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전광역시)] [include(틀:대전광역시의 정치)] [목차] == 개요 == ||'''동별 단위 각 선거 득표율을 알고 싶다면 [[중구(대전광역시)/정치]], [[동구(대전광역시)/정치]], [[서구(대전광역시)/정치]], [[유성구/정치]], [[대덕구/정치]] 항목에서 각각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전광역시의 정치에 대해 설명한 문서. == 국회의원 목록 ==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대전광역시)] == 역대 민선 대전광역시장 == ||<-5> [[대전광역시|[[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px]]]] {{{#ffffff '''역대 민선 대전광역시장'''}}}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5'''}}}]]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8'''}}}]]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2'''}}}]]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6'''}}}]]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0'''}}}]] || ||<-2> [[자유민주연합|{{{#ffffff {{{#!html
자유민주연합
}}}}}}]] || [[한나라당|{{{#ffffff {{{#!html
한나라당
}}}}}}]] || [[한나라당|{{{#ffffff {{{#!html
한나라당
}}}}}}]] || [[자유선진당|{{{#ffffff {{{#!html
자유선진당
}}}}}}]] || ||<-2> [[홍선기|{{{#373a3c,#dddddd 홍선기}}}]] || [[염홍철|{{{#373a3c,#dddddd 염홍철}}}]] || [[박성효|{{{#373a3c,#dddddd 박성효}}}]] || [[염홍철|{{{#373a3c,#dddddd 염홍철}}}]]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4'''}}}]]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8'''}}}]]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22'''}}}]] || || || || [[새정치민주연합|{{{#ffffff {{{#!html
새정치민주연합
}}}}}}]] || [[더불어민주당|{{{#ffffff {{{#!html
더불어민주당
}}}}}}]] || [[국민의힘|{{{#ffffff {{{#!html
국민의힘
}}}}}}]] || || || || [[권선택|{{{#373a3c,#dddddd 권선택}}}]] || [[허태정|{{{#373a3c,#dddddd 허태정}}}]] || [[이장우(정치인)|{{{#373a3c,#dddddd 이장우}}}]] || ||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구분'''}}} || {{{#ffffff '''주요 후보 득표율'''}}}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1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홍선기]] 63.76%'''[br]2위: [include(틀:민주자유당)] [[염홍철]] 20.93%[br]3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변평섭]] 10.84%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1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홍선기]] 73.68%'''[br]2위: [include(틀:국민신당)] [[송천영]] 18.03%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염홍철]] 46.61%'''[br]2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홍선기]] 40.20%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박성효]] 43.83%'''[br]2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염홍철]] 41.14%[br]3위: [include(틀:국민중심당)] [[남충희]] 10.45%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1위: [include(틀:자유선진당)] [[염홍철]] 46.67%'''[br]2위: [include(틀:한나라당)] [[박성효]] 28.50%[br]3위: [include(틀:민주당(2008년))] [[김원웅]] 23.28%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1위: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권선택]] 