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큐어의 다른 뜻, rd1=큐어)] ---- [include(틀:더 큐어)] ---- ||<#000> '''{{{#fff 더 큐어}}}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0C0000>{{{+3 '''{{{#FFD700 더 큐어}}}'''}}}[br]'''{{{#FFD000 THE CURE}}}'''||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0C0000>'''{{{#ffd700 멤버}}}'''||<:><#0C0000>'''{{{#ffd700 페리 바몬트, 제이슨 쿠퍼, 마이클 뎀프시, 사이먼 갤럽, 로저 오도넬, 로버트 스미스, 펄 톰슨, 롤 톨허스트, 보리스 윌리엄스}}}'''|| ||<:><#0C0000>'''{{{#ffd700 입성 연도}}}'''||<:><#0C0000>'''{{{#ffd700 2019년}}}'''|| ||<:><#0C0000>'''{{{#ffd700 후보자격 연도}}}'''||<:><#0C0000>'''{{{#ffd700 2004년}}}'''|| ||<:><#0C0000>'''{{{#ffd700 후보선정 연도}}}'''||<:><#0C0000>'''{{{#ffd700 2012년, 2019년}}}'''||}}} || ---- [include(틀:브릿 어워드 영국 그룹 역대 수상자)]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1980년대 아티스트,순위=8)] ---- [include(틀:이브닝 스탠더드 선정 20대 영국 록밴드)] ---- [include(틀:VH1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the cure logo.png|height=38]] ||{{{#fff '''{{{+1 더 큐어}}}'''[br]{{{-1 The Cure}}}}}}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큐어멤버.webp|width=100%]]}}} || ||<-2><#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1 ▲ 왼쪽부터 '''[[리브스 가브렐스|{{{#fff 리브스 가브렐스}}}]]''', '''[[제이슨 쿠퍼|{{{#fff 제이슨 쿠퍼}}}]]''', '''[[로저 오도넬|{{{#fff 로저 오도넬}}}]]''', '''[[로버트 스미스(음악가)|{{{#fff 로버트 스미스}}}]]''', '''[[사이먼 갤럽|{{{#fff 사이먼 갤럽}}}]]'''}}}}}} || ||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 ||<|2> '''결성''' ||[[1976년]] || ||[[영국]] [[잉글랜드]] [[웨스트 서식스 주]] [[크롤리]] || ||<|2> '''데뷔''' ||[[1978년]] [[12월 21일]] || ||1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a6c99 ; font-size: .9em" [[Three Imaginary Boys|{{{#000 '''Three Imaginary Boys'''}}}]]}}} || || '''멤버''' ||로버트 스미스 {{{-1 (보컬)}}}[br]사이먼 갤럽 {{{-1 (베이스)}}}[br]리브스 가브렐스 {{{-1 (기타)}}} [br]로저 오도넬 {{{-1 (키보드)}}}[br]제이슨 쿠퍼 {{{-1 (드럼)}}} || || '''장르''' ||[[고딕 록]], [[포스트 펑크]], [[얼터너티브 록]], [[뉴웨이브(음악)|뉴웨이브]] || || '''레이블''' ||픽션 레코드, [[엘렉트라 레코드]] || ||<|2> '''링크''' ||[[http://www.thecure.com/| [[파일:더 큐어 블랙 로고.png|width=55]]]] || ||[[https://www.instagram.com/thecur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hecure, 