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37년 개교]][[분류:대전광역시의 여자고등학교]][[분류:대전광역시의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분류:동구(대전)의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전광역시 동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대전광역시의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2> '''{{{#white {{{+1 대전여자고등학교}}} [br] Daejeon Girls' High School [br] 大田女子高等學校}}}''' || ||<-2> [[파일:대전여자고등학교 로고.png]] || ||<-2> [include(틀:지도, 장소=대전여자고등학교, 너비=100%, 높이=300px)] || || {{{#white '''개교''' }}} || [[1937년]] [[3월 31일]] || || '''유형''' || [[일반고등학교]] || || '''성별''' || [[여자고등학교]] || || '''형태''' ||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 || '''교장''' || 김용미 || || '''교감''' || 김미선 || || '''교훈''' || '''정숙(貞淑), 명랑(明朗), 성근(誠勤)''' || || '''교화''' || [[장미]] || || '''교목''' || [[잣나무|섬잣나무]] || || '''교조''' || [[비둘기]] || || '''학생 수''' || 922명[br](2023년 3월 1일 기준) || || '''관할교육청''' || [[대전광역시교육청]] || || '''주소''' || [[대전광역시]] [[동구(대전광역시)|동구]] 용운로1번길 28-37 || || '''홈페이지''' || [[https://djghs.djsch.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전여자고등학교'''는 [[대전광역시]] [[동구(대전)|동구]] 대동에 위치한 [[자율형 공립고등학교]]이다. 1937년 3월 31일 '대전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아 같은 해 5월 1일 개교했다. 1938년 4월 '대동공립고등여학교'로 개칭하고, 같은 해 10월 현 위치(대동)로 교사를 신축 이전하였다. 1941년 3월 제1회 졸업생 92명을 배출하였으며, 광복 후 정부 수립 이전인 1947년 5월 6년제 '대동공립여자중학교'로, 같은 해 10월 '충남공립여자중학교'로 또 다시 바뀌었다가 현대화 확립 이후인 1950년 5월 22일 현재의 교명인 [[대전여자고등학교]]로 확정되었다. 80회 동안 총 3만 5천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명문 고등학교이며, 2012년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지정을 기점으로 인풋/아웃풋 모두 좋아졌다. 교정이 예쁘다는 것이 특징이다. == 학교 연혁 == * '''1937. 03. 31.''' 대전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설립 인가 * '''1937. 05. 01.''' 개교 및 제1회 입학식(2학급 102명) * '''1938. 04. 01.''' 대동공립고등여학교로 교명 변경 * '''1947. 10. 25.''' 충남공립여자중학교로 교명 변경(6년제) * '''1950. 05. 22.''' '''대전여자고등학교'''로 개편 * '''1994. 12. 03.''' 생활체육관 준공 * '''2003. 04. 03.''' 구조관 준공 * '''2012. 03. 01.''' 자율형 공립고 지정(2017년 재지정) * '''2020. 02. 21.''' 창의관 준공 * '''2020. 10. 07.''' 공간수업 프로젝트 페스티벌 클래스 완공 * '''2021. 01. 29.''' 제 80회 졸업식(졸업생 누계 35,808명) * '''2021. 03. 02.''' 