50.07%'''[br]2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박성효]] 46.76%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허태정]] 56.41%'''[br]2위: [include(틀:자유한국당)] [[박성효]] 32.16%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1위: [include(틀:국민의힘)] [[이장우(정치인)|이장우]] 51.19%'''[br]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허태정]] 48.80% ||}}}}}}}}} || == 최근 선거 결과 == === 대선 === ||<-8> {{{#FFFFFF '''대전광역시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정의당|{{{#000000 '''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434,950 [br] (46.44%)''' || {{{#FFFFFF '''464,060 [br] (49.55%)'''}}} || '''25,445 [br] (2.71%)''' || '''- 29,110 [br] (▼3.11)''' || '''945,308 [br] (76.65%)''' || || '''동구''' || 65,555[br](46.35%) || {{{#fff 70,069[br](49.54%) }}} || -3,603[br](2.54%) || -4,514[br](▼3.19) || {{{#696969 74.24%}}} || || '''중구''' || {{{#696969 66,698[br](44.49%)}}} || {{{#fff '''77,459[br](51.66%)''' }}} || 3,782 [br] (2.52%) || {{{#696969 '''-10,761[br](▼7.17)'''}}} || 75.73% || || '''서구''' || 139,877[br](46.31%) || {{{#fff 150,031[br](49.67%) }}} || 8,427 [br] (2.79%) || -10,154[br](▼3.36) || 76.29% || || '''유성구''' || '''108,701 [br](47.50%)''' || {{{#fff 111,342 [br](48.66%) }}} || '''6,492 [br] (2.83%)''' || -2,641[br](▼1.16) || '''80.02%''' || || '''대덕구''' || 54,119[br](47.37%) || {{{#fff 55,159[br](48.28%) }}} || 3,141[br](2.74%) || '''-1,040[br](▼0.91)''' || 75.47% || ---- ||<-8> {{{#FFFFFF '''대전광역시 이재명 득표율'''}}} || ||<-4> 상위 10개 읍·면·동 ||<-4> 하위 10개 읍·면·동 ||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 '''1위''' || '''유성구''' || '''구즉동''' || {{{#004EA2 '''53.96%'''}}} || 1위 || 동구 || 대청동 || {{{#4169E1 33.17%}}} || || 2위 || 중구 || 목동 || {{{#004EA2 52.68%}}} || 2위 || 서구 || 기성동 || {{{#4169E1 38.75%}}} || || 3위 || 서구 || 관저2동 || {{{#004EA2 52.63%}}} || 3위 || 중구 || 대사동 || {{{#4169E1 39.51%}}} || || 4위 || 대덕구 || 목상동 || {{{#004EA2 52.20%}}} || 4위 || 서구 || 도마1동 || {{{#4169E1 40.39%}}} || || 5위 || 유성구 || 노은3동 || {{{#004EA2 51.45%}}} || 5위 || 중구 || 태평2동 || {{{#4169E1 41.17%}}} || || 6위 || 대덕구 || 석봉동 || {{{#004EA2 50.46%}}} || 6위 || 중구 || 유천2동 || {{{#4169E1 41.42%}}} || || 7위 || 서구 || 관저1동 || {{{#004EA2 50.24%}}} || 7위 || 서구 || 도마2동 || {{{#4169E1 41.66%}}} || || 8위 || 동구 || 효동 || {{{#004EA2 49.85%}}} || 8위 || 서구 || 둔산1동 || {{{#4169E1 41.77%}}} || || 9위 || 유성구 || 관평동 || {{{#004EA2 49.83%}}} || 9위 || 중구 || 유천1동 || {{{#4169E1 41.78%}}} || || 10위 || 대덕구 || 송촌동 || {{{#004EA2 49.09%}}} || 10위 || 서구 || 용문동 || {{{#4169E1 41.86%}}} || ---- ||<-8> {{{#FFFFFF '''대전광역시 윤석열 득표율'''}}} || ||<-4> 상위 10개 읍·면·동 ||<-4> 하위 10개 읍·면·동 ||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 '''1위''' || '''동구''' || '''대청동''' || {{{#E61E2B '''62.96%'''}}} || 1위 || 유성구 || 구즉동 || {{{#FF6347 41.44%}}} || || 2위 || 서구 || 기성동 || {{{#E61E2B 