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목록)]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1호부터 제100호까지의 목록이다. == 제1호 ~ 제10호 == * 제1호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6번 출구 앞에 있으며 일제 강점기인 [[1928년]] 내진 설계로 건립된 6층 빌딩. 이 빌딩에는 엘리베이터까지 설치되어 있다. 바로 옆 을지로2가 199-1, 199-48 상가건물도 1934년 지어졌으나 등록문화재 등록은 되어있지 않다. * 제2호 화동 [[서울특별시교육청정독도서관|구 경기고등학교]]: 스팀난방방식을 도입한 당시 최고급 철근콘크리트조 학교 건축물이다. 현재는 [[서울특별시교육청정독도서관]]으로 쓰고 있다. [[경기고등학교]]는 [[공립학교]]였음에도 [[구자춘]] 시장 당시 [[강남구]]로 이전할 때 반대가 심했는데, 이게 구 [[경기고등학교]] 건물을 도서관으로 활용한다는 조건으로 협상이 타결된 것. 그래서 서울시의 다른 시교육청 도서관과 매우 다른 건축 양식을 지니고 있다. 알고 들어가도 도서관이 아니라 [[고등학교]]로 잘못 온 것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한다. * 제3호 [[이화여자고등학교]] 내 심슨 기념관: 서양 건축 양식을 도입한 건물로 [[1915년]] 건립되었으며, 현재는 학교 내 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덕수궁]]돌담길에서 정동사거리([[돈의문]] 터) 방면으로 가다보면 좌측(우측은 [[주한캐나다대사관]])에 보이는 벽돌 건물로, 1960년대 증축으로 인한 훼손 우려로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2011년도에 옛 모습으로 복원 작업을 마쳤다. * 제4호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본래는 [[달성공원]] 앞에 있던 건물이지만, 1984년에 현재의 위치([[망우당공원]] 옆)로 이전했다. 현재 광복회 대구시지부에서 사용 중. * 제5호 대봉동 구 대구사범학교 본관 및 강당: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및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내에 있다. [[달구벌대로]]를 따라 버스를 타고 가다 보면 [[경대병원역]]에서 반월당 방향으로 조금 못 미친 지점의 길가에 바짝 붙어 있다. 1972년에 화재가 나서 본관 상당수가 탔지만, 당시 [[박정희|학교 출신 유명한 선배]]의 지시로 복구되었다. * 제6호 [[청주시|청주]] 내덕동 [[청주대성고등학교]][* 구 청주상업고등학교] 구 본관 * 제7호 [[천주교 청주교구]] [[옥천 성당]] * 제8호 [[대한성공회]] 진천성당([[성공회 대전교구]]): 기존에는 '''진천읍 읍내리 329-1번지(진천삼수초등학교 건너편)에 있었던 건물'''인데, 도로 확장으로 인한 보존 등을 이유로 이미 2005년도에 현재의 위치('''교성리 63-10번지''')로 이전했다.[* '''굵은 글씨'''가 들어간 이유는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2&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s_kdcd=79&s_ctcd=00&ccbaKdcd=79&ccbaAsno=00080000&ccbaCtcd=33&ccbaCpno=4413300080000&ccbaCndt=&ccbaLcto=&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국가문화유산포털]]에 적혀 있는 주소지는 존재하지 않다는 것!] * 제9호 청주 문화동 우리예능원: 현재는 '우리예능원' 대신 '일·양 절충식 가옥'이란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 외에도 초기에 지정되었던 상당수의 국가등록문화재의 명칭들이 많이 바뀌었다.] * 제10호 [[논산]] 강경 중앙리 구 남일당 한약방[* 현재 문화재 명칭은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 제11호 ~ 제20호 == * 제11호 [[서울특별시의회 본관|구 대한민국 국회의사당]](구 부민관): [[서울특별시]] 태평로에 소재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부민관[* 해당 건물 역시 [[야인시대]]에서 많이 등장하는 장소이긴 하지만, 해당 드라마의 주 무대로 우리들이 잘 아는 [[우미관]]하고는 다르다.]