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웹툰 설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더블클릭(웹툰))] [include(틀:스포일러)] [목차] == 개요 == [[네이버 웹툰]] 《[[더블클릭(웹툰)|더블클릭]]》의 설정을 설명하는 문서다. == 학교 == === 단오고등학교 === 인문계 고등학교로 올해부터 '''[[e스포츠]] 동아리'''로 학교대항전에 출전을 하려 한다. === 용주 디지털 미디어 고등학교 === 최초로 e스포츠과를 만든 고등학교로 주로 용주고로 불린다. 학생들이 프로리거로 차출될 정도로 유망한 학교이다. 주전 선수들이 프로리거로 차출되었는데도 가장 최근 학교대항전에서 4위를 기록했다. === 포곡고등학교 === 용주고 만큼은 아니지만 e스포츠과하면 떠오르는 고등학교라고 한다. 작년에 열린 학교대항전에서 용주고에게 패배하였다. == 원소드 == 미국 게임사가 개발한 칼과 칼로 부딪히며 싸우는 온라인 PVP게임으로 컴퓨터 성능이 안좋아도 돌아가는 간단한 그래픽의 게임으로, 규모를 보자면 거의 [[인디게임]] 수준이다. 팀전과 개인전이 따로 있지만 팀전은 서비스 종료 이전에 아주 잠시 출현했으며 사실상 1:1 위주의 게임이다. 게임의 난이도는 높은 편이며 유저 유입이 부족해 게임은 서비스종료를 하게 된다. 서비스 종료전의 유저수는 302명이라고 하는데, 신재덕 왈 원소드가 망한 이유는 유저 수가 적어서가 아니라, [[고인물|'''그 302명 때문에 망했다고 한다.''']] 그만큼 말도 안되게 진입 장벽이 높아서 유입이 도통 되질 않았는데, 심지어 원소드 1위 유저의 등장으로 메타를 뒤엎으면서 진입 장벽을 낮추겠다고 공략집까지 작성했으나 이게 역효과가 나서 오히려 기존 유저층들만 더 단단히 굳혀졌고, 전반적인 캐릭터들도 1위 유저한테 맞춰지는 악순환을 겪었다고 한다. 캐릭터가 정해진 소드러스와 달리 원소드는 '''캐릭터 스탯을 하나하나 커스터마이징하여''' 플레이가 가능하다. 또 격겜마냥 근접전 위주에 딜레이 캐치로 카운터를 노려서 플레이해야 하며, 거기에 각 유저들이 직접 만든 캐릭터들을 상대로 파악해서 운영을 해야하니, 제아무리 고인물이 판치는 게임이라도 격겜보다도 더한 진입 장벽을 자랑하니 유저 유입이 안되는 건 어찌보면 당연하기도 하다. 게임 운영도 허점이 있는게, 핵 유저들을 제재할 때도 바로 즉결 처분하지 않으며 핵 아레나를 따로 만들어 핵 유저끼리 따로 싸우게 만든다.[* 물론 핵 아레나를 겪은 상태에서 핵이 또 적발되면 즉시 밴이다.] 문제는 핵 아레나에서 수많은 종류[* 데미지, 스피드, 투명, cc기 면역, 한방킬, 쿨타임 등등...]의 핵 유저들이 판치는데, 그만큼 게임 시스템이 쉽게 뚫리는 수준이라는 소리이기에 기반부터 부실하다. 하지만 더 압권인 건, 그 핵 유저들조차도 '''실력이 된다면 압도가 가능하다.'''(...) 지호가 이 케이스로, 결국 핵 유저도 잡을 실력의 유저가 판치고 공략까지 쓰니 게임이 더 고일 수 밖에 없는 셈이다. 이건 소드러스에서도 계승된 시스템이라서 살짝 문제의 여지가 있는 편이다. 이런 막장 난이도에 진입 장벽을 자랑하는 탓에, 점차 작품이 진행되면서 왜 게임이 망했는지 알 것 같다는 독자들이 대다수이다. 당연하지만 원소드 유저들 대부분은 소드러스에선 랭커이며, 신재덕 그 이상의 랭킹을 지닌 유저들은 전부 프로 리그에서 활약 중이다. 여담으로 이상하게 원소드 유저들의 닉네임은 하나같이 [[중2병]]스러운데, 그나마 스피로가 제일 정상적인 수준이다. 지호 왈 그때는 그게 멋이었다고... || '''랭킹''' || '''닉네임''' || '''이름''' || || 1위 || 스피로 || 성지호 || || 2위 || 불명[* '지나ㄱ'까지만 밝혀졌다.] || 이진아 || || 5위 || 불명 || 테디[* 소드러스 아이디. 3화에 이창현의 메모에서 등장한다.] || || 7위 || 불명 || 퍼스트[* 소드러스 아이디. 3화에 이창현의 메모에서 등장한다.] || || 8위 || 지존핑팬 || 불명[* 봉훈공고 감독이다.] || || 37위 || 도마도마동 || 임영호[* 롤러터의 프로선수.] || || 42위 || 푸루푸루푸루리 || 불명 || || 122위 || 홍시맛이나서홍시 || 임지열 || || 125위 || 붉은 달빛의 폭풍 || 신재덕 || || 불명 || 용용죽 || 불명 || || 불명 || 950 || 구우영 || == 소드러스 == 원소드를 제작한 회사가 인수당하면서 만든 게임으로 '''원소드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원소드에서 그래픽이 업그레이드 된 게임이다. '''4대4 PVP게임'''으로 팀의 전략과 피지컬로 싸우는 게임이다. 맵은 다른게임보다 좁은 편이고 캐릭터의 이동속도는 대체적으로 빠르다고 한다. 그리고 '''모든 무기에 내구도가 존재하여''' 생각을 많이하면서 게임을 해야 한다. 다른 게임과의 차이점은 '''탱커, 딜러, 힐러'''에 '''[[유틸성|유틸]]'''이라는 특수포지션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게임 내에서 '''유틸'''은 속도가 빠르지만 대부분 1대1에 약해서 평가가 좋지 않다고 한다. 모드는 '''4대4 섬멸전'''으로 한 팀의 플레이어가 전부 사망하면 승리하는 방식이다. 