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더빙)] [목차] == 개요 == * 대한민국에서 [[더빙]] 외주를 맡고 있는 제작사에 대해 정리한 문서.[* 원래는 [[애니맥스 코리아]]의 외주 작업을 맡은 곳을 정리한 문서였다.] * 더빙 작업을 전혀 하지 않고 [[자막]]만을 전담하는 외주사는 [[자막/외주사 일람]] 문서를 참고합니다. 만약 이 문서에 더빙 작업 경험이 하나도 없는 외주사에 관한 내용이 발견되었다면 [[자막/외주사 일람]] 문서로 내용을 옮깁니다. * 다수의 팬들에게 개념 더빙작으로 인정받는 경우는 '''강조 표시''', 평이 극도로 낮은 작품은 ※ 표시. == I&T Digital ==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에서 가장 많은 작품을 담당한 외주 제작사. 개국 초창기부터 2012년까지 6년 넘도록 애니맥스의 여러 방영작들을 책임진 일등 ~~병~~공신. 애니맥스 작품 중 보기 드물게 [[로컬라이징]]을 했던 [[천사의 꼬리]]나 [[치유계]] 애니인 [[코바토。]], [[ARIA|아리아]]와 [[AIR(게임)#s-3.1|AIR]] 같이 평균 이상급 더빙도 많이 뽑아줬는데, 그 중에서도 고퀄리티 작품을 꼽자면 원판보다 높은 완성도로 환호를 받은 [[갤럭시 엔젤]]과, 당시 애니맥스에서 [[지옥소녀]][* 1~2기 합쳐 성우 총 62명 출연.]와 함께 많은 성우가 동원된 '''[[택틱스(만화)|택틱스]]'''[* 총 52명 출연. 번안한 주제가도 본편 더빙 못지 않게 상당히 잘 뽑혀나와 [[애니맥스]]의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라는 평가까지 받았었다.]. 하지만 여러 가지로 말이 많았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천원돌파 그렌라간]][* 하루히 수준의 막장 퀄리티까지는 아니었으나, (원판을 먼저 본 사람들 뿐 아니라 원판을 보지 않은 국내 더빙팬들조차도) 한국 성우들의 '''[[기합]]소리가 매우 약했다'''는 평이 많았다. 그리고 [[서문석]]이 맡은 [[카미나]]가 문제가 제일 많았고, 다른 캐릭터들도 [[열혈]]이 부족했다는 평이 많아서 고퀄리티 더빙이라고 보기도 힘들다는 것이 중론. 이 때문에 팬들에게 '''불쌍한 더빙 또는 슬픈 더빙'''이라고 불리기도 했다.]을 담당한 제작사기도 하고, 마찬가지로 [[하야테처럼!/애니메이션|하야테처럼! 시리즈]], [[작안의 샤나/애니메이션|작안의 샤나 시리즈]] 등 평가가 좋지 않은 퀄리티가 많이 나와 더빙 퀄에 대한 신뢰도가 그리 높지가 않은 편이다. 타 외주사보다 매번 고정된 성우진으로만 캐스팅하는 경향이 심해서 '''"한국 성우는 나오는 성우만 나온다"'''는 안 좋은 인식을 심어주는 주범이기도 하는데, I&T 출연작에 많이 나오는 성우로는 '''[[엄상현]], [[최원형]], [[우정신]], [[문선희]], [[하미경]], [[방성준]]''', [[서문석]], [[김준(성우)|김준]], [[이주희(성우)|이주희]] 등이 있다. 이러한 인식이 쌓이고 쌓이다 기어코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Ⅱ]]가 성우, 번역, 녹음, 무성의한 크레딧, 발편집 등으로 [[방송사고]]급 퀄리티를 내버렸다. 그래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스핀오프작인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애니메이션 1기)|어떤 과학의 초전자포]]의 더빙 제작을 영상 네트워크가 담당하게 되는 등 외주사 자체가 바뀌어버리는 초유의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성우 팬들은 ''''그딴 식으로 했으니 당연한 일''''이라며 비웃는 중이다. 또한 캐릭터 해석을 정말 더럽게 못한다. [[은정(1976)|은정]]의 [[시라이 쿠로코]]와 [[박선영(성우)|박선영]]의 [[스즈미야 하루히]]가 그 예인데, 둘 다 특징이 없는 그냥 일반 소녀로 연기했다는 점이 공통점. 쿠로코는 주역급이 되는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애니메이션 1기)|어떤 과학의 초전자포]]에서 엄청난 변태 연기를 제대로 선보여 만회했지만, 하루히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애니맥스]]에서 몇 안 되게 주제가까지 자주 더빙하는 편이기는 하지만 [[세토의 신부/애니메이션|작중 삽입곡은 일본어 그대로 내보내 뒷통수를 치는 경우가 많으니 너무 좋아하지는 말자]]. 사실 이쪽도 12세/15세/19세 등급의 마니아용 애니로만 따지자면 주제가를 번안한 작품이 썩 많은 편도 아니다. PD는 꽤 여러명이 소속되어 있는데, 개념 더빙뿐만 아니라 다른 애맥 외주 제작사들과는 다르게 본인이 직접 개사까지 한 [[건퍼레이드 오케스트라]], [[은반의 수호천사]], [[택틱스]]의 임진이 PD, 주연 캐스팅은 개념인데 조연의 무개념 무한 [[중복 캐스팅]]의 [[하야테처럼!/애니메이션|하야테처럼! 시리즈]]과 [[소년 음양사]]로 욕을 먹었지만 그나마 [[코바토。]]란 개념 더빙작을 연출한 최지현 PD, [[마술사 오펜]], 어벤저, 안달루시아, 마법 고양이 타루토, [[천원돌파 그렌라간]] 연출을 맡은 차양현 PD, 그리고 갤럭시 엔젤 1기, 작안의 샤나 1기,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1기, [[NHK에 어서 오세요]], 쓰레기 퀄리티로 유명한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의 정혜진 PD, 갤럭시 엔젤 2~3기, 작안의 샤냐 2기의 백경선 PD, 마지막으로 무성의한 크레딧, 발번역, 시사따위 안 한 듯한 개쓰레기 연출로 제작비 먹자한 거 아니냐는 의혹이 마구 쏟아진 방송사고급 퀄리티가 나온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2기의 김소영 PD가 있다. 2012년에 [[작안의 샤나 Ⅲ-FINAL-]] 자막판[* 담당 PD는 [[하야테처럼!/애니메이션|하야테처럼! 시리즈]]을 연출한 최지현.]을 마지막으로 현재는 애니맥스에서 보이지 않는 걸 보아 아마 계약이 만료된 걸로 추정. 애니맥스의 외주 작업에 손을 땐 이후로는 [[골판지 전사 시리즈]]나 [[초속변형 자이로젯터]] 같은 타 방송사 방영작들의 연출을 간간히 담당하고 있는 듯. 그러나 골판지 전사는 경악할만한 [[중복 캐스팅]]과 엉망인 번역으로 그다지 만족할만한 퀄리티를 못 보여주고, 자이로젯터에서는 여전히 I&T 사단 캐스팅을 버젓이 저질러서[* 거짓말 안 하고 성우진이 하야테처럼!과 토씨 하나 안 틀리고 거의 똑같다.] 