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 국군]][[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수도방위사령부]][[분류:대한민국 경찰]][[분류:단]][[분류:경비단]][[분류:대통령경호처]] [include(틀:상위 문서,top1=대통령경호처)]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의 지휘를 받는 경찰 및 군부대들. [[문민통제]] 원칙에 따라 군부대는 정부기관인 경호처에 직접 소속될 수 없어서 경호처에 영구 [[파견]]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 [[제1경비단]]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친위대]] 역할을 하고 있다. 1974년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 이후 신임 [[대통령경호처장|경호실장]] [[차지철]]이 [[대통령경호처|대통령경호실]]과 '''본인'''의 권력을 강화하고자 창설하였다. 경찰부대로는 [[101경비단]], [[22경찰경호대|22경호대]]가, 군부대로는 33헌병대, 55경비대, 66특전대, 88지원대 등이 이 무렵 창설된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22300329123001|#]] [[슈츠슈타펠|같은 숫자가 연속된 독특한 부대명]]들도 그가 직접 지은 것이다. [[제27특공부대]]를 거쳐 사라진 66특전대를 제외하면 나머지 부대는 세세한 편제의 변화는 있었을지언정 여전히 존재한다. 경호부대를 관리하는 직책으로는 경찰부대를 관리하는 직책인 경찰관리관([[경무관]])과 군부대를 통합 관리하는 직책인 [[틀:군사관리관|군사관리관]]([[준장]])[*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소속이며, 문민화 이전에는 경호처 차장보(준장)가 해당 역을 하였으며, 문민 이후로는 준장이 대체로 보임되었고, 한때 대령으로 보임되어 준장으로 승진하거나, 군사관리관에 준장으로 보임되어 소장으로 진급했으나 마땅한 임지를 찾지 못해 1년 가까이 소장이 군사관리관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던 적도 있다.]이 있다. 지휘가 아닌 관리인 이유는 직속상관도 아니고 지휘권한이 없기 때문이다. 지휘권한은 경호처장에게 직통으로 올라간다. 부대원 전원의 신상, 각 부대의 세부적 임무, 위치 등은 당연히 [[군사기밀|기밀]]이며, 현역 장병의 방송출연이나 인터뷰도 제한된다. 다만 전역 후에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sid1=001&oid=003&aid=0000616789|"내가 이 부대 출신이다" 정도까지는 밝혀도 무방하다.]] 이 지원부대 중에서 55경비단의 경우 매우 [[요직]]이기 때문에 지휘관 대다수가 [[장성급 장교|장성]]으로 진급하였다. 1979년 [[12.12 사건]] 당시 [[고명승]] 경호실 작전담당관의 지시에 따라 [[국무총리]] 공관을 장악하는데 동원된 [[흑역사]]가 있다. 당시 경호실 소속 장교들 중에는 위의 [[고명승]] 외의 [[최석립]] 등의 일부 [[하나회]] 소속이 있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964176|기사]] 군 부대의 경우 [[윤석열 정부]]의 [[윤석열 정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전까지는 33·55·88·90이 [[청와대]] 인근 모처에 통합 주둔했으며, 일반적으로 경호처 소속 군부대라고 하면 이 넷 만을 일컫는 말이었다.[* 당장 [[http://img.bemil.chosun.com/nbrd/files/BEMIL085/upload/2007/06/6-6%20152-1.jpg|엘리트복]]이 공식 지급되는 부대가 이 넷 뿐이었다.] 용산 이전과 함께 많은 변화가 있었겠으나 군사보안상 자세한 서술이 곤란하므로 본 문서의 내용은 2023년 현재와 맞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 국방부 직할 부대 == === 제90정보통신단 === [include(틀:정보통신단)] [[국군지휘통신사령부]] 소속으로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관련된 통신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1990년]] [[http://law.go.kr/lsInfoP.do?lsiSeq=12208&viewCls=lsRvsDocInfoR#0000|90통신단령]]에 따라 창설되었다. 