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기타 여신전생 시리즈)] ||<-2>
{{{#ffffff '''{{{+1 데빌 서바이버 2}}}'''[br]デビルサバイバー 2[br]Shin Megami Tensei: Devil Survivor 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devil_survivor2.jpg|width=100%]]}}} || || '''개발''' ||<|2>[[ATLUS]] || || '''유통''' || || '''플랫폼''' ||[[닌텐도 DS]] | [[닌텐도 3DS]][* [[New 닌텐도 3DS]] 대응] || || '''장르''' ||[[SRPG]] || || '''출시''' ||'''NDS'''[br][[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20]] 2011년 7월 28일[br]'''3DS'''[br][[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20]] 2015년 1월 2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20]] 2015년 2월 26일[br][[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0]] 2015년 5월 5일[br][[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2015년 10월 30일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3DS 한정]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12세 이용가}}}''']] || || '''해외 등급'''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파일:CERO B.svg|width=17]] '''{{{#000000,#dddddd CERO B}}}''']][br][[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파일:ESRB Teen.svg|width=16]] '''{{{#000000,#dddddd ESRB T}}}''']][br][[범유럽 게임 정보|[[파일:PEGI 12.svg|width=16]] '''{{{#000000,#dddddd PEGI 12}}}''']] || || '''관련 사이트''' ||[[http://ds2.atlusnet.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공식 홈페이지)^^ | [[http://dsexp.atlusnet.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공식 블로그)^^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sexp_atlus,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여신전생 시리즈]]의 외전작 데빌 서바이버 시리즈 중 두 번째 작품. PD는 전작과 동일한 타카다 신지로, 캐릭터 디자인은 [[야스다 스즈히토]], 보스(셉텐트리온) 디자인은 [[키토 모히로]], 음악은 [[이토 켄지]]가 맡았다. == 시놉시스 == ||그것은 일요일 돌연 시작되었다. 일본 전체에서 일어난 이상기후와 악마들, 그로 인해 극한 상태에 빠진 일본. 그리고 일본 전 국토를 덮치는 수수께끼의 침략자. [[셉텐트리온(데빌 서바이버 2)|셉텐트리온]]. 이러한 침략자들이 쳐들어오는 것은 하루에 한 번. 이러한 극한 상태의 일본에서, 악마와 계약하여 수수께끼의 침략자 - 셉텐트리온 - 과 싸울 힘을 얻은 13명의 '악마사역자'들의 싸움이 시작된다. 세계의 종말까지 앞으로 7일. 살아남기 위해, 당신은 중대한 선택에 직면한다…….|| == 특징 == '''13명'''의 악마 사역자에게는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정의가 있으며, 이것이 캐릭터들의 기본적인 성격의 척도가 되어 주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공식 홈페이지의 경우, 화면이 열리면서 이것 중 5개를 랜덤으로 보여주는데 마지막에는 무조건 주인공의 것이 나온다. 확인된 내용은 '[[야나기야 오토메|가꾸는 것]]', '[[쿠리키 로나우도|서로 지탱해주는 것]]', '[[호츠인 야마토|지켜가는 것]]', '[[토리이 쥰고|먹는 것]]', '[[아키에 유즈루|망설이는 것]]', '[[와쿠이 케이타|싸워가는 것]]', '[[닛타 이오|자신을 내보이는 것]]', '[[시지마 다이치|즐기는 것]]', '[[사코 마코토|각오를 다지는 것]]', '[[쿠죠 히나코|표현하는 것]]', '[[반 아이리|찾아헤메는 것]]', '[[칸노 후미|추구하는 것]]', 그리고 '[[주인공(데빌 서바이버 2)|계속 선택해가는 것]]'의 '''13개'''. 기본적인 스토리는 7일 후에 멸망하는 운명을 막기/피하기 위한 악마사역자들의 사투를 그리고 있는 데빌 서바이버 1과 비슷하다. 그러나 이 7일 후의 멸망은 정체불명의 침략자인 [[셉텐트리온(데빌 서바이버 2)|셉텐트리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를 막는 것이 목표가 된다.[* 이 설정은 통째로 [[에반게리온]]의 패러디. 게임을 해보면 에바 냄새가 여기저기서 난다(...).] 무대도 봉쇄된 도쿄에서 일본 전체로 넓어졌다. 무대가 넓어진 만큼 그나마 온건하게 망가졌던 전작의 도쿄와는 다르게 일본 전체, 구체적으론 도시 단위로 파괴되고 불타는 등 세상이 망해가는 배경을 보여준다.[* 오프닝에서 '''13명'''이 모여 있는 장면이나 악마 사역자 중 [[닛타 이오|한 사람]]이 뛰어올라서 에너지의 창 같은 것을 날린다거나 거대한 은하계 영상이 있는 것을 보면 좋은 의미로 맛이 좀 간거 같다.] 시간적 배경은 전작의 한여름에서 모의고사를 보는 수능 전의 가을~겨울 사이로 바뀌어 캐릭터들의 복장이 대부분 두껍다. 이번 작품의 '상징'은 톱니바퀴와 별자리, 상징하는 주제는 '선택'과 '가능성'. 주인공 일행의 모티브는 [[황도 12궁]], 적의 모티브는 [[북두칠성]]과 [[북극성]] 등 별. == 이식판 == [[파일:attachment/ds2br.png|width=230]] 2013년 3월에 애니메이션화에 힘입어, 확장판이자 3DS 이식판인 데빌 서바이버 2 : 브레이크 레코드가 여름 발매를 목표로 개발 중이란 사실이 발표되었다. 처음 공개된 발매일은 2013년 7월 11일이었으나, 2013년 가을로 개발 연기했고 다시 2014년으로 연기되었다. 최종적으로는 2015년 1월 29일 발매로 확정.[[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nds/84/read?bbsId=G003&itemId=5&articleId=1517078|#]] 왜 연기가 계속되었는지는 불명이다. 북미 지역 명칭은 '데빌 서바이버 2 : 레코드 브레이커'로 변경되었다. '''풀 보이스화'''와 애니메이션 파트, 신 시나리오 추가 등 오버 클록보다 훨씬 더 즐길 요소들이 증가하였다. 발표된 내용으로는 신 시나리오와 기존 시나리오를 게임 스타트 시에 선택 가능하며, 신 시나리오는 일반 RPG 1타이틀 정도의 볼륨, 그리고 기존 시나리오도 신 요소들이 꽤 추가되었다. 