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제5단체)] ||<-2>
{{{#FFFFFF,#dddddd {{{+3 '''대한상공회의소'''}}}[br]大韓商工會議所 |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 ||<-2> [[파일:대한상공회의소 로고.svg|width=100%]] || || '''설립''' ||[[1884년]] || ||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39([[남대문로]]4가 45) || || '''대표''' ||[[최태원]] || || '''기업 분류''' ||특수법인 || || '''직원 수''' || || || '''웹 사이트''' ||[[http://www.korcham.net/|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br][[http://license.korcham.net/|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홈페이지]][br][[http://www.korchamhrd.net/|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 HRD 포털]] || [목차] [clearfix] == 개요 == ||'''상공회의소법''' '''제2조(법인격)''' 이 법에 따라 설립하는 [[상공회의소]] 및 대한상공회의소는 각각 [[법인]]으로 한다. '''제33조(설립 목적)''' 대한상공회의소는 회원의 공동이익을 꾀하고 상공업에 관한 회원의 의견과 건의 등을 종합·조정하여 [[대한민국 정부|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에 이를 건의함으로써 상공업의 경쟁력 강화와 진흥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4조(설립)''' ①[[상공회의소]]는 공동으로 대한상공회의소를 설립한다. ②대한상공회의소는 5개 이상의 상공회의소가 발기하고, 10개 이상의 상공회의소의 동의를 받아 창립총회에서 정관을 작성한 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설립된다. '''제52조(유사 명칭의 사용 금지)''' 이 법에 따라 설립된 상공회의소 또는 대한상공회의소가 아니면 "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이를 위반한 자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상공회의소법 제57조).] '''제56조(「[[민법]]」의 준용)''' 상공회의소와 대한상공회의소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 중 [[사단(법인)|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4JID53T.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12525507_1713876668859369_4581663758069397014_o.jpg|width=100%]]}}} || ||<:>'''[[숭례문|{{{#FFFFFF '''숭례문'''}}}]] 부근 [[세종대로|{{{#FFFFFF '''세종대로'''}}}]]에 위치한 상공회의소 본사([[1984년|{{{#FFFFFF '''1984년'''}}}]] 완공, [[2005년|{{{#FFFFFF '''2005년'''}}}]] [[리모델링|{{{#FFFFFF '''리모델링'''}}}]]).[* 건물 안에 '''[[국가기술자격]]증 시험장(서울상공회의소 남대문)'''도 설치되어 있고, [[한국정보통신]]이 위치해 있으며 사옥 옆에는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의 본사가 있다.[* [[서울역]] 3번 출구와 [[시청역(서울)|시청역]] 9번 출구에서 도보 이동이 가능하며, 실제로 걸어보면 시청역 9번 출구가 더 가깝다. [[서울지하철 1호선|1호선]]을 이용할 경우 서울역, [[서울지하철 2호선|2호선]]을 이용할 경우 시청역을 통해 찾아가는 게 낫다.]]'''|| [[대한민국]]의 [[상공회의소]]. 법정 경제단체로,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다른 경제단체들이 민간 단체인 것과 비교된다. 이로 인해 민간 기업에 대한 대표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나, 존재의 당위성은 보장된다. 법적으로는 공공법인으로서 특수공익법인으로 분류된다. 약칭은 '''대한상의''' 또는 '''상의(商議)''', '''KCCI''' 등으로 불린다. 대한민국 경제단체 중 제일 긴 역사를 갖고 있다. 정부와 경제계간의 가교 역할을 하는 중추적인 기관이다. 