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ColorfulCautiousSquealingJail, 합의사항1=프로필 표에서 2020~21년 롯데 경력과 2022년 롯데 경력을 한 줄에 표기하기)] ||
'''댄 스트레일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외국인 선수)]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개막전 선발 투수)] ---- ||
'''댄 스트레일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3|[[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 2020 KBO 리그 탈삼진왕}}}''' || ---- ||<-5>
'''{{{#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67번}}}''' || || [[션 두리틀]][br](2012) || {{{+1 →}}} || '''{{{#003831 댄 스트레일리[br](2012~2014)}}}''' || {{{+1 →}}} || [[대니 쿨롬]][br](2015) || ||<-5> '''{{{#fff [[시카고 컵스|{{{#fff 시카고 컵스}}}]] 등번호 19번}}}''' || || 네이트 슈어홀츠[br](2013~2014) || {{{+1 →}}} || '''댄 스트레일리[br](2014)''' || {{{+1 →}}} || 조나단 에레라[br](2015) || ||<-5> '''{{{#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7번}}}''' || || 제프 펄치노[br](2010~2011) || {{{+1 →}}} || '''{{{#000000 댄 스트레일리[br](2015)}}}''' || {{{+1 →}}} || [[크리스 데븐스키]][br](2016~2020) || ||<-5> '''{{{#fff [[신시내티 레즈|{{{#fff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58번}}}''' || || 네이선 애드콕[br](2015) || {{{+1 →}}} || '''댄 스트레일리[br](2016)''' || {{{+1 →}}} || [[루이스 카스티요]][br](2017~2022) || ||<-5> '''{{{#f9423a [[마이애미 말린스|{{{#f9423a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58번}}}''' || || 라두엘 라조[br](2015) || {{{+1 →}}} || '''댄 스트레일리[br](2017~2018)''' || {{{+1 →}}} || 윌킨 카스티요[br](2019) || ||<-5> '''{{{#fff [[볼티모어 오리올스|{{{#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53번}}}''' || || [[잭 브리튼]][br](2011~2018) || {{{+1 →}}} || '''댄 스트레일리[br](2019)''' || {{{+1 →}}} || [[타이 블락]][br](2019)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8번}}}''' || || [[정준혁(야구선수)|정준혁]][br](2018~2019) || {{{+1 →}}} || '''스트레일리[br](2020~2021)''' || {{{+1 →}}} || [[진승현]][br](2022~2022.8.4.) || || [[진승현]][br](2022~2022.8.4.) || {{{+1 →}}} || '''스트레일리[br](2022.8.10.~2023)''' || {{{+1 →}}} || 결번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댄 스트레일리 프로필.png |width=100%]]}}} || ||<-2> '''{{{+2 댄 스트레일리}}}[br]Dan Straily''' || || '''본명''' ||대니얼 스티븐 스트레일리[br]Daniel Steven Straily|| ||<|2> '''출생''' ||[[1988년]] [[12월 1일]] ([age(1988-12-01)]세)||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레들랜즈||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서스턴 고등학교 - 웨스턴 오리건 대학교 - 마셜 대학교|| || '''신체''' ||189cm, 100kg|| || '''포지션''' ||'''[[선발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2009년 드래프트 24라운드 (전체 723번,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2~2014)[br][[시카고 컵스]] (2014)[br][[휴스턴 애스트로스]] (2015)[br]'''[[신시내티 레즈]] (2016)'''[br][[마이애미 말린스]] (2017~2018)[br][[볼티모어 오리올스]] (2019)[br]'''[[롯데 자이언츠]] (2020~2021, 2022'''~2023)[* 2022 시즌 도중 대체용병으로 영입]|| || '''가족''' ||아내 아만다 장 밀러[br]아들 잭슨 스트레일리|| || '''SNS''' ||[[https://www.instagram.com/straily5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anstraily67, 크기=20)] | [[https://m.youtube.com/channel/UCOzUTDz9Vdo1suxwGvJmIp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twitch.tv/straily58|[[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선수 경력]] == ||