이란 부립(당시 [[경성부]]였기 때문에)극장으로 시작하여, [[1954년]]부터 [[1970년]]까지 [[대한민국 국회의사당|국회의사당]], 이후에는 한때는 서울시민회관(현 [[세종문화회관]])의 별관[* 서울시민회관 별관 시절 옆에 위치한 본관에서 [[1972년]] 화재가 발생,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낸 참사로도 악명이 높았다.]으로 사용하다가 [[지방자치제]]가 시행된 1991년부터 [[서울특별시의회]]의 본관으로 쓰고 있다. [[부민관 폭탄의거 사건]]과 [[국회 오물 투척 사건]]의 현장으로 한국 근현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장소 중에 한 곳.[* 여담으로 과거(적어도 1970년대 이전) 사진과 현재의 모습이 다름을 알 수 있는데 건물 앞의 [[태평로(서울)|태평로]](현 [[세종대로]])의 확장으로 인해 일부 부분이 철거되었다고...] * 제12호 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다산관'''과 '''창학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성제국대학]] [[공과대학|이공학부]] '''본관'''과 '''교사'''였다. ||[[파일:과기대 다산관.jpg|width=100%]]||[[파일:DASAN_HALL_STELA.jpg|width=100%]]||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산관 전경 || 다산관의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표지석 || ||[[파일:CHANGHAK_HALL.jpg|width=100%]]||[[파일:CHANGHAK_HALL_SIGNBOARD.jpg|width=100%]]||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학관 전경 || 창학관의 등록문화재 현판 || * 제13호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 제14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외벽이 돌로 되어 있는 근대 석조 건축물. * 제15호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대구동산병원 구관]]: 지상 3층 규모의 적벽돌 구조로 되어 있다. 본래 현관에 [[포치#s-1]]가 있었지만,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공사로 인해 철거되었다.[*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4412200150000#|국가문화유산포털]]에서 철거 전후 모습을 볼 수 있다.] 길 건너편은 대구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유명한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이다. * 제16호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5.18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를 사진이든 영상이든 보다 보면 자주 접할 수 있는 3층짜리 건축물로 현재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에 있다. 여담이지만 도청 별관이 존폐의 기로에 선 적이 있는데, 5.18 유족들과 지역 단체들 덕분에 보존한다고는 했지만, 그 후에 나온 안전등급이니 뭐니 해서 2라운드 돌입. 이러다 [[서울시청]]과 같은 이유로 정면만 남는 꼴이 될까 두렵다.