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넷플릭스 드라마, rd1=더 스파이(드라마))] ||<-2>
{{{#FFFFE4,#dddddd '''{{{+1 더 스파이}}}''' (2021)[br]''The Couri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더 스파이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 '''{{{#FFFFE4,#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스릴러]]}}} || || '''{{{#FFFFE4,#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도미닉 쿡}}} || || '''{{{#FFFFE4,#ddddd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톰 오코너}}} || || '''{{{#FFFFE4,#ddddd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애덤 아클랜드[br]로리 에이트켄[br]애슐리 폭스[br]톰 오코너}}} || || '''{{{#FFFFE4,#dddddd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베네딕트 컴버배치]][br] 메랍 니니트쩨[br][[레이첼 브로스나한]][br][[제시 버클리]][br]앵거스 라이트 ,,외,,}}} || || '''{{{#FFFFE4,#ddd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션 바빗}}} || || '''{{{#FFFFE4,#ddddd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벨 코르제니오스키}}} || || '''{{{#FFFFE4,#ddddd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42 [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필름네이션 엔터테인먼트 [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써니 마치}}} || || '''{{{#FFFFE4,#dddddd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조이앤시네마]] }}} || || '''{{{#FFFFE4,#ddddd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라이온스게이트]], 로드사이드 어트렉션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조이앤시네마|제이앤씨미디어그룹]], [[더콘텐츠온]] }}} || || '''{{{#FFFFE4,#ddd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1년]] [[3월 19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2021년]] [[5월 1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4월 28일]] }}} || || '''{{{#FFFFE4,#ddddd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FFFFE4,#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11분}}} || || '''{{{#FFFFE4,#dddddd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FFFFE4,#dddddd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FFFFE4,#dddddd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FFFFE4,#ddddd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E4,#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1년 개봉한 영국의 스릴러 영화이다. 원제는 'The Courier'(운반자).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h4bQK_PY90)]}}}|| || '''{{{#FFFFE4 예고편}}}''' || == 시놉시스 == > 전운이 감도는 1960년 냉전시대, 소련 군사정보국 '올레그 대령'은 > 정부의 눈을 피해 핵전쟁 위기를 막을 중대 기밀을 CIA에 전하고자 한다. > > CIA는 MI6와 협력하여 소련의 기밀 문서를 입수하기 위해 > 영국 사업가 '그레빌 윈'을 스파이로 고용해 잠입에 성공한다. > > 정체를 감춘 채 런던과 모스크바를 오가는 '그레빌 윈'과 '올레그 대령'의 > 은밀하고 위험한 관계가 계속될수록 KGB의 의심은 커져가는데... > > 가장 평범한 사람들의 가장 위대한 첩보 실화 > 때론, 한 사람의 용기가 세상을 바꾼다! == 등장인물[*주의 실존인물인 경우 링크가 있으나,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영화를 본 뒤에 읽을 것을 추천한다.] == === 주요인물 === * '''[[그레빌 윈]]''' {{{-1 -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 [[냉전]] 시대에 동구권에서의 세일즈 경험이 있는 영국의 세일즈맨. * '''[[https://en.m.wikipedia.org/wiki/Oleg_Penkovsky|올레그 펜코브스키]]'''[* 그레빌에게 자신의 이름이 영어로는 뜻이 좋지 않으니, '알렉스'라고 부르라고 하였다.] (Олег Владимирович Пеньковский Oleg "Alex" Vladimirovich Penkovsky) {{{-1 - 배우: 메랍 니니트쩨}}} 소련의 [[정보총국]](GRU) 소속 육군 포병 대령. * '''에밀리 도나반''' (Emily Donavan) {{{-1 - 배우: [[레이첼 브로스나한]]}}} 미국에서 MI6와 협력하기 위해 영국으로 건너온 [[CIA]] 요원. * '''쉴라 윈''' (Sheila Wynne) {{{-1 - 배우: [[제시 버클리]]}}} 그레빌의 아내. * '''디키 프랭크스''' (Dikie Franks) {{{-1 - 배우: 앵거스 라이트}}} 에밀리와 협력하는 [[MI6]] 요원. * '''그리바노프''' (Грибанов Oleg Gribanov) {{{-1 - 배우: 키릴 피로고프}}} [[KGB]]. * '''앤드루 윈''' (Andrew Wynne) {{{-1 - 배우: 케어 힐스}}} 그레빌의 아들. * '''베라''' (Вера Vera) {{{-1 - 배우: 마리아 미로노바}}} 펜코브스키의 아내. * '''니나''' (Нина Nina) {{{-1 - 배우: 에마 펜지나}}} 펜코브스키의 딸. === 조연 === * [[CIA]] 국장 (CIA Director Kohn A. McCone)[* 여담으로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1960년부터 1964년까지의 CIA 국장은 1961년에 교체된 앨런 W. 