56.77%}}} || 2위 || 대덕구 || 목상동 || {{{#FF6347 42.61%}}} || || 3위 || 중구 || 태평2동 || {{{#E61E2B 55.91%}}} || 3위 || 서구 || 관저2동 || {{{#FF6347 43.31%}}} || || 4위 || 중구 || 대사동 || {{{#E61E2B 55.90%}}} || 4위 || 중구 || 목동 || {{{#FF6347 43.37%}}} || || 5위 || 서구 || 도마1동 || {{{#E61E2B 55.85%}}} || 5위 || 유성구 || 노은3동 || {{{#FF6347 45.05%}}} || || 6위 || 중구 || 유천2동 || {{{#E61E2B 55.51%}}} || 6위 || 대덕구 || 석봉동 || {{{#FF6347 45.32%}}} || || 7위 || 서구 || 둔산3동 || {{{#E61E2B 54.93%}}} || 7위 || 서구 || 관저1동 || {{{#FF6347 45.84%}}} || || 8위 || 서구 || 둔산1동 || {{{#E61E2B 54.92%}}} || 8위 || 동구 || 효동 || {{{#FF6347 46.25%}}} || || 9위 || 중구 || 문화1동 || {{{#E61E2B 54.83%}}} || 9위 || 유성구 || 관평동 || {{{#FF6347 46.48%}}} || || 10위 || 서구 || 도마2동 || {{{#E61E2B 54.63%}}} || 10위 || 대덕구 || 송촌동 || {{{#FF6347 46.88%}}} || ==== 이전 대선과의 비교 ==== ||<-10> {{{#FFFFFF '''2017년 19대 대선 / 2022년 20대 대선 득표율 비교'''}}} || ||<|2> '''선거''' ||<-3> {{{#FFFFFF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3> {{{#FFFFFF '''범보수'''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국민의힘)}}} ||<|2> '''격차''' || || '''19대 대선'''[* 문재인+심상정.] || '''20대 대선'''[* 이재명+심상정.] || '''증감률''' || '''19대 대선'''[* 홍준표+유승민.] || '''20대 대선'''[* 윤석열.] || '''증감률''' || || '''득표율''' || {{{#FFFFFF '''468,214 [br] (49.68%)'''}}} || '''460,395 [br] (49.16%)''' || '''- 7,819 [br] (▼0.52)''' || '''251,196 [br] (26.65%)''' || {{{#FFFFFF '''464,060 [br] (49.55%)'''}}} || '''+ 212,864 [br] (△22.90)''' || '''- 3,665 [br] (- 0.39%)''' || || '''중구''' || {{{#4169E1 45.87%}}} || {{{#696969 47.01%}}} || △1.14 || '''29.68%''' || {{{#E61E2B '''51.66%'''}}} || △21.98 || {{{#696969 '''- 4.66'''}}} || || '''동구''' || {{{#004EA2 46.76%}}} || 48.89% || △2.13 || 28.46% || {{{#E61E2B 49.54%}}} || △21.08 || - 0.64 || || '''서구''' || {{{#004EA2 50.54%}}} || 49.10% || ▼1.44 || 25.98% || {{{#E61E2B 49.67%}}} || △23.69 || - 0.57 || || '''유성구''' || {{{#004EA2 '''54.28%'''}}} || {{{#004EA2 '''50.34%'''}}} || {{{#696969 ▼3.94}}} || {{{#696969 23.72%}}} || 48.66% || '''△24.94''' || + 1.68 || || '''대덕구''' || {{{#004EA2 47.61%}}} || {{{#004EA2 50.12%}}} || '''△2.51''' || 27.57% || {{{#696969 48.28%}}} || {{{#696969 △20.71}}} || '''+ 1.84''' || === 총선 === ||<:><-10> {{{#FFFFFF '''대전광역시 개표 결과 (시·군·구별)'''}}} || ||<:><-3> {{{#FFFFFF '''국회의원'''}}} ||<:><-5>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 미래통합당}}}]] ||<:> [[더불어시민당|{{{#fff '''더불어시민당'''}}}]] ||<:> [[미래한국당|{{{#fff 미래한국당}}}]] ||<:> [[정의당|{{{#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 열린민주당}}}]] || || '''의석수/비례1위''' ||<:> {{{#FFFFFF '''7석'''}}} ||<:> {{{#EF426F 0석}}} ||<:> {{{#FFFFFF 3개[*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모든 지역 우세(중구, 동구 추가)] }}} ||<:> 2개[*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우세 지역 없음(중구, 동구 