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막 왕조 황제)] ||<-5> '''{{{#d4cd99 막조 11대 황제[br]{{{+1 德宗 度王 | 덕종 도왕}}}}}}''' || || '''[[묘호|{{{#d4cd99 묘호}}}]]''' ||<(> '''[[덕종]](德宗)''' || || '''[[시호|{{{#d4cd99 시호}}}]]''' ||<(> 천지대보문무도대왕[br](天地大寶文武度大王) || || '''[[연호|{{{#d4cd99 연호}}}]]''' ||<(> 없음 || || '''[[성씨|{{{#d4cd99 성}}}]]''' ||<(> 막(Mạc / 莫) || || '''[[휘|{{{#d4cd99 휘}}}]]''' ||<(> 낀꽝(Kinh Quang / 敬光 / 경광) || || '''{{{#d4cd99 생몰 기간}}}''' ||<(> ? ~ 1683년 || || '''{{{#d4cd99 재위 기간}}}''' ||<(> 1681년 ~ 168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막낀꽝'''(Mac Kinh Quang / 莫敬光 / 막경광, ? ~ [[1683년]])은 [[대월]] [[막 왕조]]의 제11대 황제(재위: [[1681년]] ~ [[1683년]])로 명종 [[막낀부|막낀지에우]]의 아들이었다. 우군개(牛軍凱) 교수가 쓴 [[https://book.douban.com/subject/20505129/|책]]에서 막낀꽝의 묘호를 '덕종'(德宗)이라고 했다. 우군개 교수는 [[막 왕조]]는 후대에도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해 연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 생애 == [[1681년]], 막낀꽝의 형 [[막응우옌타인]]이 [[청나라]]에서 병사하자 막낀꽝이 쇠락한 막씨의 지도자가 되었고, 청나라는 막낀꽝을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에 봉했다. [[1682년]], 막낀꽝은 [[후 레 왕조]]군에게 패배했고, 무리를 이끌어 청나라로 달아났다. 성조 [[강희제]]는 광서 순무(廣西巡撫) 학욕(郝浴)에게 명하여 청나라 경내의 막씨들을 [[베트남]]으로 돌려보내도록 했다. 왜냐하면 막씨가 삼번의 난을 지원한 사실을 후 레 왕조측에서 청나라에 제보했기 때문이었다. [[1683년]], 막낀꽝은 사성토부(泗城土府)에서 병사했는데, 일설에는 음독자살이었다고 한다. 일부 막씨들은 두려움으로 주둔지를 떠나 달아나기도 했다. 같은 해 5월, 광서(廣西)에 있었던 막씨들 도합 350명이 중흥 후 레 왕조의 베트남으로 인도되었고, 후 레 왕조는 그들 대부분을 양산(諒山)에 거주하도록 하니 막씨 세력이 마침내 끊어졌다. == 둘러보기(계보) == ||<-999> [[막 왕조|막 왕조의 역대 군주]] || ||<:> 10대 [[막응우옌타인|계종]] 막경희 || {{{+1 ←}}} ||<#DCDCDC,#000> 11대 덕종 막경광 || {{{+1 →}}} ||<:> 작위 폐지 || [[분류:1683년 사망]][[분류:대월 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