크기=20)] [[https://www.facebook.com/thecur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L_zMdXdM51oSi5XpxTvRt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1976년]] 결성되어 [[1980년대]]에 전성기를 맞은 [[영국]]의 [[록밴드]]이다. == 상세 == [[더 스미스]]와 함께 80년대 영국을 대표한 전설적인 밴드[* 참고로 두 밴드의 프론트맨들(로버트 스미스, [[모리세이]])는 앙숙이었다.][* 스미스는 영국에서 인기가 많았고 큐어는 미국에서 인기가 많았다.]이며 [[고딕]]이라는 [[서브컬쳐]]를 메인스트림으로 올라가게 한 [[고딕|고스 족]]들의 영웅으로 평가받는다. 핵심 멤버이자 리더인 로버트 스미스를 주축으로 현재도 정력적인 활동을 하고있다. 로버트 스미스의 괴기한 화장과 패션, 공연 중에 보여주는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이 인상적인 밴드이다.[* 실제로 공연중에 막춤을 추거나 몸짓을 보여주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로버트 스미스의 이미지가 모티브가 된 영화가 있는데 바로 [[팀 버튼]]의 [[가위손]]이다! [[파올로 소렌티노]]가 감독하고 [[숀 펜]]이 주연한 영화 [[아버지를 위한 노래]]의 주인공도 로버트 스미스를 모티브로 했다.] == 역사 == === 1973 - 1979: 결성과 초기 시절 === 1976년, 로버트 스미스(보컬, 기타)가 학교 친구 마이클 뎀시(베이스), 롤 톨허스트(드럼), 동네 친구 포를 톰슨(기타)과 함께 이지 큐어라는 이름으로 밴드를 결성했다. 그들은 즉시 곡을 쓰고 데모를 만들었으며, 1977년 내내 잉글랜드 남부에서 공연을 다녔고, 팬들은 늘어나기 시작했다. 1978년 밴드 이름을 큐어로 명칭을 바꾸었고, 포를은 밴드를 탈퇴했다. 이후 남은 세 명은 신생 레이블인 픽션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고. 싱글 "Killing an Arab"과 앨범 <[[Three Imaginary Boys]]>를 통해 데뷔하였다. 앨범은 좋은 평가를 받았고 영국 전역에 투어를 돌았다. 이후 큐어는 연달아 "[[Boys Don't Cry]]"와 "Jumping Someone Else's Train"을 발매하면서 [[포스트 펑크]], [[뉴웨이브(음악)|뉴웨이브]] 밴드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그래서 그들의 초기 음악은 전성기때의 음악과는 다르게 매우 밝다. 큐어 초기의 대표곡 "[[Boys Don't Cry]]"를 들어보면 잘 알 수 있다. 1979년 말, 마이클은 밴드를 탈퇴하게 되었고, 사이몬 갤럽(베이스)과 마티유 하틀리(키보드)가 밴드에 들어오게 되었다. === 1980 - 1982: 초기 고딕 시절 === 1980년 초부터 로버트 스미스는 어두운 음악을 만들기 시작했으며 첫 히트 싱글 "A Forest"와 함께 정규 2집 <[[Seventeen Seconds]]>를 발매하면서 부터 고딕 록에 들어서게 되었다. 월드 투어 이후 마티유 하틀리는 밴드를 탈퇴하게 되었고, 1981년 초 남은 밴드 멤버들은 "Primary"를 발매하고 곧이어 음울한 분위기의 정규 3집 를 발매했다. 발매후 두 번째 월드 투어 'The Picture Tour' 중 싱글 "Charlotte Sometimes"를 발매하기도 했다. 투어 이후 스튜디오로 돌아간 큐어 멤버들은 앨범 제작에 힘썼고 4집 에서 포텐이 터진다. 하지만 밴드의 내부 사정은 좋지 못했다. 투어 당시 밴드의 분위기는 좋지 못했고, 결국 사이먼이 밴드를 탈퇴하게 되었다. 