뒤늦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경호부대의 작명법을 따르지 않는다. 약칭은 '구십단.' 병(兵)의 선발은 정보통신학교에서 이뤄지며, 이 부대 간부가 직접 선발을 올 경우도 있고, 그냥 정보통신학교에 위임하는 경우도 있다. 신원조회는 당연히 거친다. [[2022년]] [[윤석열 정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전까지 군 소속 경호부대가 함께 주둔하던 [[삼청동]] 통합주둔지는 원래 90단 단독주둔지였다. 나머지 부대들이 1996년에 들어온 것. 주둔지 관리 및 경계업무의 많은 부분이 여전히 90단 담당인 것은 그 흔적이었다. === 제868경호대 === [[국군방첩사령부]] 소속으로 엄밀히 말하면 경호처의 지휘는 받지않고 경호처와 협조를 하지만 경호지원부대이기에 이곳에 서술한다. 전군 유일의 무장경호 전문부대이며, 주요 임무로는 대통령이 행사장을 방문하기에 앞서 현장 검측 및 안전조치 등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대통령이 군부대나 [[서울공항]] 등을 방문할 경우 무장경호임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대통령 경호라는 임무 특성상 확실한 신원확인이 필요한 만큼 부대원 전원이 방첩사 소속간부이며 전입간부 선발은 국군방첩학교 교육간 우수자, 방첩사 예하부대 중 일부인원을 선발하는 방식으로 국한된다. 국직부대 특성상 육, 해, 공, 해병 모두 편제되어 있다.(병 편제는 창설이후부터 현재까지 없다.) 대부분 [[특전사]], [[UDT/SEAL]] 등 특수부대 출신들이 많아 개개인의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이 대다수다. 최근 707, HID 출신 인원이 증원됐다. === 국방부 근무지원단 군사경찰대대 === [[국방부 근무지원단]] 소속의 군사경찰대대로 [[윤석열 정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으로 대통령실이 국방부 영내로 들어오게 되면서 경호처에 편입되었다, [[국방부 근무지원단]] 군사경찰대대 전부가 경호처 소속은 아니고 군사경찰대대 중 50군사경찰대만이 경호처에 편입되어있다. 기존에는 초병들이 각 군의 군복을 입고 경계근무를 서왔지만 경호처에 편입된 이후 초병의 복장이 흑복으로 통일되었다. 육군병(兵)의 선발은 [[육군훈련소]] 에서 면접을 통해 차출하며 면접에서 합격하면 군사특기가 [[군사경찰]]로 확정되며 [[육군종합행정학교]] 에서 후반기 교육을 받은 후 자대로 이동한다. 해군, 해병대병(兵)의 경우에는 타 부대와 마찬가지로 랜덤으로 배치받으며, 자대를 선택하는 공군병(兵)의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선택하여 온다.(국직부대라는 특성상 공군에게는 인기는 없는 편이다.) == 육군 부대 == [include(틀:수도방위사령부 예하부대)] [[수도방위사령부]] 소속으로, 수도방위사령부의 [[친위대|창설 목적]]을 고려하면 [[제1경비단]]과 함께 수도방위사령부에 남은 [[군사정권]]의 마지막 흔적이라고도 볼 수 있다. [[장병]] 전원 엄격한 면접과 신원조회로 선발하며, 면접 기준은 이런 부대들이 다 그렇듯 '''본인의 [[의지]]'''[* 면접때 온갖 감언이설로 꼬시는 [[대한민국 육군/수색대|수색대]] 등과는 달리 오히려 "이래도 오겠느냐?" 식으로 겁을 준다. [[JSA경비대대]]와 더불어 '''워낙 민감한 업무를 하는 부대'''이기 때문에 어중이떠중이를 뽑았다가 사고라도 나면 뒷감당이 안 되므로, 다른 무엇보다도 어떤 힘든 일이라도 근위대라는 자부심 하나로 감내하겠다는 본인의 의지를 가장 중시하는 편이다.(이를 위해 면접간부가 '''엘리트복을 입고''' 면접을 한다.) 그럼에도 의외로 그런 부대에 대한 로망을 가진 사람도 꽤 있기 때문에 병력충원 자체는 별 문제가 없다는 점에서도 [[JSA경비대대]]와 비슷하다. 물론 JSA와는 달리 서울 한복판이라는 메리트도 무시할 순 없겠지만.], [[외모]][* [[꽃미남]]까지는 아니라도 업무가 업무니만큼 최소한 거부감 들지 않는 멀쩡한 외모와 허우대를 가져야 한다는 뜻이다. 어쨌든 외모를 보는 건 사실이라 종종 [[연예인]]급 미남이 뽑히기도 하며, [[오지호|실제로 연예인으로 데뷔한 사람]]도 있다.], [[학력]][* 대학 재학 이상의 학력을 요구한다. 