이로 인한 캐릭터와 성우 간에 미스 매치와 연기 부조화, 그 외에도 편집과 번역이 전부 시원찮아 첫 화 방영부터 [[성우 갤러리]]에서 혹평이 쏟아지게 만드는 등 시간이 지났는데도 나아진 게 눈꼽만치도 없어서 역시 I&T의 [[병신력]]은 어디 안 간다는 걸 똑똑히 보여줬다.(…) 딱 하나 긍정적인 요소를 꼽자면, [[명화극장]] 폐지 등 더빙 컨텐츠가 줄어서 일거리 따내기가 하늘의 별따기 수준인 [[KBS 성우극회]]의 신인급 성우들을 그나마 출연시켜준다는 점이다. [[투니버스]]와 [[대원방송]]은 [[전속 시리즈|자사 출신이나 전속 위주로 캐스팅하고 있어서]] 신인급 KBS 성우들의 출연을 꺼리는 경향이 강해 이 점만은 긍정적으로 평가할만 요소라 할 수 있겠다. 비록 [[미스캐스팅]]으로 인해 [[최정현(성우)|까이는 성우]]도 있긴 하지만, 반대로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의 [[미사카 동생]]을 맡은 [[이제인]]처럼 호평을 받은 성우도 있기 때문에 신인 발굴 측면에서는 확실히 칭찬해야 할 부분. ~~하지만 이거 하나로 캐리하기엔 너무나도 낮은 더빙 퀄리티...~~ 애니메이션 이외에도 [[1박 2일]]의 [[KBS 월드]]판을 제작하는 등 여러 분야에서 방송 제작 외주를 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연출 작품(애니맥스) === * [[갤럭시 엔젤]] 시리즈 * [[건퍼레이드 오케스트라]] * 겁쟁이 다람쥐 토토리 * [[금색의 코르다]] * 마법 냐옹이 타루토 * [[마술사 오펜]] 1, 2기 * 모래의 방향 * [[베이브 마이 러브]] * [[빙쵸탄]] * [[사일런트 뫼비우스]] * [[소년 음양사]] * [[솔티레이]] * [[슈발리에(만화)|슈발리에]] * 슈퍼 히어로 펫 삼총사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스트라토스4]] * [[스페셜 에이]]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애니메이션 1기)|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Ⅱ]] * [[AVENGER|어벤저]] * [[은반의 수호천사]] * 에어리어 88 * [[에일리언 9]] * [[엔젤 테일즈]] * [[작안의 샤나(애니메이션 1기)|작안의 샤나]], [[작안의 샤나 Ⅱ]] * [[쥬베이짱]] - 러브리 안대의 비밀 * [[진 샤프트]] * [[코바토。]] * [[천원돌파 그렌라간]] * [[택틱스(만화)|택틱스]] * [[파라다이스 키스]] * [[하야테처럼!(애니메이션 1기)|하야테처럼!]], [[하야테처럼!!]] * [[허니와 클로버]] 시리즈 * [[헬로 키티]]와 친구들 * [[AIR(TVA)|AIR]] (AIR in Summer 포함) * [[ARIA]] 시리즈 * ARIA: The ANIMTION * ARIA: The NATURAL * ARIA: The ARIETTA * ARIA: The ORIGINATION * ARIA: OVA * [[NHK에 어서 오세요]] * [[DARKER THAN BLACK -유성의 제미니-]] * [[DARKER THAN BLACK -흑의 계약자-]] OVA * 20면상의 아가씨 === 타 방송 방영작 === * [[골판지 전사 시리즈]] * 용맹전사 라이오거 * [[초속변형 자이로젯터]] * [[블러드 더 라스트 뱀파이어(극장 애니메이션)|BLOOD: The Last Vampire]] == Proworks == I&T 다음으로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에서 두 번째로 많은 작품을 담당해온 곳. 뿐만 아니라 [[지상파]]나 타 [[케이블 방송]]에서도 여러 작품을 더빙한 회사다.[* 대표적으로 [[SBS]]의 방영작 중 하나인 [[아기공룡 둘리|2009 아기공룡 둘리]]를 더빙했다.] 그러나 이쪽도 I&T와 마찬가지로 [[중복 캐스팅]]이 만만치 않게 일어나는게 단점. 일단 애니맥스 초창기 더빙작 중 하나였던 [[불꽃소년 레카]]. 애니맥스의 대표적인 중복 캐스팅 사례로 성우진을 보면 바로 납득이 갈 것이다.(…) [[http://cafe.daum.net/CastingBank/54Pt/38|#]] 한 예로 어떤 화의 모 성우는 '''주인공의 동료, 주인공의 동료와 싸우는 적, 적 쫄다구, 동료를 응원하는 동료'''를 모두 담당해 성우팬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또한 같은 중복 캐스팅의 폐해로 꼽히는 [[D.Gray-man]]과 [[블랙캣(만화)|블랙캣]]도 이 업체가 담당했는데, 특히 [[D.Gray-man]]의 경우 100화 넘는 장편 시리즈를 '''15명으로 돌려막기'''를 한 것도 모자라서 엔딩 크레딧에서도 '''중요 배역 이름 없이 성우 이름만 표기'''하는 바람에 팬들에게 콩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이 점은 타 방송국 방영작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니 그건 바로 [[포켓몬스터 DP|DP]] 2기부터 담당한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포켓몬스터]]'''이다. DP에서부터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1기까지)까지 쭉 조연/단역 성우들로 배역들을 돌려막기 했다(…).[* 그래도 전작의 주역들은 그대로 유지해줬다. [[포켓몬스터 DP]]에 찬조 출연한 [[봄이(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봄이]]의 [[서혜정]]을 그대로 캐스팅하거나, [[뮤츠의 역습]] 재더빙판에서 주역 성우진이 DP~[[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베스트위시]] 성우진으로 교체되는 와중에도 [[최이슬|이슬이]]는 그대로 [[지미애]]로 캐스팅한 것이 그 예. 또한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극장판|극장판]]에서는 몇몇 게스트 성우를 추가로 투입하기도 했다.] 다만 여기는 [[포켓몬(기업)#s-3.1|포켓몬코리아]]가 배급하다 보니 외주사인 프로웍스에게 주는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중복 더빙이 생겼다고 봐야 한다. 물론 이 문제는 다른 외주 더빙도 마찬가지지만.[* 포켓몬스터에서 중복 캐스팅은 [[SBS]]에서 처음 방영했을 때부터 있었던 현상이다. 캐스팅이 다채로워지기 시작한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XY]] 이전에 방영했던 작품 중 그나마 중복 캐스팅이 적었던 것이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포켓몬스터 AG|AG]] 3기.][* 2기부터는 영상 네트워크가 담당하지만 여기서도 1기부터 출연한 성우진들로만 중복 뺑뺑이 시전. 