신 시나리오 전용 신곡은 [[메구로 쇼지]]가 담당했다. 합체악마나 이벤트신이 대폭 증가하고, 사역 악마수가 배이상이 되었으며 게임 하나 분량 추가시나리오인 트리앙글룸이 추가되어 볼륨은 전작의 2배를 넘는다. 그리고 전작이나 오버 클록과의 스토리적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전작에서 나온 맵이나 엑스트라나 배경 일러스트는 그대로 재활용한 게 많다. 이식하면서 3D 기능에 맞추는 것은 어려웠는지 메인 화면은 3D 기능이 없는 아래화면이다. 2014년 12월 11일, 페르소나 Q에 이은 차기 아틀러스 3DS 타이틀로서 한글화가 확정되었다.[[http://www.nintendo.co.kr/PR/press_list.php?cPage1=1&cPage2=1&idx=174|#]] 진행 속도도 꽤 빨라서 발표와 동시에 한글판 스크린샷도 공개되었다. 12월 19일 12세이용가로 심의를 통과했다. 발매일은 2015년 2월 26일로, 일본 발매일과 불과 1달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OST CD도 같은걸 넣어주며, 한글화된 아틀러스 게임 사상 최속. 번역 퀄리티는 괜찮으면서도 아쉬운 정도. [[군대]]와 [[자위대]], 반복적인 회화 표현 등이 많이 오락가락한다. 오타는 그렇게 많지 않지만 자잘한 번역 미스가 종종 있어서 아래 줄의 대상을 수식하게 쓰인 형용사를 '~~하다' 로 오역한 경우까지 있다. 그 외에는 [[우에노역]]을 위쪽역이라고 직역한 정도. 신화나 모티브가 된 성좌 등의 고증 등은 퀄리티가 괜찮다. 메뉴 화면의 인연, 전서의 로마자 표기는 깨알같이 INYEON, JUNSEO로 한글 표기에 맞게 변경되었다.[* 다만 우리말의 ㅓ 발음은 EO라 정확히는 JEONSEO다. 아마 글자수를 맞추려고 그런 듯.] 또 세이브 화면이나 전투 화면에서 주인공의 성과 이름 사이에 띄어쓰기가 없고 그냥 붙여서 표기하기 때문에 일본식 이름(ex. 쿠제 히비키)를 넣으면 '''쿠제히비키'''라고 떠서 굉장히 뭐시기하다. 원화가가 같은 인연인지 일본판에서는 기간 한정으로 [[듀라라라!!]] 캐릭터를 배포했다. 다만 인간 동료 취급이 아닌 동료마 취급. 아쉽게도 한국판은 배포되지 않았으며 더미 데이터로는 남아 있다. == 등장인물 == === 악마 사역자 === [include(틀:데빌 서바이버 2)] === 그 외 인물 === * [[근심하는 자]] * [[티코(데빌 서바이버 2)|티코]] * [[폴라리스(데빌 서바이버 2)|폴라리스]] * [[카노푸스(데빌 서바이버 2)|카노푸스]] === 소환 악마 === * 아래 목록은 애니메이션 기준이기 때문에 게임 내의 악마에 대해서는 [[데빌 서바이버 2/악마전서]]를 참조. [[파일:external/ds2a.jp/devil_01_byakko.png]] * 신수 [[백호(여신전생 시리즈)|백호]] - CV : [[오노 아츠시]][* 같은 백호 캐릭터로 [[슈팅 바쿠간]]의 루미나 타이그리스를 맡은 바가 있으며 북미판에서는 맹수의 울음소리로 대신했다.] 주인공 [[쿠제 히비키]]가 처음으로 소환한 악마. 전격속성. 사실상 히비키의 주역악마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많은 활약을 한다. [[파일:external/blog-imgs-50.fc2.com/20130512174522d2a.jpg]] * 신수 [[주작(여신전생 시리즈)|주작]] - CV : [[나카네 쿠미코]] 히비키의 두번째 소환 악마. 화염속성. 첫 등장한 이후로 계속 몰락 일보를 걷는다(...)~~주작인데 피만땅이 아니다~~ [[파일:external/ds2a.jp/devil_01_poltergeist.png]] * 유귀 [[폴터가이스트]] - CV : [[킷타 이즈미]] 다이치의 소환 악마. 빙결속성. 다이치의 악마들 중 행보는 그나마 가장 양호한 편. [[파일:external/ds2a.jp/devil_01_pixie.png]] * 요정 [[픽시(여신전생 시리즈)|픽시]] 이오의 소환 악마.1화에서 첫 등장 뒤 등장 없음(...) [[파일:external/ds2a.jp/devil_01_ogre.png]] * 사귀 [[오우거]] - CV : [[토쿠모토 에이이치로]] 이오의 소환 악마. 첫 등장시 저급 악마답지 않게 스폿이 많았다.(픽시보다도..) [[파일:external/ds2a.jp/devil_02_power.png]] * 천사 [[파워(여신전생 시리즈)|파워]] 마코토의 소환 악마. * 사귀 오발리욘 - CV : [[코야마 사쿠라]] 다이치의 소환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03_berserk.png]] * 투귀 [[베르세르크]] - CV : [[오노 유우키]] 케이타의 소환 악마. 후에 히나코가 소환한다. [[파일:external/ds2a.jp/devil_03_lilin.png]] * 귀녀 [[릴림(여신전생 시리즈)|릴림]] - CV : [[킷타 이즈미]] 히나코의 소환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03_botis.png]] * 타천사 보티스 - CV : [[엔도 다이치]] 염려하는 자와 함께 행동하나 반발하고 소멸당했다. * 유귀 [[아가시온]] - CV : [[사이토 후코]] 다이치의 소환 악마. * 영조 [[이츠마데]] 주로 강한 악마의 광역기에 썰려나가는 [[잡몹]] 역할(...) [[파일:external/ds2a.jp/devil_04_kikurihime.png]] * 여신 [[키쿠리히메]] 이오의 소환 악마. 첫 등장한 이후로 계속 몰락 일보를 걷는다(...) [[파일:external/ds2a.jp/devil_04_hagene.png]] * 영웅 [[하겐]] 로나우도의 소환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06_orcus.png]] * 악신 오커스 죠의 소환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06_sarasvati.png]] * 여신 [[사라스바티(여신전생 시리즈)|사라스바티]] 오토메의 소환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07_bifrons.png]] * 비프론즈 - CV : [[미야시타 에이지]] 불 속성의 악마, 체구가 조그맣기 때문에 다른 개체에게 해당 언어를 듣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염려하는 자와 같이 행동한다.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텅구리]]와 비슷하게 생긴 두개골 뼈를 가면으로 쓰고 다니며, 오른손에 촛대를 들고 불을 켠 상태로 활동한다. [[파일:external/blog-imgs-56-origin.fc2.com/18d30c7c.jpg|width=50%]] * 마수 [[케르베로스(여신전생 시리즈)|케르베로스]] - CV : [[모리시마 슈타]][* 북미판에서는 맹수의 울음소리로 대신했다.] 야마토의 소환 악마. 