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대표적인 대중음악 모음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 ↓}}} '''[[1940년대|{{{#fff 1940년대}}}]]''' {{{#fff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hRDUd-J8bM,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4XRB4wNp3w, height=200)]}}} || || '''[[빙 크로스비]] - [[White Christmas]]'''[* [[1940년대]] 싱글 역대 판매량 1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실물 싱글'''(5000만 장).] {{{#808080 {{{-2 (1942)}}}}}} || '''[[프랭크 시나트라]] - [[I'll Never Smile Again]]'''[* [[프랭크 시나트라]]의 40년대 대표 히트곡.] {{{#808080 {{{-2 (1940)}}}}}} || ||<-2> {{{#fff ↓}}} '''[[1950년대|{{{#fff 1950년대}}}]]''' {{{#fff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zYBEJgKjv0,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8JKM_BjuSY, height=200)]}}} || || '''[[빌 헤일리]] & His Comets - Rock Around The Clock'''[* [[1950년대]] 싱글 역대 판매량 1위(2,500만 장). 남자 그룹 싱글 역대 판매량 1위. 세계 실물 싱글 판매량 순위 4위.] {{{#808080 {{{-2 (1954)}}}}}} || '''[[엘비스 프레슬리]] - [[Hound Dog]]'''[* [[엘비스 프레슬리]]의 50년대 대표 히트곡.] {{{#808080 {{{-2 (1956)}}}}}} || ||<-2> {{{#fff ↓}}} '''[[1960년대|{{{#fff 1960년대}}}]]''' {{{#fff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ADx3-qRxek,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EGczv7iiEk, height=200)]}}} || || '''[[비치 보이스]] - [[God Only Knows]]'''[* [[피치포크]] 선정 [[1960년대]] 1위, [[타임지 선정 100대 명곡]].] {{{#808080 {{{-2 (1966)}}}}}} || '''[[비틀즈]] - [[All You Need Is Love]]'''[* [[비틀즈]]의 [[1960년대]] 시대정신을 상징하는 히트곡.] {{{#808080 {{{-2 (1967)}}}}}} || ||<-2> {{{#fff ↓}}} '''[[1970년대|{{{#fff 1970년대}}}]]''' {{{#fff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kF3oxziUI4,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5TmORitlKk, height=200)]}}} || || '''[[레드 제플린]] - [[Stairway to Heaven]]''' [*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단일곡 중 하나로 꼽히는 [[레드 제플린]]의 히트곡.] {{{#808080 {{{-2 (1971)}}}}}} || '''[[마빈 게이]] - [[What's Going On(노래)|What's Going On]]'''[* [[마빈 게이]]의 1970년대 대표적인 히트곡.] {{{#808080 {{{-2 (1971)}}}}}} || ||<-2> {{{#fff ↓}}} '''[[1980년대|{{{#fff 1980년대}}}]]''' {{{#fff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i_XLOBDo_Y,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jV11Xbc914, height=200)]}}} || || '''[[마이클 잭슨]] - [[Billie Jean]]'''[* [[마이클 잭슨]]의 80년대 대표 히트곡이다.] {{{#808080 {{{-2 (1983)}}}}}} || [[A-ha]] - [[Take On Me]][* [[A-ha]]의 대표 곡이다. 2020년대에 대히트를 거둔 [[신스 팝]]들의 표본이라고 할 수 있다.] {{{#808080 {{{-2 (1985)}}}}}} || ||<-2> {{{#fff ↓}}} '''[[1990년대|{{{#fff 