사실 과거엔 [[대기업]] 중심의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경제계 맏형 역할을 해 왔으나 [[2016년]] 전경련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최순실 사태]]와 [[박근혜 탄핵]] 사태에 휘말리며 기존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게 되면서[* [[삼성]], [[LG]] 등을 비롯한 대기업들이 줄줄이 탈퇴했다.] [[문재인 정부]] 이후로는 대한상공회의소가 경제계 대표 역할을 맡고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해외 방문시 수행하는 경제인단 구성을 상공회의소 중심으로 하는 등 기존 전경련이 하던 일을 맡았다.] [[윤석열 정부]] 이후로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다시 위상을 회복하리라는 전망도 있지만, 여전히 해외순방단 조직에서 전경련이 제외되는 등 전경련 패싱은 계속되고 있고, 재계의 중추인 4대 그룹이 전경련에서 탈퇴한 상황인 것은 변함이 없기 때문에, 4대 그룹의 전경련 복귀 등 가시적인 변화가 없는 한, 대한상공회의소가 경제계를 대표하는 현 상황은 지속되리라 보인다.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소위 [[경제5단체]]를 구성하고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39([[남대문로]]4가 45)에 위치해 있다. 세종대로 본사에 대한상의와 서울상의가 같이 입주[* 위의 상공회의소법에도 나와 있지만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73개 상공회의소의 연합체를 일컫는 말로 그 실체가 없다. 그래서 서울상의가 대한상의의 사무국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대한상의'는 사실 '서울상의'이고, 세종대로 본사 건물도 서울상의 건물이다. 하지만 법적 주체, 정부-[[대한민국 국회|국회]]의 정책 파트너 측면에서 '대한상의'는 존재한다.]해 있다. == 역사 == 본 단체의 역사는 한국 [[자본주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한다. 1876년 조선과 일본 간에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후 개항장이 생겨 서양의 문물과 신식 상업방식이 도입되고, 조선에 들어온 일본인 상인들이 상업회의소 제도를 도입하자 조선 상인들은 일본 상인들의 상권 팽창을 견제, 대항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하여 1882년에 첫 민족계 조직 '원산상의소'를 세웠고, 2년 후 '한성상업회의소'를 세웠다. 현 대한상의의 뿌리는 한성상업회의소에 뿌리를 두고 있다.(원상상의는 현존하지 않아, 상공회의소의 효시는 한성(서울)상업회의소로 본다) 1895년 [[갑오개혁]]으로 [[육의전]] 같은 기존의 특권층 상인이 쇠퇴하고 근대적 경영방식을 지닌 '기업'이 등장하는 시대적 변화가 생기자, 조정은 '상무회의소규례'를 제정해서 법적 근거가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나 1897년 [[대한제국]] 출범 후 [[친러파]] 내각이 들어서자 '상무회의소규례'는 사라지고, [[보부상]]단 중심의 '상무사장정'이 제정되자 한성상무회의소가 사라졌다. 상공회의소 조직이 살아난 건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 제국이 [[고문정치]]로 대한제국의 내정에 점차 간섭해가며 '화폐개혁'을 실시해서 금융공황 사태가 벌어졌고, 이에 위기의식을 느낀 한성의 운종가 상인들이 '경성상업회의소'를 창설했다. 이를 전후해 각 도청 소재지와 개항장에 상업회의소, 상의소, 민의소, 객주회 등지의 명칭 하에 17개소를 더 세웠다. 1910년 [[한일합병]] 후 1915년 [[조선총독부]]가 '조선상업회의소령'을 제정하여 경성상의 등 민족계 조직들을 일본인 상공회의소에 통합시켰고, 1930년 조선상업회의소령을 '조선상공회의소령'으로 고쳐 기존 조직을 일본인 우위로 해서 민족계 상공인 조직들을 억압했다. 1944년에는 '조선상공경제회'로 바꿔 전시동원에도 써먹었다. 1945년 [[8.15 광복]] 후 [[미군정]] 체제 하에 민족계 상공인들은 구 상공회의소 조직을 기반으로 임의단체 '조선상공회의소' 및 22개 지방상공회의소를 재건했고, 1948년에 현 명칭으로 개칭했다. 1949년부터 이 조직의 법제화를 추구하여 1952년 '상공회의소법' 제정으로 결실을 보았다. 1974년부터 '상공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1984년 서울 [[남대문로]]4가에 새 상공회의소 회관 건물을 세웠다. 1988년 [[EAN]] 가입 후 [[유통표준코드]]를 도입했고, 1994년 [[한국산업안전공단]]의 8개 직업훈련원을 인수해서 직업훈련 사업에도 진출했다. 2005년에는 [[지속가능경영원]]을 세우고 기존 건물을 증축한 새 회관을 열었으며, 2018년 [[SGI]]를 세웠다. == 특징 == 각 지방 [[상공회의소]]들의 정책을 조정하는 단체이며, 근거법률은 상공회의소법이다. 