<-5> '''통합 선수 경력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 || ||<-5> [[파일:MLB 로고.svg|width=45]] ||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s-3.1|'''{{{#white 2012년}}}''']]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s-3.2|'''{{{#white 2013년}}}''']]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s-3.3|'''{{{#white {{{-2 14 OAK}}}}}}''']]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s-4.1|'''{{{#white {{{-2 14 CHC}}}}}}''']]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s-5.1|'''{{{#white 2015년}}}''']] ||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s-6.1|'''{{{#white 2016년}}}''']]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s-7.1|'''{{{#f9423a 2017년}}}''']] ||<-2>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s-7.2|'''{{{#f9423a 2018년}}}''']]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s-8.1|'''{{{#white 2019년}}}''']] || ||<-5>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2020년|'''{{{#fff 2020년}}}''']]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2021년|'''{{{#fff 2021년}}}''']] ||<-2>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s-11.1|'''{{{#fff 2022년}}}''']]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2023년|'''{{{#fff 2023년}}}''']] || == 피칭 스타일 == 우완 [[쓰리쿼터]] 스타일로 평균 구속 145km/h 정도의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체인지업]] 등의 변화구를 구사한다. 메이저리그에서의 투구비율은 전체적으로 패스트볼의 비율이 가장 높고 변화구 중에선 슬라이더와 체인지업을 자주 구사했다. 커리어 초반에는 낙폭이 큰 변화구로 뛰어난 탈삼진 능력을 보여줬으나 2019년에는 무릎 부상의 영향으로 변화구의 궤도가 무뎌지면서 피장타율이 높아졌다. 롯데 자이언츠는 이 부상에서 회복한다면 스트레일리가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그를 영입했다. [[박세웅]]의 커브 그립으로 낙차 큰 커브도 종종 던진다.[* 댄 스트레일리가 [[박세웅]]의 낙차 큰 커브에 매우 관심이 있었고 직접 비법을 전수받는 모습이 [[자이언츠 TV]]에 포착됐다.] 슬라이드 스텝은 약간 느리지만 좋은 공과 제구로 타자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nStraily_pitch_slider.gif|width=100%]]}}} || || 슬라이더(2017 시즌) || 탈삼진/볼넷비율은 마이너리그 통산 3.51, 메이저 리그 통산 2.18이고 트리플 A에선 9이닝당 볼넷 2.6개를 기록했다. 비교적 뜬공이 많이 나오는 유형으로 이닝 대비 피홈런 횟수도 점점 늘어나는 편. 비교적 하위리그인 KBO에서는 205K를 기록할 정도로 탈삼진을 많이 잡아내고 있다. 1회에는 고전하면서 투구수가 늘어나도 6이닝 7이닝 먹는 슬로우 스타터의 모습을 보여주며 불펜의 피로도 또한 줄여준다. 시즌 초 [[아드리안 샘슨]]의 공백으로 4일 로테이션을 돌고 중반에 휴식없이 후반 5강 싸움을 위해 다시 4일 로테를 소화해내며 놀라운 체력을 보여줬다. 전담 포수제로 [[정보근]]과 호흡을 맞추는데 호흡이 잘 맞아 투구 템포가 상당히 빨라진다. 실제로 [[김준태(야구선수)|김준태]]가 중간에 들어오면 [[정보근]]에 비해 투구 템포가 느려지는 모습도 보여준다. 2021년엔 제구도 많이 무뎌졌으며 패스트볼의 구위 역시 많이 떨어지면서 140 후반의 패스트볼이 깨끗하게 맞아나가면서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주다 시즌 후반기에 조금씩 폼이 올라오는 모습을 보였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 '''{{{#blue,#0000ff 푸른 글씨}}}'''는 KBO 최다, '''{{{#red,#ff0000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13> {{{#003831 MLB 역대 성적}}}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탈삼진 || 피안타율 || WHIP || bWAR || || 2012 ||<|3>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7 || 2 || 1 || 0 || 0 || 39.1 || 3.89 || 32 || .237 || 1.32 || 0.4 || || 2013 || 27 || 10 || 8 || 0 || 0 || 152.1 || 3.96 || 124 || .233 || 1.24 || 1.5 || || 2014 || 7 || 1 || 2 || 0 || 0 || 38.1 || 4.93 || 34 || .232 || 126 || -0.1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탈삼진 || 피안타율 || WHIP || bWAR || || 2014 || [[시카고 컵스|CHC]] || 7 || 0 || 1 || 0 || 0 || 13.2 || 11.85 || 13 || .323 || 2.12 || -0.9 || ||<-2> 2014 합계 || 14 || 1 || 3 || 0 || 0 || 52 || 6.75 || 47 || .260 || 1.48 || -1.