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소설, rd1=더 라이브(소설), other2=동명의 연예 기획사, rd2=THE L1VE)] [include(틀:KBS 2TV 시사교양)] ||<-2> {{{#fff {{{+2 '''더 라이브'''}}}}}} ||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더라이브.jpg|width=100%]]}}}|| || '''방송사'''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50&theme=light]]]][[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1984-2023) 컬러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 || '''방송 채널'''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5]]]] || || '''방송 시간''' ||[[월요일]]~[[목요일]] 밤 11시 || || '''정규 편성''' ||[[2019년]] [[9월 23일]] ~ [[2023년]] [[5월 25일]] (시즌 1)[* [[KBS 1TV]] 편성.][br][[2023년]] [[6월 12일]] ~ [[2023년]] [[12월]] 중순 (시즌 2)|| || '''진행자''' ||[[최욱]], [[이광용]] || || '''책임프로듀서''' ||정택수 || || '''프로듀서''' ||김문식 || || '''연출''' ||서진교, 김아리, 최정빈, 김유리,[br]이지웅, 원지영, 허유림, 강현주 || || '''작가''' ||허정원, 김현경, 서은혜, 고아진,[br]이은별, 임선혜, 김규리 || || '''클로징 멘트''' ||오늘도, ○○도, 더, 라이브~[* 보통 월~수 방송분에는 '''내일''', 목요일에는 '''다음주'''를 붙였으며, 편성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후반부 코너가 진중하게 진행될 때는 인삿말 '''함께 해 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로 대체.] || || '''관련 사이트''' ||[[http://program.kbs.co.kr/1tv/culture/thelive|[[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50&theme=light]]]][[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1984-2023) 컬러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https://youtube.com/c/KBS%EB%8D%94%EB%9D%BC%EC%9D%B4%EB%B8%8C|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ykh_q9-bcIQ)]}}}|| [[KBS 2TV]]에서 방송되었던 매일 심야 시사 프로그램. [[오늘밤 김제동]]의 후속 프로그램으로 론칭되었으며, [[UHD]]로 방송하였다. KBS 더 라이브 유튜브 채널에서 동시방송으로 볼 수 있었는데 KBS라서 그런지 --앞광고는 이전 회차 하이라이트나 그날 선곡한 노래 제목이 적힌 화면등으로,-- 중간광고는 자체적으로 만든 카운트다운 화면으로 가려버렸다.[* KBS 1TV에서 방송했을 당시에는 KBS 뉴스 유튜브 채널과 KBS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KBS NEWS D]]에도 동시방송됐으나 [[KBS 뉴스라인]]의 월~목 시간대가 더 라이브가 빠진 시간대로 옮겨와서 그쪽은 실시간 스트리밍이 끊겼고 라이브라서 그런지 재방송은 따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정확히는 재방송이 있었지만 2TV로 이동하면서 없어졌다.] 