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top2=중도주의)]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당 분류)] ||<-3><:>[include(틀: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3><:>{{{#ffffff '''대한민국의 중도정당''' }}}|| ||<:><-3>'''주요 정당'''|| ||<-2> '''과거'''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2016~2018),,[br][[바른미래당]] ,,(2018~2020),, [br][[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 ,,(2020~2022),,|| ||<-2> '''현존 원내정당''' ||[[새로운미래]] ,,(20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제3지대]] 계열 중도정당을 분류한 문서. == 중도주의 정당의 정의 == 한국에서 주류 정치 세력으로써 자리잡은 [[민주당계 정당]]과 [[보수정당]]의 정체성을 모두 거부하면서 '두 정당의 정치적 주장 사이'[* 바깥에 있는 경우 제3지대 정당으로 부르지 않는다. 가령 민주당계 정당으로써의 정체성이 아니면서 민주당계 정당보다 더욱 진보, 좌파적 입장을 내세웠던 정당은 대개 [[진보정당]]으로 지칭되며 별도의 계통으로 분류한다.]에 있었던 정당은 보통 [[제3지대 정당]]으로써 지칭된다. 제3지대 정당들이 한국의 정치적 기준에서 보통 중도적이라고 간주되어왔던 경우가 많음을 보았을 때 중도주의 정당이라는 표현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이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3지대 정당= 중도주의 정당이라고 단정하긴 어렵다. 가령, 한국에서 오랫동안 유력한 제3지대 정당으로 자리잡았던 [[충청권 보수정당]]은 당시 한국에서의 정치적 기준과 스스로 표방했던 입장으로 보았을 때 명백히 [[보수정당]]에 가까웠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민주당계 정당]]과도 손을 잡는 등의 '제3지대적 행보'를 보여왔던 전적이 있기에 보수정당이지만 동시에 제3지대 정당으로도 분류되었다. '중도주의 정당'이라는 지칭을 따로 하는 이유는 바로 제3지대 정당 중 중도주의를 표방한 경우와 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기준으로 중도주의 정당을 분류하는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정치적 스펙트럼에 대한 판단은 개별마다 조금씩 다르기도 하거니와 때때로 민주당계 정당과 보수정당으로 분류된 정당들도 '중도' 스펙트럼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간간히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실제로 민주화 이후 ~ 열린우리당 이전의 [[민주당계 정당]]들은 외신이 평가한 정치적 스펙트럼에서 단순 [[중도]], 혹은 [[중도]]~[[중도우파]]로 평가받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한국의 정치지형을 [[보수양당제]]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단순히 정치적 스펙트럼이 '중도'에 걸쳐 있는 정당이라고 해서 중도주의 정당으로 평가받을 순 없다. 따라서 중도주의 정당이라는 표현은 '''제3지대 위치에서 중도주의를 정치적 입장으로 내세워야 성립된다.'''[* 즉, 해당 정당들의 당사자들의 정치적 스펙트럼이 진짜 [[중도]]인가의 여부는 일단 논외로 하는 것이다. 다만 그 주장이 실질적으로 정치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여겨지는 경우는 제외된다. 다시 말해 한국에서 그 정당을 중도적으로 간주하는 의견이 적어도 유의미하게는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중도주의 정당의 분류에 있어서는 정당이 스스로의 정치적 정체성을 중도주의에서 찾는지의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중도주의 정당'이라고 해서 꼭 정치적 스펙트럼이 중도에만 놓여있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가령, [[바른미래당]]은 스스로의 정치적 방향을 '탈이념'으로 간주할 정도로 중도주의적 정체성이 강한 정당이었으나 정치적 스펙트럼은 주로 [[중도]]~[[중도우파]]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바른미래당]]은 한국의 정치적 지형에서 명백히 제3지대 정당으로써의 행보를 보였기에 중도주의 정당으로 평가받는 것이다. 