1990년대}}}]]''' {{{#fff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TWKbfoikeg,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XxRyNvTPr8, height=200)]}}} || || '''[[너바나(밴드)|너바나]] - [[Smells Like Teen Spirit]]''' [* [[너바나(밴드)|너바나]]의 대표적인 히트곡이다.] {{{#808080 {{{-2 (1991)}}}}}} || '''[[머라이어 캐리]] & [[보이즈 투 멘]] - [[One Sweet Day]]'''[* [[머라이어 캐리]]와 [[보이즈 투 멘]]의 90년대 대표 히트곡이다.] {{{#808080 {{{-2 (1995)}}}}}} || ||<-2> {{{#fff ↓}}} '''[[2000년대|{{{#fff 2000년대}}}]]''' {{{#fff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ESGLojNYSo,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lA_NJuoL90, height=200)]}}} || || '''[[레이디 가가]] - [[Poker Face]]'''[* [[2000년대]] 싱글 역대 디지털 판매량 1위(1,400만 장, 스트리밍 미포함).] {{{#808080 {{{-2 (2008)}}}}}} || '''[[에미넴]] - [[Lose Yourself]]'''[* [[에미넴]]의 00년대 대표 히트곡이다.] {{{#808080 {{{-2 (2002)}}}}}} || ||<-2> {{{#fff ↓}}} '''[[2010년대|{{{#fff 2010년대}}}]]''' {{{#fff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GwWNGJdvx8,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L1UzIK-flA, height=200)]}}} || || '''[[에드 시런]] - [[Shape of You]]'''[* [[2010년대]] 싱글 역대 디지털 판매량 1위(4,120만 장). 세계 디지털 싱글 판매량 순위 2위.] {{{#808080 {{{-2 (2017)}}}}}} || '''[[리아나]] {{{-1 (Feat. [[드레이크]])}}} - [[Work]]'''[* [[리아나]]와 [[드레이크]]의 2010년대 대표 히트곡이다.] {{{#808080 {{{-2 (2016)}}}}}} || ||<-2> {{{#fff ↓}}} '''[[2020년대|{{{#fff 2020년대}}}]]''' {{{#fff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NRXx6U8ABQ,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5v3kku4y6Q, height=200)]}}} || || '''[[더 위켄드]] - [[Blinding Lights]]'''[* [[빌보드 올타임 차트]] '''역대 1위'''. 전 세계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성공한 곡'''으로 꼽힌다. 빌보드 차트 역사상 최초의 90주 차트인을 달성한 곡이자 최장기 Top 5 차트인, 그리고 Top 10에 '''1년 이상''' 머무른 곡. [[2020년대]] 싱글 역대 디지털 판매량 1위(중국 제외).] {{{#808080 {{{-2 (2019)}}}}}} || '''[[해리 스타일스]] - [[As It Was]]'''[* 2020년대 장기 1위곡(15주) 중 하나이자 해리 스타일스의 대표 히트곡. As It Was의 프로듀서진이 이 곡이 Blinding Lights에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808080 {{{-2 (2022)}}}}}} || ||<-2> {{{#fff ↓}}} '''{{{#fff 기타}}}''' {{{#fff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JWTaaS7LdU,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JQP7kiw5Fk, height=200)]}}} || || '''[[휘트니 휴스턴]] - [[I Will Always Love You]]'''[* [[1990년대]] 싱글 역대 판매량 2위(2,000만 장). 역대 여자 가수 싱글 판매량 1위. 세계 실물 싱글 판매량 순위 5위.] {{{#808080 {{{-2 (1992)}}}}}} || '''[[루이스 폰시]] {{{-1 (Feat. [[대디 양키]])}}} - [[Despacito]]'''[* [[2010년대]] 싱글 역대 디지털 판매량 2위 (3,610만 장). 