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 ---- ||<-2> {{{#000000 '''{{{+2 대한석탄공사}}}'''[br]'''KOCOAL'''}}} || ||<-2> [[파일:대한석탄공사 CI.svg|height=35]] || || {{{#000000 '''정식 명칭'''}}} ||대한석탄공사 || || {{{#000000 '''한자 명칭'''}}} ||大韓石炭公社 || || {{{#000000 '''영문 명칭'''}}} ||'''Ko'''rea '''Coal''' Corporation || || {{{#000000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000000 '''설립일'''}}} ||[[1950년]] [[11월 1일]] || || {{{#000000 '''설립 목적'''}}} ||석탄광산의 개발을 촉진하고 석탄의 생산ㆍ가공ㆍ판매 및 그 부대사업을 운영하게 하여 석탄의 수요와 공급을 안정시킴으로써 국민생활의 안정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br][[http://www.law.go.kr/법령/대한석탄공사법|대한석탄공사법]] || || {{{#000000 '''업종명'''}}} ||석탄 광업 || || {{{#000000 '''대표자'''}}} ||[[원경환]] || || {{{#000000 '''주무 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 {{{#000000 '''주요 주주'''}}} ||'''[[대한민국 정부]]: 100%''' || || {{{#000000 '''기업 분류'''}}} ||[[공기업|준시장형 공기업]] || || {{{#000000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 || {{{#000000 '''직원 수'''}}} ||858명^^(2021년 2분기 기준)^^ || || {{{#000000 '''자본금'''}}} ||872억 4,400만원^^(2022년 기준)^^ || || {{{#000000 '''매출액'''}}} ||연결: 730억 2,063만원^^(2022년 기준)^^[br]별도: 730억 2,063만원^^(2022년 기준)^^ || || {{{#000000 '''영업 이익'''}}} ||연결: -915억 7,786만원^^(2022년 기준)^^[br]별도: -911억 7,683만원^^(2022년 기준)^^ || || {{{#000000 '''순이익'''}}} ||연결: -1,672억 6,637만원^^(2022년 기준)^^[br]별도: -1,599억 847만원^^(2022년 기준)^^ || || {{{#000000 '''자산 총액'''}}} ||연결: 9,659억 2,410만원^^(2022년 기준)^^[br]별도: 9,631억 7,481만원^^(2022년 기준)^^ || || {{{#000000 '''부채 총액'''}}} ||연결: 2조 3,917억 814만원^^(2022년 기준)^^[br]별도: 2조 3,870억 5,020만원^^(2022년 기준)^^ || || {{{#000000 '''자회사'''}}} ||한몽에너지개발[br]훗고르샤나가[* 국민 혈세로 방만 경영을 한 정황이 적발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여담에 후술.] || || {{{#000000 '''미션'''}}} ||'''석탄수급 안정을 통한 국민생활 안정 및 국가발전 기여''' || || {{{#000000 '''비전'''}}}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안전한 에너지 공기업''' || ||<|2> {{{#000000 '''소재지'''}}} ||'''본사'''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배울로]] 85 ([[반곡동(원주)|반곡동]]) || ||{{{#!folding 사업장 소재지 보기 '''장성광업소''' -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태백로(태백)|태백로]] 1889 ([[장성동(태백)|장성동]])[br]'''도계광업소'''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225 ([[전두리]])[br]'''화순광업소'''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화순)|동면]] [[충의로(화순)|충의로]] 1064 (복암리)[br]'''인천사무지소''' -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건지로(인천)|건지로]] 156 ([[가좌동(인천광역시 서구)|가좌동]])[br]'''호남사무지소'''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와룡2길]] 17-25 ([[와룡리]])[br]'''석항사무지소'''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의림로]] 10 ([[천포리]]) }}} || ||<-2> {{{#000000 '''웹 사이트'''}}} || ||<-2> [[https://www.kocoal.or.kr| '''{{{#333333,#ffffff 대한석탄공사 공식 홈페이지}}}''']][br][[http://lab.kocoal.or.kr| '''{{{#333333,#ffffff 대한석탄공사 기술연구소 공식 홈페이지}}}''']] || ||<-2> {{{#000000 '''소셜 미디어'''}}} || ||<-2> [[https://blog.naver.com/kocoal1950|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15]] '''{{{#333333,#ffffff 