제외)] ||<:> - ||<:> - ||<:> -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430,237 [br] (53.72%)'''}}} ||<:> '''348,386 [br] (43.50%)''' ||<:> {{{#FFFFFF '''260,908 [br] (33.68%)'''}}} ||<:> '''249,771 [br] (32.25%)''' ||<:> '''75,933 [br] (9.80%)''' ||<:> '''61,478 [br] (7.93%)''' ||<:> '''42,323 [br] (5.46%)''' || || '''중구''' ||<:> {{{#004EA2 50.30%}}} ||<:> '''48.17%''' ||<:> {{{#696969 32.56%}}} ||<:> {{{#EF426F '''35.73%'''}}} ||<:> {{{#696969 8.49%}}} ||<:> 7.24% ||<:> 4.89% || || '''동구''' ||<:> {{{#004EA2 51.01%}}} ||<:> 47.56% ||<:> 33.85% ||<:> {{{#EF426F 34.52%}}} ||<:> 8.58% ||<:> 6.57% ||<:> {{{#696969 4.68%}}} || || '''서구''' ||<:> {{{#004EA2 '''56.50%'''}}} ||<:> 41.83% ||<:> {{{#006CB7 33.76%}}} ||<:> 31.66% ||<:> 9.89% ||<:> 8.34% ||<:> 5.65% || || '''유성구''' ||<:> {{{#004EA2 56.19%}}} ||<:> {{{#696969 38.69%}}} ||<:> {{{#006CB7 34.02%}}} ||<:> {{{#696969 28.73%}}} ||<:> '''11.64%''' ||<:> '''9.41%''' ||<:> '''6.44%''' || || '''대덕구''' ||<:> {{{#4169E1 49.39%}}} ||<:> 46.24% ||<:> {{{#006CB7 '''34.15%'''}}} ||<:> 33.42% ||<:> 9.09% ||<:> {{{#696969 6.46%}}} ||<:> 4.70% || ||<:><-10> {{{#FFFFFF '''대전광역시 개표 결과 (지역구별)'''}}} || ||<:><-3> {{{#FFFFFF '''국회의원'''}}} ||<:><-5>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 미래통합당}}}]] ||<:> [[더불어시민당|{{{#fff '''더불어시민당'''}}}]] ||<:> [[미래한국당|{{{#fff 미래한국당}}}]] ||<:> [[정의당|{{{#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 열린민주당}}}]] || || '''의석수/비례1위''' ||<:> {{{#FFFFFF '''7석'''}}} ||<:> {{{#EF426F 0석}}} ||<:> {{{#FFFFFF 4개[*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모든 지역 우세(중구, 동구, 서구 을 추가)] }}} ||<:> 3개[*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우세 지역 없음(중구, 동구, 서구 을 제외)] ||<:> - ||<:> - ||<:> -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430,237 [br] (53.72%)'''}}} ||<:> '''348,386 [br] (43.50%)''' ||<:> {{{#FFFFFF '''260,908 [br] (33.68%)'''}}} ||<:> '''249,771 [br] (32.25%)''' ||<:> '''75,933 [br] (9.80%)''' ||<:> '''61,478 [br] (7.93%)''' ||<:> '''42,323 [br] (5.46%)''' || || '''중구''' ||<:> {{{#FFFFFF 66,306 [br] (50.30%)}}} ||<:> '''63,498 [br] (48.17%)''' ||<:> {{{#696969 32.56%}}} ||<:> {{{#EF426F '''35.73%'''}}} ||<:> {{{#696969 8.49%}}} ||<:> 7.24% ||<:> 4.89% || || '''동구''' ||<:> {{{#FFFFFF 61,345 [br] (51.01%)}}} ||<:> 57,194 [br] (47.56%) ||<:> 33.85% ||<:> {{{#EF426F 34.52%}}} ||<:> 8.58% ||<:> 6.57% ||<:> {{{#696969 4.68%}}} || || '''서구 갑''' ||<:> {{{#FFFFFF 74,978 [br] (55.58%)}}} ||<:> 57,720 [br] (42.79%) ||<:> {{{#006CB7 34.14%}}} ||<:> 32.25% ||<:> 9.51% ||<:> 7.64% ||<:> 5.23% || || '''서구 을''' ||<:> {{{#FFFFFF '''70,708 [br] (57.50%)'''}}} ||<:> 50,140 [br] (40.77%) ||<:> 32.46% ||<:> {{{#EF426F 32.68%}}} ||<:> 10.09% ||<:> 9.15% ||<:> 5.66% || || '''유성구 갑''' ||<:> {{{#FFFFFF 55,463 [br] (56.52%)}}} ||<:> 