역대 그룹 디지털 싱글 판매량 1위.] {{{#808080 {{{-2 (2017)}}}}}}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CgDvUM4TM, height=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AkMkVFwAoo, height=200)]}}} || || '''[[처비 체커]] - [[The Twist]]'''[* 빌보드 올타임 2위 싱글. [[Blinding Lights]]의 등장 이전까지 60여 년간 올타임 1위 자리를 차지했으며, 전 세계에 '트위스트'라는 춤을 알리고 유행시킨 노래이다.] {{{#808080 {{{-2 (1960)}}}}}} || '''[[머라이어 캐리]] -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크리스마스를 대표하는 시즌 송이자, 2019년을 기점으로 곡 발매 20여 년 만에 빌보드 핫 100 1위를 달성하여 매년 크리스마스 시기 1위를 차지하는, 머라이어 캐리의 커리어 사상 최고 히트곡. 역대 싱글 판매량 11위.] {{{#808080 {{{-2 (1994)}}}}}} || }}}}}}}}} || [목차] [Clearfix] == 개요 == {{{+1 [[大]][[衆]][[音]][[樂]] / Pop(Popular) Music}}}[* 장르적 [[팝 음악]]이 아닌 대중음악 전반을 총칭한다.] 널리 많은 사람들, 즉 대중이 즐기는 [[음악]]을 일컫으며 [[클래식 음악]]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이 문서에는 영미권, 그 중에서도 [[미국]]의 대중음악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미국]] 대중음악의 주요 장르로는 [[팝 음악|팝]], [[컨템퍼러리 R&B]], [[힙합 음악|힙합]], [[리듬 앤 블루스]], [[소울 음악|소울]], [[펑크(음악)|펑크(Funk)]], [[디스코]], [[댄스 음악|댄스]], [[록 음악|록]], [[얼터너티브 록]] 등이 있다.] == 특징 == 대중음악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아 의미가 명확하지 않고 계속해서 변해왔으며 시간과 장소, 사람에 따라 그 정의가 다르다. 사전적으로 대중음악은 순수음악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대중에게 중점을 둔 음악을 말한다. 순수음악이 예술성과 심미성에 가치를 두는 데 반하여, 감각적인 대중성과 오락성 그리고 상업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당연하게도 대중성을 갖고있는 대중음악의 존재는 클래식이 발전한 형태인 [[현대음악]]을 청중들로부터 하여금 멀어지게 만들었다.] 또 순수음악은 더욱 긴 시간의 지속성을 가지고 있는 데 반하여, 대중음악은 짧은 시간의 유행성을 가지고 있다.[* 대중음악 중에서도 대체적으로 나이가 조금 있는 성인들한테 인기가 많은 더 정적인 대중음악은 그래도 라디오에서 오랫동안 고정적으로 방송이 될 만큼 조금은 더 인기가 오래가지만, 청소년들의 관심을 주로 사로잡는 더 동적인 대중음악은 몇년만 지나도 라디오 방송에서 사라져 버릴만큼 대부분 인기가 오래가지 못한다.] 하지만 대중음악은 순수음악의 속성을 계속해서 흡수해오면서 예술성과 심미성을 얻어나갔고 소위 말하는 예술성은 대중음악을 논하는 데에 빠질 수 없는 요소가 되었다. 대중음악을 가리켜 흔히들 '팝'이라고 부른다. 완전히 잘못된 사용법은 아니나 논란의 여지가 있다. '''팝은 크게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우선 큰 의미의 [[대중음악]]이 있고, 작은 의미로는 장르로서의 [[팝 음악|팝]]이 있다.''' 전자는 Popular music 내지 줄여서 그냥 Pop이라 부르기도 하지만 후자는 보통 [[팝 음악|Pop]]이라고 하지 '''Popular라고 하지는 않는다.''' 줄임말이 의미가 축소되면서 고유명사화된 것. 대중음악은 2010년대에 들어 [[인터넷]]과 [[유튜브]] 등의 매체 발달로 인해 세계 최대의 음악 시장인 [[미국]]조차도 감당할 수가 없을 정도로 전 세계적인 파급력과 영향력이 이전보다 유례가 없을 정도로 거대해졌다. 대중음악은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에게까지 막강한 인기를 얻게 된다. 이로 인해서 문제가 생기는데, 그 첫 문제는 미국의 대중음악으로 인해 많은 나라들의 음악이 자국에서조차 인기가 없을 정도로 자생력이 소멸되고 있다는 점이다. 당장 [[프랑스]]를 제외한 서유럽과 북유럽 국가들이 이거에 의해 가장 크게 피해를 본 케이스이다.[* 저 나라들은 유튜브 통계만 봐도 인기가수와 인기 영상 20위권까지 자국 출신 가수는 아예 없거나 1, 2명 밖에 없고 나머지 인기가수들은 전부 영미권 가수들일 정도다. 자국어로 부르는 가수들이 영미권 가수들보다 자국 안방에서조차도 인기가 더 없다는 얘기. 