이렇듯 중도주의 정당이라는 표현은 단순히 정치적 스펙트럼과 관련된 수사의 개념 뿐만 아니라 '''정치적 입장을 기준으로 한 구분'''으로써의 성격 역시 있는 것이다. == 역사 == === [[안철수]]의 [[제3지대]] 중도정당 === [[제3지대]] 계열의 중도정당이 중앙정치권에서 활약하게 된것은 [[안철수]]와 [[호남계]]가 창당한 [[국민의당(2016년)]]이라 볼 수 있다. 당시 안철수는 중도주의를 넘어선 [[극중주의]] 이론를 주장하였고, [[새정치민주연합 분당]]을 기점으로 호남계와 손을 잡고 국민의당을 창당한다. 이후, 친안계와 호남계의 갈등으로 인해 [[국민의당 분당]] 사태가 일어나자, 호남계를 중심으로 한 중도개혁주의 정당인 [[평화민주당]]이 창당되었으며, 친안계는 개혁보수 정당인 [[바른정당]]과 합당을 하여 중도진보 세력과 중도보수 세력이 결합한 정당인 [[바른미래당]]을 창당한다.[* 여태까지 한국 언론은 신생정당을 소개할때 진보/보수 이분법을 사용했는데, 이 이분법에서 크게 벗어난게 바른미래당이였다.] === [[21대 총선]] ~ [[20대 대선]] 국면 ===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은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의 '제3지대 중도통합론'을 바탕으로 [[민생당]]으로 뭉치게 된다. 한편 바른미래당을 탈당한 안철수는 실용적 중도정당을 표방한 [[국민의당(2020년)]]을 창당하게 된다. 그러나 [[21대 총선]] 결과가 나오자 중도정당들은 위기를 맞게 되었다. 민생당은 단 한석의 의석도 얻지 못하였고, 국민의당은 간신히 3석을 얻는데 그쳤다. 이 와중에 군소 중도정당인 [[시대전환]]이 [[더불어시민당]]에 합류해 의석 1석을 얻었다. 이후, [[20대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의 안철수가 대선에 출마하였으나, [[윤석열]]과 단일화를 선언하며 사퇴를 하였고 결국 [[국민의힘]]에 흡수되고 만다. === [[22대 총선]] === 22대 총선을 앞두고 제3지대가 부각되자, [[금태섭]], [[양향자]] 등이 각각 [[새로운선택]]과 [[한국의희망]]을 창당하였고, 3지대론의 핵심 인물인 [[이준석]]과 [[이낙연]]이 각각 [[개혁신당]]과 [[새로운미래]]를 창당한다. 한국의희망이 먼저 개혁신당과 합당하였고, 이후 세 정당은 [[개혁신당/역사/통합 과정|통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준석과 이낙연과의 갈등으로 결국 이낙연은 합당을 취소해 독자적인 행보를 보인다. == 정당 목록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border: 1px #fff solid; margin-right:3px"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40&align=left]]]]}}} {{{#fff '''{{{+1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중도주의 정당|{{{#fff 역대 중도정당 목록}}}]]}}}'''}}}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정당''' || '''존속 기간''' || '''비고''' || || [include(틀:중도개혁통합신당)] || 2007 || || || [include(틀:중도통합민주당)] ||<|2> 2007 ~ 2008 || || || [include(틀:민주당(2007년))] || 당명 변경 || || [include(틀:창조한국당)] || 2007 ~ 2012 ||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 ~ 2018 ||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018 ~ 2020 || || || [include(틀:새로운물결)] || 2021 ~ 2022 || || || [include(틀:국민의당)] || 2020 ~ 2022 || || || [include(틀:시대전환)] || 2020 ~ 2023 || || || [include(틀:한국의희망)] || 2023 ~ 2024 || || || [include(틀:새로운선택)] || 2023 ~ 2024 || || || [include(틀:민생당)] ||<|2> 2020 ~ 현재 || || || [include(틀:기후민생당)]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로운미래)] || 2024 ~ 현재 || || }}}}}}}}}}}} || === 과거의 정당 === ==== [[중도개혁통합신당]] ====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 