이는 같은 곳에서 맡은 7~8기 극장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그래도 극장판의 경우는 여기와 마찬가지로 몇몇 게스트 성우가 추가로 투입되기는 했지만... 게다가 여기는 [[웅(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웅이]], [[봄이(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봄이]], [[정인(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정인]] 등 주역까지도 모조리 교체했으며, 이때의 교체 여파는 다른 외주 PD로 교체된 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그 외에 [[달빠]]들과 국내 성우팬들 양쪽에서 대차게 깠던 [[Fate/stay night(애니메이션)|Fate/stay night]], [[김혜주]]의 '캐락부인'을 만든 [[암굴왕]]도 여기 작품. 덧붙여 많은 [[여덕|여성 오타쿠]]들에게 아무리 성우진이 화려해도 [[중복 캐스팅]]이 지나치게 심하거나 번역이 엉망이면 작품 자체가 산으로 간다는 걸 뼈저리게 느끼게 해준 [[오늘부터 마왕]] 1~2기와 [[채운국 이야기]]도 여기 작품이다. ~~그나마 오늘부터 마왕은 3기가 자체 제작이라서 산 거다.~~ 설상가상으로 CG나 화면편집 수준도 그다지 좋지 않아[* 대표적으로 대부분의 작품의 노래 가사 자막이 1~2초 정도 후에 바뀐다(...)] 어떤 팬은 어느 작품 예고편의 그래픽이 상당히 [[쌍팔년도]]식 같은걸 보고 확인해봤더니 프로웍스 작품이었다는 말을 했을 정도.(…) 물론 [[뱀부 블레이드]]와 [[러브 콤플렉스]], [[Kanon]]은 의외로 중박 이상을 쳐서 꽤 높은 완성도를 보여줬지만 '''나머지는 거기서 거기다.''' 어째선지 애니맥스가 동결에서 풀린 2011년 이후에는 자취를 감추었다. 아마 신작 수입의 감소로 외주를 이렇게 많이 안 써도 된다고 느낀 애니맥스가 계약을 파기한 듯하다. 한편, '''[[성우]]들의 출연료를 [[먹튀]]하고 다른 데다 쓴 전적이 있는 걸로 밝혀졌다.''' 출처는 성우 [[류승곤]]의 [[트위터]]. [[https://twitter.com/ryuscall/status/176603980913319937|#]] [[https://twitter.com/ryuscall/status/176604049410490368|#]] ~~잘 하는 짓이다~~ [[한국성우협회]] 연수회에서도 이 일이 거론되는 걸 보면 성협 측에서도 민원이 들어간 모양. [[http://blog.naver.com/raquim/20159747154|#]] ~~근데 성협 얘들이 하는 짓을 보면 과연 제대로 해결이나 해줬을런지…~~ === 더빙 연출 작품 (애니맥스) === * [[GUN X SWORD]] * [[공주님 조심하세요]] * 내일은 축구왕 * [[러브 콤플렉스]] * [[로미오X줄리엣]] * 마법소녀 아르스 * [[마법을 쓰고 싶어!|매직 유저스 클럽]] * 몬테 크리스토 ([[암굴왕]]) * 미래전사 오공 * [[바람의 성흔]] * [[불꽃소년 레카]] * [[블랙캣]] * [[비바 피냐타]] 1, 2기 * [[뱀부 블레이드]] * 수왕성 * 아유마유 극장 * [[오늘부터 마왕]] 1, 2기 * [[요괴인간 벰]] * 유리함대 * [[채운국 이야기]] 1, 2기 * [[체포하겠어]] 극장판 (재더빙) * [[Kanon(2006년 애니메이션)|카논 (2006)]] * 코드 료코 * 파워스톤 * [[판타스틱 칠드런]] * [[플레이볼]] 시리즈 * [[DNA2]] * [[REC(만화)|REC]] * [[D.Gray-man]] * [[Fate/stay night(애니메이션)|Fate/stay night]] === 더빙 연출 작품 (타사) === * [[아기공룡 둘리|NEW 아기공룡 둘리]]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포켓몬스터 DP]] 2~5기 *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 1기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극장판|포켓몬스터 극장판]][* 12기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는 당시 프리랜서였던 [[계인선]] PD가 맡았다.] * [[뮤츠의 역습]] (재더빙) * [[디아루가 VS 펄기아 VS 다크라이]] * [[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 * [[비크티니와 영웅 시리즈]] * [[파워퍼프걸Z]] == DOLCO Post Production == 다른 외주사들에 비하면 더빙이나 CG 퀄리티는 나은 편.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에서 [[헌터×헌터(2011년 애니메이션)|헌터×헌터 (2011)]]가 나오기 전 가장 많은 성우진이 동원되었던 [[지옥소녀]] 시리즈를 더빙한 외주사가 바로 여기다. 또한 [[애니원]] 개국 초창기에 줄창 편성해줬던 개념 더빙작으로도 유명한 [[스크라이드]]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여기도 꼭 좋다고만 할 수 없는 게 [[네기마!?]]에서는 한 성우당 평균 배역이 1인 3역, 주연인 [[정혜옥]]까지 중복으로 돌린 기행을 벌였으며, [[일빠]]들의 폭풍 까임을 받았던 [[진월담 월희]]와 중복의 향연으로 역시 대차게 까인 [[BLOOD+]] 등 일부 애니에선 역시 외주사다운 퀄리티를 자랑했다. 그래도 다들 평균급 이상이라 퀄리티 편차도 거의 없어 앞의 두 외주사에 비하면 양호한 편이다. 참고로 돌코가 맡은 작품들의 성우진은 유독 [[CJ ENM 성우극회|투니버스 출신 성우]]의 비중이 꽤 높다. 과장 좀 덧붙여서 말하자면 모르는 사람한테 이 작품이 [[투니버스]] 더빙작이라고 해도 믿을 정도. 특히 [[에어기어]]는 [[유호한]]을 제외하고 [[정명준]], [[이지영(성우)|이지영]], [[김기흥]], [[김선혜]], [[김효선(성우)|김효선]] 등 '''전부 투니버스 성우들'''로 캐스팅했다. 이 밖에 [[교향시편 유레카7]]도 투니버스 성우 참여 비율이 높은 편인데, 후반에 새로 캐스팅된 성우들은 모두 투니버스 성우라는 특징도 있다. 다만 투니버스와는 달리 이쪽은 주제가 번안/창작은 거의 하지 않는 편.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지상파]] 애니메이션 녹음 작업도 맡았는데, 주로 [[MBC]]에서 방영한 애니메이션을 많이 맡았다. 