39,588 [br] (40.34%) ||<:> {{{#006CB7 33.40%}}} ||<:> 31.65% ||<:> 9.73% ||<:> 9.37% ||<:> 5.74% || || '''유성구 을''' ||<:> {{{#FFFFFF 53,785 [br] (55.85%)}}} ||<:> {{{#696969 35,629 [br] (37.00%)}}} ||<:> {{{#006CB7 34.01%}}} ||<:> {{{#696969 27.00%}}} ||<:> '''13.22%''' ||<:> '''9.61%''' ||<:> '''6.95%''' || || '''대덕구''' ||<:> {{{#FFFFFF 47,652 [br] (49.39%)}}} ||<:> 44,617 [br] (46.24%) ||<:> {{{#006CB7 '''34.15%'''}}} ||<:> 33.42% ||<:> 9.09% ||<:> {{{#696969 6.46%}}} ||<:> 4.70% || ==== 이전 총선과의 비교 ==== ||<-10> {{{#0D3692 '''2016년 20대 총선 / 2020년 21대 총선(비례) 득표율 비교'''}}} || ||<-4> {{{#FFFFFF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열린민주당)}}} ||<-1> {{{#FFFFFF '''중도''' (국민의당)}}} ||<-4> {{{#FFFFFF '''범보수''' (새누리당 → 미래통합당, 국민의당)}}} || || '''선거''' || '''20대 총선'''[*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 || '''21대 총선'''[*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열린민주당] || '''증감률''' || '''20대 총선'''[* 국민의당] || '''20대 총선'''[* 새누리당] || '''21대 총선'''[* 미래한국당 + 국민의당] || '''증감률''' || '''격차''' || || '''득표율''' || {{{#FFFFFF '''249,163 [br] (35.77%)'''}}} || {{{#FFFFFF '''379,164 [br] (48.95%)'''}}} || '''+ 130,001 [br] {△13.18}''' || '''189,062 [br] (27.14%)''' || '''215,645 [br] (30.96%)''' || '''311,249 [br] (40.19%)''' || '''+ 95,604 [br] {△9.23}''' || '''67,915 [br] (+ 8.77%)''' || || '''중구''' || {{{#696969 30.55%}}} || {{{#4169E1 45.94%}}} || △15.39 || {{{#696969 27.98%}}} || {{{#C9151E 35.22%}}} || '''42.98%''' || △7.76 || {{{#696969 + 2.96}}} || || '''동구''' || 32.58% || {{{#004EA2 47.12%}}} || △14.54 || {{{#696969 26.00%}}} || {{{#C9151E '''35.70%'''}}} || 41.10% || {{{#696969 △5.40}}} || + 6.02 || || '''서구''' || {{{#1870B9 37.18%}}} || {{{#004EA2 49.32%}}} || △12.14 || {{{#696969 26.82%}}} || 30.00% || 40.00% || △10.00 || + 9.32 || || '''유성구''' || {{{#1870B9 '''41.66%'''}}} || {{{#004EA2 '''52.10%'''}}} || {{{#696969 △10.44}}} || 28.08% || {{{#696969 24.23%}}} || {{{#696969 38.15%}}} || '''△13.92''' || '''+ 13.95''' || || '''대덕구''' || 32.09% || {{{#004EA2 47.95%}}} || '''△15.86''' || {{{#696969 26.57%}}} || {{{#C9151E 34.36%}}} || 39.89% || △5.53 || + 8.06 || === 지선 === ||<-8> {{{#FFFFFF '''대전광역시 개표 결과 (자치단체장)'''}}} || ||<-3> {{{#FFFFFF '''대전광역시장'''}}} ||<-3> {{{#FFFFFF '''구청장 · 군수'''}}}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 '''후보''' || [[허태정|{{{#FFFFFF 허태정}}}]] || [[이장우(정치인)|{{{#FFFFFF '''이장우'''}}}]] || '''의석수 ''' || {{{#004EA2 1석}}} || {{{#FFFFFF '''4석'''}}} || || '''득표수[br](득표율)''' || 295,555 [br] (48.80%) ||<:> {{{#FFFFFF '''310,035 [br] (51.19%)'''}}} || '''득표수[br](득표율)''' || 286,355 [br] (47.49%) || {{{#FFFFFF '''316,550 [br] (52.50%)'''}}} || || '''동구''' || 42,619 [br] (45.95%) || {{{#FFFFFF 50,120 [br] (54.04%)}}} || '''동구''' || 44,663 [br] (48.40%) || {{{#FFFFFF 47,615 [br] (51.59%)}}} || || '''중구''' || 45,434 [br] (45.84%) ||<:> {{{#FFFFFF '''53,666 [br] (54.15%)'''}}} || '''중구''' || 42,669 [br] (43.25%) || {{{#FFFFFF '''55,972 [br] (56.74%)'''}}} || || '''서구''' || 93,222 [br] (48.96%) || {{{#FFFFFF 97,149 [br] (51.03%)}}} || '''서구''' || 88,685 [br] (46.74%) || {{{#FFFFFF 101,023 [br] (53.25%)}}} || || '''유성구''' || {{{#FFFFFF '''78,142 [br] (52.70%)'''}}} || 70,109 [br] (47.29%) || '''유성구''' || {{{#FFFFFF '''75,498 [br] (51.16%)'''}}} || 72,070 [br] (48.83%) || || '''대덕구''' || 36,138 [br] (48.10%) || {{{#FFFFFF 38,991 [br] (51.89%)}}} || '''대덕구''' || 34,840 [br] (46.63%) || {{{#FFFFFF 39,870 [br] (53.36%)}}} || ||<-10> {{{#FFFFFF '''대전광역시 개표 결과 (광역의원)'''}}} || ||<-3> {{{#FFFFFF '''시의회의원'''}}} ||<:><-6>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정의당|{{{#000000 정의당}}}]] || [[기본소득당|{{{#19233c 기본소득당}}}]] || || '''의석수''' || {{{#004EA2 4석 }}} || {{{#FFFFFF '''18석'''}}} || 255,321 [br] (42.20%) || {{{#FFFFFF '''318,824 [br] (52.69%)''' }}} || 22,585 [br] (3.73%) || 1,875 [br] (0.30%) || || '''동구''' || 0 || {{{#E61E2B 3 }}} || 41.65% || {{{#E61E2B 54.33% }}} || 2.83% || 0.33% || || '''중구''' || 0 || {{{#E61E2B 3 }}} || 40.32% || {{{#E61E2B '''55.58%''' }}} || 2.87% || 0.29% || || '''서구''' || 0 || {{{#E61E2B '''6''' }}} || 42.01% || {{{#E61E2B 52.75% }}} || 3.94% || 0.29% || || '''유성구''' || {{{#004EA2 '''3''' }}} || 1 || '''43.97%''' || {{{#E61E2B 49.41% }}} || '''4.96%''' || '''0.33%''' || || '''대덕구''' || 0 || {{{#E61E2B 3 }}} || 42.31% || {{{#E61E2B 53.19% }}} || 3.00% || 0.28% || || '''지역구 합''' || 3석 || {{{#E61E2B '''16석''' }}} || 1석 || {{{#E61E2B '''2석''' }}} || 0 || ||<-10> {{{#FFFFFF '''대전광역시 개표 결과 (기초의원 · 교육감)'''}}} || ||<-3> {{{#FFFFFF '''구 · 군의회의원'''}}} ||<-4> {{{#FFFFFF '''교육감'''}}}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후보''' || {{{#FFFFFF 성광진}}} || [[설동호|{{{#FFFFFF '''설동호'''}}}]] || [[정상신|{{{#fff 정상신}}}]] || || '''의석수''' || {{{#004EA2 31석}}} || {{{#FFFFFF '''32석'''}}} || '''득표수 [br] (득표율)''' || '''178,958 [br] (30.05%)''' || {{{#FFFFFF '''247,077 [br] (41.50%)'''}}} || '''103,363 [br] (17.36%)''' || || '''동구''' || 5 || 5 || '''동구''' || 29.30% || {{{#E61E2B 43.51%}}} || 16.69% || || '''중구''' || 5 || {{{#E61E2B 6 }}} || '''중구''' || '''31.95%''' || {{{#E61E2B 42.01%}}} || 14.36% || || '''서구''' || {{{#004EA2 '''11''' }}} || 9 || '''서구''' || 29.62% || {{{#E61E2B 41.21%}}} || '''18.78%''' || || '''유성구''' || 5 || {{{#E61E2B '''8''' }}} || '''유성구''' || 30.74% || {{{#E61E2B 39.14%}}} || 18.06% || || '''대덕구''' || 4 || 4 || '''대덕구''' || 28.24% || {{{#E61E2B '''43.73%'''}}} || 17.13% || || '''지역구 합''' || {{{#004EA2 28석 }}} || 27석 || || '''비례표''' || 3석 || {{{#E61E2B 5석 }}} || == 특징 == ||<-8> '''대전광역시장''' || || 