다른 경제단체와 달리 직접적으로 [[정부]]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관이다. [[국가기술자격]]검정이나 기타 [[자격증]] 업무도 여기서 하는 것들이 있는데다 [[금융위원회]]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상임위원을 추천할 수 있는 등의 능력이 있다.[* 물론 실상은 [[기획재정부]] [[거수기]] 역할만 해왔다는 의견도 있다.] [[2018년]] 기준으로 73개 지방 [[상공회의소]]가 있으며, 지방 상공회의소는 법률상 당연히 대한상의의 정회원이 된다.(상공회의소법 제37조 제1항) [[특별시]]나 [[광역시]]는 지방 상공회의소 1개가 전부 통합해서 관리하나(단 서울의 경우 서울상공회의소 산하에 구(區)단위의 하부기관인 상공회가 있다. 중구상공회, 영등포구 상공회 등등) [[도(행정구역)|도]]의 경우는 좀 달라서 도 상공회의소가 있다가 각 [[기초자치단체]]별로 쪼개지기도 한다. [[경기도]]가 특히 심해서 여기는 경기북부([[의정부시]]+[[양주시]]+[[동두천시]]+[[연천군]]), 경기동부([[구리시]]+[[남양주시]]+[[가평군]]) 상공회의소 정도를 제외하면 아예 각 [[기초자치단체]] 별로 상공회의소가 다 쪼개져버렸다. (지방)상공회의소의 경우와 유사하게도, 상공업과 관련된 업무를 하는 비영리법인 및 단체의 중앙회 또는 이에 준하는 기관과 업종별 사업자단체는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한상공회의소의 특별회원이 될 수 있다.(같은 조 제2항) 대한상공회의소의 사업도 (지방)상공회의소와 같다(같은 법 제3조). == 역대 회장 == 서울상공회의소장 당선자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겸임하는 [[불문율]]이 있다. * 이중재 (1954) * 이세현 (1954 ~ 1960) * 송대순 (1961/1961 ~ 1967) * 전용순 (1961) * [[전택보]] (1961) * [[박두병]] (1967 ~ 1973) - [[두산그룹]] - 임기 중 사망 * [[김성곤]] (1973 ~ 1975) - [[쌍용그룹]] - 임기 중 사망 * [[태완선]] (1976 ~ 1979) * [[김영선(1918)|김영선]] (1979 ~ 1980) * [[정수창]] (1980 ~ 1988) - [[두산그룹]] * [[김상하]] (1988 ~ 2000) - [[삼양그룹]] * [[박용성]] (2000 ~ 2005) - [[박두병]]의 아들 - [[두산그룹]] * [[손경식]] (2005 ~ 2013) - [[CJ그룹]] * [[박용만(기업인)|박용만]] (2013 ~ 2021) - [[박두병]]의 아들[* 이로써 3부자가 같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되었다. 두산 회장 출신 상공회의소 회장은 전문경영인 출신 회장 정수창까지 포함해 총 4명이다. ] - [[두산그룹]] * [[최태원]] (2021 ~)[* 소위 4대그룹 총수 중 첫 대한상의 회장이다. 2010년대 후반 이후 대한상공회의소의 위상이 달라진 점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 - [[SK]] == [[자격증]] == [include(틀:국가공인 한자검정시험 주관 기관)]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6226_41601_435.jpg|width=100%]]}}}|| || '''[[세종특별자치시|{{{#FFFFFF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FFFFFF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상공회의소 상설시험장.[*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003, 5층(소담동, 펠리체타워3). 원래 대한상공회의소 상설 시험장은 비공개가 원칙인데 [[http://www.sj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36226|세종상의에서 지역 신문사에 보도자료를 제공했다.]]] 수험생들이 필기[* 과거 필기 시험은 OMR 방식이였으며 2018년 8월 30일부터는 수험생들이 모니터로 필기 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되었다.] 시험에 응시하고 있다.