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대한제국의 국권피탈과정)] [목차] == 개요 == '''대한제국 군대 해산'''(大韓帝國軍隊解散)은 [[1907년]] [* [[광무]] 11년~[[융희]] 원년] [[8월 1일]]부터 [[9월 3일]]까지, [[일본 제국]]의 강요를 받은 [[순종(대한제국)|순종]]의 황명으로 [[대한제국군]] 병력 대부분이 공식적으로 해산된 사건이다. == 배경 == 1904년 2월 8일 [[러일전쟁]]을 일으키며 인천에 상륙한 [[일본군]]은 2월 9일에 [[서울]]을 점령하였다. 대한제국군은 [[러시아]] 교관단의 교육을 기반으로 편성된 부대였고, [[러일전쟁]] 때 들어온 [[일본군]]에 굉장한 적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서울]]에 체류하던 [[러시아인]]들의 기록에 따르면, 한국군 사병들은 일본군 장교에게 경례도 하지 않을 정도였다고 한다. 물론 일본군 사병들도 한국군 장교에게 경례를 하지 않았고, 당연히 양군 장교들끼리도 서로 무시했다. 일본 측은 이 문제를 괜히 건드렸다가 더 큰 충돌이 벌어질 가능성을 감안하여 일절 거론하지 않았다. 이후 일본은 [[한일의정서]]를 체결 후 군축을 요구하여 1905년 [[4월 16일]]에 3,000여명의 [[대한제국군 친위대]]를 해산시키고 5,000여명의 [[대한제국군 시위대|시위대]]를 2,500여명의 혼성시위여단으로 감축시켰다. 지방의 [[대한제국군 진위대|진위대]]의 병력도 크게 감축시켜 1901년 이후 6개 연대이자 18개 대대 18,000명의 병력이었던 진위대는 수원·청주·대구·광주·원주·황주·평양·북청의 8개 대대로 축소되었다. 편제는 과거 1개 대대가 5개 중대였던 것을 4개 중대로 개편시켰으며, 1개 중대 병력을 장교 이하 256명으로 줄여서 8개 대대를 모두 합쳐도 2,365명에 불과했다. 일본은 1907년 4월에 대한제국군의 2번째 군축을 시행하였다. 대한제국의 군대를 무력화하는 6개의 칙령이 반포되었고 시위 보병 연대는 다시 3개 대대와 그 휘하 4개 중대로 편성되었다. 1907년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 [[고종(대한제국)|고종]]을 7월 19일에 일본이 강제로 퇴위시키자 이에 반대하는 군중 시위가 연일 발생하였다. 7월 20일에는 시위혼성여단 소속1연대 3대대 소속 병사 100여 명이 동조하여 [[종로]]의 병영을 뛰쳐나와 고종 퇴위 반대시위를 벌이던 군중과 함께 [[서울종로경찰서|종로경찰서]]를 습격하여 일본 경관들을 살상한다. 대한제국의 중앙군인 시위대 1연대 1대대장 [[박승환]] 참령을 포함한 상당수 장교단이 무장 봉기를 일으켜 퇴위를 막으려 시도하다 기밀이 새어 봉기를 포기한 사건도 발생하였다. 대한제국군의 항일봉기가 확산될 것을 염려한 일본은 준비해 온 대한제국군 해산을 결행한다. 순종 즉위 후 7월 24일 체결한 [[정미 7조약]]의 시행에 관한 비밀조치서 통해 [[대한제국]]의 국방 및 병무(兵務) 분야를 [[통감부]]와 [[일본군]]에 넘기고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이 결정되었다. == 해체 준비 == 앞서 [[일본]]은 [[통감부]]를 통해 [[대한제국]]의 국방 및 병무 분야를 일임받기 전에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을 위한 비밀리 작업에 들어갔다. 우선, [[대한제국군]]의 [[화포]], [[기관총]] 등의 [[중화기]]를 보관하던 [[용산구|용산]] 육군 병기창을 점령하고 '''600만발의''' 탄약과 무기류의 관리를 [[일본군]] 일임하에 두도록 했으며, 대한제국군 사병들이 반발하여 봉기할 것을 대비하여 대한제국군 일원에게 금족령(禁足令)를 발령하여 일본군이 대한제국군의 탄약고 및 무기고를 관리 감독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미 [[한반도]]에 주둔한 일본군 사병들에게 신형 총기 및 탄약을 추가 보급하였다. 마침내 [[1907년]] [[7월 31일]] [[순종(대한제국)|순종]]에게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 발령과 대한제국의 국방 및 병무 분야를 통감부와 일본군에게 인계할 것을 요청하였다. 그리고 군부에서는 다음날인 [[8월 1일]] 시위대의 해산을 시작으로 8월 3일부터 9월 3일에는 진위대 해산까지 일부 병력을 제외한 전 [[대한제국군]]을 해체하기로 하고 시위대의 각 대대장들에게 이러한 내용을 알렸다. 예하의 각 중대장들에게만 비밀리에 통보하고, "사병들에게는 절대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는 당부를 포함하였다. 시위대가 먼저 해체 대상이 된 것은 9천 명 남짓한 대한제국군 중 절반 이상이 시위대일 정도로 주력이었고, 서울이라는 한 곳에 몰려 있었으므로 조속히 처리하지 않으면 반발이 거셀 것이 분명했기 때문이다. == 해산식과 저항 == 사병들의 저항을 막기 위해 '''"도수체조 연습을 할 것이니 '비무장 상태'로 훈련원에 집결하라"'''는 지시가 시위대 전 병력에게 내려갔다. 그러나 다수 장병이 이 지시를 따르지 않았으므로, 오후 4시가 되도록 절반 가량의 인원밖에 모이지 않았다. 이날 해산 군인 대상은 3,441명이었는데, 훈련원에 모인 수는 1,812명으로 52.7%의 군인만이 모인 것이었다. 더구나 [[남대문 전투]]로 인한 총성까지 계속 들려오고 있었다. 마침내 일본군은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고 판단하고, 소수 인원만으로 해산식을 거행한다. >“짐은 생각건대, 나랏일이 매우 어려운 때를 만났으므로 쓸데없는 비용을 크게 절약해서 백성들의 생활을 풍족하게 하는 일에 쓰는 것이 오늘의 급선무라고 본다. 