[* 자세한 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서의 2.1문단 참조.] ||[[파일:external/architecture.kunsan.ac.kr/1032527094.jpg|width=100%]]|| || 과거 도청 시절의 전라남도청 본관 || * 제17호 [[광주광역시|광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262|서석초등학교]] 본관, 체육관, 별관[br] 광주에서 1896년에 개교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초등학교 건물이다. 체육관은 [[1930년]]에, 본관은 [[1935년]], 별관은 [[1943년]]에 건립되었다. 원래는 별관과 같은 시기에 지은 건물이 2동 더 있었으나, 도심 공동화 현상[* 학교가 서 있는 위치가 상술한 옛 전남도청 본관 길 건너편으로 학교 바로 옆에는 지금은 주차장이지만, 2010년 이전에는 [[광주여자고등학교]](현재는 서구 화정동)가 자리했었다.]으로 학생이 줄어들자 [[2001년]]에 철거되었다. * 제18호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한국전쟁]] 중에는 임시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건물로 사용되기도 했다. 도청이라 해서 이래저래 많이 뜯어 고친 거 같지만, 3층 증축부(1960년대 증축)을 제외하면 그리 손을 대지 않았다고 한다. 2012년 충청남도청이 충남 [[홍성군]]과 [[예산군]] 일대 [[내포신도시]]로 이전을 하고, 현재는 1층에는 대전근현대사전시관이 들어서 있고, 2층과 3층은 대전시 내 기관들이 입주해 있는 상황. * 제19호 구 [[한국산업은행|산업은행]] 대전지점: 현재 [[다비치안경]] 대전역지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 제20호 [[조흥은행]] 대전지점: 현재는 [[신한은행]] 대전역지점이다. 위의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과 멀지 않은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 건물을 포함한 일대가 대전 중앙시장이다. == 제21호 ~ 제30호 == * 제21호 [[철암역]] 구내 선탄 시설: [[연탄]]을 제조하던 곳이며, 아직도 사용 중이다. 영화 [[인정사정 볼 것 없다]]에서 [[박중훈]]과 [[안성기]]의 결투 씬이 이 곳에서 벌어졌으며, 현재는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으로 인해 사양길에 접어들고 있다. 군대예능 [[더솔져스]]의 마지막 미션 지역으로도 사용되었다. * 제22호 [[철원 노동당사]]: [[한국전쟁]] 중에 파괴되어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음악 중 [[서태지와 아이들 3집|발해를 꿈꾸며]]의 뮤직비디오 촬영장소로 알려져 있으며, 지붕이 없는 2층 건물 구조로 되어 있는데, [[철원군]]에서 운영하는 안보견학 관광 코스 중 유일하게 민간인 통제선 밖에 있다. [[백마고지역]] - 동송터미널 간을 운행하는 [[철원 버스 13|농어촌버스]]를 타면 지나가다가 보인다.[* 다만, 현재 [[백마고지역]]은 [[경원선]] 개량 및 전철화 사업 등의 이유로 임시 운영 중단 상태이기 때문이므로, 방문을 하려면, [[동송시외버스공용터미널]]을 이용해서 와야 할 것이다.] * 제23호 구 철원 감리교회: 한국전쟁 중에 대부분 파괴되어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위의 노동당사처럼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밖에 있어서 방문이 가능하다. * 제24호 철원 얼음창고: 한국전쟁 중에 파괴되어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곳곳에 커다란 총포 자국이 뚫려 있으며 지붕이 없다. 민간인 통제선 안에 있기 때문에 민간인의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이 곳에 가려면 철원군 안보관광 견학코스를 이용해서 가는 방법이 유일하다. 늦어도 약 1주일 전에 [[한탄강]]관광사업소(철원군 동송읍 소재)에 전화하여 인적 사항을 통보하고 마지막에 나올 때 이 곳에 들러야 한다. 안보관광 견학 마지막 코스인 도로 주변에 있어 주행 중인 견학 버스를 탄 채로 볼 수는 있다. * 제25호 철원 농산물 검사소: 한국전쟁 중에 파괴되어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이 곳도 민간인 통제선 안에 있기 때문에 민간인의 출입은 불가능하다. 