그가 어렸을 때부터 충성해 온 존재. [[파일:external/ds2a.jp/devil_08_heget.png]] * 신수 헤케트 - CV : [[모모노 하루나]] 다이치의 소환 악마. * [[해커]] - CV : [[토쿠모토 에이이치로]] [[파일:external/ds2a.jp/devil_06_caitsith.png]] * 마수 [[캣 시]] 아이리의 소환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06_nekoshougun.png]] * 영웅 [[네코쇼군]] - CV : [[오오시타 코우타]] 쥰고의 소환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08_baal.png]] * 마신 [[바알(여신전생 시리즈)|바알]] 야마토의 소환 악마. 주작과 백호를 일격에 소멸시킬 정도의 강력한 힘을 보유하고 있다. [[파일:external/ds2a.jp/devil_04_janvaban.png]] * 쟝바반 [[파일:external/ds2a.jp/devil_05_lyla.png]] * 라이라 [[파일:external/ds2a.jp/devil_03_mezuki.png]] * 투귀 메즈키 [[파일:external/ds2a.jp/devil_03_gozuki.png]] * 투귀 고즈키 [[파일:external/ds2a.jp/devil_01_kobalt.png]] * 투귀 [[코볼트]] [[파일:external/ds2a.jp/devil_01_gagizon.png]] * 타천사 가기손 * 요정 [[로렐라이]] 아이리의 소환 악마. 빙결 속성. [[파일:external/ds2a.jp/devil_09_kama.png]] * 환마 [[카마]] - CV : [[모리시마 슈타]] 아이리가 소환한 악마. 물론 이 세계관에서는 링크 1번에 해당한다. 원작에선 개그성 말투도 보였지만 애니에선 그냥 소멸당했다(...) [[파일:external/ds2a.jp/devil_09_siva.png]] * 파괴신 [[시바(여신전생 시리즈)|시바]] - CV : [[토쿠모토 에이이치로]] 분노의 악마. 5일차에 소환된 악마. 히나코가 소환했다. 결과적으로 5일차의 셉텐토리온을 처리한 것은 이쪽. [[파일:external/ds2a.jp/devil_10_lugh.png]] * 파괴신 [[루(켈트 신화)|루그]] - CV : 엔도 히로유키, [[우치다 아야]](이오 빙의시) 이오가 소환한 악마, 원작에서는 빛의 창으로 용맥을 활성화 시킨 후 그냥 사라졌었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이오에게 빙의한 채로 호츠인가를 멸절시키려다가 주인공에게 저지되었다. 이후 이오의 동료 악마가 된다. * 여신 [[아테나|팔라스 아테나]] 11화에서 마코토가 새로이 소환한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11_trumpeter.png]] * 마인 [[트럼페터(여신전생 시리즈)|트럼페터]] 후미의 소환 악마. 등장하자 마자 바로 후미와 함께 소멸한다(...). [[파일:external/ds2a.jp/devil_11_jaakufrost.png]] * 사귀 [[사악한 프로스트]] - CV : [[히카미 쿄코]] 11화에서 다이치가 새로이 소환한 고위 악마. 바알과 팔라스 아테나 이상의 상위급 거물 악마. 자오곤겐과 막상막하로 싸우고 사탄의 공격을 막을 정도로 강한 힘을 갖고 있다. 게임에서 볼 경우 1도 한 유저라면 본 적 있는 반가운 대사를 한다. [[파일:external/ds2a.jp/devil_12_nebiros.png]] * 타천사 [[네비로스(여신전생 시리즈)|네비로스]] 12화에서 야마토가 새로이 소환한 고위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12_zaougongen.png]] * 귀신 [[자오우곤겐(여신전생 시리즈)|자오우곤겐]] 12화에서 야마토가 새로이 소환한 고위 악마. 알코르를 쓰러트리고 사악한 프로스트와 맞먹는 강한 힘을 가졌다. [[파일:external/ds2a.jp/devil_13_satan.png]] * 타천사 [[사탄(여신전생 시리즈)|사탄]] - CV : [[토쿠모토 에이이치로]][* 북미판에서는 맹수의 울음소리로 대신했다.] 13화에서 야마토가 네비로스와 자오곤겐을 합체시켜 소환한 최고위 악마.[* 원작에서는 네비로스가 아닌 [[벨리알]]을 합체시켜야 소환된다. 브레이크 레코드에서는 합체식이 네비로스와 자오곤겐 바뀌었다. 브레이크 레코드에서는 벨리알과 네비로스를 합체시키면 앨리스가 나온다.] * 귀신 [[증장천(여신전생 시리즈)|증장천]] 13화에서 죽은 동료들의 악마를 전송받은 히비키가 베르세르크와 루그를 합체시켜 소환한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13_murasakikagami.png]] * 유귀 [[보라색 거울]] 13화에서 죽은 동료들의 악마를 전송받은 히비키가 로렐라이와 사악 프로스트를 합체시켜 소환한 악마. * 악신 [[아리오크]] 13화에서 죽은 동료들의 악마를 전송받은 히비키가 증장천과 보라색 거울을 합체시켜 소환한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13_metatron.png]] * 천사 [[메타트론(여신전생 시리즈)|메타트론]] 13화에서 죽은 동료들의 악마를 전송받은 히비키가 주작과 팔라스 아테나를 합체시켜 소환한 고위 악마. [[파일:external/ds2a.jp/devil_13_loki.png]] * 마왕 [[로키(여신전생 시리즈)|로키]] 13화에서 죽은 동료들의 악마를 전송받은 히비키가 아리오크와 백호를 합체시켜 소환한 고위 악마.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Devil_lucifer.png]] * 마왕 [[루시퍼(여신전생 시리즈)|루시퍼]] 13화에서 죽은 동료들의 악마를 전송받은 히비키가 로키와 메타트론을 합체시켜 소환한 최고위 악마. == 설정 == * [[셉텐트리온(데빌 서바이버 2)|셉텐트리온]] * 집스(Japan Meteorological Agency, Prescribed Geomagnetism research Department, 줄여서 JMAPGD, 더 줄여서 JP's) 셉텐트리온에 대항하는 조직. 기상청 지정지 자기 조사부. 대재해를 기점으로 갑작스럽게 나타나 활동하고 있다. 이번 재해에 대해 뭔가 알고 있는 듯하나, 피해자의 구조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단독의 교통기관, 수단을 지니고 있으며 집스의 국원과 악마 사역자들은 그걸 이용하여 일본 전토를 지키는 싸움이 가능하다. * 악마소환 어플리케이션 악마와 계약한 인간의 휴대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악마를 소환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악마와 관련된 수많은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니다. * 악마 사역자 악마와의 계약에 성공하여, 악마를 소환할 수 있는 자들의 총칭. 그들은 휴대전화의 '악마소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동료악마와 함께 싸운다. 다만 악마소환 어플은 아무나 사용할 수 있는 게 아닌 듯하다. * 니카이아 죽는 얼굴 사이트라 불리고 있는 도시 전설과도 같은 휴대폰으로 들어갈 수 있는 사이트. 등록하면 아는 사람이 죽을 때의 광경 = 죽는 얼굴 동영상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친구에 한정한다.''' 