가만히 생각건대, 현재 우리의 군대는 용병(傭兵)으로 조직되어 있으므로 상하가 일치하여 나라의 완전한 방위를 이루기에는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짐은 이제부터 군제(軍制)의 혁신을 꾀하여 사관(士官)을 양성하는 데에 전력하고 후일에 징병법(徵兵法)을 반포하여 공고한 병력을 갖추고자 하는 바이다. 짐은 이에 유사(有司)에게 명하여 황실 시위(侍衛)에 필요한 자들을 뽑고 그 외의 군대는 일시 해산하고자 한다. 짐은 너희들 장수와 군졸들의 오랜 노고를 생각하여 계급에 따라 특별히 [[금일봉]]을 하사하니, 너희들 장교, 하사, 군졸 들은 짐의 뜻을 잘 헤아려 각기 자기의 생업에 나아감으로써 잘못을 저지르는 일이 없도록 해 주기를 바라는 바이다.” >- [[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grpId=&itemId=ST&gubun=book&depth=5&cate1=&cate2=&dataGubun=%EC%B5%9C%EC%A2%85%EC%A0%95%EB%B3%B4&dataId=ITKC_ST_Z0_A44_06A_22A_00210|황실 시위에 필요한 자들을 뽑고 그 외의 군대는 일시 해산한다는 조령]][* '군대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국방 개혁을 하면서 잠깐 부대를 해산할 뿐'이라는 식으로 대외적 명분을 꾸며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군대 해산의 배후인 일본 제국의 기만적 침략 방법이다.] [[순종(대한제국)|순종]]의 군대 해산 칙서(勅書) 및 "[[대한제국]]의 국방 및 병무 분야를 [[통감부]]와 [[일본군]]에 일임한다"는 공문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고, 일본군이 감시하는 가운데 대한제국 사병 및 간부들의 계급장이 제거되고 소지 중인 도검류를 반납하였다. 이에 격분하여 은사금으로 나온 지폐를 찢어버리고 통곡하는 장병들도 많았다. === [[남대문 전투]] === 박승환 참령이 자결하고 시위 1연대 1대대, 2연대 1대대 및 여러부대가 군대해산을 거부하고 남대문 근처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전국의 진위대 봉기사건 === 이 문단은 [[대한제국군 진위대|진위대]] 문서 참조 1907년 8월 일본의 압박으로 시위대가 해산됨에 따라, 8월 3일부터 9월 3일까지 순차적으로 진위대도 차례대로 해산되기 시작되었다. 이에 반발한 전국 각 지방에 주둔한 진위대의 군인들은 [[의병]]이 되어 각지에서 적극 대항하여 의병 운동에 동참하기 시작하면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대표적인 진위대에서의 봉기사건은, 바로 1907년 8월 5일에 민긍호와 김덕제가 이끈 원주 진위대의 봉기와 같은 해 8월 9일에 일어난 수원 진위대와 강화 분견소의 봉기 등이 알려져 있다. == 결과 == 8월 1일 [[남대문 전투]] 이후 살아남았거나 해산식에서 뛰쳐나온 대한제국군의 의병 합류로, 장비와 전투능력은 한층 강화되어 [[정미의병]]이 발발한다. 당시 해산된 대한제국의 군인들은 8,000여 명 정도였는데, 이들 중 3,000여 명이 [[13도 창의군]]에 가담하여 1907년 11월 [[서울 진공 작전]]에 참여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해산된 대한제국군 출신들이 의병에 합류하자, 이를 막기 위해 통감부는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참여하지 않도록 헌병보조원에 참여하도록 유도했다. 8월 30일자 매일신보 기사에 따르면 해산된 대한제국군 257명이 순검과 헌병보조원으로 채용된다.[[http://nestofpnix.egloos.com/4174963|#]] 또한, 당시 해산을 면하고 황실 경호부대로 존치가 허용된 시위 2연대 2대대는 봉기에 참여하지 않은 채 1907년 8월 이후 황궁 의장(儀裝)과 수비를 임무로 하는 근위 보병대 1개 대대로 644명이 편성되었다. 1907년 12월에는 92명의 근위 기병대가 편성되었다. 1909년 7월에는 군부가 폐지되면서 근위 보병대와 근위 기병대는 축소되었다가 경술국치 이후 [[조선보병대]]와 조선기병대가 되었고 이후 조선기병대는 1913년에, [[조선보병대]]는 1931년에 해체되었다. 1931년 해체 당시 약 202명의 인원이 남았고 이들은 일본군 헌병보조원과 순사보조원이 되었다. == 관련 문서 == * [[http://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C%A0%9C%EA%B5%AD_%EA%B5%B0%EB%8C%80_%ED%95%B4%EC%82%B0|대한제국 군대 해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5478&cid=1593&categoryId=1593|(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군대해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0639&cid=3426&categoryId=3426|(Basic 고교생을 위한 국사 용어사전) 군대 해산]]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제국의 국권피탈과정)] [include(틀:경술국치)] [include(틀:군 사건사고/한국)] [[분류:1907년/사건사고]][[분류:대한제국의 사건사고]][[분류:조일관계]][[분류:한일관계]][[분류:군사 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