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데스 스마일즈 시리즈]][[분류:2009년 아케이드 게임]][[분류:Xbox 360 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Nintendo Switch 게임]][[분류:Xbox One 게임]] [[파일:deathsmiles2.png]] || 발매 || 2009.5.13 아케이드판 가동시작 / 2010.05.27(XBOX 360 판) / 2021(PS4, NS, XB1) || || 제작 || [[케이브]] || || 플랫폼 || [[Xbox 360]]/ 아케이드([[NESiCAxLive]] 또는 케이브 오리지널 기판[* AMD 애슬론 64 X2 5050e(브리즈번으로 추정), DDR2-6400(800Mhz) 2G RAM, 라데온 HD3200(보드 내장 그래픽), ASUS M3A78-EM Socket AM2+/AM2 780 칩셋 메인보드]/ [[PlayStation 4]]/ [[Nintendo Switch]]/ [[Xbox One]] || || 출시판 || 패키지[* [[PS4]], [[Nintendo Switch|NS]]판 전용으로 한국 포함 일부 국가에서만 출시]/DL || || 플레이 인원 || 1~2인 || || '''한국어 지원''' || 지원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12세 이용가}}}''']],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폭력성.svg|width=16]] '''{{{#000000,#dddddd 폭력성}}}''']],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선정성.svg|width=16]] '''{{{#000000,#dddddd 선정성}}}''']] || || 장르 || [[탄막 게임]] || [목차] == 개요 == [[데스 스마일즈]]의 후속작, 풀네임은 '''데스 스마일즈 II 마계의 메리 크리스마스'''. 시간상으로는 데스 스마일즈의 잔류 엔딩에서 1개월 가량이 지난 후 크리스마스 무렵. 쇼핑을 끝마친 윈디아가 길가에서 성냥팔이 소녀 마냥 떨고 있던 아이를 데려왔더니 데스 스마일즈 1편의 흑판의 엔딩에서 모습이 살짝 나왔던(...) 사탄클로스[* 이름 자체는 아무리 봐도 산타클로스의 말장난... ~~사탄+산타클로스~~]가 아이를 이용해서 디올 백작을 해치고 소원의 음표를 훔쳐간 것. 포렛과 로자는 디올 백작을 간호해야 하기 때문에 움직일 수 없어서 윈디아와 캐스퍼가 사탄클로스를 쫓아가는 것으로 이야기는 시작한다. == 전작과의 차이점 == 전작과는 게임 흐름에 있어 큰 틀의 차이는 없다. 다만, 록온 샷이 결계 레이저로 통합되었으며, 아이템 카운터가 아닌 결계 게이지를 소모, 전부 소모하면 끊긴다.[* 또한 이것으로만 파괴 가능한 오브젝트도 존재하며, 이 오브젝트를 파괴하면 아이템이 나온다.] 전작에 비해 2인 플레이시 회화가 조금 더 세분화 되어 있고, 오프닝의 경우 캐릭터에 따라 시작 시 인트로가 달라지는 등 공을 좀 더 들였다. 덧붙여 아케이드판은 아케이드이었음에도 동글만 꽂아주면 업데이트가 가능했다고 한다. 초기 가동 시에는 윈디아, 스피만 선택이 가능했고, 진행도 별로 할 수 없었으나 점차 업데이트가 진행되면서 최종면이 개방되고 캐스퍼, 레이 등이 해금되었다. 하지만 초기의 막장상태 때문에 이걸 까고 손을 뗀 사람들이 많아서... 고딕 호러 풍인 척하는 전작과는 달리 조금 꼬인 느낌의 크리스마스 동화풍이 되었다. 또한 엔딩이 1과는 달리 풀 컬러다.[* 1에서는 포렛 잔류 엔딩은 머리색이 컬러였지만 나머지 엔딩들은 세피아 톤이었다.] == 엑스박스 이식판 이야기 == 2010년 5월 하반기에 발매. 초회특전으로 뮤직팩 컨텐츠를 해금하는 카드를 통상/한정판 관계없이 증정했다. 한정판 특전은 OST. 아케이드모드의 경우 집에서 대략적으로 아케이드 느낌으로 즐길 수 있다는 것 외에는 아케이드판과 큰 차이는 없음. 일부 포럼에서는 아케이드모드가 실제 기동된 아케이드판과는 달리 스코어에 알파벳 세 글자를 새길 수 없다는 점 등을 까고 있다. 2X모드의 경우 아케이드에서 지적받았던 점을 개선, 할만한 게임이 됐다. 