이곳도 안보관광 견학코스 마지막 도로 주변에 있어 스쳐가는 식으로 볼 수는 있다. * 제26호 철원 승일교: [[구소련]]식 건축 기법으로 건설됨. 혹자는 '당시 남한의 대통령 [[이승만]]과 북한의 주석 [[김일성]]의 이름을 각각 따서 승일교라고 이름 지었다.' 혹은 '[[박승일]]이라는 군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현재는 후자의 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육군사관학교]]1기 생으로 졸업 하였으며 당시 국군 7사단 5연대 연대장이 였다. 1950년 덕천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 같은 수용소에서 있던 사람의 증언에 따르면 수용소 경비들이 그를 수용소에 수감 되어 있던 국군 고급 장교들을 소달구지에 함께 실려간 이후엔 행방이 묘연하다고 한다. 슬하엔 1남이 있다고 전해진다.] [[https://www.worldkorean.net/news/articleView.html?idxno=42351|#]] 노후화로 현재에는 도보와 자전거만 통행 가능하며 차량은 [[1999년]] [[8월 11일]]에 준공된 바로 옆의 한탄대교로 건넌다. * 제27호 [[화천군|화천]] 구 인민군사령부 막사: 분단의 상징을 말해주는 건물. * 제28호 [[전북]] [[진안군]] 진안성당 어은[[공소(가톨릭)|공소]]([[천주교 전주교구]]) * 제29호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신한은행]] 지점으로 사용 중이다가 현재는 목포문화원 건물로 쓰고 있다. * 제30호 구 목포공립심상소학교(현 유달초등학교) 체육관 == 제31호 ~ 제40호 == * 제31호 [[여수시]] 구 청년회관 * 제32호 여수 애양원교회 * 제33호 여수 애양병원: 상술된 애양원 교회와 함께 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한센병]] 치료 시설로, [[손양원]] 목사의 일화로도 유명하다. * 제34호 [[구 나주경찰서]] * 제35호 [[진주시]] 문산성당([[천주교 마산교구]]) * 제36호 구 통영청년단 회관: 통영문화원 옆에 있으며, 현재는 충무고등학교에서 사용 중. * 제37호 함양 구 임업시험장 하동.함양지장: 현재 [[산림청]] 산하 서부지방산림청 함양국유림관리소의 전시관으로 사용 중. * 제38호 남제주 강병대교회: [[6.25 전쟁]] 당시 모슬포에 위치한 육군 제1훈련소 영외에 설치된 군종교회 건물. * 제39호 남제주 비행기 격납고([[알뜨르 비행장]]) * 제40호 서울 [[번동]] [[서울 창녕위궁 재사|창녕위궁 재사]]: [[서울]] 번동의 [[북서울 꿈의 숲]] 안에 있다. 과거 이 일대가 [[드림랜드]]라는 놀이시설이었을 때도 잔존했던 건물이다. == 제41호 ~ 제50호 == [[파일:attachment/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1호 ~ 제100호/imshi.jpg]] * 제41호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일제강점기]] 경상남도청으로 지어진 이후 한국 전쟁 당시엔 위 이름대로 정부 청사로 쓰이다 전쟁 이후 다시 [[경남도청]]으로 썼던 건물이다. 1980년대 도청이 창원으로 이전한 이후로 [[부산지방법원]] 등등 여러 용도로 쓰이다 지금은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내의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건물로 쓰이고 있다. * 제42호 [[논산]] 강경 북옥교회 * 제43호 [[목포]] 구 청년회관: 현재는 교회로 사용 중이다. * 제44호 [[나주]] 노안성당([[천주교 광주대교구]]) * 제45호 [[연천역]] 급수탑: 연천역 구내에 있으며 [[1914년]]에 건립. 상자형 급수탑과 원통형 급수탑, 급수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 전쟁]] 당시 총탄 자국이 선명히 남아 있다. 원통형 급수탑은 담쟁이덩굴에 둘러싸여 있다. ||[[파일:연천역급수탑1.png|width=100%]]||[[파일:연천역 급수탑_1.jpg|width=100%]]|| * 제46호 [[도계역]] 급수탑: [[1940년]]에 건립된 원통형 급수탑으로 다른 급수탑에 비해 높이가 상당히 낮고 역하고도 위치가 떨어져 있다. 