이때 아이캐치 화면에 삽입되던 BGM은 [[김광석]]의 [[기다려줘]]. 2023년 5월 25일에 시즌 1이 종료되었고, 2주간의 휴식기를 가진 뒤 2023년 6월 12일부터 [[KBS2]]로 플랫폼을 옮기게 됐으며[* KBS1에는 더 라이브 뒤에 방영되던 [[KBS 뉴스라인]]이 국제 뉴스 위주의 [[KBS 뉴스라인 W]]로 개편한 뒤 시간대를 앞당겨 편성됐다.] 방송 시간도 60분으로 확대됐고 그 다음날 700회를 맞았다. 사실상 2009년 10월 15일 [[이병순]] 전 사장에 의해 강제 종영당했던 [[생방송 시사360]](구. 생방송 시사투나잇)의 부활이라고 볼 수 있었는데, 다만 다른 채널의 [[동상이몽 너는 내 운명]], [[불타는 장미단]],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등 밤 11시대 예능 프로그램과 정면으로 경쟁하기도 했다. [[KBS 1TV]]에서 방송했을 당시 월요일은 결방되는 경우가 잦았는데 [[가요무대]] 특집방송 80분이 편성되면 결방되기도 했다. 2023년 11월 13일 [[박민(언론인)|박민]] 사장의 취임과 동시에 일주일간 대체 편성되었고, 2023년 11월 16일, 공식적으로 종영이 결정되었다. 4주간 대체방송을 편성한 뒤의 공식적 종방일은 12월 중순이라고 하며, 결국 [[생방송 시사360]]처럼 이 프로그램도 사장에 의해 강제 종영당하는 결말을 맞고 말았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870|#]][* 다만 시사360은 마지막 방송을 하기라도 했지, 더 라이브는 그런것도 없이 결방 후 그냥 종영이 결정되었다.] 아마 2024년 1월부터 더 라이브가 방송되던 시간대는 이전처럼 예능 프로그램들이 편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 기획 의도 == >하루에도 수만 개씩 쏟아지는 소식들, 하지만 어렵고 딱딱하고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도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하루를 정리하는 밤 10시 50분, KBS가 하루의 소식들을 쉽고 재미있게 그리고 더욱 생생하게 이야기한다. >한밤의 시사토크쇼 '더 라이브', 시청자들과 실시간 소통하며 그동안 보지 못했던 새로운 형태의 시사토크쇼가 펼쳐진다. >----- >[[http://program.kbs.co.kr/1tv/culture/thelive/pc/detail.html?smenu=c8e571|#]] == 특징 == 기획 의도대로 다른 시사 프로그램들에 비해서 쉽고 가볍다는 특징이 있었다. 정치와 경제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전문용어를 최대한 배제했고, 배경지식 등을 하나하나 물어갔기 때문에 평소에 뉴스가 잘 이해가 안 되는 사람도 시청하기 편했다. == 역대 진행자 == || 대수 ||<-2> 진행자 || 진행기간 || || 1대 || [[한상헌]] ||<|3> [[최욱]] || [[2019년]] [[9월 23일]] ~ [[2020년]] [[2월 18일]] || || 2대 || [[오언종]] || [[2020년]] [[3월 4일]] ~ [[2023년]] [[4월 27일]] || || 3대 || [[이광용]] || [[2023년]] [[5월 1일]] ~ [[2023년]] [[12월]] 중순 || == 종영 직전까지 진행된 고정 및 준고정 코너 == 2023년 10월 시즌2 기준 * 정치쇼 진품명품([[김성회(1972)|김성회]] 정치연구소 씽크와이 소장, [[김병민]] 국민의힘 최고위원) * 매주 월요일[* 시즌1에서는 매주 목요일]마다 고정적으로 방영되던 코너로, [[TV쇼 진품명품]] 프로그램 방식처럼 매주 정치권에서 이슈가 되는 발언들에 대해 감정가를 매기고, 그 발언에 대한 평가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김성회 소장은 코너 첫 시작부터 고정 패널로 출연하였으며, 초창기에는 [[이준석]] 대표도 대표 취임 이전에 고정 패널로 출연하였으나, 대표 취임 이후에는 하차하였다. 