물론 이는 최소 조건일 뿐이고, [[명문대]]나 [[유학생|유학파]] 출신의 비율이 높다. 물론 다른 조건이 매우 우수하다면 [[학벌]]이 별로라도 무방하다.], [[체력]], [[인성]], 가정환경[* [[한부모 가족]]은 [[광속 탈락]] 대상이며, 이외에도 가정환경이 심하게 불우하다고 판단되면 아무래도 선발되기 어렵다. 가정환경 불우한 게 본인 잘못은 아니지만 어쨌든 이런 부대 입장에서는 최대한 위험 요소를 피하려고 하니까...], 주특기능력, 의사표현능력, 기타 결격사유여부([[전과(범죄)|전과]], [[문신]][* 의지, 체력, 외모, 학력 등 모든 조건에서 완벽에 가까운 병사가 있었는데 하필 배에 작은 레터링이 있었다. 해당 병사가 너무 아까웠던 면접 간부가 고심 끝에 결국 "샤워할 때 빼고는 상의 탈의 금지. 넌 문신 없는거다!"를 조건으로 선발했다는 일화가 있다.] 등) 등이다. 세부 기준은 부대나 보직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가령 [[경비병]]이면 체력과 체격이, [[운전병]]이면 운전 실력[* 그 자리에서 운전을 시켜 볼 수는 없는 노릇이니 아무래도 나이가 가장 쉬운 판단 요소가 된다. 때문에 운전병들은 여타 보직에 비해서도 평균 연령이 다소 높은 편이다.]이, [[조리병]]이면 조리 경력이 중요하다. 면접에 합격하더라도 신원조회에 약 한 달[* 최장 7주까지 걸린 사례도 있다.]이 걸린다. 처음부터 특기병으로 지원하는 33 경호병은 논외로 하고, 만약 입대 직후에 면접을 봤다면(55 경비병) 그 동안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훈련 수료 이후에 면접을 봤다면(33·55 특기병 및 88 전원) 신원조회 동안은 다른 곳에서 대기하다 합격하면 자대로 가게 된다. 신원조회 기준은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JSA]]나 [[국군방첩사령부]]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것은 불명. [[http://img.bemil.chosun.com/nbrd/files/BEMIL085/upload/2007/06/6-6%20152-1.jpg|엘리트복]][* 사진은 제88지원대(2007년 수송대대) 병사들이지만, 나머지 경호부대원들도 동일한 복장을 착용한다. 사진은 하복이며, 동복은 흑갈색이다.]과 [[http://www.11st.co.kr/product/SellerProductDetail.tmall?method=getSellerProductDetail&prdNo=1537239952&trTypeCd=PW02&trCtgrNo=585021&lCtgrNo=1001315&mCtgrNo=1001878|기동화]]가 지급되며 출타 때도 전투복을 입지 않는다. 임무에 따라 [[사복]], [[정장]]을 입거나 머리를 기르기도 한다. 여타 부대와는 완전히 다른 군생활을 하게 되는데, [[군사보안]]상 자세히는 서술하지 못하지만 경호부대 내에서도 부대와 보직에 따라 복무여건이 천차만별이라 [[Case by case|일괄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그래도 전반적인 복무여건은 꽤 좋은 편이고[* 당장 [[조리병]]도 모두 선발 자원이다. 대부분 조리 관련 자격증을 최소 3~4개 이상 보유하고 전역 후에도 [[요리사|현업에 종사]]할 예정인 사람들이라 실력과 프로의식 모두 충만해, 진짜로 '''짬밥이 맛있다.''' 흔히 [[한국군 병영식|한국군 짬밥]]하면 떠오르는 질 낮은 병영식은 이 곳에서는 다른 나라 이야기.], 빡센 부분이 있어도 부대가 부대니만큼 그만큼 물심 양면의 보상이 있는데다, 애초에 선발과정에서 자발적으로 선택한 사람들이므로 대부분 자부심을 갖고 복무한다. 대신 '''[[군기교육대]] 이상의 징계를 받으면 자동 [[전출]]된다.'''[* 처벌의 일환으로 전출을 보내는 게 아니라, 경호부대 원칙상 [[군기교육대]] 이상의 징계를 받은 장병은 경호부대에 있는 게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드물게 훈련소나 후반기교육, 신원조회 대기기간 중에 사고를 쳐 군기교육대 이상의 징계를 받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경호부대에 절대 올 수 없다. 물론 경호부대에 합격할 정도로 우수한 장병이 신병 때 군기교육대 급 대형 사고를 칠 확률은 높지 않겠지만 말이다. [[야전군]]급 단위에서의 소속 변경은 행정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출 시에도 ~~다행히~~ 수도방위사령부 다른 직할부대로 보낸다. 