이 개념이 의외로 중요.] 티코라 하는 정체불명의 캐릭터가 마스코트 겸 내비게이터를 맡고 있다. 이 사이트에서 얻은 동영상에는 역으로 그 사람을 살릴 수 있는 힌트가 되기도 한다. 이 힌트를 살려서 다른 악마 사역자를 살려 함께 살아 남을 것인가, 아니면 무시할 것인가 그대의 선택에 달렸다. * [[트리앙글룸]] 브레이크 레코드의 신 시나리오에 등장하는, 새로이 인류를 습격하기 시작한 새로운 침략자. * 스카이 타워 JP's가 트리앙글룸에 대항하기 위해 설치한 영적 결계로, 인류의 방패라 불린다. == 시스템 == === 전투 시스템 === 기본적으로 전작과 비슷하다. 1유닛이 악마사역자 1, 중마 2의 구성이라는 것도 동일. 전작처럼 하면 문제없으나, 난무계의 마법 스킬이 3타 이상 터지기 힘들어진 대하향을 당했으며, 물리 계통의 스킬에 속도를 중심으로 하는 연타계가 추가되고 각종 관통이 추가. 평타를 2번하는 쌍수, 평타를 만능속성으로 바꾸는 지고의 마총등이 추가되어 물리 계통도 살만해졌다. 적아군 할 거 없이 이동력과 행동력이 동일하게 고정되어[* 사실 예외도 많다. 예를 들어 짐을 들고 튀는 적은 이동력과 행동력이 낮고, 반대로 보이지는 않지만 실질적으로 행동력이 높아 턴이 빨리 돌아오는 유닛도 있다.] 운용이 편해졌다. 동료들의 스텟도 아마네를 빼면 중구난방하게 분산되어 오르던 스텟이 특화된 2가지 스텟에 집중되도록[* 극단적인 예가 후미와 쥰고. 후미는 마/속 특화지만 마력을 만땅 찍어야 속도도 오르기 시작하고 쥰고는 힘/체 특화지만 힘 만땅을 먼저 찍고 체력이 오른다.] 오르고 힘 특화면 마력이나 속도를 버리다시피 올라 동료들의 특성도 뚜렷해졌다. 그러나 전투 스타일 별 밸런스 차이는 극심하게 갈리며, 특화 스탯에 집중적으로 분배되는 성장 트리 특성 상 하위 티어 전투원들은 더욱 약점이 극명하다. 동료악마로 커버하면 못 다룰 파티원이야 없지만 이것은 전력이 잘 갖춰진 2회차 이후의 얘기. 하술된 스타일에서 위쪽에 서술된 것일수록 상위 티어, 아래쪽에 서술된 것일수록 하위 티어다. * 힘속형 : 다이치 / 히나코 / 케이타 [[천열찌르기]] / [[지고의 마총]]을 메인으로 사용하는 잡몹처리 특화 유닛. 물리 / 마법 방어력 모두가 낮지만, 맞기 전에 죽이는 특성 상 큰 문제가 없다. 선제발동스킬을 포함해도 2개밖에 없는 [[관통(여신전생 시리즈)|관통]] 때문에 주전 다툼을 하기 십상인 멤버들. * 마속형 : 죠 / 후미 / 아이리 / 사다크 [[흡마]] / [[만마의 난무]]로 잡몹처리도 보스도 순조롭게 해낼 수 있는 유닛. 낮은 물리 방어력은 내성 스킬로 커버할 수 있지만, 만능 물리 계열 스킬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2편은 1편보다 마법 위력이 하향되어 힘속형의 딜찍누에 다소 가려진 면도 있지만, 여전히 실전 성능이 높은 상위권 전투원들이다. * 마체형 : 오토메 / 사다크 속도는 낮지만 물리 / 마법 방어력이 모두 우수하여, 몸빵이나 보스전 대용으로 사용하기 좋은 멤버들. 먼저 상태이상에 저격당하기 쉽다는 약점이 있지만, 반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생존력이 가장 뛰어나기 때문에 때에 따라서는 가장 높은 안정성을 보여준다. * 힘체형 : 준고 / 로나우도 [[데스바운드]]를 기용해 마속형처럼 잡몹 처리 및 보스전에 사용할 수 있으나, 마법 방어력과 속도가 낮다는 것이 큰 약점으로 작용한다. 상태이상 문제는 물론, HP를 코스트로 이용하는 물리 스킬 특성 상 맞고 나니 스킬 발동이 취소되거나 현재 HP 기반 공격의 위력이 줄어드는 경우도 염두에 둬야 한다. * 힘마형 : 이오 / 마코토 / 야마토 / 미야코 힘과 마력이 모두 상위권까지 올라가지만, 속도도 맷집도 부족해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최하위 티어. 쌍두보다는 물리와 마법 둘 중 하나에 특화하는 특성 상 장점이 잘 살아나지 않는다. 안정적으로 굴린다면 사룡+악신 조합으로 원거리에서 패는 것이 가장 선호받는다. 웃프게도 힘마형에 주요 인기 캐릭터들이 포진되어있다보니, 해당 캐릭터를 좋아하는 플레이어는 애정으로나마 주전에 넣는 경우도 잦다. 스킬 장착에 2가지 스텟을 일정 수준 올릴 것을 요구하던 전작에 비해 요구 스텟이 한 가지로 줄어 스킬 끼우기도 편해졌다. 전체적으로 편의성이 향상. 1편은 보스가 변신하는 일이 매우 드물어 그냥 맵 상에서 확인한 대로 스킬을 짜 주면 쉽게 진행이 가능하나, 2편은 변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난데없이 상성이 완전히 바뀌는지라 상정한 택틱이 완전히 무효화되고, 아예 리셋을 해야 할 수도 있다. === [[프레스 턴|엑스트라 턴]] === 건재하다. 엑스트라 턴중에 약점을 찌르면 또다시 엑스트라 턴이 발생하는 더블 엑스트라 턴도 존재한다. 더블 엑스트라의 경우 파괴신 종족의 중마가 파티에 있어야 조건이 성립된다. 이 특정 스킬을 지닌 대표적인 중마는 시바 === [[종족특유스킬]] === 각 악마들이 종족에 따라 지니고 있는 스킬.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조. === 데빌 옥션 === 건재하다. 앙그라(언더그라운드)까지 랭크가 올라가고 경쟁자에 어디서 많이 본 듯한 명칭이 보이는 것까지 동일. 랜덤으로 실시간 경매를 통해, 보다 좋은 능력치나 보통은 있을 수 없는 스킬을 장비하거나, 아주 싼 가격으로 판매되는 중마를 구할 수 있는 스페셜 옥션이 열린다. 실시간 경매라고는 하나 리얼 타임은 아니니 천천히 둘러보고 구입하면 된다. 하나를 낙찰 받으면 다른 악마는 팔려있는 방식. 대신 세이브 노가다가 안 되므로 주의. === 인연(에니시) 시스템 === 주인공의 선택에 따라 동료들과의 인연이 깊어지고 신뢰받을 수 있게 된다. '''이어진 "인연"은 힘이 되고, 이야기의 결말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 에니시의 레벨을 스테이지라고 부르며 스테이지에 따라 이하의 능력이 해방된다. 에니시를 올리는 방법은 캐릭터들과 많은 이벤트를 가지는 것. 어떤 이벤트를 놓쳤다고 못 올리는건 아니다. 다만 날짜마다 어느정도의 상한치 같은게 있어서 한명만 집중적으로 한다고 폭발적으로 올릴 수는 없기에 넒고 깊게 사귀는게 이롭다. * 스테이지 0 - 아무것도 없다. 서로 알게 된지 얼마 안된 상태 * 스테이지 1 - 어느정도 인연이 깊어진 상태. 상대의 일부 속성에 내성이 붙는다. * 스테이지 2 - 어느정도 믿게 된 상태. 주인공과 스킬 크랙을 공유하게 된다. 즉 주인공이 크랙으로 지정한 스킬을 지닌 적을 스테이지가 2 이상인 동료가 쓰러트려도 얻을 수 있으며, 반대로 스테이지가 2 이상인 동료가 지정한 스킬을 지닌 적을 주인공이 쓰러트려도 얻을 수 있다. 역시 가장 유용한 활용법은 신스킬을 2개 3개씩 달고 나오는 적을 주인공으로 때려잡아서 한방에 다 얻는 것. * 스테이지 3 - 서로 믿을 수 있게 된 상태. 특정 악마 합체가 해금된다. * 스테이지 4 - 서로에게 마음을 터놓고 지내게 된 상태. 전투맵에서 '''주인공과 스테이지 4에 도달한 인물간의 악마전송이 가능해진다.''' * 스테이지 5 - 서로의 인연을 믿고 신뢰하게 된 상태. 