그밖에도 몇몇 [[한국 애니메이션|국산 애니메이션]]의 녹음 작업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애니메이션 외에도 다큐멘터리 등의 녹음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프로웍스랑 마찬가지로 동결이 풀린 후로는 외주 작업을 하고 있지 않다. 그 후에 영화 [[무서운집]]의 녹음을 맡기도 했는데, 왠지 음질이 떨어지고 노이즈가 많아 작품 특유의 뭐라 형용할 수 없는 쌈마이한 느낌에 일조했다는 평가가 많다(...). === 연출 작품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 === * [[교향시편 에우레카 세븐]] * 긴급 출동 구조대 * [[네기마!?]] * [[동경대부]] * [[델토라 퀘스트]] (1~3기) * 디가타 원정대 * 멋진 탐정 라비린스 * [[BLOOD+]] * 샤머닉 프린세스 * 서쪽의 착한 마녀 * 세이버 마리오넷 (J, J to X, R, J Again) * [[소녀왕국 표류기/애니메이션|소녀왕국 표류기]] * [[여신 후보생]] * [[에어기어]] * [[에어리어88]] (TV판) * [[오! 나의 여신님]] 2기(각자의 날개), 특별편(싸움의 날개), 극장판 * 오토기조시 * [[지구로…]] * [[지옥소녀]] (1~2기) * [[진월담 월희]] * [[카미츄]] * 파워스톤 * [[펌프킨 시저스]] * 하록의 전설 === 연출 작품 ([[대원방송]]) === * 리스키&세이프티 * 로보로치 * 마법의 술 * [[스크라이드]] * [[스파이더맨]]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케어베어 * [[판타스틱 포]] * 프랭클린 === 연출 작품 ([[문화방송]]) === *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꼬마마법사 레미]] ([[꼬마마법사 레미|1기]]) * [[낚시왕 강바다]] * [[닥터 슬럼프]] * [[루팡 3세]] 극장판 * 보물섬 * [[비스트 워즈]] * 빌리의 모험~~[[Ang?]]~~ * [[빨간망토 차차/애니메이션|빨간망토 차차]] * 삼국지 * 신밧드의 모험 * [[월리를 찾아라]] * [[은하철도 999(TVA)|은하철도 999]] * [[절대무적 라이징오]][* 비디오판과는 다른 버전.] * [[철인 28호]] * [[톰과 제리]] * 트위티 * [[형사 가제트]] === 연출 작품 (창작 애니메이션) === * 광개토 대왕 * 싸이킥스 * 아이언 키즈 * [[큐빅스]] == 미디어 플랜트 ==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 개국 초기에 외주 더빙을 맡은 곳 중 하나이다. === 연출 작품(애니맥스) === * [[오! 나의 여신님]] 1기 * [[사이보그 009]] (2001) (더빙) == PLAYBACK == 주로 병맛나는 녹음, 믹싱 작업으로 유명했다. 원래는 교재 및 극장 개봉용 애니메이션 제작 위주로 했던 곳인 듯. 그리고 [[최옥주]] PD 또는 영상 네트워크('''Y''' 표시된게 최옥주 PD 또는 영상 네트워크와 같이 제작한 작품)와 같이 제작한 작품이 많다. 한때는 [[애니박스]] 초기에 나온 작품 일부를 더빙하였고, 요즘은 디즈니가 외주를 주고 있다. === 연출 작품(애니맥스) === * 스포츠 판다 === 연출 작품(대원방송) === * [[인랑(애니메이션)|인랑]] * [[플리즈 티쳐]] * [[루팡 3세]] 스폐셜 *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OVA * 챔피언 죠 === 연출 작품(디즈니) === * 긴급 구조 친구들 * [[멋쟁이 낸시 클랜시]] * [[빅 시티 그린]] * [['신'데렐라]] * [[신비한 개구리 나라 앰피비아]] * [[아울 하우스]] * [[윔피 키드(2021)]] * [[윔피 키드: 로드릭 형의 법칙]] * [[키프(애니메이션)|키프]] * [[평행 우주(드라마)|평행 우주]] * [[햄스터와 그레텔]] === 녹음 === * [[닌자의 왕]] * [[노다메 칸타빌레|노다메 칸타빌레 애니판]] * [[드래곤볼 극장판]](재더빙판), 드래곤볼 OVA '''Y''' * [[딸기 100%]] TV판, OVA '''Y''' * [[록맨 에그제 비스트]] / [[록맨 에그제 비스트 플러스]] '''Y'''[* [[록맨 에그제 스트림]]까지는 [[투니버스]]가 자체 녹음/연출했다.] * 몬스터버스터클럽 '''Y''' * [[미나미家 세자매 4기 : 다녀왔어]] '''Y'''[* 1~2기는 [[대원방송]]이 자체 녹음/연출했으며 3기는 미방영 되었다.] * [[뱀파이어 기사]] '''Y''' * [[블리치]] 3기 '''Y'''[* 1~2기는 [[투니버스]]가 자체 녹음/연출했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와글와글 붕붕 삼총사 '''Y'''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애니메이션 1기)|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 [[은반의 수호천사]] * [[은하로 킥오프]] '''Y''' * 우당탕탕 잉양요 2기 '''Y''' * [[우주에서 온 모자코]] 재더빙판 '''Y'''[* 최초 더빙판은 1990년대 [[투니버스]]에서 녹음/더빙했다.] *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 [[원피스(애니메이션)/국내판(대원방송)|Original]] 13기 '''X'''[* 대원판 1~5기는 한빛영상제작 녹음/연출, 대원판 6~11기는 HAPPYSOUND 녹음+영상네트워크 연출, 대원판 12기는 더존 미디어 웍스+영상네트워크 연출, 대원판 14기는 [[대원방송]]이 자체 녹음/연출했다.] * [[유희왕 ARC-V]] 1기 '''Y'''[* 2기는 [[대원방송]]이 자체 녹음/연출했다.] * [[제로의 사역마/애니메이션|제로의 사역마]] * [[짜장소녀 뿌까]] 2기 '''Y'''[* 1기는 [[MBC]]에서 방영했다.] * [[크게 휘두르며]] * [[테니스의 왕자#s-5.1|테니스의 왕자 OVA 전국대회편]] '''Y'''[* TV판는 [[SBS]]에서 48화까지하고 중단했고 이후에 [[투니버스]]에서 재더빙했지만 역시 48화까지 하고 중단했고 [[극장판 테니스의 왕자 영국식 테니스성 결전]]는 CIC 미디어가 녹음/연출를 맡았다.] * [[토라도라!/애니메이션|토라도라!]] '''Y''' * 팩맨과 유령의 모험 '''Y''' * [[플리즈 티쳐]] * [[케이온!