작중 극초반부에서 카운터는 게임의 기본적인 시스템이라 모든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보였으나, 스토리가 진행되면서 카운터는 스피로만 사용할 수 있는 전용기로 바뀌었다. === 게임 캐릭터 === ==== 스피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피로.jpg|width=100%]]}}} || 성지호의 원소드 시절 닉네임과 성지호가 설정한 스탯을 그대로 따온 캐릭터이다. 원소드 랭킹 1위의 상징인 노란망토를 착용한 것 까지 원소드 랭킹 1위 스피로를 기념하기 위한 캐릭터. 해당 캐릭터의 포지션은 유틸. 공격력과 방어력, 공격 범위는 매우 부족하지만 공격 속도와 이동 속도, 조작은 최대치이며, 컨트롤만 받쳐준다면 카운터로 모든 공격을 반사할 수 있고, 궁극기인 슈퍼카운터로 공격형 궁극기까지 차단이 가능하다. 슈퍼 카운터에 성공시 스턴 효과가 있는데, 완벽한 타이밍에 성공한다면 슈퍼카운터를 당한 대상자 뿐 아니라 모든 적 캐릭터에게 전체 스턴 효과를 부여한다 작중 인게임에서는 픽했다하면 트롤 소리를 듣는 고인 캐릭터이다.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나머지 스탯이 최하위권이라 대미지는 모기 수준이고 어쩌다가 한 대만 맞으면 금방 딸피가 되어버린다. 하지만 성지호가 사용한다면 얘기가 달라지는데, 스피로의 빠른 이동속도를 이용해 전맵을 뛰어다니며 팀원들을 커버하고 1대1 상황에서는 약한 데미지를 보완하기 위해 급소만을 공격하며 최대한의 효율을 뽑아낸다. 행여나 상대방이 맞공격을 한다면 카운터로 추가적인 데미지를 준다. 이를 이용해 랭크게임에서는 반격탱의 역할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평소 무시하던 캐릭터가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화면 밖에서 자신을 계속 때리고 간신히 포착해 공격을 하려고 하면 모조리 카운터당해서 오히려 자신의 체력이 더 까이는 것이다. ==== 그 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드레이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sygu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lark.jpg|width=100%]]}}} || || {{{#ffffff '''드레이스'''}}} || {{{#ffffff '''싸이건'''}}} || {{{#ffffff '''모르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큐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nk.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ueminence.jpg|width=100%]]}}} || || {{{#ffffff '''데큐즈'''}}} || {{{#ffffff '''린크'''}}} || {{{#ffffff '''블루미넌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로넷.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miz.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igdra.jpg|width=100%]]}}} || || {{{#ffffff '''바로넷'''}}} || {{{#ffffff '''이마미즈'''}}} || {{{#ffffff '''지그드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케르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게스터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sa.jpg|width=100%]]}}} || || {{{#ffffff '''케르'''}}} || {{{#ffffff '''게스터'''}}} || {{{#ffffff '''아크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르하.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블리프트.jpg|width=100%]]}}} || || {{{#ffffff '''볼러틀'''}}} || {{{#ffffff '''부르하'''}}} || {{{#ffffff '''블리프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네임벳.