보다 높은 단계의 악마 합체가 해금된다. === 멀티 스토리 / 멀티 엔딩 === 두말하면 잔소리인 본작의 시스템. 주인공의 선택에 따라 스토리의 전개가 달라지며, 엔딩까지도 변화한다. 전작보다는 엔딩수가 줄었다. 엔딩수에 따라서 스타트 로드 화면에 있는 타워와 배경이 반투명에서 색을 지니게 되는 쪽으로 변하게 되는 것으로 어느 엔딩을 봤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 클리어 특전 === 클리어 데이터를 이어 할 경우, 서바이버즈 어워드를 통해 플레이어가 이전에 했던 액션에 따라 포인트가 부여되며, 그 포인트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작처럼 모든 악마/스킬/맛카/레벨을 이으면서 레벨제한 해제등의 모든 요소를 선택할려고 하면 꽤 많은 포인트가 필요하다. --군말없이 1400--~~브레이크 레코드에서는 1720이다~~[* 액션에 좀 신경쓰면 셉텐트리온과 트리앙글룸을 각각 2번씩 클리어하는 정도로 충분히 가능하다. 단, 전서 액션에는 돈이 많이 들고 합체해금을 위해 2회차 보스를 상대하는 데는 렙업 노가다가 필요해 '''프리플레이 0''' 액션은 미루어 두는 게 좋다.] 이하는 옵션 선택에 그에 필요한 포인트, 조건 만족시 입수되는 포인트 목록. 더불어 옵션은 선택하면 항구고정이다. 달성된 액션도 초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당연하지만 습득 포인트도 마찬가지다.] 매번 포인트를 벌려고 전 플레이에서 달성한 액션을 다시 당성하려 노력할 필요는 없다. 이미 달성한 액션을 다음 회차에서 달성해봐야 포인트 안준다. 당연한 말이지만 데빌 서바이버 2와 데빌 서바이버 2 브레이크 레코드는 포인트 요구량과 획득 포인트가 다르며, 이는 새로운 클리어 항목이나 선택 가능 특전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필요 및 습득 포인트는 데빌 서바이버 2 포인트/'''브레이크레코드 버전 포인트'''로 표시한다. 새로 생긴 항목의 경우 '''굵은 글씨'''로 표기한다. ==== 선택 옵션 목록 ==== * 동료 악마 1마리와 재계약 20P/'''50P''' * 동료 악마 4마리와 재계약 80P/'''150P''' - 선행 : 중마 1체와 재계약 * 동료 악마 8마리와 재계약 200P/'''250P''' - 선행 : 중마 4체와 재계약 * 동료 악마 모두와 재계약 400P/'''500P''' - 선행 : 중마 8체와 재계약 * 스킬 계승 10P/'''30P''' * 마카 계승 110P/'''160''' * 출품 목록 계승 40P/'''40P''' * 경험치 제한 해제 60P/'''30P''' * 악마전서 10% 할인 40P/'''40P''' * 악마전서 30% 할인 120P/'''120P''' - 선행 : 악마전서 1할 할인 * 악마전서 반값 200P/'''200P''' - 선행 : 악마전서 3할 할인 * 합체LV 제한 해제 60P/'''60P''' * 화요일의 새로운 적 30P/'''30P''' * 혼령의 합체 해제 30P/'''30P''' * '''티코의 도전''' '''30P''' ==== 액션 ==== * 첫 엔딩 70P/'''50P''' (1회차 엔딩을 볼것) * 닛타 이오와의 인연 10P/'''10P''' (닛타 이오.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시지마 타이치와의 인연 10P/'''10P''' (시지마 타이치.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호츠인 야마토와의 인연 10P/'''10P''' (호츠인 야마토.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사코 마코토와의 인연 10P/'''10P''' (사코 마코토.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야나기야 오토메와의 인연 10P/'''10P''' (야나기야 오토메.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칸노 후미와의 인연 10P/'''10P''' (칸노 후미.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반 아이리와의 인연 10P/'''10P''' (반 아이리.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토리이 쥰고와의 인연 10P/'''10P''' (토리이 쥰고.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와쿠이 케이타와의 인연 10P/'''10P''' (와쿠이 케이타.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쿠죠 히나코와의 인연 10P/'''10P''' (쿠죠 히나코.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쿠리키 로나우도와의 인연 10P/'''10P''' (쿠리키 로나우도.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아키에 유즈루와의 인연 10P/'''10P''' (아키에 유즈루.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알 사다크와의 인연 10P/'''10P''' (알 사다크. 인연 스테이지5 달성) * 스킬 컴플리트 150P/'''250P''' (크랙 가능한 스킬 전부 크랙)[* S[[황천의 기도]]는 8일째 프리 배틀에서만 나오고, S[[관통]]은 알 사다크 루트에만 등장.] * 악마전서 세미 컴플리트 200P/'''200P''' (조건이 필요없는 악마 합체 컴플리트) * 악마전서 컴플리트 400P/'''400P''' (악마 전서 100%) * 관리자에게서 해방 60P/'''30P''' (다이치 루트 엔딩) * 실력주의의 실현 60P/'''30P''' (야마토 루트 엔딩) * 평화주의의 실현 60P/'''30P''' (로나우도 루트 엔딩) * 신세계의 창조 60P/'''30P''' (알 사다크 루트 엔딩) * 세계의 복원 60P/'''30P''' (다이치 루트 엔딩 B) * 대단원 200P/'''300P''' (염려하는 자를 제외한 전원과 동료가 되어, 다이치 루트에서 다른 길을 찾는다.) * 프리배틀 0 200P/'''120P''' (프리 배틀 없이[* 숨겨진 보스 공략은 프리배틀에 카운트 되지 않는다.] 클리어) * 격파자 0 200P/'''200P''' (모든 배틀을 통틀어 단 한 명도 죽는 일[* 사역자(리더)만 안 죽으면 된다. 동료마의 [[목숨은 내다버리는 것]].] 없이 클리어) * 시간의 노인 - 시간을 조종하는 노인을 격파 30P/'''30P''' * 네비로스 - 고귀한 사령사를 격파 60P/'''60P''' * 릴리스 - 원초의 아내를 격파 90P/'''90P''' * 벨리알 - 옥염의 반역자를 격파 120P/'''120P''' * 벨제부브 - 파리의 왕을 격파 150P/'''150P''' * 앨리스 - 죽어 있는 영애 격파 200P/'''200P''' * '''더블 클리어 - 셉텐트리온과 트리앙글룸 모두 클리어 90P''' * '''호츠인 미야코와의 인연 10P(호츠인 미야코. 에니시 스테이지 5 달성) * '''지켜보는 자 30P(지켜보는 자 엔딩)''' * '''싸워얻는 미래 30P(싸워얻는 미래 엔딩)''' * '''브레이크 레코드 30P(브레이크 레코드 엔딩)''' * '''티코를 격파 - 티코를 격파 300P(서바이버 어워드에서 티코의 도전을 설정, 4일에 전뇌 사람의 도전장 클리어)'''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2>