/애니메이션|케이온]] 1~2기(번외편 포함), [[케이온(영화)|극장판]] '''Y''' * [[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 시즌 1~8[* 시즌 9~10은 CIC 미디어에서 녹음했다.] == [[영상네트워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상네트워크)] == GMSTUDIO == 알려진 작품이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시즌 3 밖에 없는 것으로 볼 때 설립된지 얼마 안 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포니 시즌 3는 큰 논란를 일으켰다. 우선 더빙 성우진 중에서 [[트와일라잇 스파클|메]][[애플잭(Friendship is Magic)|인]] [[레리티|식]][[레인보우 대쉬|스]][[핑키 파이|들]][[플러터샤이|와]] [[디스코드(Friendship is Magic)|디스코드]]를 나머지 성우를 전부 강판했으며[* 교체된 성우진이 [[우정신]], [[은영선]], [[이영란]], [[박소라(성우)|박소라]], [[엄현정]], [[김기철(성우)|김기철]], [[정미숙]], [[최덕희]] 등 유명한 성우들이지만 아무래도 처음부터 듣은 목소리를 갑자기 아무런 말도 없이 강제로 교체했기 때문에 [[투니버스]]는 엄청 까이고 있다.], 여기에 시즌 2에서는 성우들이 직접 노래까지 더빙해서 좋은 평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시즌 3에서는 노래하는 사람을 따로 캐스팅해 논란을 일으켜 오히려 시즌 2 성우들이 직접 부르는 것 보다도 노래 평가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포니 시즌 3는 흑역사가 되었다. 그 덕분에 [[넷플릭스]]에서 더빙한 [[My Little Pony: Equestria Girls 시리즈]]와 함께 까이고 있다.[* 이퀘스트리아 걸는 포니 시즌 3 보다도 더 욕을 먹었는데 포니 시즌 3는 최소한 메인 식스와 디스코드를 그대로 유지라도 했지만 이퀘스트리아 걸는 레리티와 애플잭을 제외한 나머지 성우들이 전부 교체 되어서 더 욕을 먹었다.] 그런데도 시즌 4에서도 맡았다. === 연출 작품 === *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시즌 3~4 ※ == [[CIC 미디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IC 미디어)] == [[http://www.adone.co.kr/|애드원 스튜디오]] == 무려 '''[[1988년]]'''에 박원빈 PD[* [[삼화프로덕션]] 출신. [[겨울왕국]]을 포함한 상당수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더빙을 작업했으며, 이뿐만 아니라 디즈니 노래들을 번역했다.]가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40319010010340|설립]]한 것을 시작으로 [[KBS]]가 [[월트 디즈니 컴퍼니|디즈니]] 콘텐츠(영상물)들을 수입하기 시작하면서 단순히 [[월트 디즈니 컴퍼니/작품#s-6|디즈니 영화]]와 [[월트 디즈니 컴퍼니/작품|디즈니의 극장 장편 만화]] 뿐만 아니라 [[월트 디즈니 컴퍼니/작품#s-3|계열사인 디즈니툰 스튜디오]](2018년 폐쇄)의 만화, [[픽사|픽사 애니메이션들]], 그리고 한때 일요일 아침에 [[KBS 2TV]]에서 방영된 [[디즈니 만화동산]]의 만화들도 수입해서 더빙했고 일부의 디즈니 영화들도 녹음해서 극장 개봉과 TV에서 방영되었다. KBS가 먼저 디즈니 콘텐츠를 먼저 수입해서 그런지 지금 현재도 상당수 [[KBS 성우극회|KBS 성우]]를 많이 기용하며, 이 덕에 요즘 듣기 어려운 KBS 성우들(특히 30기 이후 성우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그 외 성우들로는 [[MBC 성우극회|MBC]]의 [[이인성(성우)|이인성]], [[최원형]], [[윤소라]], 지금은 이민가서 은퇴한 [[성유진(성우)|성유진]], 현재는 고인이 된 [[박일(1946)|박일]], 폭행 사건으로 영구제명이 돼 버린 [[박조호|박 모 성우]] 등을 기용했고[* 2005년에 제명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인사이드 아웃]]에서 분량이 거의 없는 단역으로 캐스팅한 것을 알자, 한 팬이 디즈니 코리아에 항의 전화까지 했다고 한다.], [[CJ ENM 성우극회|투니버스]]의 [[정승욱]], [[최재익(성우)|최재익]]을 자주 캐스팅한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뮤지컬 노래[* 물론 디즈니 애니메이션 중에서 뮤지컬 노래가 없는 애니메이션도 있다. 예를 들면 대사가 없는 [[환타지아(애니메이션)|환타지아]]이나 [[디즈니 르네상스]] 마지막인 [[타잔(애니메이션)|타잔]]부터 포스트 르네상스 작품들까지 뮤지컬적인 요소를 뺐다가 [[공주와 개구리]]에는 다시 뮤지컬적인 요소가 들어갔고, 이후에는 뮤지컬과 뮤지컬이 아닌 애니메이션을 적절히 배분하여 제작하고 있다.]까지 완벽하게 번안하고 있다. 이 때 연기 담당과 가창 담당을 각각 오디션을 보는데, 뮤지컬 배우나 가수가 연기를 맡는 경우도 있다. 물론 성우를 기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으나 다른 나라에 비하면 월등히 적은 편이며, 디즈니 작품 특성 때문인지 뮤지컬 배우나 가수가 캐스팅되는 확률이 타 작품보다 높다.[* 뮤지컬 배우 중에서 나중에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직접 연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윤복희]]와 알라딘에서 [[자파(디즈니 캐릭터)|자파]]의 노래를 맡았던 뮤지컬 배우 박철호가 [[공주와 개구리]]에서 [[파실리에]] 박사를 맡았다.] 또한 디즈니답게 해외와 마찬가지로 아이 역할에는 주로 [[아역 배우]]를 성우로 캐스팅하는 경향이 있고, 이미지 위주의 [[연예인 더빙|비성우 더빙]] 사례가 비교적 적다는 특징도 있다.[* 없진 않다. [[노틀담의 꼽추(애니메이션)|노틀담의 꼽추]], [[헤라클레스(애니메이션)|헤라클레스]], [[보물성]], [[주먹왕 랄프]], [[메리다와 마법의 숲]] 등.] 다만 이와 같은 특징은 본사가 직접 더빙 연출에 관여하는 디즈니의 특징으로, 애드원 측의 권한이 어느 선까지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외에도 [[드림웍스|드림웍스 애니메이션]]과 20세기 폭스 애니메이션([[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20세기 폭스 인기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 극장판인 [[심슨가족 더 무비]]는 아직 더빙하지 않았다.]도 녹음한 바 있다. 미국 제작사측 방침인지 디즈니쪽 작품과는 달리 [[연예인 더빙]]이 많다. 