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댄스 게임]][[분류:리듬 게임/대한민국]][[분류:1999년 게임]][[분류:아케이드 전용 게임]] [[파일:S1iP1.jpg]] [목차] == 개요 == [[https://www.grac.or.kr/download/GameImage/1999/9909-A58.jpg|심의 자료]] || [[파일:rhythmanddance-1.jpg|width=390]] || [[파일:rhythmanddance2.jpg]] || || 플레이 화면 || 기체 || 1999년 9월 중순[* 심의 날짜는 1999년 9월 13일.]에 발매된 대한민국산 댄스형 리듬 게임. 코드네임은 '''DM9600'''. 플레이웍스[* 심의 신청자는 '연합전자미디어'라는 명의로 적혀있다.]가 개발했으며, [[댄스 댄스 레볼루션]]의 인기를 편승할 겸 견제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작품 중 하나다. 난이도는 EASY, NORMAL, HARD, DOUBLE(싱글 한정)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면부 버튼으로 난이도, 캐릭터, 수록곡을 고를 수 있었다. 원조 DDR처럼 상하좌우로 밟으며, 게임 플레이 화면에 시각효과의 BGA를 배경으로 3D로 모델링 된 댄서가 춤을 춘다. 2000년 1월 중순에는 확장판인 더 리듬 앤 댄스 2가 나왔다. == 수록곡 == 게임챔프 2000년 3월호에 실린 소개문에 확인된 목록이다. 확장판을 기준으로 작성됨. === 한국 가요 === * 순정 - [[코요태]] * 돌아와 - [[클론(가수)|클론]] * [[꿍따리 샤바라]] - 클론 * 게임의 법칙 - [[구피(음악 그룹)|구피]] * 집착 - [[박미경]] * 일심 - [[컨츄리꼬꼬]] * [[Gimme! Gimme!]] - 컨츄리꼬꼬 * [[FESTIVAL(인생은 아름다워)]] - [[엄정화]] * 무정 - [[채정안]] * [[바꿔]] - [[이정현(멀티 엔터테이너)|이정현]] * 와! - 이정현 * Forever - 엄정화 * 아무것도 몰라요 - [[박지윤(가수)|박지윤]] * [[Killer(베이비복스)|Killer]] - [[베이비복스]] * 성숙 - [[스페이스 에이|SPACE A]] * 주홍글씨 - SPACE A * Shut Up - [[유승준]] * 부담 - [[백지영]] * 9 To 5 - [[조이디]] * [[회심가]] - [[태사자(아이돌)|태사자]] * Tell Me Tell Me - [[S\#ARP]] * OK 펑크 - 도로시 * 물고기 - [[럭스(밴드)|럭스]][*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에 휘말린 덕분에 인지도가 높아진 펑크 밴드다.] === 오리지널 === * 샤키샤카 * Dr. OK 아티스트는 Alain(알랭)으로 표기되었다. === 외국곡 === 일부는 커버곡이다. * No Seas Malo - Minerva * Chiri bim bom - DJ Rabbi * Dance Romance - 2 Nite Brothers[* [[릭 애슬리]]의 대표곡인 [[Never Gonna Give You Up]]을 어레인지한 유로 댄스곡.] * Because I Love U - Shannon James * Call Girl - Daze * Rockawillie - Sabrina Salerno * No Limit - [[투 언리미티드|2 Unlimited]] * Twilight Zone - 2 Unlimited * [[Tarzan Boy]] - Baltimora * Rough Enough - Popsie * It's Raining Men - East End * [[My Boy Lollipop]] - Tanja Maria * Cruel Summer - [[에이스 오브 베이스|Ace of Base]] * [[BUTTERFLY(SMiLE.dk)|Butterfly]] - Kotoh[* [[SMiLE.dk]]가 불렀던 곡을 리메이크한 버전.] * Susanna (Life Is Life) - Groovy Groovy[* [[Opus(가수)|오푸스]]의 Live is life를 어레인지한 테크노곡.] * Boys - [[SMiLE.dk]] * Be My Lover - La Bouche * Don't Worry - Newton == 현황 == 유감스럽게도 현재 플레이할 수 있는 장소나 방법이 전혀 없다. 게임 관련 잡지 [[게임챔프]] 2000년 3월호에 확장판이 소개되기도 했다. [[게임메카]]를 통해 해당 자료를 지금도 볼 수 있다. [[https://www.gamemeca.com/magazine/view.php?mgz=gamechamp&ym=2000_3&p=119|#]] 이 외에도 리듬게임 관련 커뮤니티 사이트인 [[Zenius -I- vanisher]]에서 2012년 1월 15일 저녁 6시 52분에 올라온 포스팅에 따르면 [[미국]] [[테네시]] 주에 있는 도시 피전 포지에 위치한 놀이공원 돌리우드 내 오락실에서 2006년 기준으로 가동된 기록이 있다. 일자 미상에 철거된 모양.[[https://zenius-i-vanisher.com/v5.2/thread?threadid=4684|#]] 마지막에 존재가 확인된 곳은 [[강원도]] [[태백시]] 황지로에 위치했던 [[오락실/강원/폐업#게임타운|게임타운]]에 있었는데, 2018년 7월 기준[[https://cafe.naver.com/analoguser/26613|#]]으로 폐업 직전까지 발판과 기체가 분리된 채 대부분의 기계처럼 방치되어 있었다. 해당 오락실은 2021년 8월 방문 결과 문이 잠겨있었고, 2022년 8월 방문 결과 간판까지 철거되면서 폐업이 확인됐는데 해당 기기의 행방은 불명이나 폐기처분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