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푼젤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머치노.jpg|width=100%]]}}} || || {{{#ffffff '''네임벳'''}}} || {{{#ffffff '''라푼젤'''}}} || {{{#ffffff '''머치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빅세스트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글라쿠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타넌.jpg|width=100%]]}}} || || {{{#ffffff '''빅세스트'''}}} || {{{#ffffff '''글라쿠사'''}}} || {{{#ffffff '''우타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네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그토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타오그.jpg|width=100%]]}}} || || {{{#ffffff '''제네비'''}}} || {{{#ffffff '''마그토돈'''}}} || {{{#ffffff '''타오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래디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클라이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블레이키1.jpg|width=100%]]}}} || || {{{#ffffff '''레디지'''}}} || {{{#ffffff '''클라이튼'''}}} || {{{#ffffff '''블레이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퀴나모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딜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렐란.jpg|width=100%]]}}} || || {{{#ffffff '''퀴나모쉬'''}}} || {{{#ffffff '''모딜로'''}}} || {{{#ffffff '''프렐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울럼브.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드왈렛.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칼리.jpg|width=100%]]}}} || || {{{#ffffff '''울럼브'''}}} || {{{#ffffff '''드왈렛'''}}} || {{{#ffffff '''스칼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래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폴루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로그.jpg|width=100%]]}}} || || {{{#ffffff '''그래키'''}}} || {{{#ffffff '''폴루비'''}}} || {{{#ffffff '''포로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이가우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머스티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부츠.jpg|width=100%]]}}} || || {{{#ffffff '''에이가우터'''}}} || {{{#ffffff '''머스티스'''}}} || {{{#ffffff '''라부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홀비티.jpg|width=100%]]}}} || [[파일:크림포.jpg|width=100%]] || || {{{#ffffff '''홀비티'''}}} || {{{#ffffff '''크림포'''}}} || == 소드러스배 학교대항전 == 친선경기를 통해 점수를 모아야 토너먼트에 출전이 가능하다. 상대적 약팀이 상대적 강팀을 잡으면 점수를 더 주는 듯하다. === 전적 === ==== 친선경기 ==== * 단오고등학교 1 VS '''3 용주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 '''단오고등학교 3''' VS 1 포곡고등학교 * '''단오고등학교 3''' VS 1 봉훈공업고등학교 * '''단오고등학교 3''' VS ? 삼사고등학교[* 웹툰에서 정확한 세트 스코어가 나오지 않았지만, 단오고의 3세트 승리를 짐작할 수 있다.] * '''단오고등학교 2''' VS 0 s91 연습생팀[* 성지호에게 벽을 느낀 연습생들의 멘탈이 나가서 2세트까지만 스크림이 진행되었다.][* 나중에 이 연습생팀의 멤버들 중, 도민빼고는 다 벽을 느끼고 그만두었다고 한다.] * 단오고등학교 ? VS '''? 성신고등학교'''[* 성지호 없이 PC방에서 짧게 스크림을 한 것이라 단오고가 탈탈 털렸다.] ==== 본선 ==== '''조별리그''' * '''단오고 3''' VS 0 미신고 * '''단오고 3''' VS 0 구일고 * '''단오고 3''' VS 1 장수고 '''16강''' * '''단오고 3''' VS 1 지인고 '''8강''' * '''단오고 3''' VS 0 수수남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