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탈삼진 || 피안타율 || WHIP || bWAR || || 2015 ||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4 || 0 || 1 || 0 || 0 || 16.2 || 5.40 || 14 || .239 || 1.44 || -0.1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탈삼진 || 피안타율 || WHIP || bWAR || || 2016 || [[신시내티 레즈|CIN]] || 34 || 14 || 8 || 0 || 0 || 191.1 || 3.76 || 162 || .220 || 1.19 || 4.1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탈삼진 || 피안타율 || WHIP || bWAR || || 2017 ||<|2> [[마이애미 말린스|MIA]] || 33 || 10 || 9 || 0 || 0 || 181.2 || 4.26 || 170 || .256 || 1.30 || 1.2 || || 2018 || 23 || 5 || 6 || 0 || 0 || 122.1 || 4.12 || 99 || .237 || 1.30 || 0.6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탈삼진 || 피안타율 || WHIP || bWAR || || 2019 || [[볼티모어 오리올스|BAL]] || 14 || 2 || 4 || 0 || 0 || 47.2 || 9.82 || 33 || .349 || 1.99 || -1.3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8시즌) || 156 || 44 || 40 || 0 || 0 || 803.1 || 4.56 || 681 || .246 || 1.32 || 5.4 || ||<-17> {{{#fff KBO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탈삼진 || WHIP || sWAR || || 2020 ||<|4> [[롯데 자이언츠|롯데]] || 31 || '''194⅔'''[br](3위) || '''15'''[br](3위) || 4 || 0 || 0 || '''2.50'''[br](2위) || 194.9 || 3.01 || 148 || 10 || 51 || '''{{{#red 205}}}'''[br](1위) || 1.02 || '''7.53'''[br](3위) || || 2021 || 31 || 165⅔ || 10 || '''{{{#red 12}}}'''[br](1위) || 0 || 0 || 4.07 || 111.5 || 3.63 || 162 || 12 || 66 || '''164'''[br](5위) || 1.38 || 3.02 || || 2022 || 11 || 62⅓ || 4 || 2 || 0 || 0 || 2.31 || 180.1 || 3.96 || 54 || 5 || 22 || 55 || 1.22 || 1.82 || || 2023 || 16 || 80⅓ || 3 || 5 || 0 || 0 || 4.37 || 92.5 || 4.36 || 82 || 6 || 37 || 70 || 1.48 || 0.67 || ||<-2> '''[[KBO 리그|KBO]] 통산'''[br](3시즌) || 89 || 503 || 32 || 23 || 0 || 0 || 3.29 || 135.1 || 3.55 || 446 || 33 || 176 || 494 || 1.19 || 13.04 || == 여담 == * [[브룩스 레일리]]의 대체 용병으로 롯데로 왔다 보니 롯데팬들 사이에서는 레일리가 가고 스트라이크를 던지는 레일리가 왔다, 레일리가 해탈한 나머지 [[성인]]이 되어 왔다[* St. 레일리] 같은 발언이 성행하고 있다. 심지어 나이도 같다. 호투 후에 승리를 못 챙기는 것도 같아서 [[스트레스]]+[[브룩스 레일리|레일리]]라는 농담도...[* 이것에 관한 또 다른 농담도 있는데, KIA에 있는 [[애런 브룩스]]와 스트레일리가 2020 시즌 6월까지만 해도 정말 승운이 없는 투수였다. 이를 보고 팬들은 이 둘이 각각 '브룩스'와 '레일리'를 나눠 가져갔기 때문에 승리를 못 챙긴다는 농담을 한다.] 단 스트레일리와 레일리의 철자는 각각 Straily와 Raley이고, 던지는 손도 반대이다. * KBO 리그에서의 데뷔전을 치르고 난 다음날에 가진 ESPN과의 화상 인터뷰에서 KBO의 야구장 환경에 대해 마치 [[전미 농구 협회|NBA]] 경기장 같다고 표현했다.[[http://naver.me/51gmhKvY|#]] * 자신이 입단하기 전 2018년에 발생했던 [[이대호]] 치킨 사건을 알고 있다. 이 사건을 Momentum 채널의 화상 인터뷰에서 언급했다. [[https://youtu.be/ZiQbNCSXUa4|영상]] * 본인의 기량 자체도 훌륭하지만 팀 스피릿과 워크에식이 대단히 좋다. 스스로 자신의 승리보다는 팀이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하며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는 외인 투수이다. 