2021학년도 입학식(12학급 312명) == 학교 시설 == * '''운동장''' * 일반 규격의 운동장이며, 한편에 정구장이 위치하여 있다. * '''인성관''' * 총 3층 * 1학년 교무실, 1학년 교실(12학급), 보건실 등이 위치해 있다. 1층에 1~2반, 2층에 3~8반, 3층에 9~12반과 교무실이 있다. * 원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라 오래되었기 때문에, 조만간 '''새롭게 신설 재건축'''할 예정이다. * '''지성관''' * 총 3층 * 2학년 교무실 및 2학년 교실(12학급)이 위치하여 있고 3학년 건물(창의관)과 연결되어있다. 1층에 방통 교무실, 숙직실, 인쇄실, 폴딩도어실 등이 있고 2층에 1~6반[* 1반&12반쪽 2층과 3층 사이 계단에 피아노 한 대가 있다.], 3층에 7~12반이 있다. * 1학년 건물에 비해 2학년 건물과 3학년 건물은 완전히 새로 지어서 깨끗하다. * 모든 층 사이마다 중간에 앉아서 쉴 수 있는 편안한 소파가 있다. * '''창의관''' * 총 3층 * 3학년 교무실 및 3학년 교실(12학급)이 위치해 있고 2학년 건물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 통로에는 휴게공간, 컴퓨터실, 생명과학 실험실 등이 있다. 1층에는 행정실, 교장실, 시청각실, 본부 교무실, 가사실, 학생 휴게 공간인 혜윰터 등이 있고 2층에 1~6반과 3학년 교무실과 수학 특별실이 있고, 3층에 7~12반과 화학 실험실 등이 있다.[* 3층 7반 쪽에 학생들이 쉴 수 있는 휴게공간이 있다.] * 화장실은 고급 화장실 느낌이며 정말 깨끗하다. 아름다운 클래식 음악이 나온다. 또한 신축 건물답게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 '''체육관''' * 강당 및 수영장을 보유한 종합 체육관. 1학년 2학기, 2학년 1학기 체육 시간에 수영 수업을 한다. 고등학교 체육 시간에 수영을 배우기 때문에, 건강하게 체육 활동을 할 수 있다. * 건물 안이 냉난방이 잘 되어서 편안하게 운동할 수 있다. * '''구조관''' * 총 7층 * 구조(救助)가 아닌 학교상징 [[비둘기]]를 뜻하는 구조(鳩鳥)이다. 미술실, 음악실, 급식실, 도서관, 위클래스 등 여러 교실들이 있다. * 2022년 3월 16일에 제 82대 학생회장단 공약이었던 '''스터디카페'''가 구조관 2층에 열람되었다. 자세한 건 대전여자고등학교 학생회 [[https://www.instagram.com/p/CbKAY23p4Ui/?utm_medium=copy_link|참고]] * '''급식실''' * 구조관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2022년 3월 14일 이후로 학생증 바코드를 인식하지 않아도 입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녁 석식을 먹을 땐 학생증 바코드 인식이 필수이다. * 교복이 아닌 체육복 등을 입고 가면 입장 시에 교사에게 걸릴 수 있다. == 학교 생활 == === 시간표 === || '''시간''' || '''교시''' || || 8시 00분 - 8시 10분 || 조회 [* 3학년만 7시 50분까지 등교이고 전교생의 나이스 미인정 지각 기준 시간은 8시 10분이다. 8시에서 8시 10분 사이에 등교하면 벌점을 받는다.] || || 8시 20분 - 9시 10분 || 1교시 || || 9시 20분 - 10시 10분 || 2교시 || || 10시 20분 - 11시 10분 || 3교시 || || 11시 20분 - 12시 10분 || 4교시 || || 12시 10분 - 13시 10분 || 점심 [* 코로나19로 인해 1학년은 2,3학년이 점심 먹을 때 5교시 수업을 하고 13시 00분 - 14시 10분에 점심을 먹는다. 그러나 2학년과 격주일 땐 원래 시간표대로(4교시 후) 먹을 수 있고, 수능 끝난 뒤면 3학년이 오전 수업만 하고 하교하기 때문에 1학년도 2학년과 같은 시간에 급식을 먹을 수 있다.] || || 13시 10분 - 14시 00분 || 5교시 || || 14시 10분 - 15시 00분 || 6교시 || || 15시 10분 - 16시 00분 || 7교시 || || 16시 00분 - 16시 20분 || 종례 및 청소 || || 16시 20분 - 17시 10분 || 8교시 || || 17시 20분 - 18시 10분 || 9교시 || || 18시 10분 - 19시 10분 || 저녁 || || 19시 10분 - 20시 50분 || 야자1 [* 방과후가 없을 시 1학년, 2학년은 19시 10분 - 20시 50분이 야자이고, 3학년은 19시 10분 - 21시 00분이 야자이다.] || || 20시 50분 - 22시 30분 || 야자2 [* 1학년은 21시 50분까지, 2학년은 22시 10분까지, 3학년은 22시 30분까지이다.] || * 2022년 3월 14일 기준 시간표이다. * 금요일엔 원래 하던 방과후와 야자가 없고 금요 방과후가 따로 있다. 