이것 때문에 이 지역 가수들은 자국어를 버리고 영어로 음악 활동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스웨덴의 아바, 프랑스의 다프트 펑크가 그러한 케이스. 그래서 독일의 [[람슈타인]]은 자신들의 노래 가사에서 '난 자국어로 노래하지 않아'라는 가사를 직접 집어넣어서 저러한 세태를 풍자한 바 있다. 실제로 위에 언급한 유럽 국가들은 자국어가 버젓이 있어도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the voice, 갓 탤런트 등)에서 대부분 참가자들이 영어로 노래를 부르며, 인기 가수로 떠도 영어로만 발매를 하거나 아예 자국을 떠나 미국으로 진출해버린다...그러면서 그 자리를 [[K-POP]]이 채우고 있는 실정이다.][* 동아시아권에 비해 영미권 대중음악의 영향력이 유럽에 강하게 투사되는 것은 맞으나 2021년 7월 10일 기준 프랑스 싱글 차트 Top 100 [[https://acharts.co/france_singles_top_100]] 에 따르면 1위부터 4위까지 Soso Maness, Naps, Jul 등 프랑스 아티스트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아티스트인 Lil Nas X가 6위에 보이고 있다. [[영국]] 싱글차트에서 2021년 7월 11일 기준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에드 시런]]의 Bad Habits도 프랑스 싱글 차트에서는 33위로 고전하고 있다. 또한 프랑스어권 음악(프랑스 노래 뿐 아니라 [[프랑스어]]로 발표한 모든 곡을 포함)도 [[유튜브]]에서 상당한 조회수를 확보하고 있다. 조회수가 가장 많은 프랑스어 곡은 2021년 7월 17일 기준 약 8억2천만 뷰를 기록하고 있는 Papaoutai(2013년 유튜브 업로드)이고, 그 다음이 7월 17일 기준 약 7억9천만 뷰를 기록하고 있는 Aya Nakamura의 Djadja(2018년 유튜브 업로드)이다. 이는 일본어로 발표된 대중음악 노래 가운데 조회수가 가장 높은, 나무위키에서도 명곡 중의 명곡이라 칭송하는 요네즈 켄시의 [[Lemon(요네즈 켄시)]](2018년 유튜브 업로드, 2021년 7월 기준 6억 8천만뷰)보다도 훨씬 높은 수치이다. ] 유럽 국가들은 중남미에 큰 자국어 시장을 보유한 스페인과 포르투갈[* 포르투갈은 희한한 게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에서는 참가자들이 영어 노래를 부르며 경쟁하다 이 프로그램에서 우승을 하거나 혹은 우승은 못해도 크게 뜬 가수는 꼭 자국어인 포르투갈어로 음반을 내서 자국은 물론 포르투갈어권(주로 브라질)에서 인기를 얻는다. 대표적인 예가 The voice Portugal 4에서 우승한 Fernando daniel으로 수 많은 영어노래를 부르며 해당 시즌을 우승하였지만 우승 후에는 주로 포르투갈어로 앨범을 발매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rDA52HNZ_rM|Espera]], [[https://www.youtube.com/watch?v=jRsl54WqRNA|Voltas]]는 포르투갈, 브라질 등 포르투갈어권에서 굉장히 인기도 많고 유튜브 조회 수도 상당하다.] 자국 대중음악 가수들의 인기 기반이 탄탄한 이탈리아, 러시아, 튀르키예[* 유럽의 방송, 음악 협회들과 단체에 유럽 국가 명의로 가입되어 있고 각종 차트에서도 유럽으로 포함시키기 때문에 음악계에서는 유럽 국가로 분류한다.]를 제외하면 앞서 말했듯이 자국어로 부르는 노래가 자국에서조차 영미권 대중음악보다 인기가 없는 게 현실이다. 아예 독일은 힙합/랩이 차트를 쓸어갈 정도니 말을 다했다. 동유럽 같은 경우 러시아, 튀르키예와 남유럽의[* 구유고 연방의 경우 영미팝 노래가 인기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과거 카톨릭, 정교, 이슬람 등 여러문화가 충돌했던 적이 있던지라 자국의 고유한 음악을 보존하고 있다. 세르비아 음악만 보더라도 전형적인 동유럽풍 노래같다가도 튀르키예풍 멜로디가 섞여있는 느낌이 아주 많이 난다. 다만 내수시장이 세르비아는 고작 700만이고 구유고권으로 확대해도 2000만 뿐이라 타 유럽국가 처럼 비록 서유럽, 북유럽국가들 보다는 좀 나아도 결국 자국음악시장에 영미팝이 강하게 투사되는건 어쩔 수 없는 듯하다.] 경우 자국문화를 지키려는 의지가 강한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을 제외하곤 대부분이 영미팝으로 도배되고 있다. == 역사 == === 대중음악의 뿌리, [[블루스]]와 [[재즈]] === 대중음악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적어도 '''현재 존재하는 장르들의 뿌리는 대부분 [[미국]]에서 시작'''되었고 [[영국]] 음악 역시 대중음악의 정의를 내리는데 있어서 많은 역할을 했다. 