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 [include(틀:대한민국 세대별 축구 국가대표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E000F 0%, #AE000F 30%, #AE000F 70%, #AE000F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height=2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E000F 0%, #AE000F 20%, #AE000F 80%, #AE000F)" {{{#ffffff ''' 대한민국 풋살 국가대표팀 '''}}}}}} || ||<-2> '''{{{#ae000f,#c0bdbd South Korea national futsal team}}}''' || || [[FIFA 코드|{{{#ffffff ''' 코드 ''' }}}]] ||'''KOR''' || || {{{#ffffff ''' 협회 ''' }}} ||[[대한축구협회]] (KFA) || || {{{#ffffff ''' 대륙 연맹 '''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 {{{#ffffff ''' 지역 연맹 ''' }}} ||[[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 || {{{#ffffff '''감독'''}}} ||이상진 (Lee sangjin) || || {{{#ffffff '''주장'''}}} ||이민용 (Lee minyong) || || {{{#ffffff '''[[AFC 풋살 클럽 챔피언십|{{{#fff AFC}}}]]'''}}} ||2위 || || {{{#ffffff ''' 첫 경기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vs [[네덜란드 풋살 국가대표팀|네덜란드]] ('''0:9''' / 패)[br]{{{-1 ([[싱가포르]] / [[1999년]] [[12월 1일]])}}} || || {{{-1 {{{#ffffff ''' 최다 점수 차 승리 ''' }}}}}} ||[[파일:괌 기.svg|width=30]] vs [[괌 풋살 국가대표팀|괌]] ('''26:1''' / 승)[br]{{{-1 ([[중국]] [[베이징]] / [[2009년]] [[11월 25일]])}}} || || {{{-1 {{{#ffffff ''' 최다 점수 차 패배 ''' }}}}}} ||[[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vs [[이란 풋살 국가대표팀|이란]] ('''14:1''' / 패)[br]{{{-1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2012년]] [[5월 25일]])}}} || || {{{-1 {{{#ffffff '''라이벌'''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풋살 국가대표팀|일본]] - [[한일전/축구|한일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풋살 국가대표팀은 [[대한축구협회]] 산하의 [[풋살]] 국가대표팀이다. == 특징 == 파주 NFC 내부에 위치한 실내 구장을 사용하고 있는데 해당 구장은 간이 관중석만 간단하게 설치된 구장으로써 선수들을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고 이 외에도 스코어보드 같은 간단한 시설들도 설치되어 있다. 풋살 국가대표팀의 경우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축구]] 대표팀에 비해 관심도가 낮아 친선경기가 열리는 파주 NFC나 횡성 등지로 오는 관람객들이 별로 없는데 풋살 국가대표팀은 친선경기 상대를 미리 정해놓고 경기를 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FK리그]]팀인 [[스타FS 서울]]과 [[서울 은평 나인티플러스]]가 주 스파링 상대이나 해당 팀들과의 경기에서는 한번도 진 적이 없다. 또한 이러한 친선경기는 주로 선수들이 출국하기 이전에 날짜가 확정되고 잡히므로 선수들은 경기를 하고 며칠 후 대회를 위해 출국한다. 대한민국 풋살 국가대표팀의 경기 여부는 [[대한축구협회]] 페이스북에는 절대 올라오지 않으며 주로 스파링 상대로 붙는 팀의 페이스북에 경기시간과 장소, 대진 정도만 올라오는 편이다. 현재 [[KFA]]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경기결과는 1999년이다. == 역대 전적 == === 2006년 이전 === ||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말레이시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1999 AFC || 준우승 || 2위 || 10점 || 6 || 3 || 1 || 2 || 33 || 27 || ||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2000 AFC || 조별리그 || 3위 || 4점 || 3 || 1 || 1 || 1 || 18 || 14 || || [[이란|[[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2001 AFC || 3위 || 3위 || 12점 || 6 || 4 || 0 || 2 || 20 || 22 || || [[인도네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2002 AFC || 4위 || 4위 || 10점 || 7 || 3 || 1 || 3 || 39 || 33 || || [[이란|[[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2003 AFC || 8강 || 8위 || 4점 || 4 || 3 || 1 || 0 || 19 || 11 || || [[마카오|[[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2004 AFC || 8위 || 8위 || 4점 || 4 || 3 || 0 || 1 || 37 || 14 || || [[베트남|[[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2005 AFC || 조별리그 || 3위 || 4점 || 6 || 2 || 0 || 4 || 32 || 24 || 2006년 이전의 풋살 국가대표팀은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1999년 [[AFC 풋살 챔피언십]]을 시작으로 대회에 지속해서 참가해왔으며 초창기에는 무려 [[AFC 풋살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거두면서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 대회를 기점으로 성적이 점차 떨어지면서 2005년 베트남 대회에서는 2라운드에서 탈락했고 2006년 우즈베키스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떨어지면서 [[AFC 풋살 챔피언십]] 무대를 밟지 못했다. 1999년에 열린 초대 대회 준결승에서 현재는 [[UEFA]]소속으로 활약하고 있는 카자흐스탄 국가대표팀을 만나 잡은 적이 있으며 조별예선에서는 [[태국 풋살 국가대표팀|태국]]을 5 - 4로 접전 끝에 한 점 차로 누르는 등 7점을 획득해 조별리그 통과에 성공했다. 