그 이후로 [[천하람]] 당협위원장이 맡아오다가 23년 5월 오언종 아나운서 동시에 하차하여 몇주간 고정패널 없이 여러 보수측 패널이 나오다가 시즌2 개편 이후 종영될때까지는 김병민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출연하였다. * 여의도 마이너리그 * 시즌2 시작과 함께 새로 편성된 화요일 준편성 코너로, 현재 원외에 있는 여야 정치인사들을 불러 각종 정치 시사 이슈에 대해 토론하던 코너이다. * 주로 보수인사 2인, 진보인사 2인 구성으로 하여 [[이언주]], [[박원석]], [[김진애]] 전 의원등이 출연하고 있었다. * 여의도 통큰형제들([[윤상현(정치인)|윤상현]] 국민의힘 의원,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 * 시즌2 시작과 함께 새로 편성된 수요일 준편성 코너로, 윤상현의원이 외교통으로, 박범계 의원이 법조통 역할로 출연하여 화제가 되는 이슈에 대해 정치계의 시각으로 토론하는 코너였다. * 뉴스 꼬리곰탕([[장성철(1970)|장성철]] 공론센터 소장, [[장윤선]] 정치전문기자) * KBS 라디오에서 장앤장 콤비로 활동한 장성철 소장과 장윤선 기자가 몇 가지 정치시사 이슈를 다루는 코너였다. * 23년도 4월경 시작했으며, 준고정코너로 시즌2 기준 매주 목요일에 편성되고 있었다. * 여의도 재개발 4285([[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박지원]] 전 국정원장) * 4285는 [[1942년]]생 박지원 전 국정원장과 [[1985년]]생 이준석 전 대표의 출생연도를 딴 것이었다. 여야갈등이 심화되며 통근형제가 출연빈도가 낮아지면서 등장하게 된 프로. * 23년도 8월부터 고정 프로가 되었다. 배경음악은 [[유산슬(가수)|유산슬]]의 사랑의 재개발. * 이 외에도 각종 정치, 사회계 이슈에 대한 내용이 있으면 관련된 전문가들이 출연하는 편이었으며, 자주 나오던 패널로는 [[박지훈(1976)|박지훈]] 변호사, [[최영일(1966)|최영일]] 시사평론가, [[임경빈]] 시사평론가, [[김준일(언론인)|김준일]] 뉴스톱대표 등이 있었다. * 시즌1 말기에는 '정치쇼 진품명품'을 제외하고는 제목이 정해진 고정코너 및 준고정코너가 잘 편성되지는 않았으나, 시즌2 개편 이후로는 새로운 코너 개설과 함께 준정규, 정규 코너 편성을 조정하고 있었다. * 가끔씩 코너 주제에 따라 프로그램 종료 후, 유튜브 채널 라이브 방송으로 연장방송을 진행하기도 했으며, 연장방송 시에는 최소 2만~3만 명 이상 동접자 수를 기록할 정도로 인기가 좋았다.[* 이준석 대표가 고정패널로 나오던 시절 유튜브 연장방송 시에는 최대 48,000명까지 동접자가 들어오기도 했다. 오랜만에 이준석 대표가 출연한 2021년 10월 4일 유튜브 연장방송은 27,600명까지 동접자가 들어와 여전한 인기를 보여주었다.] 다만 시즌2 개편 이후로는 방송시간이 60분으로 늘어나면서 연장방송은 진행하지 않았다. == 과거 고정코너 == * 박씨도사([[박시영(1968)|박시영]] 윈지코리아 대표) * 박시영 대표가 도사 컨셉으로 나와 정치계 현안에 대해 예측, 분석하는 코너 * 신과함께 갓경제(김동환 대안금융경제연구소장, 방송인 [[정영진]]) * 유튜브 경제채널 '삼프로tv'에 출연하는 김동환 소장과 방송인 정영진이 고정출연하여 경제 분야 이슈에 대해 분석하는 코너 * 신대박([[신유진(변호사)|신유진]] 변호사, 박경미 변호사) * 사회적 이슈에 대해 찬반을 나눠 토론역할극을 진행하여 분석하는 코너 * 달콤살벌 정치토크 '그랬구나'([[임이자]] 의원, [[강병원]] 의원) * 서로 다른 당 의원 2명이 정치 현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는 코너로, 어떤 비평이 있더라도 