{{{#373a3c,#dddddd '''{{{+1 데빌 서바이버 2 디 애니메이션}}}''' (2013)[br]DEVIL SURVIVOR 2 the ANIM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데비서바2애니.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원작}}}''' ||[[ATLUS]] || || '''{{{#373a3c,#dddddd 캐릭터 원안}}}''' ||[[야스다 스즈히토]] || || '''{{{#373a3c,#dddddd 악마 디자인 원안}}}''' ||[[카네코 카즈마]] || || '''{{{#373a3c,#dddddd [[셉텐트리온(데빌 서바이버 2)|셉텐트리온]] 디자인 원안}}}''' ||[[키토 모히로]] || || '''{{{#373a3c,#dddddd 감독}}}''' ||[[키시 세이지]] || || '''{{{#373a3c,#dddddd 조감독}}}''' ||히라이 요시미치(平井義通)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우에즈 마코토]]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사지마 에츠시(佐嶋悦史)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디자이너}}}''' ||[[이토 에리코]] || || '''{{{#373a3c,#dddddd 악마 디자인}}}''' ||[[칸베 히로유키]] || || '''{{{#373a3c,#dddddd 프롭 디자인}}}''' ||나카야마 하츠에(中山初絵) || || '''{{{#373a3c,#dddddd 이펙트 디자인}}}''' ||마츠모토 타케히코(松本剛彦) || || '''{{{#373a3c,#dddddd 악마 총 작화감독}}}''' ||[[칸베 히로유키|한현중]](韓賢重)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시모야마 카즈토(下山和人)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후나다 케이이치(舟田圭一)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사토 카츠후미(佐藤勝史) || || '''{{{#373a3c,#dddddd CGI 디렉터}}}''' ||코시다 유지(越田祐史) || || '''{{{#373a3c,#dddddd 편집}}}''' ||타카하시 아유무(高橋 歩)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이이다 사토키(飯田里樹) || || '''{{{#373a3c,#dddddd 음악}}}''' ||[[나카가와 코타로]] || || '''{{{#373a3c,#dddddd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키쿠치 사다카즈(菊池貞和)[br]마루야마 히로오(丸山博雄) || || '''{{{#373a3c,#dddddd 프로듀서}}}''' ||이시하라 료이치(石原良一)[br]후쿠다 준(福田 順)[br]카와무라 히토시(川村 仁)[br]마치다 스스무(町田 晋)[br]타나카 후미히로(田中文啓)[br]우에타케 나츠키(植竹なつき)[br]신주쿠 고로(新宿五郎)[br]스다 야스오(須田泰雄)[br]마에다 토시히로(前田俊博)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스다 야스오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브리지(애니메이션 제작사)|브리지]] || || '''{{{#373a3c,#dddddd 제작}}}''' ||데빌 서바이버 2 애니메이션 [[제작위원회]][br][[마이니치 방송]]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3년 4월|2013. 04. 05.]] ~ 2013. 06. 28.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마이니치 방송]] / (금) 02:05[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박스]] / (금) 02:00(3회 연속방송)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3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ds2a.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S2_A, 크기=25)] || }}}}}}}}}}}} || [[TV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DEVIL SURVIVOR 2 the ANIMATION이라는 제목으로 2013년 4월부터 방영 개시. 제작사는 [[브리지(애니메이션 제작사)|브리지]]. 감독은 페르소나를 비롯해 게임 원작 애니나 코미디 애니메이션을 많이 만들었던 [[키시 세이지]]. 주인공 이름은 쿠제 히비키. 국내에서는 [[애니박스]]에서 방영하나 아쉽게도 자막판이다. 더빙판은 방영되지 않았다. ==== 주제가 ==== ===== [[Take Your Way|OP]] ===== ||<-2>
'''{{{#373a3c,#dddddd OP[br][[Take Your Wa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7QyEc8at3k,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livetune]] adding [[Fukase]] (from [[SEKAI NO OWARI]]) || || '''작사''' ||<|3> [[livetune|kz]]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키시 세이지]] || || '''연출''' || || '''작화감독''' || 사쿠라이 마사아키(桜井正明) || }}}}}}}}} || ===== ED ===== ||<-2>
'''{{{#373a3c,#dddddd ED[br]B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Song Riders || || '''작사''' || KG-K9shot[br]타케오(武雄) || || '''작곡''' || WolfJunk[br]KG-K9shot[br]타케오(武雄) || || '''편곡''' || 安達練[br]WolfJunk[br]Song Riders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키시 세이지]] || || '''연출''' || || '''작화감독''' || 나카야마 하츠에(中山初絵)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10화 ED ===== ||<-2>