결승에서는 같은 조에서 만났던 [[이란 풋살 국가대표팀|이란]]을 만나 9 : 1로 대패하면서 첫 번째 도전은 마무리되었으나 태국을 제압하는 등 좋은 성과가 있었던 초창기였다. 2001년 대회에서는 [[키르기스스탄 풋살 국가대표팀|키르기스스탄]]과 [[이라크 풋살 국가대표팀|이라크]]전에 승리하였고 태국 전에서는 패했다. 8강에서 [[팔레스타인 풋살 국가대표팀|팔레스타인]]을 꺾었지만 4강에서 [[우즈베키스탄 풋살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에게 패해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고 그나마 한일전에서 승리해 3위를 차지했다. === 박말봉호 === ||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우즈베키스탄|[[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2006 AFC ||<-9> 예선 탈락 ||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2007 AFC || 조별리그 || 3위 || 4점 || 3 || 1 || 0 || 2 || 9 || 9 || 2006년 박말봉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풋살 국가대표팀은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리는 대회 예선에 출전했지만 탈락하였고 이듬해 일본에서 열리는 2007 [[AFC 풋살 챔피언십]]에 참가했다. 그룹 C로 편성되었고 같은 조가 된 국가들은 [[키르기스스탄 풋살 국가대표팀|키르기스스탄]], [[호주 풋살 국가대표팀|호주]], [[투르크메니스탄 풋살 국가대표팀|투르크메니스탄]]으로 사실상 투르크메니스탄을 제외하면 이기기 힘든 팀들이 조에 묶였다. 첫 번째 키르기스스탄전에서는 상대가 1분 만에 자책골을 넣으면서 대한민국의 승리가 어느 정도 예측되었으나 자책골 이후 키르기스탄에서 골을 많이 넣으면서 패했다. 34분 이후 추가 득점을 했다면 비길 수도 있는 상황이였다. 호주와의 2차전은 전반전은 무승부를 거두고 아예 후반전부터 두 팀의 난타전이 펼쳐졌으며 후반 5분 넣었던 득점을 지키지 못하고 연달아 3골을 실점했다. 이후 투르크메니스탄과의 3차전에서 5 : 2로 승리하긴 했으나 키르기스탄과 호주가 비기면서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고 이후 박말봉 감독은 감독에서 물러났다. === 정진혁호 === ||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2008 AFC || 조별리그 || 4위 || 10점 || 3 || 0 || 1 || 2 || 11 || 13 || || [[베트남|[[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2009 AFC || 조별리그 || 3위 || 10점 || 2 || 0 || 0 || 2 || 4 || 8 || || [[우즈베키스탄|[[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2010 AFC || 조별리그 || 4위 || 10점 || 3 || 0 || 1 || 2 || 10 || 21 || 정진혁 감독은 박말봉 감독이 물러난 이후 후임으로 선임되었으며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감독을 맡았다. 그러나 전반적인 성적을 보면 2008년과 2010년 [[AFC 풋살 챔피언십]]에서 조별 순위 최하위, 2009년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대회에서도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0년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린 대회를 끝으로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 이창환호 === ||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2012 AFC || 조별리그 || 4위 || 0점 || 3 || 0 || 0 || 3 || 4 || 26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2013 AFC || 8강 || 8위 || 6점 || 4 || 2 || 0 || 2 || 20 || 11 || FK리그의 절대 2강팀인 [[스타FS 서울]] 감독이였던 이창환 감독이 2012년 [[AFC 풋살 챔피언십]]과 2013년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에 출전했으며 2012년의 경우 조별리그 최하위로 대회를 마쳤는데 특히 1승도 거두지 못하였는데 이는 같은 조에 [[이란 풋살 국가대표팀|이란]]은 물론이고 [[호주 풋살 국가대표팀|호주]], [[카타르 풋살 국가대표팀|카타르]]가 편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강팀들 사이에서 경기를 하기 어려웠다. 특히 호주와의 경기에서는 한점도 넣지 못했으며 이란과의 첫 번째 맞대결은 14 - 1로 크게 패했다. 그나마 카타르와 대등한 경기를 펼치며 6 - 3으로 경기를 마쳤으나 득실차는 무려 -22에 달해 다른 국가들과 크게 차이 났다. 그래도 자국에서 개최한 2013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에서는 8강 8위라는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으며 2010년대 모든 대회를 통틀어 좋은 성적이다. 2000년대에는 2001 [[AFC 풋살 챔피언십]]에서 3위, 2002년 [[AFC 풋살 챔피언십]]에서 4위를 기록한 바 있다. [[쿠웨이트 풋살 국가대표팀|쿠웨이트]], [[홍콩 풋살 국가대표팀|홍콩]], [[마카오 풋살 국가대표팀|마카오]]와 같은 조가 되었는데 쿠웨이트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3 - 5로 패하긴 했지만 마카오와 홍콩에 크게 이기며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다. 