로고.svg|width=200]] * [[중도개혁통합신당]] (2007) * [[열린우리당]]에서 탈당한 [[김한길계]]가 창당. * 민주당(2005년)과 [[중도통합민주당]] 신설합당. ==== [[중도통합민주당]] ====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로고.svg|width=200]] * [[중도통합민주당]](통합민주당) → [[민주당(2007년)]] (2007) * 민주당(2005년)과 중도개혁통합신당이 신설합당. ==== [[민주당(2007년)]] ==== [[파일:민주당(2005년) 로고.svg|width=200]] * 김한길을 비롯한 중도개혁통합신당 출신 인사들이 탈당하자 다시 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 [[대통합민주신당]]과 [[통합민주당(2008년)]] 신설합당. ==== [[창조한국당]] ==== [[파일:창조한국당 로고.svg|width=300]] * [[창조한국당]] (2007-2012) * [[문국현]]의 1인 중심 정당. * 18대 총선에서 3석 획득 * [[자유선진당]]과의 원내 교섭단체를 이루었으나 그때문에 위상 추락, [[5회 지방선거]]와 [[제19대 총선]] 참패를 겪으며 해체 ==== [[국민의당(2016년)]] ==== [[파일:국민의당(2016년) 로고.svg|width=200]] * [[국민의당(2016년)]] (2016-2018) *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새정치민주연합 분당|탈당]]한 [[비문재인]] 세력, [[안철수계]], [[김한길계]], [[박지원계]] 등 [[동교동계]], [[정동영계]]가 창당. * [[호남계]] 정치인들이 상당히 많은 만큼 호남권 지역정당의 성향도 존재 * 2018년 보수정당인 [[바른정당]]과 합당해 [[바른미래당]] 창당. 그 과정에서 대다수 [[호남계]]가 탈당 ==== [[바른미래당]] ==== [[파일:바른미래당 로고.svg|width=200]] * [[바른미래당]] (2018-2020) * 민주당계 정당인 [[국민의당(2016년)]]과 보수정당인 [[바른정당]]이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 신설합당. * 보수정당 출신 인물이 다수이나, 탈이념적 중도주의 정당으로써의 정체성을 확립. * 당내 혼란으로 인해 [[7회 지선]] 참패, 그 이후 2020년 당권파[* [[손학규계]], [[호남계]]]와 비당권파[* [[친유]], [[친안]]] 갈등으로 [[친유]]와 [[친안]] 탈당 * 2020년 [[민주평화당]], [[대안신당]]과 [[민생당]] 신설합당. ==== [[새로운물결]] ==== || [[새로운물결|[[파일:새로운물결 로고.svg|width=80%]]]] || * [[새로운물결]] (2021 - 2022) * [[20대 대선|20대 대선]]을 앞두고 창당한 [[김동연]]의 1인 중심 정당. * [[2022년]] [[4월 15일]] [[더불어민주당]]에 흡수 합당. * 대표: * [[김동연]] ([[2021년]] [[12월 19일]] ~ 2022년 4월 15일) ==== [[국민의당(2020년)]] ==== ||<:>[[국민의당(2020년)|[[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_가로.svg|width=100%]]]]|| *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 (2020-2022) * [[안철수]]가 창당한 중도~중도보수 성향의 정당. * [[바른미래당]]의 당내 갈등으로 인해 당내 [[안철수]]를 중심으로 한 중도~중도우파 계열이 탈당하여 만든 정당. * [[제21대 총선]]에서 지역구 의원을 내지 않고, 비례대표 의원만 내기로 함에 따라 비례정당화 하여 [[21대 총선]]에서 3석을 획득. * [[http://peopleparty.kr/raw#;|당헌 제 1장 2조]]에서 스스로를 "실용적 중도정당"으로 규정했다. * 대표 * [[안철수]] (대표, [[2020년]] [[2월 23일]] ~ [[2022년]] [[5월 3일]]) ==== [[시대전환]] ==== ||<:>[[시대전환|[[파일:시대전환 흰색 로고.svg|width=100%]]]]|| * [[시대전환]] (2020-2023) * 중도~중도보수 성향 실용주의 정당 * 3040 전문가집단이 주축이 된 정당으로 생활진보플랫폼 추구한다고 표방. * [[더불어시민당]]에 참여해 비례대표 1석 획득 후 [[국민의힘]]과 합당. * 대표 : * 이원재, [[조정훈(1972)|조정훈]][*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공천을 위한 탈당으로 인한 사임, (~3월 23일)] (공동대표, 2020년 2월 23일~2020년 4월 1일) * 홍석빈 (비상대책위원장, 2020년 4월 1일 ~ 2020년 10월 