'''{{{#373a3c,#dddddd 10화 ED[br]Each and Al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livetune]] adding Rin Oikawa (from Q;indivi) || || '''작사''' ||<|3> [[livetune|kz]]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우에즈 마코토]] ||
'''회차''' || '''제목'''[*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2 EPISODE 1}}} || {{{-2 1ST DAY 憂鬱の日曜日[br]1ST DAY 우울한 일요일}}} ||<-2> {{{-2 히라이 요시미치[br](平井義通)}}} || {{{-2 사지마 에츠시[br](佐嶋悦史)[br]이토지마 마사히코[br](糸島雅彦)[br][[이나요시 토모시게]][br][[오오츠카 켄]][br]사쿠라이 마사아키[br](桜井正明)[br]아이사카 나오키[br](相坂ナオキ)[br]나카야마 하츠에[br](中山初絵)[br][[칸베 히로유키|한현중]][br](韓賢重)}}} ||<|2> {{{-2 사지마 에츠시}}} || {{{-2 日: 2013.04.05.[br]韓: 2018.07.06.}}} || || {{{-2 EPISODE 2}}} || {{{-2 2ND DAY 激動の月曜日Ⅰ[br]2ND DAY 격동의 월요일 Ⅰ}}} || {{{-2 [[후루타 조지]]}}} || {{{-2 시미즈 카즈노부[br](清水一伸)}}} || {{{-2 사지마 에츠시[br]한현중[br]모리모토 유우키[br](森本由布希)[br]코조 요코[br](高乗陽子)[br]야마구치 미츠노리[br](山口光紀)[br]와타나베 켄이치[br](渡邊健一)[br]카와이 모모코[br](河合桃子)[br]이토지마 마사히코[br]오카야마 시나코[br](岡山思菜子)}}} || {{{-2 日: 2013.04.12.[br]韓: 2018.07.06.}}} || || {{{-2 EPISODE 3}}} || {{{-2 2ND DAY 激動の月曜日Ⅱ[br]2ND DAY 격동의 월요일 Ⅱ}}} ||<-2> {{{-2 마사키 신이치[br](政木伸一)}}} || {{{-2 이나요시 아사코[br](稲吉朝子)[br]스미모토 에츠코[br](住本悦子)}}} || {{{-2 모리모토 유우키}}} || {{{-2 日: 2013.04.19.[br]韓: 2018.07.06.}}} || || {{{-2 EPISODE 4}}} || {{{-2 2ND DAY 激動の月曜日Ⅲ[br]2ND DAY 격동의 월요일 Ⅲ}}} || {{{-2 카키모토 코다이[br](柿本広大)}}} || {{{-2 [[카마나카 노부하루]]}}} || {{{-2 梶本鐘男[br][[후카가와 카스미]][br]츠바타 요시아키[br](津幡佳明)[br]모리모토 유우키[br]타카기 하루미[br](高木晴美)[br]와타나베 켄이치}}} ||<|2> - || {{{-2 日: 2013.04.26.[br]韓: 2018.07.13.}}} || || {{{-2 EPISODE 5}}} || {{{-2 3RD DAY 不穏の火曜日Ⅰ[br]3RD DAY 불온한 화요일 Ⅰ}}} ||<-2> {{{-2 [[하시모토 히로유키]]}}} || {{{-2 [[이시하라 요시하루]][br]코조 요코[br][[이토 에리코]][br]와타나베 켄이치[br]후카가와 카스미[br]사지마 에츠시[br]사쿠라이 마사아키[br]사토 타카[br](佐藤 陵)}}} || {{{-2 日: 2013.05.03.[br]韓: 2018.07.13.}}} || || {{{-2 EPISODE 6}}} || {{{-2 3RD DAY 不穏の火曜日Ⅱ[br]3RD DAY 불온한 화요일 Ⅱ}}} || {{{-2 [[쿄고쿠 타카히코]]}}} || {{{-2 나카가와 사토시[br](中川 聡)}}} || {{{-2 [[아오노 아츠시]][br]안도 요시노부[br](安藤義信)[br]후루카와 히데카즈[br](古川秀一)[br]한현중[br]모리모토 유우키[br]와타나베 켄이치}}} || {{{-2 사토 타카}}} || {{{-2 日: 2013.05.10.[br]韓: 2018.07.13.}}} || || {{{-2 EPISODE 7}}} || {{{-2 4TH DAY 変容の水曜日Ⅰ[br]4TH DAY 변용의 수요일 Ⅰ}}} ||<-2> {{{-2 후루타 조지}}} || {{{-2 나카야마 하츠에[br]이토 에리코[br]모리모토 유우키[br]사쿠라이 마사아키[br]한현중}}} || - || {{{-2 日: 2013.05.17.[br]韓: 2018.07.20.}}} || || {{{-2 EPISODE 8}}} || {{{-2 4TH DAY 変容の水曜日Ⅱ[br]4TH DAY 변용의 수요일 Ⅱ}}} ||<-2> {{{-2 코바야시 타카시[br](小林孝志)}}} || {{{-2 카와이 모모코[br]야마구치 미츠노리[br]후카가와 카스미[br]지츠하라 노보루[br](実原 登)[br]한현중}}} || {{{-2 사토 타카}}} || {{{-2 日: 2013.05.24.[br]韓: 2018.07.20.}}} || || {{{-2 EPISODE 9}}} || {{{-2 5TH DAY 驚愕の木曜日[br]5TH DAY 경악의 목요일}}} ||<-2> {{{-2 마사키 신이치}}} || {{{-2 우시지마 유지[br](牛島勇二)}}} || {{{-2 사쿠라이 마사아키}}} || {{{-2 日: 2013.05.31.[br]韓: 2018.07.20.}}} || || {{{-2 EPISODE 10}}} || {{{-2 6TH DAY 決別の金曜日[br]6TH DAY 결별의 금요일}}} || {{{-2 神代冬弥[br]마츠조노 히로시[br](松園 公)}}} || {{{-2 에조에 히토미[br](江副仁美)}}} || {{{-2 코카이 유지[br](こかいゆうじ)[br]마츠모토 카츠지[br](松本勝次)[br]사사키 카즈히로[br](佐々木一浩)[br]와타나베 켄이치[br]이시카와 에리[br](石川恵理)[br]후카가와 카스미[br]카와이 모모코[br]타카기 하루미[br]반 유키코[br](番 由紀子)}}} || {{{-2 사토 타카}}} || {{{-2 日: 2013.06.07.[br]韓: 2018.07.27.}}} || || {{{-2 EPISODE 11}}} || {{{-2 7TH DAY それぞれの土曜日[br]7TH DAY 각각의 토요일}}} || {{{-2 히라이 요시미치[br]코바야시 타카시}}} || {{{-2 코바야시 타카시}}} || {{{-2 코조 요코[br]후카가와 카스미[br]사토 타카[br]SNIPES[br]야마구치 미츠노리[br]와타나베 켄이치[br]히로세 토모히토[br](廣瀬智仁)[br]카마타 유스케[br](鎌田祐輔)[br][[카키타 히데키]][br][*이펙트]}}} || {{{-2 사쿠라이 마사아키}}} || {{{-2 日: 2013.06.14.[br]韓: 2018.07.27.}}} || || {{{-2 EPISODE 12}}} || {{{-2 LAST DAY 結実の日曜日Ⅰ[br]LAST DAY 결실의 일요일 Ⅰ}}} ||<-2> {{{-2 하시모토 히로유키}}} || {{{-2 고토 타카히로[br](後藤孝宏)[br]키타오카 시노부[br](北丘しのぶ)[br]츠키야마 쇼타[br](築山翔太)[br]사쿠라이 마사아키[br]이토 에리코[br]반 유키코[br]와타나베 켄이치[br]후카가와 카스미[br]안도 요시노부[br]梶本鐘男[br]이시카와 에리[br]우스다 요시오[br](臼田美夫)}}} || - || {{{-2 日: 2013.06.21.[br]韓: 2018.07.27.