최소 1~2명의 캐스팅에 연예인이 참여하고 있고, [[리오(애니메이션)|리오]]와 에픽: 숲속의 전설과 같이 연예인을 주인공으로 기용하거나, [[아이스 에이지]] 속편들처럼 상당수가 연예인 더빙인 경우도 있다. 하지만 연예인 더빙으로 작업한 애니메이션은 대부분 흥행 실패하거나 평가가 엄청 안 좋다. 그리고 잘 안 알려졌지만 의외로 [[투니버스]]에 방영되었던 [[카우보이 비밥]]을 녹음하기도 했다. [[http://egloos.zum.com/dbm386/v/4614155|#]] 물론 연출은 [[신동식]] PD가 담당. 2018년부터 [[카툰네트워크]]에서 여러 작품을 맡고 있는데 신작들은 문제가 없지만, 다른 외주사에서 이쪽으로 넘어온 작품들은 성우진 전원이 갈아엎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건 [[틴 타이탄 GO!]]와 [[벤10 리부트]]. 덧붙여 주인공을 맡은 성우까지 중복 배역을 맡는다. 여담으로 위 두 작품의 그나마 좋은 점과 안 좋은 점이 성우 유지 빼고 제각각이다. 틴 타이탄 GO!는 성우 유지와 많은 성우 수로 호평받았지만 외주사가 바뀐 이후로 그 많던 성우 수가 고작 8명으로 팍 줄었고, 벤10 리부트는 게스트나 추가 성우가 자주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복이 꽤 심했으나, 외주사가 바뀐 이후로 성우 수가 더 늘어 중복이 줄었다. 그래도 기존 성우를 유지 안 시킨 건 욕먹는 중. === 연출 작품 === * '''[[디즈니 만화동산]]'''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와 [[월트 디즈니 컴퍼니/작품#s-3|디즈니 툰 스튜디오]]의 장편 애니메이션들''' * '''[[픽사|픽사 애니메이션들]]''' * [[정글북(영화)|정글북]]과 [[애들이 줄었어요]]를 포함한 일부의 디즈니 영화들 * [[만능 수리공 매니]][* 특이하게도 [[EBS]]에서도 방영되었다.] * Project MC²[* [[넷플릭스]]에서 자체 제작한 미국 [[청소년 드라마]].] * 20세기 폭스 애니메이션([[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 [[프라레스 산시로|프라사이버 대장군]] ([[VHS]] [[비디오]]) * [[유니키티]] * [[수퍼 소닉]] * [[틴 타이탄 GO!]] (재더빙 및 시즌 5~) * [[트웰브는 영원히]] * [[니모나(영화)|니모나]] * [[강철의 연금술사(영화)|강철의 연금술사]] (실사영화) * [[스폰지밥 무비: 핑핑이 구출 대작전]] * [[DC 슈퍼히어로 걸즈]] * [[벤10 리부트]] (극장판, 시즌 3~4) * 미키 마우스의 멋진 대모험 ([[디즈니+]]) * [[썬더캣츠 로어]] * [[스페이스 잼: 새로운 시대]] * [[루니 툰 카툰]] * [[루니 툰: 래빗 런]] * [[몬스터 근무일지]] ([[디즈니+]]) * [[배트윌스]] * [[짱구는 못말려]] ([[VHS]] [[비디오]]) * 샘동이 시리즈 ([[VHS]] [[비디오]]) * 샘동이 한글 * 샘동이 영어탐험 *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베이커리 ([[디즈니+]]) == 지지사운드(GG SOUND) == 대부분 [[KBS]] 만화의 연출를 많이 맡았으며, 아주 적지만 일부 수입 작품들의 더빙 작업도 맡았다. 주로 [[KBS 성우극회|KBS 성우들]]을 많이 캐스팅하며, 반대로 KBS에서 방영한 작품에도 타사 성우를 적극적으로 기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김선혜]], [[김서영(성우)|김서영]], [[전태열]] 등.] 다만 이 때문인지 [[드래곤볼 Z : 신들의 전쟁]]에서 원래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 성우인 [[김환진]] 외에 나머지 배역들도 전부 KBS 성우로 캐스팅 한 단점을 보이기도 했다. === 연출 작품 === * 1864(덴마크 드라마) * [[구름빵]] * [[다오 배찌 붐힐 대소동]] * [[드래곤볼 Z : 신들의 전쟁]] * 마루모의 규칙(일본 드라마) * [[마스크맨]] * [[매직키드 마수리|매직키드 마수리(애니)]] * [[메타제트]](캐나다와 공동 합작) * 미미와 다다의 미술탐험대 * [[볼츠와 블립]](캐나다와 공동 합작) * 빨간 자전거 * [[쁘띠쁘띠 뮤즈]] * 요리조리 맛술사 * [[천하무적 크래쉬 비드맨]](일본와 공동 합작) * [[쿵야쿵야]] * [[쿵푸 공룡 수호대]](캐나다와 공동 합작) == STORM (전 리드사운드) == 주로 [[월트 디즈니 컴퍼니|디즈니]] 계열 작품을 연출하고 있다. === 연출 작품 === * [[그래비티 폴즈]][* 한국어 구더빙판 시즌 2,한국어 재더빙판 전 시즌을 담당했다.] * [[꼬마의사 맥스터핀스]] * 더 매직: 리틀톰과 도둑공주 * [[덤보(영화)|덤보]] * [[도날드 덕 가족의 모험|도날드 덕 가족의 모험 시즌2~3]][* 시즌1은 애드원 스튜디오에서 더빙.] * [[리브 & 매디]]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아이언맨(영화)|아이언맨 1]]~[[아이언맨 2|2]]는 [[KBS]]에서 더빙했고 [[스파이더맨: 홈커밍]]와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는 기내더빙만 있고 [[인크레더블 헐크]], [[토르: 천둥의 신]], [[퍼스트 어벤져|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어벤져]], [[토르: 다크 월드]],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영화)|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1편]]은 미더빙.] * 로보즈나 * 링스 어드벤처 * [[마블 퓨처 어벤져스]] * [[메리 포핀스 리턴즈]] * [[보안관 칼리의 서부 모험]] * [[빅 히어로]] * 빌리와 용감한 녀석들 3 * 리나는 뱀파이어 시즌1 * 살인자를 피하는 방법 시즌2 * [[스타워즈 시퀄 트릴로지]] * [[스타워즈 레벨스]] * 스페이스 침스 * 슈퍼노바 지구 탈출기 * [[아발로 왕국의 엘레나]] * [[알라딘(영화)|알라딘]] * 오즈의 마법사: 돌아온 도로시 * [[완다가 간다]] * [[인크레더블 2]] *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 [[주토피아]] * [[코코(애니메이션)|코코]] * [[클레멘타인(영화)|클레멘타인]] * 투모로우 나라의 마일스 * 퍼피독 * [[프린세스 스타의 모험일기]] * 프린스는 교환학생 * 플라이 미 투 더 문 * [[피터와 드래곤]] * [[패딩턴(영화)|패딩턴]] * 하이호 일곱 난쟁이 * 헨리 허글 몬스터 * [[히트 멍키]]([[디즈니+]]) * 스파이디 그리고 놀라운 친구들 ([[디즈니+]]) == 중앙 AV 스튜디오 == 약칭은 JAV. [[네모바지 스폰지밥|스폰지밥]] 연출로 유명한 [[재능방송]] 출신의 정재익 PD가 창설한 외주사이다. 