초창기 대중음악은 [[낭만주의]]을 거친 '''[[클래식(음악)|클래식 음악]]에서 [[미국 흑인]] 문화가 혼합'''한 음악인 [[블루스]]나 [[재즈]]로부터 뿌리를 두고 있었으며 재즈의 경우에는 [[루이 암스트롱]]이 시초가 된다. [[스윙(음악)|스윙 재즈]], 틴팬앨리(Tin-Pan-Alley) 지역 작곡가들이 상업성을 노리고 '''유럽 [[오페레타]]를 더욱 가볍게 만든 [[백인]] 음악'''인 [[팝 음악|트레디셔널 팝(Traditional pop)]], 산지와 지방의 [[컨트리 뮤직|컨트리]]와 [[포크 음악|포크]]가 발달하며 서서히 200년 간 [[음악사]]에서 지배적이었던 [[클래식 음악]]에 다가서기 시작한다. === 초창기, [[스윙(음악)|스윙 재즈]]와 [[:분류:트레디셔널 팝|트레디셔널 팝]] === 대중음악계의 '''실질적인 첫 번째 스타'''는 '''[[빙 크로스비]]'''이다. '''대중문화라는 말을 정립시킨 인물'''로 20세기 역사상 가장 영항력 있는 음악 인물 중 한 명이며 영화배우로서도 역사상 티켓 판매량 3위에, 20세기 초중반 대중문화를 홀로 정립해나간 전설적인 인물이다. 1930년대 스탠다드 팝(트레디셔널 팝)의 시대가 개막하며 기존 클래식 시대에서 대중음악을 메인스트림에 올려놓은 인물 중 하나로, 1930년대에 홀연히 등장해 가수, 코미디언, 배우를 두루 섭렵했으며 '''역사상 최초의 슈퍼스타, 멀티테이너, 연예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 단순히 미국 대중문화계만의 일이 아니라, 세계 대중문화계에 미친 그의 영향력은 어마 무시하다. 20세기 가장 영향력있는 100인의 미국인에 예술가, 연예인으로 [[루이 암스트롱]], [[엘비스 프레슬리]], [[밥 딜런]] 등과 함께 당당히 선정되었으며 트레디셔널 팝의 특징으로 꼽히는 크루닝(Crooning) 역시 빙 크로스비가 홀로 개발한 것이다. 그의 가장 유명한 노래라면 [[White Christmas]]로 역사상 가장 많이 판매를 한 실물 싱글이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실물 싱글(5000만 장)] 동시대에 [[재즈]] 음악 역시 주류 대중음악이었는데, '''재즈의 역사를 표현할 수 있다는 네 단어 중 두 단어인 [[루이 암스트롱]]'''이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재즈 역사의 기념비를 세웠으며 '''음악가로서 미국, 나아가 전 세계 문화사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의 대다수 교과서 근현대사 부분에 빠지지 않고 나오는 인물 중 하나다.''' 근대 미국 사회 문화의 한 면을 보여줄 수 있는 인물이라는 뜻이다. 1940년대가 되면 이런 인물의 뒤를 이어 '''음악을 네다섯번 바꿔놨다는 평론을 받은 현대 [[재즈]]의 분위기를 확립한 [[마일스 데이비스]]가 활동한다. ''' 1940년대에 이 흑인 음악인 재즈가 백인들의 취향에 맞게 한 번 변화한 [[스윙(음악)|스윙 재즈]]가 인기를 끌게 되는데, 현대적인 대중음악의 시작점으로 볼 수도 있다. [[글렌 밀러]]나 [[토미 도시]]가 이 스윙 재즈 시대의 대표적인 밴드리더였다. 스윙 재즈는 이 시대 미국 음악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과장이 아니라, 이 시대 미국하면 스윙 재즈였고, 미국의 대중 음악이라 해도 스윙 재즈가 먼저였다. 이 시기 스윙 재즈를 대표하는 것 중 [[글렌 밀러]] 밴드의 In the Mood가 있다.''' 이 시대에, '''대중음악의 실질적인 태동을 알리는 것이 생기는데''' 그게 바로 "음악 차트"이다. '''빌보드'''는 1936년 최초의 현대적인 음악 차트를 시작했으며, 1940년에는 [[Best Sellers in Stores|현대적인 싱글 차트]]를 시작하여, 미국 전역에서 인기 있는 곡들의 순위를 매기기 시작했다. 트레디셔널 팝이 정형화 되게 되었고, 1940년대를 대표하는 인물이 '''미국 대중음악을 정의했다고 평가받으며, "그의 목소리는 우리 세기의 목소리였다"는 극찬을 받는''' '''[[프랭크 시나트라]]이다.''' 그는 미국의 가장 위대한 가수(보컬리스트) 중 하나로 인식되며 20세기의 대중음악사 가장 중요한 음악 인물로 평가 받는다. 프랭크 시나트라는 1940년 [[토미 도시]] 악단에 들어가 보컬이 되었는데 이때 발표한 "[[I'll Never Smile Again]]"이 빌보드 싱글 차트 12주 연속 1위를 하며 돌연 스타덤에 올랐고, 특히 10대 여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는데, 이때 얻은 별명이 "'''Idol''' of the bobby soxer"[* Bobby soxer들의 우상]였다. Bobby soxer는 그의 소녀 팬층을 일컽는 말인데 그 소녀 팬층이 착용하고 있던 특유의 양말에서 기인한 것이었으니 최초의 역사적인 [[아이돌]] 현상은 비틀즈가 최초이나, '''[[아이돌]]이라는 단어의 기원'''은 프랭크 시나트라라고 할 수 있다. 