대한석탄공사 공식 블로그}}}''']][br][[https://www.instagram.com/kocoal_official|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5]] '''{{{#333333,#ffffff 대한석탄공사 공식 인스타그램}}}''']][br][[https://www.facebook.com/KOREACOAL|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5]] '''{{{#333333,#ffffff 대한석탄공사 공식 페이스북}}}''']] || ||<-2> {{{#000000 '''캐릭터'''}}} || ||<-2> [[파일:대한석탄공사_캐릭터.jpg|width=170]][br]마스코트 '탄돌이'[* 이름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압축파일 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 ||<-2> {{{#000000 '''전화번호'''}}} || ||<-2> 대표 전화: {{{#333333,#ffffff '''033-749-0600'''}}} || ||<-2> {{{#!folding 사업장 전화번호 보기 장성광업소: {{{#333333,#ffffff '''033-580-2000'''}}}[br]도계광업소: {{{#333333,#ffffff '''033-540-2114'''}}}[br]화순광업소: {{{#333333,#ffffff '''061-370-2222'''}}}[br]인천사무지소: {{{#333333,#ffffff '''032-582-6425'''}}}[br]호남사무지소: {{{#333333,#ffffff '''063-542-9302'''}}}[br]석항사무지소: {{{#333333,#ffffff '''033-378-5173'''}}}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석탄공사_HQ.jpg|width=100%]]}}} || ||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배울로 85 ([[반곡동(원주)|반곡동]])에 위치한 대한석탄공사 본사 사옥 || ||'''대한석탄공사법''' '''제1조(목적)''' 이 법은 대한석탄공사를 설립하여 석탄광산의 개발을 촉진하고 석탄의 생산·가공·판매 및 그 부대사업을 운영하게 하여 석탄의 수요와 공급을 안정시킴으로써 국민생활의 안정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법인격)''' 대한석탄공사(이하 "공사"라 한다)는 법인으로 한다. '''제6조(유사명칭의 사용금지)''' 이 법에 따른 공사가 아닌 자는 대한석탄공사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를 위반한 자에게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대한석탄공사법 제18조 제1항).] '''제16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이 법에 규정하지 아니한 공사의 조직 및 경영 등에 관한 사항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다.|| >'''함께하는 변화, 밝은 내일''' >'''{{{#1e82c7 대한석탄공사}}}''' >---- >대한석탄공사 홈페이지 인사말 中 >서민의 따뜻한 벗 >'''대한석탄공사''' >---- >대한석탄공사의 [[캐치프레이즈]] 석탄 광산의 개발을 촉진하고 석탄의 생산·가공·판매 및 부대사업을 운영하여 석탄 수급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으로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준시장형 [[공기업]]. 약칭은 석공(石公)이다. [[6.25 전쟁]]이 한창일 때 설립되어 [[석탄]] 광산 채굴 및 석탄 가공제품의 매입/매출/수출입 등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처럼 일부 석탄이나 [[석유]](!)를 [[대한민국 정부|정부]]의 명령에 따라 비축하기도 한다. 국내 최고(最古) [[공기업]]의 위상을 가지고 있었고 [[여의도동|여의도]]에 본사가 있었으나, [[1980년]]대 말 주유종탄(主油從炭) 정책으로 사양화의 길을 걸어 만년 적자 [[공기업]]으로 추락하였다. IMF때 건물과 부지를 매각하고 여의도 증권빌딩에 더부살이를 해 왔다. [[2007년]] [[경기도]] [[의정부시]] 신흥로 234 (의정부동)로 본사를 이전했고, 이후 [[2014년]] [[12월 2일]]에는 [[강원도]] [[원주시]] 배울로 85(반곡동) [[강원원주혁신도시]]로 이전하면서 16년 더부살이를 마감하게 되었다. == 사업 == 대한석탄공사는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대한석탄공사법 제10조). * ☆석탄광산의 개발 및 운영 * ☆석탄광산 및 석탄가공에 관한 기술적 연구 * ☆석탄 및 그 부산물(副産物)과 석탄가공제품의 매입·판매 및 수출입 * 석탄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교육훈련 * ☆의 사업에 부대되는 사업 * 그 밖에 정부로부터 위탁받은 사업 == 경영 상태 == 창립 초기에는 [[대한민국]] 내에 있는 석탄광산을 매입하여 채굴하여 파는 역할을 맡는 [[공기업]]이었지만, [[1976년]] 석탄 수입업무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말 석탄 수요가 줄어들어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구조조정)이 시행되면서 국내 석탄 생산이 크게 줄어들자 기업 사정이 어려워졌다. [[2007년]] [[공기업]]·준정부기관 경영실적평가에서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와 함께 최하위권으로 평가되는 굴욕을 맛보기도 했다. 