[* 참고로, 모니터의 빨간 배너는 시험 전 신분 확인 화면에서 표시되는 부정 행위 경고문으로 이를 통해 노쇼 여부를 알아낼 수 있다.]''' || 윗 문단에서도 언급했듯이, [[서비스분야 국가기술자격]]의 검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그 외에도 몇몇 국가공인[[자격증]]을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국민 자격증이라 불리는 [[워드프로세서(자격증)|워드프로세서]]와 [[컴퓨터활용능력]]이 이곳 주관이라, 일반인들에게는 본래 목적인 경제 관련보다는 이쪽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 편. '공공기관의 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등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 협의의 [[공공기관]]에는 속하지는 않지만,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공법인이므로 다른 공공기관들과 같이 공적인 목적을 위해 자격검정, 무역인증 등의 국가위탁사무를 수행한다. 지방에서는 한국외대 위탁으로 [[FLEX(어학시험)|FLEX]]를 실시하며 일본 대사관의 위탁을 받아 [[JLPT]]를 실시하기도 한다.[* FLEX의 경우, 한국외대에서 위탁해도 자격증은 대한상공회의소 명의로도 나오지만, JLPT의 경우엔 다르기 때문에 대한상공회의소 명의가 아니라 일본 정부의 명의로 나온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3~5월 검정이 취소되었다가 재개된 상황이기 때문에 응시 인원 적체가 심각하며, 고사장 내 [[사회적 거리두기|거리 두기]]를 준수해야 하기 때문에 [[http://license.korcham.net/customer/popupView.do?num=11945|고사장 당 수용 가능 인원을 많이 줄여야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그래서 서울 같은 인기 고사장은 시험 일정이 떴다 하면 대학교 [[수강신청]]처럼 접수를 시작하기가 무섭게 거의 바로 마감되는 게 부지기수이고, 급한 경우 지방의 비인기 고사장까지 원정가서 보는 경우도 허다하다. 접수는 2014년 3월까지 패스온이라는 사이트에서 대행했으나, 2014년 4월부터 자격평가사업단 홈페이지에서 직접 접수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다만, 시스템 개발 및 유지보수는 패스온 운영사와 같은 회사에서 진행하고 있다. [[http://license.korcham.net/customer/noticeview.do?num=136501&pg=7&word=&search=|2019년 7월 1일부터 코참패스 앱 수험표도 정식 수험표]]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수험표 화면 캡처본은 불인정. 시험 당일에만 나타나는 위조 방지용 표시(대한상공회의소 로고)가 깜빡여야 인정된다. 코참패스 앱 수험표를 대리시험에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이다.] 인력개발사업단 주도 사업이지만 Teenup [[직업기초능력평가]]도 여기서 시행하고 있다. 시험 자체는 국가기술자격검정 상설검정과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 [[국가기술자격]] === ||<:> '''종목명''' || '''등급''' || || [[비서(자격증)|{{{#2E3192,#00ADEF '''비서'''}}}]] || 1~3급 || || [[워드프로세서|{{{#2E3192,#00ADEF '''워드프로세서'''}}}]] || 단일 등급[* 2012년부터 2~3급이 폐지되었다.] || || [[전산회계운용사|{{{#2E3192,#00ADEF '''전산회계운용사'''}}}]] || 1~3급[* 단, 과정평가형 자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관할한다.] || || [[전자상거래관리사|{{{#2E3192,#00ADEF '''전자상거래관리사'''}}}]] || 1~2급 || || [[전자상거래운용사|{{{#2E3192,#00ADEF '''전자상거래운용사'''}}}]] || 단일 등급 || || [[컴퓨터활용능력|{{{#2E3192,#00ADEF '''컴퓨터활용능력'''}}}]] || 1~2급[* 2012년부터 3급이 폐지되었다.] || || [[한글속기|{{{#2E3192,#00ADEF '''한글속기'''}}}]] || 1~3급 || === [[국가전문자격]] === ||<:> '''종목명''' || '''등급''' || || [[유통관리사|{{{#2E3192,#00ADEF '''유통관리사'''}}}]] || 1~3급 || === 국가공인자격 === ||<:> '''종목명''' || '''등급''' || || [[IT+정보활용능력인증|{{{#2E3192,#00ADEF '''IT+정보활용능력인증'''}}}]] || 레벨 1~5[* 2025년부터 폐지될 예정이다.] || || [[무역영어|{{{#2E3192,#00ADEF '''무역영어'''}}}]] || 1~3급 || || [[FLEX|{{{#2E3192,#00ADEF '''FLEX'''}}}]](듣기/읽기) || 1,000점 만점 || || [[한자/검정시험 #s-4.2.4|{{{#2E3192,#00ADEF '''상공회의소한자'''}}}]] || 1~3급[* 4~9급은 등록민간자격이다.] || === 등록민간자격 === ||<:> '''종목명''' || '''등급''' || || [[FLEX|{{{#2E3192,#00ADEF '''FLEX'''}}}]](쓰기/말하기) || 각 250점 만점 || || [[한자/검정시험 #s-4.2.4|{{{#2E3192,#00ADEF '''상공회의소한자'''}}}]] || 4~9급 || == 유의사항 == === 지각 유의사항 ===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시험 시작 후에는 감독관이 바로 문을 닫아버리므로 시험 당일에 지각한 수험생은 시험장에 입실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수험생은 시험 당일 시험 시작 전에 미리 도착해야 한다. === 신분증 유의사항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10개 시행 기관에서 인정한 신분증이 아니면 '''시험에 응시가 불가능하다'''. 아래는 신분증 인정 범위.[* 상설 검정장에 처음 간다면 '''반드시 알고 가야한다.''' 본인은 신분증이라고 생각했는데 신분증이 아닌 경우가 있기 때문.] * [[주민등록증]](주민등록증발급신청확인서 포함), [[운전면허증]]([[대한민국 경찰청|경찰청]] 발행), [[여권]][* 유효기간 만료 전의 여권], 공무원증, 장애인 복지카드, [[국가유공자]]증, [[국가기술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구 [[한국기술자격검정원]] 포함),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콘텐츠진흥원]], [[영화진흥위원회]],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구 [[한국인터넷진흥원]] 포함),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발급한 서비스 분야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자격증만 인정된다. 모바일 자격증도 사용할 수 있으나, 대한상공회의소 이외의 기관에서 발급한 국가공인자격, 등록민간자격은 인정되지 않는다.] * 중·고등학생의 경우 [[학생증]](사진·주민등록번호(생년월일)·성명·학교장 날인), 청소년증(청소년증발급신청확인서 포함)[* 사실 중·고등학생은 이게 제일 안전빵이다. 다른 증명서들은 경험이 없으면 준비하기 약간 까다롭다. 특히 관계자들이 눈치주면서 다음엔 청소년증 가져오라 한다. 그 이유가, 청소년증은 대충 스윽 보고 넘기면 되지만 학생증은 애시당초 생년월일을 적는 경우가 드물고, '''재학증명서는 수험자가 만약 이미 해당 학교를 졸업했다면 사기죄가 성립하기 때문에''' [[귀차니즘|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그래서 중고등학생이라도 왠만하면 청소년증을 만들어서 가지고 오는 게 좋다.], 자격검정용 신분확인 증명서.[* 재학중인 학교에서 상공회의소에서 지정한 서식으로 발급받아야 한다. 유효기한은 발급 후 1개월.][* 기존에 만들어놓은 여권이 있다면 이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나이 조건이 되어 주민등록증을 발급받거나 운전면허증을 취득하여 응시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초등학교 졸업 후 중학교 학생증 발급 전인 경우 여권, 국가기술자격증, 청소년증(청소년증발급신청확인서 포함) 인정. * 군복 착용 [[군인]]의 경우 [[휴가증]] 및 그에 준하는 서류[* 당연히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신분증으로도 가능하다. 굳이 다른 신분증이 없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요즘은 병사도 제한적으로나마 개인 핸드폰을 소지할 수 있고, 외출 혹은 휴가시 가지고 나가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 군인이라도 군복을 입지 않은 경우 자격검정용 신분확인 증명서. *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등록증]], 외국국적동포국내거소신고증, [[영주증]] * '''신분증 미지참자 시험 응시 불가'''[* 간혹 코참패스 모바일의 수험표를 신분증으로 인지하는 경우가 있는데, 수험표는 '''그냥 수험표다.''' 기존에는 종이로 인쇄한 수험표, 신분증 둘 다 챙겨야 응시가 가능했는데, 19년 7월부터 수험표는 어플로도 인정되다가 언젠가부터 아예 보지 않는다. 