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대천, other1=1995년 대천시-보령군 통합 이후의 現 보령시, rd1=보령시)] [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천시 시기.svg|width=100%]]}}} || || {{{#035ac0 '''대천시(1986~1995)의 시기'''}}} || ||<-4> '''[[파일:충청남도 휘장(~1998).png|height=20]] [[충청남도|{{{#000000,#dddddd 충청남도}}}]]의 [[시(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ddd 폐지된 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대천시 CI.svg|width=80]]||{{{#000,#fff '''{{{+1 대천시}}}'''[br]大川市[br]{{{-1 Taech'ŏn City[* 폐지 당시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준]}}}}}} ||}}} || ||<-4> [include(틀:지도, 장소=보령시 대천동 618-34, 너비=100%, 높이=100%)] || ||<-2> '''시청 소재지''' ||<-2> 대천시 [[대천동(보령)|대천동]] 618-34번지 [br] (現 [[보령시]] 원동1길 69 (대천동 618-34번지)[* 현재는 주상복합 건물이다.] || ||<-2> '''광역자치단체''' ||<-2> [[충청남도]] || ||<-2> '''하위 행정구역''' ||<-2> 6[[행정동]](10[[법정동]]) || ||<-2> '''면적''' ||<-2> 46.24㎢ || ||<-2> '''인구''' ||<-2> 55,281명([[1994년]] [[12월 31일]] 기준) || ||<-2> '''현재 인구''' ||<-2> 59,088명 (2023년 2월 [[https://jumin.mois.go.kr/index.jsp|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기준. [*통합 인구 現 [[보령시]] 동 지역으로 대천1동 13,393명, 대천2동 6,362명, 대천3동 15,725명, 대천4동 17,571명, 대천5동 6,037명이다.] || ||<-2> '''인구밀도''' ||<-2> 1,195.52명/㎢ ([[1994년]] [[12월 31일]] 기준) || ||<-2> '''지역 전화''' ||<-2> 0452(현재 041) || ||<-2> '''존속 기간''' ||<-2> '''1986년 1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6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충청남도]]에 있었던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市)]]. [[1995년]] 1월 1일부로 보령군과 통합하여 [[보령시]]가 설치되면서 폐지됐다. == 역사 == 원래 [[보령시|보령군]] 대천면이었다.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 직후인 [[1914년]] [[10월 1일]]에 기존 주포면 보령리에 있던 보령군 청사를 대천으로 옮기면서 보령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후 [[대천해수욕장]]이라는 유명 [[피서지]]와 인근 [[보령시/행정#s-4.4|성주면]]에 있었던, 충남 최대 규모의 탄광인 [[광산|성주광업소]]([[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으로 [[1990년]] 10월에 폐광되어 현재 보령석탄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덕분에 인구가 늘어나면서 [[1963년]] [[1월 1일]] 대천면이 대천읍으로 승격되었고 [[1986년]] 1월 1일, 대천읍이 대천시로 승격하면서 보령군에서 분리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복합시]] 제도 도입으로 인한 전국적인 행정구역 대개편으로 보령군과 통합하면서 [[보령시]]가 설치되어 폐지되었다. == 행정 == [[파일:대천시행정.png]] [[1995년]] [[도농통합]] 당시 대천시에는 6개의 [[행정동]], 10개의 [[법정동]]이 있었다. 이중 왕대동과 현포동[* 현재의 대천 5동 일대]이 [[1998년]] 통합되어 5개 행정동이 되었고 [[1999년]] 이들의 [[명칭]]을 일괄적으로 대천1~5동으로 개칭하여 현재 [[보령시]]의 [[도심]] 지역을 이루고 있다. 여담으로 [[온양시|온양]]과 [[점촌시|점촌]]도 각각 온양6동, 점촌5동까지 되어 있는데 공교롭게도 셋 다 1986년에 승격되었다. == 여담 == * [[대천해수욕장]] 덕분에 여전히 인지도가 있는 편이다. "'''대천'''이라는 이름은 들어봤는데 '''보령은 어디야?'''"라고 물어보는 사람도 [[부지기수]]. 실제로 보령의 중심지 역할을 오래 했고, 지금도 그렇기 때문에 보령시민들과 인근 거주민들과 대다수의 중장년층 인물들도 보령보다는 [[대천]]이라는 말을 더 자주 쓴다. 반대로 젊거나 어린 층들은 대천이라는 명칭은 생소하고 현재의 이름인 보령을 더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 보령으로 통합된 이후에도 [[대천역]]과 [[대천여객]]은 대천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 중이고, 900번 버스는 아예 '''"대천시내 방향"'''이라고 행선지를 띄운다.[* 보령시 버스는 출발지에 상관없이 대천역으로 갈 땐 무조건 900번이다.] * [[일본]] [[후쿠오카현]]에 [[오카와시|한자가 같은 도시]]가 있다. [[분류:보령시]][[분류:향토사]][[분류:충청남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1986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1995년 폐지된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