역사에 기록된 그의 명곡으로 [[My Way]], [[Fly Me to the Moon]] 등이 있다. 동시대에 [[냇 킹 콜]]이나 [[페리 코모]] 등의 가수도 프랭크 시나트라에 비견할 만한 상업적 성공과 인기를 얻었다. 냇 킹 콜이나 페리 코모는 프랭크 시나트라보다 시대의 아이콘 적인 면은 적지만, 차트 성적이나 히트곡 수로만 보면 프랭크보다 월등했다. 국내에 알려진 대표적인 [[냇 킹 콜]]의 명곡으로 L-O-V-E가 있다. [[토니 베넷]]과 코미디언 출신 [[딘 마틴]]의 활약도 빼놓을 수 없다. 남성 4중창단들의 활약도 이 당시 돋보였다. === [[대중음악/1950년대|1950년대, 건재한 재즈와 로큰롤의 반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중음악/1950년대)] === [[대중음악/1960년대|1960년대, 록과 소울이 정립한 대중음악의 형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중음악/1960년대)] === [[대중음악/1970년대|1970년대, 록의 세분화와 흑인 음악의 발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중음악/1970년대)] === [[대중음악/1980년대|1980년대, 팝으로 인한 장르 간 크로스오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중음악/1980년대)] === [[대중음악/1990년대|1990년대, 얼터너티브 록의 도약과 힙합 및 알앤비의 팽창]]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중음악/1990년대)] === [[대중음악/2000년대|2000년대, 흑인 음악 전성시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중음악/2000년대)] === [[대중음악/2010년대|2010년대, 모든 장르에 스며 든 전자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중음악/2010년대)] === [[대중음악/2020년대| 2020년대, 양산화되는 트랩과 뉴트로 팝 열풍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중음악/2020년대)] == 음악구조 용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음악구조 용어)] == 나라별 대중음악 == === 영미권 === * '''[[미국]]''': '''[[포크송|포크]]''', '''[[컨트리 뮤직|컨트리]]''', '''[[재즈]]''', '''[[블루스]]''', '''[[팝 음악|팝]]''', '''[[R&B]]'''[* [[소울 음악|소울]], [[Funk]], [[디스코]], [[포스트 디스코]], [[컨템퍼러리 R&B]], [[네오 소울]], [[Crunk&B]], [[얼터너티브 R&B]] 등의 하위 장르가 있다.], '''[[록 음악|록]]'''[* [[블루스 록]], [[하드 록]], [[개러지 록]], [[포크 록]], [[루츠 록]], [[펑크 록]], [[글램 록]], [[피아노 록]], [[메탈]], [[그런지]], [[슈게이징]], [[얼터너티브 록]] 등의 하위 장르가 있다.], '''[[힙합 음악|힙합]]'''[* [[갱스터 랩]], [[붐뱁]], [[G-funk]], [[Crunk|크렁크]], [[팝 랩]], [[재즈 랩]], [[:분류:더리 랩|더리 랩]], [[래칫]], [[트랩(음악)|트랩]], [[멈블 랩]], [[이모 랩]], [[싱잉 랩]] 등의 하위 장르가 있다.], '''[[얼터너티브]]'''[* 흔히 인디 성향이 강한 음악이 이쪽에 속한다.], '''[[일렉트로닉 뮤직]]''' * '''[[영국]]''': '''[[록 음악|록]]'''[* [[비틀즈]],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등의 록 음악하면 생각나는 굵직굵직한 아티스트 대부분이 영국 출신인 경우가 많다.], [[팝]], [[힙합]][* 미국의 힙합과는 다르게 독자적으로 그라임, UK드릴 같은 장르가 발생해 영국 고유의 힙합씬이 형성 중이다.] === 게르만 === * [[스웨덴]]: '''[[스웨디시 팝]]''' * [[노르웨이]]: [[블랙 메탈]] * [[독일]]: '''[[크라우트 록]]''', [[인더스트리얼]], 슐라거(Schlager) === 동아시아 === * [[한국]]: '''[[K-POP]]''', [[발라드/한국|발라드]], [[한국 힙합|힙합]], [[록 음악/대한민국|록]], [[트로트]] * [[일본]]: '''[[J-POP]]''', '''[[일본 록|록]]''', [[엔카]] * [[중국]]: C-POP * [[홍콩]]: 칸토팝 (Canto Pop) === 라틴 === * [[라틴아메리카]]: '''[[라틴 팝]]''' (Latin Pop) * [[자메이카]]: '''[[레게]]''' (Reggae) * [[이탈리아]]: 칸초네(Canzone), '''[[이탈로 디스코]]''', '''[[유로비트]]''' * [[프랑스]]: '''[[샹송]]'''(Chanson), 프레치 팝(French pop) * [[스페인]]: 칸시온(Canción) * [[포르투갈]]: 파두(Fado) === 동구권 === * [[러시아]]: 러시안팝(Russian Pop, Российская поп-музыка), 바르드(Бард, 음유시) * [[카자흐스탄]]: Q-POP === 중동풍 === * [[튀르키예]]: 튀르크체 팝(Türkçe Pop. 