그런데 같은 조에서 이미 경기를 치른 바 있는 [[쿠웨이트 풋살 국가대표팀|쿠웨이트]]를 8강에서 만나 패하면서 이창환 감독은 해당 대회를 끝으로 팀에서 물러났다. === 외국인호(에스쿠데로호, 살레호) === ||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베트남|[[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2014 AFC || 조별리그 || 4위 || 0점 || 3 || 0 || 0 || 3 || 1 || 19 || || [[우즈베키스탄|[[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2016 AFC ||<-9> 예선 탈락 || 이창환감독이 팀에서 물러나고 [[대한축구협회]]에서는 국가대표팀 최초로 외국인 감독을 선임하여 분위기 반전을 시도했는데 에스쿠데로 감독과 살레 감독이였다. [[KFA]]의 감독 선임 목적은 풋살 활성화였고 이에 [[한국풋살연맹]]의 추천을 받았다. 에스쿠데로 감독은 골레이로로 선수 생활을 한 바 있으며 스페인 국가대표에도 4회나 뽑혀 나름대로 유명한 외국인 감독이였다. 또한 스페인 U-18과 U-21, U-20 대회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두루 경험하고 클럽팀 감독으로써도 활약한 바 있었는데 계약 기간은 총 6개월로 짧았다. 2014년 베트남 대회 출전을 위한 예선을 통과하면서 대회에 참가했으나 모든 경기에서 패하고 1득점에 19실점이라는 기록을 남기자 에스쿠데로 감독이 물러나고 이란 출신 살레 감독이 팀에 부임했다. 그러나 예선에서 탈락해 2016 우즈베키스탄 대회 진출이 좌절되면서 살레 감독도 사퇴함에 따라 외국인 감독 시대는 금방 끝나고 말았다. === 이상진호 === ||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대만|[[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2018 AFC || 조별 리그 || 4위 || 0점 || 3 || 0 || 0 || 3 || 4 || 25 || || [[쿠웨이트|[[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2020 AFC ||<-9> 코로나 여파로 대회 전면 취소 || || [[쿠웨이트|[[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2022 AFC || ? || ? || ? || ? || ? || ? || ? || ? || ? || 2013년 이창환 감독의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8강 진출 성과로 [[KFA]]는 이상진 감독을 새 감독으로 낙점했는데 이상진 감독 역시 FK리그 [[예스 구미 FS]]의 감독으로써 리그에서 잘 나가고 있는 감독이다. 2018년 [[AFC 풋살 챔피언십]]에 출전한 대표팀은 [[일본 풋살 국가대표팀|일본]], [[우즈베키스탄 풋살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풋살 국가대표팀|타지키스탄]]을 같은 조에서 만났다. 우즈베키스탄과의 첫 번째 맞대결에서 13 대 2로 패하였고 이후 라이벌 일본과의 경기에서도 승리를 챙기지 못했다. 막판 타자키스탄과의 경기에서 역시 7 - 0으로 대패하면서 대회를 마감하였으나 2020 투르크메니스탄 예선에서 라이벌 국가인 일본에게만 패하며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대회는 취소되었다. 2022년 쿠웨이트 대회 예선에서는 홍콩, 몽골, 중화 타이베이, 일본과 한 조에 배정되었는데 2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본선 조 추첨에서는 3포트에 배정되었고 일본,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베트남과의 첫 경기에서 1:5로 패했고 일본과의 경기에서는 0:6로 패했다.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한테 0:4로 패하며 3전 3패로 탈락했다. 최종 순위는 15위이다.(16위는 오만) 2024년 대회 예선에서는 몽골, 베트남, 네팔과 한 조에 배정되었다. === [[FIFA 풋살 월드컵]] === ||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br]1989년 ||<-9> 예선 탈락 || || [[영국령 홍콩|[[파일:영국령 홍콩 기.svg|width=30]]]][br]1992년 ||<-9> 예선 탈락 ||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br]1996년 ||<-9> 예선 탈락 || ||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br]2000년 ||<-9> 예선 탈락 || || [[대만|[[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br]2004년 ||<-9> 예선 탈락 ||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br]2008년 ||<-9> 예선 탈락 || ||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30]]]][br]2012년 ||<-9> 예선 탈락 || ||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br]2016년 ||<-9> 예선 탈락 || || [[리투아니아|[[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30]]]][br]2021년 ||<-9> 예선 탈락 || 아직까지는 FIFA 풋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은 없다. == 라이벌 == 축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일본이 최대의 라이벌이나 실력으로는 일본의 압도적 우세이다. 그동안 모두 5번을 일본과 붙었는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축구 대표팀]]과는 다르게 한국이 1승 0무 4패로 열세인 상황이며 유일한 승리는 2001년 7월 20일 [[이란]] [[테헤란]]에서 열렸던 [[AFC 풋살 챔피언십]] 본선이였다. [[분류:아시아의 풋살 국가대표팀]][[분류:대한민국의 풋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