주요 교과와 관련된 것이 아닌 영상편집, 기타 등이 있다. * 야자와 방과후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자율제이다. 야자는 금요일을 제외하고 일주일에 2번만 뺄 수 있다. * 2021년에 있던 '통자반'과 '방자반'이 사라졌다. 이제 방과후를 수강하지 않으면 야자를 신청할 수 없다. 그러나 다시 통자반이 생겨 방과후를 듣지 않고도 야자를 할 수 있다. 통자반이 생기면서 10시까지던 야자시간이 9시로 줄었다. === 복장 === 현재의 교복은 2012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되었다. 동복은 옅은 하늘색 스트라이프 셔츠, 짙은 남색 조끼, 마찬가지로 짙은 남색의 치마[* 동일 색상의 교복바지가 있다.], 옅은 회색 마이로 구성된다. 하복은 하늘색 셔츠이며 치마는 옅은 회색이다. 생활복은 남색 반팔 티셔츠에[* 일반 기능성 소재] 남색 반바지다.[* 2020년 신입생까지 흰색 반팔 티셔츠였고, 생활복 바지가 없어서 하복 또는 동복과 혼용하여 입어야 했다.] === 각종 대회 === 수학 경시대회, 영어 토론대회, 영어 어휘대회 등 주요 교과와 관련된 대회가 있다. 그 외에 양성평등 문예대회, 독도사랑 문예대회, 독서 엽서쓰기대회, 체인지메이커 대회 등 비교과 대회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학교 공간에 이름 붙여주는 대회나 식물과 관련된 사진 및 글쓰기 대회도 많다. === 주요 행사 === 합창제와 구조 예술제가 가장 대표적이다. == 운동부 == * 정구부 * 펜싱부 == 출신 인물 == * [[이진숙(교수)|이진숙]](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제19대 [[충남대학교]] 총장. [[충남대학교]] 최초 여성 총장. 제29대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 [[강민아(공무원)|강민아]] - 여성 최초 [[감사원]] [[감사위원]] * [[김삼화]] - 제20대 국회의원 * [[김소영(기자)|김소영]] [[MBC]] 보도국 * [[김지연(1968)|김지연]] * [[김화중]] - 제42대 [[보건복지부]] 장관 * [[박윤옥]] - 제19대 국회의원 * [[재이]] - [[STAYC]] 멤버.[*전학] * [[정윤숙]] - 제19대 국회의원 * [[진수희]] - 제48대 [[보건복지부]] 장관 * [[최경혜]] - 前 [[국군간호사관학교]]장 * [[최연혜]] - 前 [[한국철도공사]] 사장, [[한국철도대학]] 총장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지하철 ===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동역]] 8번 출구에서 도보로 약 5~7분 거리. === 버스 === '''정문''' * 대동역7번출구 정류장: [[대전 버스 102|102]], [[대전 버스 103|103]], [[대전 버스 311|311]], [[대전 버스 605|605]], [[대전 버스 608|608]] * 펜타뷰아파트 정류장: [[대전 버스 611|611]] * 새들뫼아파트 정류장: [[대전 버스 512|512]], [[대전 버스 603|603]] * 대동역2•3번출구 정류장: [[대전 버스 102|102]], [[대전 버스 103|103]], [[대전 버스 311|311]], [[대전 버스 317|317]], [[대전 버스 605|605]], [[대전 버스 608|608]], [[대전 버스 611|611]], [[대전 버스 616|616]], [[대전 버스 711|711]], [[대전 버스 20|20]] '''후문''' * 한밭여중입구 정류장: [[대전 버스 61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