산악 지대에 건설된 특성을 살린 급수탑. * 제47호 [[추풍령역]] 급수탑: [[1939년]]에 건립된 사각형 급수탑. 급수탑 뿐만 아니라 펌프와 물을 끌어들이는 연못 등의 부수 시설도 원형 그대로 남아 있다. * 제48호 [[연산역(호남선)|연산역]] 급수탑: [[1911년]]에 건립된 원통형 급수탑으로, 국내에 현존하는 급수탑 중 가장 오래되었다. 콘크리트가 아닌 화강암 석재를 쌓아올려 만든 특이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상단 물탱크 부분은 철제로 되어 있다. * 제49호 [[안동역]] 급수탑: [[1940년]]에 건립된 12각형의 특이한 급수탑. 외관이 하얗게 칠해져 있다. * 제50호 [[영천역]] 급수탑: [[1937년]]에 건립된 원통형 급수탑이다. 출입문 등의 시설도 잘 보존된 편. 최근에 영천시에서 야간 조명을 설치해서 밤에는 밝게 빛난다. == 제51호 ~ 제60호 == * 제51호 [[삼랑진역]] 급수탑: [[1923년]]에 건립된 원통형 급수탑으로, 하부는 화강암 석재, 상부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다. 석조 급수탑에서 콘크리트 급수탑으로 넘어가는 중간 과도기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외관이 담쟁이덩굴로 둘러싸여 있다. * 제52호 서울시청 본관: [[서울특별시청]] 항목 참조. '''껍데기만 남기고''' 새로 지어 [[서울도서관]]으로 쓰고 있다. * 제53호 [[건국대학교]] [[낙원동 교사|구 서북학회 회관]]: 원래는 종로구 낙원동에 있었으나 1985년에 해체한 후,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서울캠퍼스|광진캠퍼스]] 교정 내에 복원. 건국대학교 박물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 제54호 [[춘천]] [[죽림동 성당|죽림동 주교좌성당]]([[천주교 춘천교구]]) * 제55호 [[충청북도청]] 본관: 상술했던 전남, 충남, 경남도청과 비슷한 시기에 지어졌는데, [[전라남도청|다른]] [[충청남도청|세]] [[경상남도청|곳]]은 [[남악신도시|이]][[내포신도시|전]][[창원시|을]] 해서 원래의 건물들은 다른 용도로 쓰고 있는 반면, 이 청사는 '''아직도 현역이다!''' * 제56호 [[대한통운]] 제천영업소: [[제천역]] 앞 버스 차고지 부근에 있으며 내벽을 허물고 새 벽을 세워 원래 구조와는 달라졌으나, 파사드와 골조는 완공 당시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다만 지금은 식당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좀... * 제57호 옥천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 원래 57호는 제천역 구내 기관차 검수고였으나 지정되기 전에 헐려버린 바람에 이 문화재로 교체했다고 한다. 해당 학교는 [[향수(시)|향수]]의 저자인 시인 [[정지용]]과 [[육영수]] 여사가 다녔던 옥천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이다. * 제58호 진천 덕산양조장: 한때 경영난을 겪으면서 폐업 위기를 겪었지만, 다행히 위기를 딛고 현재도 막걸리를 생산하고 있다. * 제59호 영동 노근리 쌍굴다리: 그 유명한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이 벌어졌던 곳으로 민간인을 상대로 [[미군]]의 무자비한 학살이 바로 여기서 벌어졌다. 이 다리는 지금도 [[경부선]] 철도 교량으로 쓰인다. 개근천 위에 축조된 아치형 쌍굴 철도 교각이다. 