그랬구나로 말해야 하는 게 포인트이다. * 내 꿈은 훈수왕([[이재오]], [[이석현(정치인)|이석현]]) * 정치계 원로들이 정치 현황에 대해서 분석하고 평론하는 코너로, 원래는 [[박지원]]이 출연했었으나, 35대 [[국가정보원장]]으로 내정되면서 패널이 이석현 전 국회부의장으로 교체되었다. * 앉아서 세계속으로 * [[걸어서 세계속으로]]의 패러디 코너로, 세계 시사 이슈에 대해서 분석하는 코너였으나, 얼마 가진 못하였다. * 승원투어(이승원 평론가) * 앉아서 세계속으로와 마찬가지로, 세계 시사 이슈를 다루는 코너로, 이승원 평론가가 여행 가이드 컨셉으로 나와서 진행한다. * 신박한 인물사전 (성우 [[홍시호]]) * 대성우 홍시호의 목소리와 함께 정치적 화제인물의 인생을 돌아보는 코너 * 월요명화 * 프로그램 제목은 과거 KBS에서 방영했던 [[토요명화]] 프로그램에서 따왔으며,[* 코너 오프닝부터 컨셉까지 토요명화의 그 모습을 그대로 가져왔다.] KBS 아카이브에 있는 과거 정치 영상 등을 꺼내보며 당시 이슈를 돌아보는 코너로, 요일을 변경해가며 방영을 자주하였다. 현재는 봉감독의 하드털이로 코너가 계승. * 박변극장([[박지훈(1976)|박지훈]] 변호사) * 박지훈 변호사가 법조계 및 법률이슈와 관련된 부분을 다룰때 나오던 코너로, 박지훈 변호사가 직접 성대모사와 연기도 하면서 진행한다. * 갑순다방(김갑수 평론가, 배순탁 작가) * 방송 초창기에 나왔던 코너로, 해당 시사 이슈에 어울리는 팝송 등을 소개하며 들어보는 코너이다. * 여의도 시그널(이택수 리얼미터 대표, 김수민 시사평론가) * 2021년 재보궐 선거 즈음부터 하여 신설된 코너로, 초창기에는 박시영 윈지코리아 대표와 윤희웅 오피니언 라이브 센터장이 출연하였다. * 재보궐 선거 이후에는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와 김수민 시사평론가로 패널이 바뀌었고, tvN 드라마 [[시그널(드라마)|시그널]]을 패러디하여 정치권 여론 분석 및 전망에 대한 토크를 진행하였다. *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조진웅이 연기한 [[이재한(시그널)|이재한]]을, 김수민 평론가는 이제훈이 연기한 [[박해영(시그널)|박해영]]을 패러디하기도 한다. --시간이 가면 갈수록 이제훈 연기를 닮아가는 김수민 평론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최근 몇 달 동안은 코너가 잘 방영되지 않고 있다. * 봉감독의 하드털이 ([[봉만대]] 영화감독) * 봉만대 감독이 출연하여 KBS 아카이브 자료실에 있는 영상들을 활용한 과거 정치 이슈 영상들을 보여주는 코너이며, 2주에 한 번꼴로 방영된다. * 과거 진행했던 월요명화 코너와 상당히 유사하다. * 정치가중계([[김준일(언론인)|김준일]] 뉴스톱 수석에디터, [[김수민(시사평론가)|김수민]] 시사평론가) * 준고정적으로 진행되는 코너로, 마치 스포츠 중계를 하듯이 정치시사 이슈를 다루는 코너이다. * 정치 '쫌' 아는 형님([[이재오]] 국민의힘 상임고문, [[박지원]] 전 국정원장) * 정치계의 큰 형님이라고 볼 수 있는 이재오 상임고문 및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정치시사 이슈를 다루는 코너이다. * 가끔씩 정치계의 원로격인 다른 패널이 등장하기도 한다. * 경제클라쓰 * 2020년까지 진행했던 신과함께 갓경제 코너를 잇는 경제 현황 분석 코너이다. * 컨셉은 경제 포기자들도 경제 이해할 수 있도록 경제를 안내하는 것이며, 실물 경제에 대한 기초적인 부분 소개 위주로 진행된다. * 한동안 방영이 되지 않다가, 23년도 들어 간간히 중요한 경제이슈가 있을때마다 편성되는 편이다. [[분류:KBS 교양]][[분류:2019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23년 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