때문에 그냥 평범한(?) 군생활을 하고 싶다며 자진해서 전출가는 인원도 가끔 나온다. ~~그리고 보통 가자마자 후회한다~~] 과거에는 [[제1경비단|30경비단]]과 함께 [[경복궁]] 내에 주둔했으며, [[1996년]]부터 [[2022년]] [[윤석열 정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때까지는 90단과 함께 청와대 근처 [[삼청동]] 모처에 주둔했다. 다른 건 몰라도 위치 하나만은 [[국군재정관리단|경리단]]과 더불어 국군 상위 0.1%에 들 법한 환상적인 곳에 있어서, [[운전병]]들에게나 출타/[[면회]]에는 그야말로 축복받은 환경이다. 의외로 장병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부대개방행사]]도 있으며 이때는 [[청와대]] 경내 관람 투어까지 제공된다.[* 가족들에게 부대와 청와대가 비교적 쉽게 개방되는 이유는 간단한데, '''애초에 병사들 신원조회 할 때 가족들 신원조회도 하기 때문이다.''' 즉 경호부대 병사라면 가족들까지도 이미 신원조회가 완료되었다고 보면 된다. 때문에 [[면회]] 때도 [[친구]]나 [[여자친구]] 등의 [[지인]]은 면회실까지만 올 수 있지만, 가족들은 생활관까지도 접근 가능하다.] 이후 [[윤석열 정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따라 한 번 더 이전했지만, 어쨌든 여전히 좋은 위치임은 분명하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대통령경호실|경호실]]을 [[대한민국 경찰청|경찰청]] 산하의 '경호'''국''''으로 격하하겠다는 내용이 있었기 때문에 없어지거나 [[제1경비단]]으로 흡수될 가능성이 있었지만, 2017년 7월 일단은 [[대통령경호처|경호'''처''']]로 한 단계만 격하됨에 따라 당분간은 존속되게 되었다.[[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757598&code=11121600&cp=nv|#]] 오히려 [[윤석열]] 대통령 당선 이후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하면서 경호부대는 용산으로 함께 따라갔지만, 원래대로 [[청와대]]를 둘러싼 [[북악산]]과 [[인왕산]]을 지키는 제1경비단의 존재 의미가 희박해졌다. [[제1경비단]], [[국군서울지구병원]] 등은 경호처의 직접지휘를 받지는 않지만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고 교류도 잦다. === 제33군사경찰경호대 === [[파일:33헌병.gif]] 편제상 수방사 [[군사경찰단(수도방위사령부)|군사경찰단]] 예속이다. 약칭은 '삼삼.' 원래는 헌병경호대였으나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헌병]]이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군사경찰]]로 바뀌면서 부대명도 따라 바뀌었다. 더 과거에는 그냥 33헌병대였다. 간혹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이름이 비슷한 구 '33경비단'(현 [[제1경비단]] 백호대대의 전신)과 혼동하기도 한다. 같은 수방사 소속인데다 [[근위대]]라는 특징도 공유하기도 하고. 심지어 종종 언론에서도 혼동할 정도.[* 두 부대의 숫자 33은 유래부터 완전히 다르다. 33경비단은 전신인 [[제33보병사단|33사단]]에서 따온 반면, 33헌병대는 전술했다시피 [[차지철]]이 직접 지은 것이다.] 여타 군사경찰과는 별도로 선발하며 [[부사관]] 위주로 바꿔나가는 추세로, [[육군부사관학교]]에서 면접등으로 뽑는다고 한다. 물론, 병도 여전히 모집한다. 육군 병과코드는 [[대한민국 육군/군사특기#s-3.3.2|321273]]으로 처음부터 [[http://www.mma.go.kr/contents.do?mc=mma0000511|특기병으로 뽑는다.]] 모집에 합격하는 순간 가게 될 자대까지 정해지는 몇 안 되는 경우다. 대부분 경호학과나 [[체대]] 출신이다. [[운전병]]은 여타 경호부대 병들과 마찬가지로 [[방패교육대]]에서 선발한다. 대통령이 헬기를 타고 이동할 경우, 공군 [[제35비행전대]] 소속의 경호헬기가 경호비행을 실시하는데, 이 때 해당 헬기에 33경호대 소속 [[저격수]]가 함께 탑승한다. 