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Simpson's_Balanced_2-Stroke_of_1914_high-res_animation.gif|width=100%]] || || 위의 사진은 1914년에 나온 심프슨 2행정 대향 피스톤 엔진이다. || [목차] == 개요 == Opposed-piston engine 대향 피스톤 엔진은 각 실린더의 양쪽 끝에 피스톤이 있고 실린더 헤드가 없는 [[왕복엔진|왕복]] [[내연기관]]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Opposed-piston_engine| ]] == 특징 == 한 실린더에 하나의 피스톤이 들어가는 일반적인 [[2행정 기관]]과 달리 대향 피스톤 엔진에서는 한 실린더의 양 끝에 2개의 피스톤이 서로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엔진과 달리 실린더의 윗부분을 덮는 실린더 헤드가 없다. 실린더 헤드가 없고 두 엔진 피스톤이 서로를 마주보는 구조상 실린더의 개수가 엔진의 기통수를 결정한다. 따라서 5기통 수평 대향 엔진이라면 실질적으로는 피스톤의 개수가 10개인 [[10기통]] 엔진에 대응되는 엔진이다. 최초의 대향 피스톤 방식 엔진은 1882년에 나온 [[앳킨슨 사이클]]이 적용된 '앳킨슨 디퍼렌셜 엔진'이다. 두 피스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실런더 내에 배치되었고, 두 피스톤의 가동은 대형 플라이휠을 가동시키는 [[외연기관]]인데 최초로 대향 피스톤 방식의 엔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상용화되지는 못했다. 첫 차량용 대향 피스톤 엔진은 1900년대 초반에 프랑스의 '고브론브릴리'에서 개발되었다. 1904년 4월에는 이 대향 피스톤 엔진을 장착한 고브론브릴리의 차량이 150km/h를 돌파하고 152.2km/h라는 당시 기준 신기록을 세웠다. 동년 7월에는 마찬가지로 고브론브릴리의 자동차가 세계 최초로 100mph(약 161.1km/h)을 돌파했다. 엔진 한쪽 피스톤들에만 크랭크축이 직접 연결되었고 반대쪽 피스톤들에는 크랭크축을 잇는 크로스헤드가 이어졌다. 이름때문에 [[수평대향 엔진]]과 혼동될 수 있지만, 두 엔진은 피스톤이 수평으로 누운 모양으로 배치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구조 자체가 다른 별개의 물건이다. 수평대향 엔진은 피스톤들이 서로 반대 방행으로 배치되었지만, 대향 피스톤 엔진은 피스톤이 서로를 마주보게 배치되었다. == 활용 == ||
[[파일:Jumo205_cutview_02.jpg|width=100%]] || || '''융커스 유모 205 엔진''' || 1930년대에 독일의 [[융커스]]가 개발한 융커스 유모 엔진중 [[융커스 유모 205]]가 대표적으로 대향 피스톤 엔진 구조를 채택한 [[2행정 기관|2행정]] [[디젤 엔진]]이며, 가장 잘 알려진 군사용 대향 피스톤 엔진이기도 하다. ||
[[파일:Leyland_L60.jpg|width=100%]] || || '''Leyland L60'''[* 사진은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전시된 L60 엔진. [[라디에이터]]가 세워졌다.] || 위의 융커스 엔진은 전후 영국의 [[레일랜드 모터스]]에서 참고하여 [[레일랜드 L60]]의 개발에 사용했으며, 이 엔진은 [[치프틴 전차]]에 탑재되었다. || [[파일:5TDF_engine_rendered_model.jpg|width=100%]] || || '''5TD''' || 냉전기 소련에서도 [[5TD 엔진]]과 같은 대향 피스톤 디젤 엔진을 개발하여 [[오비옉트 430]]부터 시작해서 오비옉트 430에서 발전한 [[T-64]]에 탑재했다. 이후에도 5TD에서 발전한 [[6TD 엔진]]도 개발되었다. 디젤엔진 메이커인 커민스에서도 대향 피스톤 엔진인 ACE를 설계중이다.[[https://www.cummins.com/news/releases/2021/07/30/us-army-awards-cummins-inc-87m-contract-deliver-advanced-combat-engine|#]] [[분류: 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