해외 명칭은 터키쉬 팝 Turkish Pop) * [[인도]]: 힌디 팝(Hindi Pop. 혹은 I-POP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아랍]]: 아랍팝(Arab Pop) ([[이집트]]와 [[레바논]]을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 [[이란]]: 이라니언 팝(Iranian Pop) 혹은 페르시안 팝(Persian Pop) * [[그리스]]: [[렘베티카]](Rembetika) === 대중음악의 상징적인 인물들 === ==== 1950년대 이전 ==== * [[로버트 존슨]] * [[빙 크로스비]] * [[루이 암스트롱]] * [[냇 킹 콜]] * [[페리 코모]] * [[프랭크 시나트라]] * [[듀크 엘링턴]] * [[척 베리]] * [[리틀 리처드]] * [[패츠 도미노]] * [[샘 쿡]] * [[엘비스 프레슬리]] * [[버디 홀리]] ==== 1960년대 ==== * [[비틀즈]] * [[롤링 스톤스]] * [[레이 찰스]] * [[밥 딜런]] * [[처비 체커]] * [[마일스 데이비스]] * [[비치 보이스]] * [[더 후]] * [[제임스 브라운]] * [[마빈 게이]] * [[킹크스]] * [[샘 쿡]] * [[지미 헨드릭스]] * [[슈프림스]] * [[아레사 프랭클린]] * [[스티비 원더]] * [[사이먼 앤 가펑클]]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비비 킹]] * [[크림(밴드)]] * [[Sly & the Family Stone]] * [[The Four Tops]] * [[템테이션스]] * [[스모키 로빈슨]] & 더 미라클스 * [[더 도어즈]] ==== 1970년대 ==== * [[레드 제플린]] * [[핑크 플로이드]] * [[스티비 원더]] * [[마빈 게이]] * [[데이비드 보위]] * [[밥 딜런]] * [[브루스 스프링스틴]] * [[에어로스미스]] * [[이글스]] * [[존 레논]] * [[플리트우드 맥]] * [[Sly & the Family Stone]] * [[Earth, Wind & Fire]] * [[Ohio Players]] * [[Kool & the Gang]] * [[KC and the Sunshine Band]] * [[윙스]] * [[조지 해리슨]] * [[패티 스미스]] * [[조니 미첼]] * [[캐롤 킹]] * [[ABBA]] * [[카펜터스]] * [[라몬즈]] * [[섹스 피스톨즈]] * [[더 클래시]] * [[퀸]] * [[롤링 스톤스]] * [[잭슨 파이브]] * [[도나 서머]] * [[다이애나 로스]] * [[시카고(밴드)|시카고]] * [[홀 앤 오츠]] * [[What a Fool Believes|두비 브라더스]] * [[그랜드 펑크 레일로드]] * [[더 후]] * [[딥 퍼플]] * [[블랙 사바스]] * [[엘튼 존]] * [[비 지스]] ==== 1980년대 ==== * [[마이클 잭슨]] * [[메탈리카]] *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휘트니 휴스턴]] * [[자넷 잭슨]] * [[지미 잼 & 테리 루이스]] * [[Kool & the Gang]] * [[Earth, Wind & Fire]] * [[포인터 시스터스]] * [[바비 브라운]] * [[스티비 원더]] * [[라이오넬 리치]] * [[티나 터너]] * [[Run-D.M.C.]] * [[퍼블릭 에너미]] * [[LL Cool J]] * [[윌 스미스|Fresh Prince & DJ Jazzy Jeff]] * [[슬릭 릭]] * [[쿨 모 디]] * [[라킴]] * [[빅 대디 케인]] * [[비스티 보이즈]] * [[조지 마이클]] * [[마돈나(가수)|마돈나]] * [[홀 앤 오츠]] * [[필 콜린스]] * [[퀸]] * [[다이어 스트레이츠]] *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 [[폴 매카트니]] * [[듀란 듀란]] * [[폴라 압둘]] * [[밀리 바닐리]] * [[The Go-Go's]] * [[벨린다 칼라일]] * [[New Edition]] * [[포리너]] * [[밴 헤일런]] * [[건즈 