주로 [[카툰네트워크]], [[디즈니채널]], [[부메랑(미국 방송)|부메랑]]의 외주를 맡았으며, [[중복 캐스팅]]은 있지만 그걸 티나지 않게 하는 연출로 더빙은 그럭저럭 잘 맡는다는 평가가 있다. 2017년부터 카툰네트워크에서 외주사를 교체하면서 일부 작품들은 레드 카펫 엔터테인먼트와 애드원 스튜디오, CIC 미디어로 넘어갔다.[* 검볼, 틴 타이탄 GO!, 벤 10 등 레드 카펫과 애드원으로 넘어간 작품들은 성우진 전원이 갈아엎어졌다.] === 연출 작품 ([[카툰네트워크]]) === * [[DC 슈퍼히어로 걸즈(리부트 전)|DC 슈퍼히어로 걸즈]] * [[검볼(애니메이션)|검볼]](구더빙/시즌 4 11화 이전) * [[겁쟁이 강아지 커리지]] * [[꼬마유령 캐스퍼]] 극장판 * [[냠냠 차우더]] * [[내 짝꿍은 원숭이]] * [[덱스터의 실험실]](카툰네트워크 재더빙) * [[드래곤 길들이기]] TV 시리즈 * [[버크의 라이더]] * [[버크의 수호자]] * [[라즐로 캠프]] * [[레귤러 쇼]] * [[레귤러 쇼 더 무비]] * 레인저 롭 * [[루니 툰]] 시리즈 * [[루니 툰]](카툰네트워크 재더빙 및 극장판) * 로드 러너 쇼 * [[베이비 루니 툰]] * 수수께끼 명탐정 실베스터와 트위티 * [[타이니 툰]](카툰네트워크 재더빙) *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대피 덕]] * [[뉴 루니툰 쇼]] * [[벤10 시리즈]] * [[벤10]] 오리지널 및 극장판 * [[벤10 에일리언 포스]] * [[벤10 얼티메이트 에일리언]] * [[벤10 옴니버스]] * [[벤10 리부트|벤10(2016)]](시즌 1~2) * [[배트맨]] 미디어 믹스 * 배트맨 (2004년 TV판) * 배트맨: 조커의 귀환 * [[배트맨 더 브레이브 앤 더 볼드|배트맨 더 브레이브]] * [[빌리와 맨디의 무시무시한 모험]] * [[Foster's Home for Imaginary Friends|상상 속 친구들의 모험]] * 시크릿 새터데이 * [[스쿠비 두]] TV무비 * 스티븐 유니버스 시리즈 * [[스티븐 유니버스]] * [[스티븐 유니버스 더 무비]] * [[스티븐 유니버스 퓨처]] * [[암호명: 이웃집 아이들]] *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 * [[제너레이터 렉스]] * 천방지축 로드니 * [[톰과 제리]] 테일즈 및 DVD 극장판 * [[틴 타이탄]](시즌 3~4, 극장판) * [[틴 타이탄 GO!]](구더빙) * [[터보 F.A.S.T.]] * [[파워퍼프걸]] 시리즈 * [[파워퍼프걸]](카툰네트워크 재더빙) * [[파워퍼프걸 극장판]](카툰네트워크 재더빙) * 파워퍼프걸: 크리스마스 선물 * 파워퍼프걸: 댄스 배틀 * [[파워퍼프걸(2016년 TV 애니메이션)|파워퍼프걸 2016]] * [[판타스틱 포]](2006년 TV판) *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TV판 * 히어로 108 === 연출 작품 ([[디즈니채널]]) === * [[라인타운]] * 로켓 몽키스 * [[바다탐험대 옥토넛]] * 스누피와 피너츠 * [[출동! 파자마 삼총사]] === 연출 작품 ([[부메랑(미국 방송)|부메랑]]) === * [[웨키 레이스#s-6|괴짜 레이스]] * 도로시와 오즈의 마법사 * 미스터 마구 * [[애니메이티드 미스터 빈|미스터 빈 2015]] == 사운디스트 == [[KBS 성우극회|KBS 성우]] [[김승준(성우)|김승준]]이 창설한 외주사. 최근 [[넷플릭스]]에서 서비스하는 영상물 중 하나인 레전드 퀘스트의 연출을 맡았음이 확인됨에 따라[* 연출자는 [[김승준(성우)|김승준]] 본인. 참고로 CIC 미디어 소속의 [[심정희]]와 부부관계다.] 이쪽도 더빙 연출을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왔음이 입증되었다. == 레드 카펫 엔터테인먼트 == [[대교어린이TV]], [[대원방송]] 출신 [[김정규]] PD가 창설한 외주사. 소속은 신비, 김나나 PD. 주로 [[카툰네트워크]] 코리아가 여기에 외주 작업을 맡긴다.[* 녹음/믹싱과 종합편집은 CIC 미디어에서 해준다.] === 연출 작품 === *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 [[검볼(애니메이션)|검볼]] (시즌 4 11화 이후 및 재더빙) * 리멤버 알렉스 ([[디즈니+]])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OVA#s-4|명탐정 스토리]] * [[브레이비스트 워리어스]] * [[숨겨진 숲의 비밀]] * [[애플과 어니언]] * [[원펀맨]] ([[넷플릭스]] 재더빙판) * [[클라렌스는 엉뚱해!]] * [[티미의 못 말리는 수호천사]] ([[니켈로디언 코리아]], 시즌 8까지) * 파우치 (디즈니+) * 펀지타운의 펀지스! *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 * [[형사 가제트]] (2015년 리메이크 판) * [[OK K.O.! 내일은 히어로]] == 플레이그라운드 == [[대원방송]] 출신 [[황태훈]] PD 소속 외주. [[https://www.nground.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연출 작품 === *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 [[닌자보이 란타로]] 24기 ([[KBS Kids]]) * [[던전앤파이터: 역전의 바퀴]]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 * [[악마에 입문했습니다! 이루마 군/애니메이션|마계학교 이루마군]] (KBS Kids) * [[마도조사]] ([[Laftel|라프텔]]) * [[베리베리 뮤우뮤우 뉴~♡]] ([[KBS Kids]]) *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영웅의 계승자-]] ([[애니플러스]]) * [[슈퍼 시크릿/애니메이션|슈퍼 시크릿]] (라프텔) * [[시광대리인 -Link Click-]] (라프텔) * [[인간계 생활기록]] (라프텔) * [[전직고수/애니메이션|전직고수]] (라프텔) == (주)한빛영상제작 == 1994년 1월 15일 설립된 영화 및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제작사로 [[KBS 성우극회|KBS 성우]] [[정동열]]이 대표로 역임해 있는 곳이다.