10일) * [[조정훈(1972)|조정훈]][* 원내대표와 겸직을 하고 있다.] (대표, 2020년 10월 11일~2023년 11월 9일) ==== [[한국의희망]] ==== ||<:>[[파일:한국의희망 로고.svg|width=100%]]|| * [[한국의희망]] (2023~2024) * [[양향자]]가 창당했던 제3지대 정당. * 제3지대 통합 논의 과정을 통해 [[개혁신당]]과 신설합당. * 대표: * --[[최진석(1959)|최진석]]--, [[양향자]] ==== [[새로운선택]] ==== || [[파일:새로운선택 로고.svg|width=80%]] || * [[새로운선택]] (2023-2024) * [[금태섭]]이 창당한 [[중도]] [[빅 텐트]] 정당. ==== [[민생당]] ==== ||<:>[[민생당|[[파일:민생당 흰색 로고.svg|width=80%]]]]|| * [[민생당]] (2020- ) * 2020년 [[바른미래당]]-[[대안신당]]-[[민주평화당]]이 신설합당. === 현재의 정당 === ==== [[새로운미래]] ==== || [[새로운미래|[[파일:새로운미래 로고_상하.svg|width=100%]]]] || * 새로운미래 (2024~) * 중도~중도진보 계열 정당.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였던 [[이낙연]]과 [[원칙과 상식]] 계열의 [[김종민]]을 중심으로 만든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민주당계]] 성향의 [[야당]]. [[개혁신당]]과 연대할 예정이였으나, 2024년 2월 19일에 갈등으로 합당이 결렬되었다. * 공동대표 * [[이낙연]], [[김종민(1964)|김종민]] (대표, 2024년 2월 4일 ~ 현재) ==== [[기후민생당]] ==== || [[새로운미래|[[파일:기후민생당 로고.svg|width=100%]]]] || * [[기후민생당]] (2024- ) * 22대 총선을 앞두고 민생당의 당명 변경으로 출범. == 대통령 선거 == || 후보자 || 연도 || 대수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이인제]] || [[제17대 대통령 선거|2007년]] || [[이명박 정부|17대]] || [include(틀:민주당(2007년))] || 160,708표 || 0.68% || 6위 || || [[안철수]] || [[제19대 대통령 선거|2017년]] || [[문재인 정부|19대]]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6,998,342표 || 21.41%[* 2024년 현재 역대 대선 중 제3지대 정당 최고 득표율이다.] || 3위 || == 국회의원 선거 == || 연도 || 국회 || 정당 || 전체 의석수 || 지역구 || 비례 || 결과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16년]] || [[제20대 국회|20대]]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38 / 300 || 25 / 253|| 13 / 47 (26.7%) || 원내 3당 || ||<|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2> [[제21대 국회|21대]] || [include(틀:국민의당)] || 3 / 300 || 0 / 253 || 3 / 47 (6.79%) || 원내 4당 || || [include(틀:민생당)] || 0 / 300 || 0 / 253 || 0 / 47 (2.71%) || 원외정당 || ||<|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2024년]] ||<|3> [[제22대 국회|22대]] || [include(틀:새로운미래)] || 1 / 300 || 1 / 253 || 0 / 46 (1.7%) || 원내 5당 || || [include(틀:기후민생당)] || 0 / 300 || 0 / 253 || 0 / 46 (0.02%) || 원외정당 || == 지방선거 == || 연도 || 횟수 || 정당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 || [[광역자치단체]]의회의원 || [[기초자치단체]]의회의원 || || [[2018년]]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 [include(틀:바른미래당)] || 0 / 17 || 0 / 226 || 5 / 824 || 21 / 2927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version=1164, title2=대한민국의 중도정당, version2=41, title3=틀:대한민국의 중도정당, version3=14)] [[분류: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