앤 로지스]] * [[데프 레파드]] * [[본 조비]] * [[The Bangles]] * [[뉴 키즈 온 더 블록]] * [[컬처 클럽]] * [[엘튼 존]] * [[데비 깁슨]] * [[Tiffany|티파니]] ==== 1990년대 ==== * [[머라이어 캐리]] * [[너바나]] * [[셀린 디옹]] * [[보이즈 투 멘]] * [[마돈나]] * [[라디오헤드]] * [[앨라니스 모리셋]] * [[휘트니 휴스턴]] * [[자넷 잭슨]] * [[토니 브랙스턴]] * [[Color Me Badd]] * [[Jodeci]] * [[TLC]] * [[En Vogue]] * [[Brandy]] * [[Monica]] * [[알리야]] * [[베이비페이스]] * [[마이클 잭슨]] * [[프린스]] * [[알 켈리]] * [[MC 해머]] * [[닥터 드레]] * [[스눕 독]] * [[아이스 큐브]] *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 * [[이지 이]] * [[아웃캐스트]] * [[Bone-Thugs-n-Harmony]] * [[투팍 샤커]] * [[The Notorious B.I.G.]] * [[우탱 클랜]] * [[나스]] * [[퍼프 대디]] * [[JAY-Z]] * [[로린 힐]] * [[미시 엘리엇]] * [[릴 킴]] * [[버스타 라임스]] * [[마스터 P]] * [[에이스 오브 베이스]]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스파이스 걸스]] ==== 2000년대 ==== * [[라디오헤드]] * [[카니예 웨스트]] * [[JAY-Z]] * [[비욘세]] * [[앨리샤 키스]] * [[머라이어 캐리]] * [[알 켈리]] * [[넬리]] * [[플로 라이다]] * [[자 룰]] * [[제니퍼 로페즈]] * [[아샨티]] * [[T.I.]] * [[릴 웨인]] * [[크리스 브라운]] * [[퍼프 대디|P. Diddy / Diddy]] * [[루다크리스]] * [[Ciara|시에라]] * [[T-Pain]] * [[Akon]] * [[미시 엘리엇]] * [[릴 킴]] * [[The Neptunes]] * [[Timbaland]] * [[릴 존]] * [[Swizz Beatz]] * [[Chingy|칭기]] * [[112(R&B 그룹)|112]] * [[블랙 아이드 피스]] * [[리아나]] * [[50 센트]] * [[더 게임]] * [[타이리스]] * [[니클백]] * [[저스틴 팀버레이크]] * [[그웬 스테파니]] * [[넬리 퍼타도]] * [[퍼기]] * [[브리트니 스피어스]] * [[켈리 클락슨]] *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 [[샤키라]] * [[에이브릴 라빈]] * [[콜드플레이]] * [[에미넴]] * [[아웃캐스트]] * [[어셔]] ==== 2010년대 ==== * [[Drake|드레이크]] * [[카니예 웨스트]] * [[켄드릭 라마]] * [[릴 웨인]] * [[플로 라이다]] * [[더 위켄드]] * [[Future]] * [[위즈 칼리파]] * [[J. Cole]] * [[릭 로스]] * [[Big Sean]] * [[Fetty Wap]] * [[미고스]] * [[트래비스 스캇]] * [[Frank Ocean]] * [[제이슨 데룰로]] * [[브루노 마스]] * [[Pitbull]] * [[리아나]] * [[케이티 페리]] * [[레이디 가가]] * [[브리트니 스피어스]] * [[샘 스미스]] * [[니키 미나즈]] * [[카디 비]] * [[마룬 5]] * [[원디렉션]] * [[The Chainsmokers]] * [[아델]] * [[아리아나 그란데]] * [[에드 시런]] * [[테일러 스위프트]] * [[저스틴 비버]] * [[빌리 아일리시]] * [[릴 나스 엑스]] * [[해리 스타일스]] * [[숀 멘데스]] * [[찰리 푸스]] ==== 2020년대 ==== [ 랩스타 ] * [[Drake|드레이크]] * [[트래비스 스캇]] * [[Future]] * [[Roddy Ricch]] * [[DaBaby]] * [[Lil Baby]] * [[Bad Bunny]] * [[24kGoldn]] * [[잭 할로우]] * [[YoungBoy Never Broke Again]] * [[Polo G]] * [[칸예 웨스트]] * [[켄드릭 라마]] * [[Lil Uzi Vert]] * [[A$AP Rocky]] * [[Tyler, The Creator]] * [[Lil Nas X]] [ 팝스타 ] * [[저스틴 비버]] * [[테일러 스위프트]] * [[빌리 아일리시]] * [[두아 리파]] * [[해리 스타일스]] * [[아리아나 그란데]] * [[더 위켄드]] * [[배드 버니]] * [[모건 월렌]] * [[실크 소닉]] * [[포스트 말론]] * [[방탄소년단]] [[분류:대중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