정장은 일부 병사들에게만 보급되며, 헤어젤과 스프레이는 병사가 직접 구매하여 사용한다. === 제55경비단 === [include(틀:독립단)] [include(틀:경비단)] || [[파일:99ABAE3A5C49644A13.png|width=100%]] || [[파일:9999CF3A5C49644B0A.png|width=100%]] || 편제상 수도방위사령부 직할이며 '오오'라 읽으면 [[오오|어감이 좀 그래서인지]] 약칭은 '오십오'이다. 다만 외부인들은 '오오'라 부르기도 한다. [[제1경비단]]과 이름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부대형태를 가졌으며, 자세한 사항은 [[군사기밀]]이다. 중령급 지휘관인 [[대대]]급이었으나 2010년대에 대령급 지휘관인 [[단(군대)|단]]급으로 승격되었다. 경비병은 대부분 경기도권 상비사단 신병교육대에서 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발은 인성, 지능, 체력, 체격 등의 군인 정예요원 선발과정을 거친다. 선발 후에도 자대배치 전까지 부대에 대한 정보를 거의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곰신]]카페나 [[네이버 지식iN|지식iN]]을 보면 "XX사단 신교대로 입대한 [[남자친구|남친]]이 55경비단이라는 곳에 뽑혔다는데 어떤 부대인가요?" 식의 질문글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물론 특기병은 [[방패교육대]]에서 선발하는 것이 원칙이다. 여기서 원칙이라는 것은, 대부분이 그렇다는 것이다. 특기병 수급이 시급한 것과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신원조회는 통과했으나, 다른 조건이 미흡해 주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인원을 특기병으로 선발하기도 한다. 이 경우 신원조회 기간이 단축되니 방패교육대나 다른 수도방위사령부 직할부대에서 대기하는 기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운전병]]은 별도의 [[후반기교육]] 및 그에 따른 군 운전면허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편법이 불가능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sid1=001&oid=003&aid=0000616789|북악회]]라는 이름의 [[전우회]]가 있다. [[안영호]] 장군이 중령 시절 [[대대장]]을 지냈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이후 [[용산구]] [[한남동]] 소재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168985?sid=102|경비 임무를 맡게 된다.]] == 해군 부대 == === [[청해대]] === [[파일:청해대 대통령 별장.jpg]] '''[[바다]]의 [[청와대]]''', 청해대(靑海臺) 위치한 섬 이름을 따서 [[저도]] [[별장]]이라고도 한다.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 [[저도]]에 위치한 [[대한민국 대통령]]의 휴양지로, [[대한민국 해군]] [[진해기지사령부]]가 관할하며 [[대한민국 대통령]]이 쓰지 않는 평상시에는 [[해군]] 휴양소로 사용 중이다. == 공군 부대 == === [[제35비행전대]] === [include(틀:대한민국 공군의 독립부대)] || [[파일:제35비행전대.png|width=200%|high=50%]] || [[파일:KAF001.jpg|width=100%]] || ||<-2> 조국에 충성! 35에 명예! || [[제35비행전대]]는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 관리부대로 전군 유일의 각종 귀빈 수송임무 전담부대이다. 병사의 경우 공군교육사령부에서 특기별로 기본군사훈련 성적이 우수한 인원을 상대로 서류전형과 면접을 통해 깐깐하게 선발한다. 경기도 성남시에 주둔한다는 지리적인 이점과 귀빈임무 요원에 대한 선망으로 우수한 자원을 미리 선점해오고 있다. 또한 상기한 부대들과 같이 간부-병사 모두 국군방첩사에서 한달가량 신원조회를 거친 후 최종적으로 업무에 투입된다. 전 인원이 대통령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업무를 보기 때문이다. == 경찰 부대 == * [[101경비단]] * [[202경비단]] * 61경비대 * 62경비대 * 63경비대 * 64경비대 * [[22경찰경호대]] 모두 [[서울경찰청]] 소속이다. 이외에도 CAT(Counter Assault Team; 공격대응팀)이 서울청 [[경찰특공대]]에서 파견 나온다고 한다.