또한 해당 다리 옆에는 노근리 평화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 제60호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 == 제61호 ~ 제70호 == * 제61호 김제 죽산리 구 일본인 농장 사무소: 원래는 '김제 농업기반공사 동진지부 죽산지소'로 등록했지만, 이후 소유권이 시로 이전되었고, 기관 명칭 변경('농업기반공사' → '[[한국농어촌공사]]'), 그리고 문화재의 역사성과 건물의 특성 및 건립 당시의 학술적,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목적 등의 이유로 2010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했다. * 제62호 목포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A0%95%EB%AA%85%EC%97%AC%EC%9E%90%EC%A4%91%ED%95%99%EA%B5%90&ridx=2&tot=661|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 제63호 함평 구 [[학교역]] 급수탑: 석조로 된 원형 급수탑으로 [[연산역(호남선)|연산역]] 급수탑과 비슷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상단부의 철제 물탱크는 없다. [[2001년]] [[호남선]] 복선전철화로 인하여 이 구간 철도가 이설되었고, 역이 [[1번 국도]]변의 현재의 [[함평역]]으로 옮겨가면서 급수탑을 제외한 나머지 역 시설들은 모두 철거된 상태이다. 현재 주변은 공원화되어 있지만, 급수탑을 전후로 옛 호남선 철길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 제64호 [[군산]] [[동국사]] 대웅전: 국내에 현존하는 [[일본]]식 [[절(불교)|사찰]] 건물들 중 하나로, 물론 현재는 한국식 사찰이다. [[1913년]]에 지어졌으며, 자재는 모두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한다. 경사가 심한 지붕이 인상적. 자세한 내용은 동국사 항목 참조. * 제65호 제천 엽연초생산조합 구 사옥: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 * 제66호 [[소록도|구 소록도갱생원]] 검시실 * 제67호 구 소록도갱생원 감금실 * 제68호 구 소록도갱생원 사무본관 및 강당 * 제69호 구 소록도갱생원 만령당 * 제70호 구 소록도갱생원 식량창고 == 제71호 ~ 제80호 == * 제71호 구 [[소록도갱생원 신사]]. 대한민국에 유일하게 살아남아 있는 일본식 [[신사(신토)|신사]]이다. * 제72호 구 소록도갱생원 등대 * 제73호 소록도 구 녹산초등학교 교사 * 제74호 소록도 구 성실중고등성경학교 교사 * 제75호 구 소록도갱생원 원장 관사 '''제66호부터 제75호까지'''는 과거 [[한센병]]환자들의 수용소로 사용되면서 관련된 시설들이었다. 섬 곳곳에 흩어져 있을 뿐더러 아직도 치료를 받고 있거나 살고 있는 한센병 병자들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일부러라도 찾아 가는 일이 없도록 하자.''' 자세한 건 [[소록도]] 문서 참조. * 제76호 파주 구 장단면사무소: 과거 [[장단군]]의 중심이던 장단면의 면사무소로 사용했지만, [[한국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된 후, 현재 [[비무장지대]]에 방치된 채 있다. * 제77호 [[경의선]] 구 [[장단역]]지: [[2002년]] 말, 경의선 남북 철도 복원사업 도중에 발견되었으며, 비무장지대 내에 있다. 78호로 지정된 증기기관차 화통도 있었지만 임진각으로 옮겨가고 현재는 승강장만 남아 있다. 안보관광 코스도 없으므로 '''일반인이 관람하기에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 제78호 경의선 [[임진각국민관광지#s-3.6|장단역 증기기관차 화통]]: 과거 [[포스코]] 광고에도 나왔던 옛 기관차로 원래 [[장단역]]에 있었다가, 보존 작업을 거쳐 현재 [[임진강역]] 인근의 [[임진각]]으로 옮겨져 전시되고 있다. 일반인도 보러 갈 수 있다. * 제79호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경의선 철도 위에 있는 작은 다리로, 장단역을 동서로 연결하던 다리였다. 한국전쟁 때의 격전지였다. 수많은 미군 병사와 남한 병사들이 죽은 이후 이런 이름이 붙었다. [[죽은 자는 말이 없다]]는 말로 인하여, 침묵의 다리라고도 불린다. * ~~제80호 [[덕수궁 석조전]] 동관~~ (2008. 6. 23일 문화재 지위 박탈, 사적 124호로 통합) == 제81호 ~ 제90호 == * ~~제81호 [[덕수궁 석조전]] 서관~~ (2008. 