[* 정동열 본인도 여기서 더빙한 작품에 직접 출연하기도 한다.] 한창 4차 [[일본 대중문화 개방]]으로 어느 곳이나 [[일본 애니메이션]]을 수입하던 때의 [[XTM]]의 외주 제작을 맡았는데 그 퀄리티가 매우 좋지 않기로 유명했다. 일단 외주 제작을 맡은 애니메이션 모두 '''녹음/믹싱이 정말로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항상 제기되고 있다. 특히나 [[이니셜D]]의 경우 빠방한 성우진이긴 하나 중복과 미스캐스팅이 심하고 녹음/믹싱을 발로 한걸로 유명한데, 이니셜D의 경우 B으로 유로비트가 나오며 등장인물들이 대사를 치는데 음악을 전부 날려버리거나 어설프게 퍼즈시키고 넘어가고 대사만 급급하게 녹음/믹싱하는 사례가 매우 많아서 방영 당시 굉장히 논란을 많이 야기시켰다. 이후 XTM에서 애니메이션의 외주 제작을 포기하면서 잠잠해졌으나, [[대원방송]]에서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를 이곳에 외주 제작을 줬다가[* 이전에도 [[대원미디어]]에서 출시한 [[비디오물]]의 더빙 제작을 맡은 바 있다.] 역시나 처참한 퀄러티로 논란을 야기시키면서 많은 반발을 사기도 했다. 이후 대원방송에서 피드백을 받고 영상 네트워크로 외주를 바꾸고 이후 자체로 돌리기도.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의 경우에도 극심한 [[중복 캐스팅]]과 노래를 잘 부르는 성우를 캐스팅했음에도 믹싱이 워낙 안 좋아서 해당 팬덤층에서 엄청난 반발이 일어나며 또다시 논란을 야기시킨 적이 있다. 관계자 인터뷰에 따르면 한빛영상제작이 규모가 작은 외주 제작사라고 하는 듯 하다. === 연출작품 ([[VHS]] [[비디오]]) === * [[소년탐정 김전일]] (1기) * [[슬램덩크(만화)|슬램덩크]] * [[짱구는 못말려/극장판|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 [[암흑 마왕 대추적]] *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 * [[폭발!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 === 연출작품 ([[XTM]]) === * [[겟 백커스]] * 나이트 워커 - 한밤중의 탐정 * [[돌격 크로마티 고교]] * [[메조(애니메이션)|메조]] * [[사무라이 디퍼 쿄우]] * [[이니셜D]] * [[이나중탁구부]] === 연출작품 ([[대원방송]]) === *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 [[원피스(애니메이션)/국내판(대원방송)|Original]] 1~5기[* 이후 연출 PD는 6~10기는 [[심상보]] → 11~13기 [[최옥주]] → 이후 [[황태훈]] PD가 맡아오시다가, 퇴사 후 [[김세중(PD)|김세중]] PD가 맡고 있다.] === 연출작품 ([[카툰네트워크]] 코리아) === *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 === 연출작품 ([[경인방송]]) === * [[형사 가제트]] == 더블유 사운드 == [[프리티 시리즈]]로 유명한 외주사. 위에 한빛영상제작이 더빙한 오로라 드림을 빼면 전부 이 회사가 담당했다. 일단 노래 퀄리티에 대해서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더빙은 그렇지 않다. 일단 첫 작품인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을 봐도 남자 성우는 [[이원찬]], [[심승한]], [[남도형]] 뿐이고, 여자 성우도 9명[* [[김소희(성우)|김소희]], [[김현지(성우)|김현지]], [[문선희]], [[박신희]], [[배주영]], [[윤성혜]], [[이선호(성우)|이선호]], [[한경화]].], 즉 총 12명으로 돌려먹기를 했다.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다음 작품]]에서는 성우들이 몇 명 추가가 되었고 평가는 좋았으나, 그 다음작인 [[프리파라/애니메이션|프리파라]]에서는 작품의 인기와는 별개로 퀄리티가 안 좋다. 이 회사의 큰 단점은 바로 위에 I&T와 [[김정규]]는 비교도 안 되는 사단식과 중복, 그로 인해 생겨나는 미스캐스팅이다. 일단 프리티 시리즈를 포함한 다른 작품들까지 포함하면 이 회사는 성우 캐스팅폭이 '''너무 좁다.''' 1편에서 쓰는 성우는 시리즈 내내 계속해서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한 작품에서 쓰인 성우들을 묶어서 다른 작품에도 같은 조합으로 계속 쓰는 사단식 캐스팅을 즐겨하기 때문에 조금만 다양하게 작품을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여기서 들었던 목소리가 저기도 있고 하는 식의 경험을 자주 겪게 된다.[* 후술한 연출 작품의 나온 성우들이랑 프리즘스톤 1편에 나온 성우 캐스팅을 비교하면 대부분 같은 성우들이 나오는걸 알 수 있다.] 그리고 성우의 나이대와 특성을 신경 쓰지 않는지 [[문선희]]랑 [[배정미]]를 '''10대 소녀'''란 캐릭터에 캐스팅 하고, 젊은 시절부터 소년 연기를 많이한 [[이선호(성우)|이선호]]에게도 캐스팅을 하는 그야말로 캐스팅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 이는 여자 성우들 뿐만 아니라 남자 성우들까지 생기는 문제다. === 연출 작품 === * [[꿈속의 뮤]] * 안타까운 동물사전([[투니버스]]) * [[프리티 시리즈]]([[SBS]][*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은 위에 한빛영상제작에서 더빙했다.]], [[MBC]][* 프리파라 시리즈([[프리파라/애니메이션|프리파라]], [[아이돌 타임 프리파라]]), [[반짝이는 프리☆채널/애니메이션|반짝이는 프리☆채널]], [[와츄 프리매직!/애니메이션|와츄 프리매직!]]]) * [[외모지상주의(웹툰)/애니메이션|외모지상주의]]([[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 * [[인체에서 살아남기]] * [[코코밍 시리즈]]([[디즈니채널]]) * 극장판 [[엉덩이 탐정]] 시리즈[* TV판은 [[KBS 미디어]], 게임판은 [[대원미디어]]가 제작한다.] * [[퓨로보이즈]]([[KBS Kids]]) == [[CJ올리브네트웍스]] == [[파라마운트+]] 오리지널 작품을 [[TVING]]을 통해 공개하는 작품에 한해 더빙 작업을 담당하고 있다. === 연출 작품 === * [[러그래츠]] (2021년 애니메이션) * [[스타트렉: 프로디지]] * [[뚱이 쇼]] [[분류:방송]][[분류:통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