덜레스와 1961년에 취임한 존 A. 맥콘 이렇게 2명이었다.] {{{-1 - 배우: 젤코 이바네크}}} * [[니키타 흐루쇼프]] {{{-1 - 배우: 블라디미르 추프리코프}}} * 버트랜드 (Bertrand) {{{-1 - 배우: 안톤 레서}}} * 콕스 {{{-1 - 배우: 제임스 스코필드}}} * 리 {{{-1 - 배우: 프레드 헤이그}}} * [[https://en.wikipedia.org/wiki/Pyotr_Semyonovich_Popov|포포프]] {{{-1 - 배우: 페트르 클리메스}}} * 로벳 {{{-1 - 배우: 올리버 존스톤}}} * 미트로힌 {{{-1 - 배우: 온드레이 말리}}} * 레오나드 {{{-1 - 배우: 조나단 하든}}} * 타마라 {{{-1 - 배우: 앨리스 오어유잉}}} * 커트 {{{-1 - 배우: 이스테인 시구르다르손}}} * 이리나 {{{-1 - 배우: 올가 코치}}} * 하워드 {{{-1 - 배우: 리차드 글레이브스}}} * 미트로킨 {{{-1 - 배우: 온드레이 말리}}} ===# 단역 #=== * 그레빌에게 골프접대 받는 사업가들 {{{-1 - 배우: 데이빗 바크 존스, 마일즈 리차드슨}}} * 소련측 통역사 {{{-1 - 배우: 베니 마슬로프}}} * 젊은 관료 {{{-1 - 배우: 해리 카}}} * 소련측 무역협상 대리자 {{{-1 - 배우: 루스탐 가지예프, 유리 클리모프, 마리안 로렌식, 드미트리 보론초프, 잭 월터스}}} * 펜코브스키의 운전사 {{{-1 - 배우: 마리안 찰라니}}} * KGB 요원 {{{-1 - 배우: 안드루샤 힐셔}}} * 크렘린 대리인 {{{-1 - 배우: 알렉세이 포노마레프, 로스티슬라프 사발린}}} * 펜코브스키를 치료하는 의사 {{{-1 - 배우: 엘리나 알미나스}}} * 대사관 손님 {{{-1 - 배우: 로렐 레프코우, 제드 오킨}}} * 세관 직원 {{{-1 - 배우: 알레스 빌리크}}} * 비행기 승객 {{{-1 - 배우: 안드레이 쿠르가노프}}} * 비행기 안의 요원 {{{-1 - 배우: 알렉산더 코챠코프}}} * 나이 많은 죄수 {{{-1 - 배우: 즈데넥 페챠}}}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courier-2020, critic=62,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courier, tomato=85, popcorn=95)] [include(틀:평가/IMDb, code=tt8368512, user=7.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courier-2020, user=3.4)]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64556,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140474,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1920,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212001,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91503, light=<93.2%>)]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91914,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37958, expert=<전문가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 egg=<지수>)] == 수상 및 후보 == * 제36회 [[선댄스 영화제]] 초청작 * 제15회 로마 국제영화제 에브리바디 토킹 어바웃 잇 후보 * 제16회 취리히 영화제 초청작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ffffff,#ffffff 주차}}}''' || '''{{{#ffffff,#ffffff 날짜}}}''' || '''{{{#ffffff,#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ffffff 순위}}}''' || '''{{{#ffffff,#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ffffff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ffffff,#ffffff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ffffff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ffffff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ffffff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ffffff,#ffffff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기타 == [include(틀:필름마크)] * 배우 블라디미르 추프리코프가 [[니키타 흐루쇼프]]를 연기한 것은 러시아의 2013년 다큐멘터리 영화 'Gagarin: Pervyy v kosmose[* 영미권 제목은 'Gagarin: First in Space']에 이어 이번이 두번째다. * 실존인물 올레그 펜코프스키 대령은 [[톰 클랜시]] 소설 [[크레믈린의 추기경]]의 주인공 필리토프 대령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분류:2020년 영화]][[분류:영국의 스릴러 영화]][[분류:실화 바탕 영화]][[분류:냉전/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