훈련이던 경기던 성실하게 임하며, 외국인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팀 분위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며 솔선수범하는 모습에 팬들은 절대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롯데 자이언츠의 [[성민규]] 단장 역시 이영미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스트레일리는 프로다. 생활도 프로, 인터뷰도 프로, 모든게 프로. 돈을 더 주고 싶게 만드는 선수" 라며 극찬한 바 있다. * 신발을 좋아한다고 한다. 시즌 중 [[성민규]] 단장이 신고 있던 나이키 조던 운동화에 관심을 보였고, 이에 성민규 단장이 한 켤레를 주문해주었다고 한다. 스트레일리는 가격을 지불하겠다고 했지만 성민규 단장이 고사했다고. * 최근 선수단에게 [[김준태(야구선수)|김준태]]를 프린트한 티셔츠를 나눠줬다고 한다. 이 티셔츠가 공개된 이후 팬들의 제작 요청이 쇄도하자 '''실제로 제작에 들어간다!''' 8월 12일 경기에서는 구단 자체 수훈선수 인터뷰 때 실제 모델인 [[김준태(야구선수)|김준태]]와 함께 같이 준태티를 입었다.[* 이 날 스트레일리는 6이닝 2실점, 김준태는 데뷔 첫 만루홈런으로 팀 승리에 공헌했다.] * 경기가 없거나 우천취소되면 가끔 [[트위치]]에서 [[카를로스 아수아헤]]처럼 게임 방송을 켠다. [[https://www.twitch.tv/straily58|트위치 주소]] 주로 하는 게임은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뛰어난 야구 실력과는 반대로 게임 실력은 영 아닌 듯... [[아드리안 샘슨]]과도 함께 게임을 즐긴다. 팀 밖에선 [[채드 벨]] 등과 같이 게임을 하기도 한다. * 아버지가 전직 소방관인데, 2020년 7월에 한 어린이를 구하기 위해 강물에 뛰어들었고, 무사히 구조했으며 혹시 모를 폐렴 검진을 위해 입원중이라며 SNS에 글을 올렸다.[[http://naver.me/50tmUwli|#]] 그러면서 스트레일리는 자신의 아버지의 행동에 놀라지 않았고, 그게 자신의 아버지의 모습이며, 그런 아버지가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 2020년 7월에 처음으로 [[짜파게티]]를 먹었다.[[https://youtu.be/X_9oo8ONWQQ|#]] * 자신의 선발 경기가 있는 날, 경기 시작 전에 커피를 팀원들에게 산다고 한다. 이제 루틴이 된 듯. 그런데 커피를 사고 난 이후부터 귀신같이 연승 중이다. * 7월 현재 계속해서 호투를 이어나가고 있고 약간 불안한 선발진[* [[노경은]]이 부상으로 이탈하고 대체선발인 [[장원삼]]이 최대한 막고 있고 [[박세웅]]은 피홈런, [[서준원]]은 제구력 난조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아드리안 샘슨]]은 불이나 저지르고 있다.]을 홀로 지탱하는 모습을 보여주자 [[조쉬 린드블럼|린]][[최동원|동원]], [[브룩스 레일리|레]][[주형광|형광]]을 이은 댄[[윤학길|학길]]로 불리고 있다. * [[삼성 라이온즈]]의 외국인 선수 [[데이비드 뷰캐넌]]과 더불어 덕아웃의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 수염이 [[에릭 테임즈]]를 연상시킬 정도로 강렬하게 인상적이라는 의견이 많다. 본인도 자기 수염이 최고라고 할 정도이다. * 자이언츠 TV에서 선수들을 상대로 헛스윙 삼진과 루킹 삼진 중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 지를 물었을 때 '''투수 중 혼자 헛스윙 삼진을 선택'''하였다. 이유는 '''[[오심 및 편파판정|루킹 삼진은 사실 마지막 공이 볼이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 자이언츠 TV에서 [[이대호]]와 [[정훈]] 중에서 누가 더 잘생겼냐는 질문에 '''둘 다 아니라고 말했다.'''[* 원문 "Neither!".] 그러다 이대호의 딸인 예서 양이 다가오자, 이대호라고 답하는 재치를 보였다. [[https://youtu.be/ZCA9xWd1A94&t=42s|#]] * 본인의 인생영화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겨울왕국]]이라 답했다. [[https://youtu.be/M33jh_WY5Js|#]] * 본인의 최애 껌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Big red gum 이라고 답했다. [[https://youtu.be/w255lp-IcT8|#]] * 배번 58번은 메이저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을 때 단 번호라고 한다. * [[유강남]]이 FA로 롯데로 이적하자 [[케이시 켈리]]에게 “너네 포수 뺏어 왔다”라고 문자를 보냈다고 한다. * 팀 동료였던 [[브룩스 레일리]], 현재 동료인 [[찰리 반즈]]와 함께 손꼽히는 '''[[이정후]] 킬러'''. * [[탬파베이 레이스]] 소속 [[잭 라텔]]과 닮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KBO)]] * [[롯데 자이언츠/선수단]]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1988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레들랜즈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분류:시카고 컵스/은퇴, 이적]][[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분류:신시내티 레즈/은퇴, 이적]][[분류:마이애미 말린스/은퇴, 이적]][[분류:볼티모어 오리올스/은퇴, 이적]][[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KBO 탈삼진왕]][[분류:트위치 스트리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