현재 이 회사의 부채는 [[2022년]] 기준 2조 3,917억원, 자기자본은 '''-1조 4,257억원'''이다. 간단히 말해 완전 [[자본잠식]] 상태다. 현재 채광 중인 광업소는 [[강원도]] [[태백시]] 장성동 장성광업소,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광업소,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화순광업소--[* 마지막 문단에 나오듯 폐광.] 도합 2군데이다. 대한석탄공사 소유 화물철도로 [[화순선]]이 있으나 [[2014년]] [[12월 11일]]을 끝으로 화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2016년]] 12월에는 대한석탄공사 화순광업소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철도 이용 계약도 종료되며 사실상 폐선되었다. 공식적인 폐선은 [[2022년]]으로, 접속 노선인 [[경전선]] 광주송정-순천 구간의 [[나주혁신도시]] 이설 및 [[광주 도시철도 1호선]] 화순 연장에 발맞춰 폐지되었다. 석탄 생산원가가 판매가격보다 높은 구조로 적자가 쌓이는 구조로 되어있다. 팔면 팔수록 적자가 난다는 말.[*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962615|채탄량·인력 급감 해법 못찾으면 4년내 폐광]]] 그 외에도 언론에 매년 폐광/폐업 이야기가 오르내리고 있는게 현실이다. 발전용의 비중도 수입 [[유연탄]] 위주의 화력발전으로 변하면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자부의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9152|제 3차 광업기본계획]]에 따르면 무연탄 전체 생산액 2,156억원중 1,239억원을 대한석탄공사가 올리고 있다. 무연탄보다 생산액이 높은 광종이 석회석 단 한종류 뿐일 정도로 한국 광업이 영세한 상황이다. 결국 정부는 2025년까지 모든 광업소를 폐광하기로 결정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4929900?sid=102|화순·태백·삼척 폐광한다…120년 한국탄광 역사 속으로]]] 2023년 4월 27일 화순광업소가 조기폐광 신청서를 정부에 제출했고 6월 30일에 공식적으로 석탄 생산을 종료했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63014494980869|화순광업소, 118년 여정 역사 속으로]]] == 역대 임원 == === 이사장 === 1984년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에 따라 이사장제가 신설되었으나, 1997년에 폐지됨. * [[김윤호(군인)|김윤호]] (1984~1985) * 고광도 (1985~1988) * [[정관용(정치인)|정관용]] (1988~1991) * [[이관영]] (1991~1993) * 김두영 (1993~1996) * 이용식 (1996~1997) === 사장 === [include(틀:대한석탄공사 사장)] ---- * [[허정]] (1950~1951) * 김성호 (1951~1952/1960~1961) * [[김훈(정치인)|김훈]] (1952~1953) * [[구용서]] (1953~1954) * 임송본 (1954~1957) * 정인욱 (1957~1959) * 김의창 (1959~1960) * 김상복 (1961) * 유흥수 (1961~1964) * 하상용 (1964~1967) * 이상규 (1967~1970) * [[강기천]] (1970) * [[태완선]] (1970~1971) * [[김효영(정치인)|김효영]] (1971~1972) * [[박경원(1923)|박경원]] (1972) * 최주철 (1972~1973) * 김덕엽 (1973~1974) * 이근양 (1974~1976) * 이훈섭 (1976~1979) * 고광도 (1979~1985) * [[정원민]] (1985~1988) * [[안필준]] (1988~1991) * [[김종호(1933)|김종호]] (1991~1993) * 서생현 (1993~1995) * 이상윤 (1995~1998) * 이병길 (1998~2001) * [[류승규]] (2001~2002) * [[유필우]] (2002~2004) * 김지엽 (2004~2007) * [[김원창]] (2007~2008) * [[조관일]] (2008~2010) * 백창현 (2010/2012/2013(이하 대행)/2016~2018) * [[이강후]] (2010~2012) * 김현태 (2012~2013) * 권혁수 (2013~2016) * [[유정배]] (2018~2021) * 직무대행 김인수 (2021) * [[원경환]] (2021~ ) == 축구단 == 1960년대에는 잠시 실업 축구단을 운영한 적이 있다. 1966년 [[주한영국대사관]]에서 근무하던 보니 '보니 페이스'라는 직원이 이 축구단에 입단해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 실제 경기 출전 여부는 확인되지 않지만 어쨌든 그는 한국 축구단에 입단한 최초의 외국인 선수로 기록됐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6050700209208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6-05-07&officeId=00020&pageNo=8&printNo=13706&publishType=00020|#]][[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6050700329208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6-05-07&officeId=00032&pageNo=8&printNo=6325&publishType=00020|#]] [[이회택]], [[박종환]], 