[* 2019년 3.1절 행사 당시 목격된 CAT팀 대원이 경찰특공대 패치를 착용했다.] 과거 외곽경비를 수행하는 [[603부대|603의경대]]와 713의경대가 있었으나 [[경찰청 의무경찰|의무경찰]] 폐지에 따라 [[2019년]] 해체되었다. == 소방대 == === 대통령경호처소방대 === [[서울소방재난본부]] 소속으로 일선 소방기관에서 3년 이상 현장경험을 거친 소방공무원들로 구성되어있다. 서울소방 소속 지원자 중 일선의 평가와 면접을 통해 인성과 능력을 검증하여 선발한다. == 해체된 부대 == === 제338경비대 === 1983년 12월 10일 [[수도방위사령부]] 예하로 창설된 부대이다. 단, 이쪽은 다른 부대들과는 달리 서울에 있는 부대가 절대 아니었고 [[독립대대]]나 다름이 없는데, 그도 그럴 것이 이 부대는 대통령 별장인 [[청남대]]에 주둔하던 부대였다.[[http://blog.daum.net/mma9090/7799|#]] 청남대 경비를 [[제1경비단|제33경비단]] 8중대에서 맡았기 때문에 증편하면서 제338경비대대라 칭한것이다. 본부제대, 제1제대(선봉비호), 제2제대(번개), 제3제대(무적불곰), 제5제대(야생마), 제6제대(돌풍)으로 편성되었으나 [[2003년]] 청남대가 민간에 개방되면서 해체되었다. 배우 [[오지호]]가 이 부대 출신이다. [[http://image.xportsnews.com/contents/images/upload/article/2018/1109/1541768517941138.jpg|사진]] === [[제27특공부대]] ===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소속으로 본래는 나머지 경호부대와 동일한 작명법으로 '제66특전대대'였다. [[문민정부]]가 들어선 이후 임무를 [[경찰특공대]]에 넘겨주고 [[1994년]] 해체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27특공부대)] === 제88경호지원대 === 편제상 수방사 군수지원대대 예속이다. [[제1113공병단]]에 배속된 장병들도 있다. 약칭은 '팔팔.' 33·55·90와 함께 주둔하며 지원업무를 수행했다. [[PX]], [[병사식당]], [[간부식당]] 등도 모두 88 담당. 즉 [[본부대]]+[[지원부대]] 역할. 따라서 병사는 대부분 [[행정병]]([[정보병|정보]]·[[작전병|작전]], [[인사병|인사]], 재정, [[보급병|보급]] 등), [[조리병]], [[운전병]], [[공병#s-2.4.3|시설공병]], [[사격장관리병]] 등 [[비전투병|비전투보직]]으로 구성되므로 전원 [[방패교육대|방교대]]에서 선발된다. 부대 특성상 체력보다는 보직 업무 능력을 더 중시하며, 때문인지 경호부대 사이에서는 몸 보다는 머리 쓰는 [[샌님]]들 이미지가 있었다.[* 물론 대체적으로 그렇다는 것이지 선발 간부의 취향에 따라 [[헬창]]이나 [[농구선수]] 출신 [[거한]]이 뽑히기도 했다. 사실 대부분의 간부들은 [[운동선수]] 출신 병사들을 좋아하는 편이다. 체력 좋고, 운동 잘 하며, 통제된 생활과 [[상명하복]]에 익숙하고, 대체로 인간관계도 원만하며, 군생활에 필요한 소위 [[눈치|'센스']]도 좋은 편이기 때문. 거기에 [[학력]]까지 좋으면 말 그대로 먼저 보는 간부가 임자다.] 지금은 없어진 부대라서 할 수 있는 말이지만, 그러잖아도 복무여건 좋은 경호부대 + 유일한 순수 [[기행부대]]라는 특수한 조합으로 웬만한 [[국직부대]]도 한 수 접어주는 상위 1% [[땡보직|꿀부대]]로 유명했다. 함께 주둔하던 33·55·90 병사들의 부러움을 사는 건 물론이고 심지어 좀 떨어진 [[제1경비단]]에까지 소문이 나 '꿀팔'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었을 정도. 그럼에도 면접에서는 다른 경호부대와 똑같이 엘리트복 입고 엄청나게 겁을 주면서 뽑았기 때문에, 뭔가 그런 '간지나지만 빡센' 군생활에 로망을 갖고 ~~낚인~~ 선발된 병사들이 정작 부대에 와서는 진실을 알고 황당해 하는 경우도 있었다. 2022년 [[윤석열 정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과 함께 55경비단으로 통합되었지만 본래의 명칭과 역할은 그대로 남아있다. == 관련 문서 == * [[국군서울지구병원]] * [[근위대]] * [[서울경찰청]] * [[수도방위사령부]] * [[국군지휘통신사령부]] * [[제1경비단]] * [[청남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도방위사령부, version=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