등 확정 자책골까지 넣으며 더프의 최대 흑역사로 남은 시절이다. 2006년 5백만 파운드의 이적료로 뉴캐슬로부터 영입되어 9월 [[웨스트햄]] 원정경기에서 데뷔골을 넣어 2:0 승리에 일조했다. 그러나 11월 무릎 부상을 당하며 4개월간 아웃되었고, 3월에 부상에서 복귀했으나 4월 [[포츠머스 FC|포츠머스]]와의 경기에서 발목 부상을 당하며 시즌을 조기 마감하였다. 2006-07 시즌 기록은 겨우 22경기에 출장하여 1골이라는 초라한 성적. 2007-08 시즌도 부상으로 16경기 밖에 출장하지 못했다. 2008-09 시즌은 그야말로 커리어 최악의 시즌. 2008년 10월 7라운드 [[에버튼 FC|에버튼]] 원정에서 2:2 동점골을 넣어 약 2년 만에 골을 신고했다. 12월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과의 홈경기에서 종료 직전 결승골을 넣었다. 2009년 2월 25라운드 [[웨스트브롬]] 원정에서 경기시작 2분 만에 벼락같은 선제골을 넣으며 팀의 3:2 승리에 일조했다. 그러나 뉴캐슬은 점점 추락하기 시작했고, 임시감독 조 키니어는 심장 이상으로 감독직을 비워야 했다. 강등 위기 상황에서 뉴캐슬의 레전드 [[앨런 시어러]]가 임시감독으로 임명되었다. 앨런 시어러 아래에서 더프는 레프트백에서 뛰었다. 뉴캐슬의 강등 여부는 최종전 [[아스톤 빌라]] 원정에 달려있게 되었는데, 같은 시간 [[헐시티]]는 [[맨유]]와의 홈경기를 치르고 있었다. 헐 시티가 맨유에 실점을 했고, 뉴캐슬은 무승부만 거두어도 프리미어 리그에 잔류할 수 있는 유리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불운하게도 [[가레스 배리]]의 중거리슛이 더프의 몸에 굴절되며 뉴캐슬의 골망을 흔들었고,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 더프의 자책골을 만회하지 못하며 0:1 패배, 결국 뉴캐슬은 16년 만에 [[EFL 챔피언십|2부리그]] 강등이 확정되었다. 더프는 팀에 남겠다는 의사를 비추었고, 2009-10 시즌 챔피언십 1라운드 웨스트브롬 원정에서 동점골을 넣으며 1:1 무승부를 거두는데 일조했다. 하지만 그 경기가 뉴캐슬에서의 마지막 경기였고, 그 골이 뉴캐슬에서 마지막 골이었다. === [[풀럼 F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uff_Fullham_1.webp|width=100%]]}}} || 2009-10 시즌, 더프는 강등된 뉴캐슬을 떠나 계약기간 3년, 400만 파운드에 풀럼에 입단했다. 풀럼의 감독은 그의 블랙번 시절 감독이었던 [[로이 호지슨]]. 풀럼에 입단한 지 얼마 안되어서 9월 4라운드 에버튼과의 홈경기에서 2:1 역전골을 득점하며 팀의 역전승에 크게 일조하였다. 12월 맨유에 3:0에 대승을 거둘 때 팀의 세 번째 골을 득점하였다. 풀럼에서의 첫 시즌은 32경기 6골로 매우 좋은 시즌을 보냈다. 더불어 풀럼은 [[UEFA 유로파 리그]] 결승까지 진출하였다.[* 아쉽게도 [[AT 마드리드]]에게 패하며 우승을 놓쳤다.] === [[멜버른 시티 F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uff_Melbourne_1.webp|width=100%]]}}} || 2014년 6월, 더프는 호주의 멜버른 시티와 1년 계약을 맺었다. 시드니와의 데뷔전에서 [[다비드 비야]]의 [[A리그|A 리그]] 첫 골을 어시스트했다. [[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 FC|뉴캐슬 제츠]]에 5:2에 승리를 거둘 때 리그 첫 골을 기록했다. 아일랜드 리그에서 자신의 커리어를 마감하기 위해 멜버른 시티를 떠나 고향으로 돌아가기로 했다. === [[샴록 로버스 F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goal.com/1796292_heroa.jpg|width=100%]]}}} || 2015년 7월 14일, 더프는 [[아일랜드 프리미어 디비전]]의 샴록 로버스와 계약을 하고 자신의 연봉을 기부하기로 했다. 샴록 로버스 소속으로 9경기를 뛴 후 2015년 12월 21일 은퇴를 발표했다. == 국가대표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uff_National_1.jpg|width=100%]]}}} || || {{{#fff '''한일 월드컵 사우디전에서 보여준 인사 셀러브레이션'''}}} || 청소년 국가대표로서, 1997년 아이슬란드에서 열린 UEFA U-18 챔피언십에 출전하였고, 1997년과 1999년에는 [[FIFA U-20 월드컵|FIFA 세계 유스 챔피언십]][* 현재의 U-20월드컵, 2007년대회부터 이 명칭을 쓴다.]에 출전했다. 성인 대표 데뷔는 1998년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와의 경기에서 치렀고, 2012년 국가대표에서 은퇴할 때 까지 15년동안 100경기에 출전, 82경기에서 선발로 뛰었고 8골을 기록, [[센추리 클럽]]에 가입했다. 이 기록은 아일랜드 역사상 5번째로 많은 국가대표 출장 기록이다. [[2002년 한일 월드컵]]에도 아일랜드 대표로 발탁되어 16강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전까지 4경기 모두 출전했다. 