유광준, 김찬기 등이 이곳 소속이었다. == 여담 == * 현재 [[안동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회사인 [[안동버스]]의 전 대표이사인 권희택 씨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62300209203010&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6-23&officeId=00020&pageNo=3&printNo=19915&publishType=00020|이 회사의 부사장 출신이다.]] * [[러시아]]의 게임 회사 소셜 퀀텀에서 만든 도시 건설 게임인 [[메가폴리스]]에서 카카오 버전에서 2018년 9월 11일부터 15일까지 행운의 상자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건물 중 하나로 등장한다. 게임 상에서의 명칭은 '원주석탄기업사무소'. * 2016년, 정부가 석탄공사 폐업을 논의 중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지자체와 시민 단체들이 크게 반발했으며 [[강원도의회]]도 반대했다.[* [[https://www.ajunews.com/view/20160523111634467|강원도의회, 정부의 제2석탄산업합리화 정책에 강한 반발…즉각 중단 성명서 발표]]] 석탄공사 노조 역시 [[https://cnbc.sbs.co.kr/article/10000804283?division=NAVER|총파업 투표]]에 들어가기도 했다. 하지만 산업부는 결정된 바가 없다고 [[https://www.news1.kr/articles/?2662847|해명]]하면서 논란이 사그라졌지만 2018년도 국정감사 때 [[김성환(1965)|김성환]] 의원이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739206619373248&mediaCodeNo=257&OutLnkChk=Y|석탄공사 조기 폐업]]을 주장하기도 했다.[* 최근부터 석탄 수요가 거의 줄어들었고 부채는 계속 쌓여서 1조 원을 넘어갔으며 사정도 어려워져서 폐업하는게 좋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직원들과 광업소 노동자들의 반발도 클 것이라, 먼저 일자리 지원 등의 별도 대책을 마련하기 전까지는 폐업 추진은 없을 수 있다.] * [[차승원]]이 끔찍히 싫어하는 기관 중 하나다. [[무한도전]] [[무한도전 특별기획전/극한알바|극한알바]]의 게스트로 등장했는데 [[유재석]]과 함께 알바 장소로 도착하고 나서 하는 말이 "'''거봐. 대한석탄공사잖아. 이 사람들 이상해.'''"였다. 탄광 알바 도중에 차승원과 유재석 뿐만 아니라 촬영팀 인력들도 얼굴이 시커멓게 되면서 몰골이 말이 아닌 상태가 됐다. * SBS 교양 관계자외 출입금지에 화순광업소 촬영 나온적이 있었다. 방송 후 삼겹살 파티도 했는데 이후 1달만에 폐광되었다. * 2023년 10월 말 현재 석공 사장은 원경환으로 문재인 정부때 임명되었는데 전 정권에서 임명한 인사들에 대해 최대한 내보내려는 모습을 보이는 윤석열 정부하에서도 별 논란없이 여전히 재임중이다. 석공이 오늘내일하는 상황인점과 주요 공기업이 아닌 점이 영향을 끼친것으로 보인다. == 사건·사고 == * 2019년도 [[국정감사]] 당시 [[2010년]] 한몽에너지개발에서 훗고르샤나가 법인을 인수하고 [[탄광]]에 총 '''258억원'''을 투자를 했으나 회수금이 '''0원'''이였다고 한다. [[http://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547|출처 기사]] 또한, 임직원도 아닌 일반인들에게 왕복 항공권을 끊어주었고 채무 상환을 해야 하는 현지 법인 [[주주]]에게 장비들을 대여해주다가 사고가 났는데 차량[[손해보험]] 가입도 안 해서 장비를 방치하고 있었다고 한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410806625898808|출처 기사]]] * [[2019년]], 상임이사 공개채용에서 지원자에게 시험비 명목으로 240만원을 요구하여 지원자들이 중도 포기하는 일이 벌어졌는데 정작 채용된 사람은 돈도 내지 않은 전직 직원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4h6EOwLYY-k|#]] * [[2020년]] [[6월 26일]] 도계광업소 갱내 452m 지점에서 [[http://www.hani.co.kr/arti/area/gangwon/951136.html|매몰 사고]]가 발생, 광원 1명이 사망하고 다른 1명은 부상을 입었다. * 2022년 9월 14일 태백시 소재 장성광업소 갱내 675m 지점에서 매몰 사고가 발생하여 5명은 자력 대피 하였으나 한 명은 실종되었고 결국 9월 15일 광물생산부 부장 1명(46세)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함. == 노동조합 현황 == * 대한석탄공사 노동조합: 미가맹. * 대한석탄공사 연합노동조합: [[한국노총]] 소속. * 공공연대노동조합: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 소속. *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연맹]] 소속. == 관련 문서 == * [[산업통상자원부]] * [[공기업]] [[분류:대한석탄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