}}} || || {{{-2 EPISODE 13}}} || {{{-2 LAST DAY 結実の日曜日Ⅱ[br]LAST DAY 결실의 일요일 Ⅱ}}} || {{{-2 후루타 조지}}} || {{{-2 히라이 요시미치}}} || {{{-2 이토 에리코[br]카와이 모모코[br]타카기 하루미[br]후쿠시마 이사무[br](福島 勇)[br]모리모토 유우키[br]와타나베 켄이치}}} || {{{-2 사쿠라이 마사아키}}} || {{{-2 日: 2013.06.28.[br]韓: 2018.08.03.}}} || ==== 평가 ==== 1편 대신 2편을 애니화하는 이유에 대해 팬들이 의문을 가졌지만 사실 대중적인 취향이라는 점을 고려해보면 딱히 납득이 안 가는 것도 아닌 문제. 왕위쟁탈전을 통해 종교적이나 여러가지 부분에서 너무 깊게(정확히는 매니아 취향으로) 들어가는 1에 비해, 점점 더 거대한 규모로 쳐들어오는 적에 맞서 싸우며 세계를 구한다는 2의 스토리가 좀 더 시청자들에게 무난하고 익숙하게 다가오는 전개이며, 깔끔하게 요약되므로 하나의 이야기로 마무리지어지는 애니화에도 더 어울린다. 또한 캐릭터의 숫자도 좀 더 많고 속성별로 더 세분화 되어 있어서 다양한 시청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고, 더해서 방영 당시 2는 아직 확장판이 나오지 않았다. 이후의 상품가치도 더 크다는 이야기. 그런 점에서 볼 때 상업적으로 좀 더 나은 선택을 했다고 보면 되겠다. P3(극장판)보다 P4가 먼저 애니화된 것과 비슷한 맥락. 1쿨 애니라서 그런지 너무 급하게 스토리를 진행시키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게다가 작화도 안정적이지 못해 많이 들쑥날쑥 하다. 특히 캐릭터들의 개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점이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히며, 이 때문에 여러모로 원작 팬들에게 빈축을 사고 있는 중이다. 딱히 원작 팬이 아니더라도 실망스럽다는 평이 지배적.[* 다만 예외도 없진 않다. 대표적인 캐릭터가 더 치밀해진 감정 묘사로 애니 최대 수혜자로 꼽히는 마코토.] === 만화 === * 데빌 서바이버 2 Show Your Free Will 작가는 사카키 나카코(沙垣長子) * DEVIL SURVIVOR2 the ANIMATION 애니메이션 판을 기반으로 4권으로 완결되었다 작가는 시오타 하루토(汐田 晴人) === 라디오 CD === 라디오 CD 데빌 서바이버 라디오 니카이아 티코(남자)가 매회마다 다른 게스트를 초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소설 === 고래자리의 프리퀄 - DEVIL SURVIVOR2 THE ANIMATION 공식 노벨라이즈 작가는 아라사와 카츠미(新沢 克海)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닌텐도 DS|{{{#ffffff NDS}}}]]}}}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shin-megami-tensei-devil-survivor-2, code=critic-reviews/?platform=ds, g=, score=79)]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shin-megami-tensei-devil-survivor-2, code=user-reviews/?platform=ds, r=, score=4.6)]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닌텐도 3DS|{{{#ffffff 3DS}}}]]}}}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shin-megami-tensei-devil-survivor-2-record-breaker, code=critic-reviews/?platform=3ds, g=, score=8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shin-megami-tensei-devil-survivor-2-record-breaker, code=user-reviews/?platform=3ds, y=, score=5.4)] || == 기타 == 공식 블로그에서 데빌 서바이버 2의 인기투표의 결과를 공개했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위''' - '''[[주인공(데빌 서바이버 2)|주인공]]''' * '''2위''' - '''[[토리이 준고]]''' * '''3위''' - '''[[호츠인 야마토]]''' * 4위 - [[닛타 이오]] * 5위 - [[사코 마코토]] * 6위 - [[반 아이리]] * 7위 - [[근심하는 자]] * 8위 - [[칸노 후미]] * 9위 - [[야나기야 오토메]] * 10위 - [[아키에 유즈루]] * 11위 - [[시지마 다이치]] * 12위 - 티코(여성) * 13위 - [[쿠죠 히나코]] * 14위 - 티코(남성) * 15위 - [[쿠리키 로나우도]] * 16위 - [[와쿠이 케이타]] 주인공을 제외한 동료들의 이름은 모두 황도 12궁에 해당되는 별자리와 연관이 있으며, 그 캐릭터의 생일도 해당되는 별자리와 일치하다. * '''문자를 그대로 차용시킨 경우''' * [[호츠인 야마토]] → 호츠인(ホウ'''ツイン''') → 츠인(ツイン) → 일본어로 [[쌍둥이]](Twin) → [[쌍둥이자리]] * [[시지마 다이치]] → 시지마('''シジ'''マ) → 시시(シシ) → 일본어로 [[사자]] → [[사자자리]] * [[야나기야 오토메]] → [[오토메]](乙女) → 일본어로 [[처녀]] → [[처녀자리]] * '''발음의 격차를 이용한 경우''' * [[칸노 후미]] → 칸노(カンノ) → 캔서(Cancer) → 게자리 * [[토리이 준고]] → 준고(ジュンゴ) → 그리스어로 천칭을 의미하는 Jygos(ジュゴス) → [[천칭자리]] * [[사코 마코토]] → 사코(サコ) → 스콜피오(Scorpio) → [[전갈자리]] * [[아키에 유즈루]] → 아쿠에리어스(Aquarius) → [[물병자리]] * '''신화에서 유래된 경우''' * [[쿠리키 로나우도]] → 쿠리키(栗木) → [[밤나무]] → [[양자리]] * [[닛타 이오]] → 이오 → 그리스 신화의 암소 여신 [[이오(그리스 신화)|이오]] → [[황소자리]] * [[토리이 준고]] → 토리이(トリイ) → 정의의 여신 아스'''트레이'''아(アス'''トレー'''ア) → [[천칭자리]] * [[와쿠이 케이타]] → 케이타(ケイタ) → 반인반마의 [[케이론]](ケイロン) → [[궁수자리]] * [[반 아이리]] → 반(バン) → 염소, 산양과 물고기가 합쳐진 목축의 신 [[판(그리스 신화)|판]](ファン) → [[염소자리]] * [[쿠죠 히나코]] → 히나코(ヒナコ) → 물고기가 된 미의 여신 [[비너스]](ビーナス) → [[물고기자리]] [[분류:데빌 서바이버 시리즈]][[분류:2011년 닌텐도 DS 게임]][[분류:2015년 닌텐도 3DS 게임]][[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3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게임 원작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