대신 코참패스 앱에서 기존에 취득한 자격증 목록을 보여주는 것은 인정된다.] * 사진이 없거나 생년월일이 없는 신분증은 신분증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 신분증 촬영·복사본은 신분증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 모바일로 인정되는 경우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지방경찰청장 발행), 정부24 전자문서지갑의 모바일 국가기술자격증, 정부24의 주민등록증 모바일확인 서비스, 네이버앱 또는 카카오앱의 타기관 국가기술자격증(사진 필수) * 신분증명의 유효기간이 있는 경우 유효기간 이내 신분증만 인정 * 1종 운전면허 소지자와 70세 이상인 2종 운전면허 소지자의 경우 앞면의 정기적성검사기간 내에 '''적성검사를 받지 않고 1년이 경과되면''' 운전면허가 취소되어 '''신분증으로 인정 불가''' * 2종 운전면허 소지자는 갱신기간에 상관없이 신분증 인정 * '''대학생의 경우 학생증 불인정''' (중·고등학생의 경우 학생증에 생년월일이 없는 경우 불인정) * '''중·고등학생의 경우 2021년 06월 01일부터 NEIS 발행 재학증명서 불인정''' * 보훈증, 국가유공자 가족증은 신분증 불인정 === 사건 사고 === * 국가기술자격인 [[한글속기]] 시험에서 속기 자판이 아닌 일반 키보드를 이용해 시험에 합격하였으나, 속기사 키보드 사용자들의 고발로 인해 자격이 취소된 사례가 발생하였다. 응시자는 전용 키보드만을 사용하도록 한 규정이 부당하다고 주장하지만, 시험을 주관하는 대한상공회의소는 중대한 부정 행위이자[* 적발 시 시험 시행 기관과 관계 없이 국가기술자격검정 응시가 3년간 금지되고, 경우에 따라 민·형사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부정행위를 의미한다.] 명백한 규정 위반이며 자격증을 빠른 시일 내에 반납해야 한다는 유권 해석을 내놓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4453700|#]] * 수도권 지역에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발령된 상황에서 "평가가 필요할 경우 학생들을 등교시킬 수 있다"는 규정을 통해 2021학년도 직업기초능력평가를 강행하였다. 그래서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사업단, 자격평가사업단과 교육부가 엄청난 비판을 받았다. == 국가발전 프로젝트 공모전 == 국가발전 프로젝트 공모전은 국가적 의제에 대해 국민들의 아이디어를 모아 민간 주도로 해결하자는 프로젝트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00일간의 국가발전 프로젝트 응모 기간에 약 2천건이 접수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힘입어 전체 응모 건수가 4천700건(총 7000여명)을 넘었다고 전했다. [[https://m.mk.co.kr/news/economy/view/2021/10/1010707/|#]] [[최태원]] 회장의 주도로 상위 20개 팀은 SBS프로그램인 아이디어리그에 출전하여 심사위원들의 평가를 받는다. 1등은 상금 1억원과 해당 프로젝트 실행시 초기 지분도 받을 수 있다. === 최종 순위 === 대한상의는 사업화를 원하는 기업이나 개인은 국가발전 프로젝트의 우수작 '톱 10'을 살펴보고, 구체화된 사업계획(아이디어 구체화, 자금계획 등)을 사무국으로 보내면 된다. 심사위원회는 국가발전기여도, 지속가능성 등을 심사해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CEO를 뽑는다고 밝혔다.[[https://m.inews24.com/v/1444276/|#]] ||<:> '''순위'''|| '''팀명(득표수)''' || '''수상자''' || || '''1위''' || 사소한통화(212) || 이봉주(직장인) || || '''2위''' || 코리아게임(203) || 윤서영(중학생) || || '''3위''' || 우리 동네병원(200) || 김진현(정신과 의사) || || '''3위''' || 폐업도 창업(200) || 백명기(청년쉐프) || || '''5위''' || 코스싹(195) || 김현재(직장인) || || '''6위''' || 내 귀에 캔디(188) || 양명진([[국민건강보험공단]]) || || '''입선''' || 외상값 하이패스 || 양명진([[신한은행]]) || || '''입선''' || K-CSR || 박용삼(직장인) || || '''입선''' || 안전사고 끝 || 양용철(자영업) || || '''입선''' || 배양육 || 강민준([[서울대학교]]) || == 관련 문서 == * [[경제5단체]] * [[상공회의소]] *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사업단]] [[분류:1884년 설립]][[분류:경제 관련 단체]][[분류:특수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