사이먼이 탈퇴한 직후 로버트는 싱글 "The Hanging Garden"을 발매했다. === 1983 - 1993 : 전성기 === 밴드의 상황이 극한까지 치밀게 되자 로버트는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끼게 되었고 팝적인 사운드의 음악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그 결과 댄스풍의 싱글인 "Let's Go To Bed"을 발매했고 5집인 부터는 상업적인 성공도 거두게 되었다. 7집 의 싱글 '[[Just Like Heaven]]'이 엄청난 인기를 끌며 밴드는 미국에서도 꽤 인기를 누리게 된다. 1989년 8집 <[[Disintegration]]>을 통해 밴드는 음악적으로나 상업적으로나 정점을 찍게 된다. [[1990년]]에는 [[팀 버튼]] 감독이 큐어의 리더 로버트 스미스의 이미지를 참고하여 영화 [[가위손]]을 만들었다. [[1992년]]에는 싱글 <[[Friday I'm in Love]]>[* 영화 [[어바웃 타임]]에 수록되기도 한다.]가 성공했다. 다만, 이 싱글은 음악적으로는 저평가를 받았다. == 여담 == 리더인 로버트 스미스는 [[사우스 파크]]에도 얼굴도장 찍은적이 있는데 하필이면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메카스트라이샌드]]에 대항하기 위해서 [[모스라]](...)로 거대화 변신해서 스트라이샌드와 싸운다(...) 2013년 안산 밸리 록 페스티벌 헤드라이너로 내한하였다. [youtube(6xpyxh1Q0ZI)] 2019년에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연사는 [[나인 인치 네일스]]의 [[트렌트 레즈너]]. 로버트 스미스는 14집이 큐어의 마지막 앨범이 될 것이라 말했다. 그래선지 2008년 11집 이후 2023년 현재 15년째 앨범이 안 나오고 있다(...) 2021년, 큐어에서 로버트 스미스 다음으로 오래 활동한 멤버, 사이먼 갤럽이 탈퇴했다. 하지만 후에 페이스북 게시물에 질문을 한 팬에게 다시 큐어에 속하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 음악성 및 영향력 == 흔히 더 큐어는 고딕 록으로 분류가 되지만 초기 앨범인 [[Three Imaginary Boys]]에서는 펑크의 영향을 받았었고, [[Wild Mood Swings]] 앨범 이후로는 고딕이라기 보다는 [[얼터너티브]]나 [[드림팝]]으로 분류된다. 정작 '''고딕'''으로 분류 되는 앨범은 [[Pornography]], [[Disintegration]], [[Bloodflowers]] 밖에 없다. 이들을 묶어서 흔히'''고딕 삼부작'''이라 부른다. 사실 로버트 스미스는 밴드가 특정 장르로 분류되는 것을 싫어한다. 본인들은 [[조이 디비전]]이나 [[에코 앤 더 버니멘]]과 같은 부류로 보길 원한다고. 로버트 스미스가 회고하길 밴드 결성 당시엔 펑크 록 열풍하고는 한발짝 떨어져 있었다고 한다. 이들은 웨스트 서섹스 주 [[크롤리]]라는 런던에서 떨어진 한적한 영국 남부 소도시 출신이였고, 당시 [[펑크 록]] 열풍에서는 꽤 어정쩡한 위치였다. 그나마 상경해서 [[수지 앤 더 밴시스]]랑 어울리긴 했으나 [* 로버트는 수지 앤 더 밴시스가 없었다면 [[엘비스 코스텔로]] 같은 음악을 했을지도 몰랐다고 고백한바 있다.] 고딕 록 딱지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고. 때문에 성공하기 전까지는 꽤나 노선 정립이 안 되고, 본인들도 스트레스 받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 디스코그래피 == * [[Three Imaginary Boys]] (1979) * [[Seventeen Seconds]] (1980) * [[Faith(더 큐어)|Faith]] (1981) * [[Pornography]] (1982) * [[The Top]] (1984) * [[The Head on the Door]] (1985) * [[Kiss Me, Kiss Me, Kiss Me]] (1987) * [[Disintegration]] (1989) * [[Wish(음반)|Wish]] (1992) * [[Wild Mood Swings]] (1996) * [[Bloodflowers]] (2000) * [[The Cure(음반)|The Cure]] (2004) * [[4:13 Dream]] (2008) [[분류:더 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