어레인지 모드의 경우 벌레공주 후타리/에스프가루다 2의 엑박판의 어레인지모드에 이어 여전히 탄지우기 게임이라는 평가. 베이스는 2X 모드라서 그렇게 나쁘진 않다. 오마케 모드인 사역마 레이스는 담당인 ASD를 까게 만드는 기묘한 게임. 버그가 좀 있기는 했지만[* 게임 진행에 치명적인 버그는 일단 Ex스테이지 보스전에서 프리징이 걸릴 확률이 있는 건밖에 보고되지 않았다. 나머지는 게임 진행을 막지 않는 정도의 고만고만한 버그가 대부분이고 나중에 패치되었다.] 아케이드판 데스 스마일즈2와 비교하면 섭할 정도로 환골탈태한 게임이란 평. 또한 도전과제 천 점을 날로먹기 쉬운 게임이란 평가. 도전과제가 상당히 어려운 게 많은 데다 익스텐드 등의 몇몇 부분을 조정하면 백날 해도 도전과제 달성이 절대로 안되는 전작과는 달리 뭘 건드려도 달성되는 과제, 어렵지 않은 과제들이 대부분이라 엔간한 사람이 어느 정도 하면 도전과제를 전부 달성하는 게 가능하다. == 좋지 않은 평가? == 엑스박스 360판이 발매되지 않은 시점에선 전작에 비해 좀 떨어진다는 평이 대세. 엑스박스 360판의 트레일러를 봐도 그다지 구매 의욕이 들지 않았던 사람도 있는 모양. 아케이드에서 완성판으로 나왔던 전작에 비하면 데스 스마일즈 2의 초기 기동은 시스템은 완성되었지만 그 외의 요소가 미완성이었다는 점 또한 이 평에 한 몫을 했을지도 모른다. 어쨌든 아케이드에서의 인컴이나 평가도 모두 전작에 훨씬 못미쳤기에 이식판에서도 같은 평가가 나온 셈. 아케이드에서 로자/포렛이 플레이어 캐릭터가 아닌 것도 말이 좀 있다. 엑스박스 360판에서는 개캐로 거듭나서 불만은 그럭저럭 수그러들었다. 캐릭터 일러스트의 경우에는 무슨 컴퍼스로 얼굴을 그렸냐는 말이 있을 정도. 색감이 바뀐 것도 말이 좀 있다. 거기다 여태까지 2D 그래픽(및 실리콘 렌더링으로 그린 2D 스프라이트)만 사용해왔던 [[케이브]]가 자기네 슈팅게임에 최초로 [[폴리곤]] 그래픽을 사용한 게임. 죄다 3D 폴리곤으로 만들어서 이질감이 들기도 한다. 전작에서는 진행의 자유도가 높은 편이어서 난이도를 자기 입맛대로 조절할 수 있었던 것(스테이지 선택+난이도 선택)이 호평을 받았는데 2의 아케이드판에선 고정진행이라 까였다. 역시 엑스박스 360판에서는 난이도 선택, Ex 스테이지가 부활했다. 거기다가 아케이드판에 없던 선택면 스테이지 하나 추가. 그리고 일정 조건[* 전 보스 결계 레이저로 격파.]을 만족하면 숨겨진 보스로 전작의 지터벅이 돌아온다. == 전일기록 == [[전일기록/케이브#s-4.2|데스 스마일즈 II 전일기록]] 참고로 엑스박스판 데스 스마일즈 2X의 2X 모드와 어레인지모드의 전일기록은 저 쪽에 기록이 없다. ~~엑박 있으면 다 볼수 있잖아..라곤 해도 없는 사람은?~~ == 등장인물 == [[데스 스마일즈/캐릭터]]로. == 뒷이야기 == 아케이드판의 제작 중 특정 스테이지의 기차를 3D로 여차저차 했더니 [[은하철도 999|우주로 날아가 버리는 사태]]가 발발했다...고 한다. 당시 3D 작업을 하던 사람은 이치무라뿐이었다나. 2010년 12월 26일 케이브 마츠리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엑박 이식판에서 서큘라도 넣고 싶었으나 그러려면 발매 연기를 해야 해서 포기했다고 한다. [[이케다 츠네키#s-4.9|레이의 캐릭터 메이킹에 대해선 IKD 항목을 참조(...).]] 2019년 12월 [[시티 커넥션(게임 회사)|시티 커넥션]][* [[시티 커넥션|동명의 게임]]이 있다. [[쟈레코]]의 모든 게임의 저작권을 회수하고 [[사이쿄]] 게임의 저작권도 회수한 곳.]이라는 회사에서 1과 2를 다른 플랫폼으로 이식한다는 발표가 있었다. 이후 2021년에 [[닌텐도 스위치]]와 [[플레이스테이션 4]], [[Xbox One]][* 1편은 PC로 이식도 되었으나 2편은 완벽한 엑박 독점이었다.]으로 발매하나, 정작 PC로는 나오지 않는 콘솔 독점작으로 남았다. 결국 PC로는 [[아케이드 포워더]]를 써야 되는 상황이었으나, 2022년 6월 23일에 PC(스팀)로도 출시되었다! '''자막 한국어화'''는 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