6. 23일 문화재 지위 박탈, 사적 124호로 통합) * ~~제82호 [[덕수궁 정관헌]]~~ (2008. 6. 23일 문화재 지위 박탈, 사적 124호로 통합) [[덕수궁]] 내에 있는 이 3개의 등록문화재는 덕수궁 전체가 사적 124호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복 등록 논란이 있었고, 결국 등록문화재에서 해제하고 사적으로 통합 관리하기로 했다. * 제83호 [[창경궁 대온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 제84호 원서동 [[고희동]] 가옥 * 제85호 계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1860|배렴]] 가옥 * ~~제86호 누상동 이중섭 가옥~~ (2008. 8. 11일 문화재 지위 박탈): 추가조사 결과 이중섭과 관련없는 것으로 밝혀져서 해제되었다. * 제87호 홍지동 [[이광수(소설가)|이광수]] 별장 터: 현재 그 위치에 세워진 한옥은 70년대에 지어진 것이라 터만 문화재로 등록한 것. * ~~제88호 통인동 이상 가옥~~ (2008. 6. 23일 문화재 지위 박탈): 추가조사 결과 이상의 집이 1943년 헐린 뒤 그자리에 다시 지어진 건물로 밝혀져 해제되었다. * 제89호 [[평창동]] [[박종화]] 가옥 * 제90호 [[홍파동]] [[홍난파]] 가옥 == 제91호 ~ 제100호 == * 제91호 [[돈암장]]: 서울 성북구에 소재하고 있으며, 이 곳은 개인 소유이기 때문에 내부가 개방되어 있지 않다. 그래도 이 곳을 답사하려면 방문 전에 회신을 보내는 것이 좋다. 원래 4개 동이 등록되어 있었지만, 2008년 6월 23일부로 증개축이 이루어져 문화재로의 가치가 없어진 3개 동을 제외하고, 한옥 본채 1동만 등록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제92호 [[의릉(조선 경종)|의릉]] 구 [[중앙정보부]] 강당: 의릉은 조선 [[경종(조선)|경종]]의 능으로 이 곳에는 [[경종(조선)|경종]]과 그의 왕비인 [[선의왕후 어씨|선의왕후]]가 잠든 곳이다.[* 다만 해당 문서 2번 항목에 나와있다시피 중앙정보부의 해외 파트 청사로 사용되면서 엄청나게 훼손이 되었다. [[1995년]]에 현재의 내곡동으로 이전할 때까지.] 그러나 정작 중앙정보부 강당은 이와는 멀리 떨어져 있다.[* 의릉 주 능선(홍살문~정자각~능침)에서 한참 벗어난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 강당에서는 [[7.4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기도 하였다. 다만 지금은 빈 건물로만 남아있는 상태. * 제93호 [[배화여자고등학교]] 생활관: 배화유치원, [[배화여자중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대학교]] 교정 내에 있다. * 제94호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 단, 본관 전체 건물 중에서 1954년에 세워진 중앙의 5개 박공 건물에 한해서 문화재로 등록했다. * 제95호 [[광주수창초등학교]] 본관 * 제96호 [[전남대학교]] 인문대 1호관 * 제97호 [[광주교육대학교]] 본관 * 제98호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대전지점: 광복 후 체신청(현, [[우정사업본부]])와 대전전화국으로 사용되다가 개인 상점이 들어섰으나 현재는 문화공간으로 사용되는 중이다. * 제99호 한국전력 대전보급소: 현재는 [[한국전력]] 산하의 전력연구원의 연구시설로 사용하고 있는데, 주변 지역은 원래 [[대전역]] 뒷편의 철도 관사촌의 연장선으로 낡은 집들이 많았으나, 지금은 [[재개발]]로 밀어버리고 LH이스트시티 2단지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 제100호 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청지원: 1999년에 청사가 이전(옛 [[대전지방검찰청]] 자리)한 후, 지금은 [[대전시립미술관]] 대전창작센터로 사용하고 있다. 길 건너편에는 [[천주교 대전교구]] [[주교좌]] [[대흥동성당|대흥동 성당]]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