조별리그 3차전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 전에서는 골을 기록 한 후 동양식 인사를 하는 듯한 [[골 세리머니|셀러브레이션]]을 했는데, 이는 지금까지도 종종 회자되며 더프의 국가대표 경력에서 가장 임팩트 있었던 장면으로 꼽힌다.[* 바로 위의 사진이 그 유명한 인사 셀러브레이션이다.] [[UEFA 유로 2004]]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예선에서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조지아]]와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를 상대로 골을 기록했다. [[2006년 월드컵]] 예선 경기에도 출전했지만, 아일랜드가 또다시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본선 무대는 밟지 못했다. 2008년 전후로 대표팀 경기에서 대부분의 골과 어시스트를 담당하며 키 플레이어로 본격적으로 자리 잡았고, [[남아공 월드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와 만나 두 경기를 모두 선발로 뛰었지만, [[신의 손#s-2.1.3|그 유명한 사건]]으로 인해 프랑스에게 총합 2:1로 패배하며 억울한 희생양이 되고, 또 다시 월드컵 진출에 실패한다. [[UEFA 유로 2012]] 지역 예선 경기에 다시 출전하며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스토니아]]와의 플레이오프에서 총합 5:1로 승리하는데 크게 공헌하였고, 본선 스쿼드에도 포함되어 11번을 달고 출전했다. 조별리그 3차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 자신의 A매치 100경기 출장을 기록하며, 주장으로서 아일랜드의 마지막 조별리그 경기, 그리고 본인의 마지막 대표팀 경기를 마무리했다. == 지도자 경력 == 2015년 12월, 헌역 은퇴를 선언한 뒤 샴록 로버스에 남아 U-15 감독에 부임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하였다. 이후, 아일랜드 U-15 대표팀 코치를 잠시 맡았다가 얼마안가 샴록으로 복귀하여 U-17 팀과 1군 팀 코치를 병행하며 2018년까지 지냈다. 2019년 1월, [[셀틱 FC]] 리저브팀 코치로 부임하였고, 한달 뒤 [[닐 레넌]]의 부름을 받아 1군 수석코치로 승격하였다. 그는 2019-20 시즌동안 감독 닐 레넌과 수석코치 존 케네디와 함께 셀틱의 도메스틱 트레블을 이끌면서 전무후무한 리그 9연패 및 리그 컵 4연패를 달성하였다. 2020년 4월 5일, 그는 [[믹 맥카시]]의 후임으로 아일랜드 대표팀 감독 지휘봉을 잡은 [[스티븐 케니]]를 보좌할 대표팀 수석코치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6월 24일에는 [[셸번 FC|셸번]] U-17 팀의 감독직을 병행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이듬해 1월 8일에 대표팀 수석코치직에서 물러났다. === [[셸번 FC]] === 2021년 11월, U-17 감독을 맡고 있던 더프는 1군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2022년 2월 18일,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FC|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을 상대로 프로 감독 데뷔전을 치렀으며, 셸번은 홈에서 0:3으로 패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블랙번 로버스 FC]] * [[풋볼 리그컵]]: 2001-02 * [[첼시 FC]] * [[프리미어 리그]]: 2004-05, 2005-06 * 풋볼 리그컵: 2004-05 * [[FA 커뮤니티 실드]]: 2005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UEFA 인터토토컵]]: 2006 === 개인 수상 === * [[UEFA 올해의 팀]]: 2002 * [[UEFA 챔피언스 리그]] 도움왕: 2004-05 * [[PFA 올해의 팀]]: 2000-01 ^^풋볼 리그 1^^ * 올해의 시니어 인터내셔널 선수: 2002 [각주] [[분류:1979년 출생]][[분류:더블린 출신 인물]][[분류:아일랜드의 축구선수]][[분류:블랙번 로버스 FC/은퇴, 이적]][[분류:첼시 FC/은퇴, 이적]][[분류: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풀럼 FC/은퇴, 이적]][[분류:멜버른 시티 FC/은퇴, 이적]][[분류:샴록 로버스 FC/은퇴, 이적]][[분류:아일랜드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12 참가 선수]][[분류: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분류:1997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말레이시아 참가 선수]][[분류:1999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나이지리아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