1기(95~98)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홍선기|{{{#FFFFFF 홍선기}}}]] {{{#FFFFFF (초선)}}} || || 2기(98~02)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홍선기|{{{#FFFFFF 홍선기}}}]] {{{#FFFFFF (재선)}}} || || 3기(02~06)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염홍철|{{{#FFFFFF 염홍철}}}]] {{{#FFFFFF (초선)}}} || || 4기(06~10) || [include(틀:한나라당)] [[박성효|{{{#FFFFFF 박성효}}}]] {{{#FFFFFF (초선)}}} || || 5기(10~14) || [include(틀:자유선진당)] [[염홍철|{{{#FFFFFF 염홍철}}}]] {{{#FFFFFF (재선)}}} || || 6기(14~18)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권선택|{{{#FFFFFF 권선택}}}]] {{{#FFFFFF (초선)}}}[* 2017.11.14. 시장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 잔여 기간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 || 7기(18~22)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허태정|{{{#FFFFFF 허태정}}}]] {{{#FFFFFF (초선)}}} || || 8기(22~26) || [include(틀:국민의힘)] [[이장우(정치인)|{{{#FFFFFF 이장우}}}]] {{{#FFFFFF (초선)}}} || 과거에는 [[신민주공화당]], [[자유민주연합]], [[자유선진당]]처럼 '''[[충청남도]]'''에 기반을 둔 [[정당]]이 강세를 보였다. 당장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전 6석의 지역구 중 [[자유선진당]] 5석, [[통합민주당(2008년)|민주당]] 1석이 당선되었고,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염홍철|자유선진당 소속 시장]]이 당선되었다. 그러나 이들 충청도 정당들의 [[리즈 시절]]에도 유권자들의 충성도는 호남의 '''[[민주당계 정당]]'''에 대한 지지나 영남의 '''[[대한민국 보수정당|보수정당]]'''에 대한 지지도만큼 강하지는 않았다. --사실 [[성심당]]의 지지도가 가장 높다[[카더라]].-- 이것은 계획도시의 특성상 타지에서의 인구 유입이 많아 지역에 대한 충성도가 낮은 것이 원인일 수 있다. 비단 [[대전광역시]] 뿐만 아니라 인구 유입이 많은 지역들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주로 나타나며,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이 전형적인 예시가 될 것이고, 섬이라는 폐쇄성에도 인구 증가율은 엄청난 [[제주특별자치도]]도 많은 경우 한 쪽으로 급격하게 쏠리진 않는다. 게다가 타지인들이 다른 성향 투표를 하여 몰표를 상쇄시키는 원인도 있겠지만, 타지 출신들과 섞이면서 향토주민들도 좀 더 개방적으로 변했을 가능성도 있다. 역으로 [[인구]] 유출이 극심하거나 인구 증감이 정체된 호남권 및 강원권, [[경상북도]] 북부 지역은 다소 획일적 성향이 나타난다. 이중에서도 인구가 유출 수준인 전남권과 경북 북부권이 비율적으로 더 강했다. 그리고 강원권의 경우 수도권에서 인구 유입이 활발한 영서보다 토박이들이 많은 영동에서 더 뚜렷했다. 반면 경남권은 광역시도 2개나 배출할 정도로 수도권과 더불어 인구 증가가 최상위권이다 보니 정치 성향이 다양하게 나오는 편. 이렇게 민심 변화가 심한 통에 대전 지역 정치인들도 어떻게든 표를 끌어내기 위한 정책을 공표하고 추진하려다 보니 시에서 주도하는 사업이 종종 갈아엎어지거나 시간만 끌다가 무의미해지거나 아예 취소되는 경향도 없지않아 있다.[* 대표적인 것이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인데, 대전시민들도 [[대덕구]]를 포함한 교통 험지가 있어서 교통편 확대를 원하는 상황이나, 정작 역대 [[대전광역시장]]들은 지하철로 추진하다가 갑자기 노면 전차로 변경하는 등으로 매번 계획이 갈아엎어지고 재검토하는 [[갈팡질팡#s-1|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인 끝에 2023년 현재까지도 '''첫 삽도 못 뜬'''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되었다. 그리고 허태정 전 대전광역시장이 추진하던 [[한화 이글스]] 신구장도 '''대전시 후보들이 서로서로 전면백지화 한 후 이리 바꾸겠다고 하는 바람에 자칫하면 신구장조차 엎어질 뻔한''' 상황이 오기도 하여서 [[허구연]] [[KBO]] 총재도 [[연고지 이전]]을 운운하며 갈등을 일으킨 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무사히 추진 중이다.] 충청지역당에 대한 충성도가 높지 않은 것은 [[충청남도]]에 기반을 둔 정당의 역사가 그리 길지 않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 정치가 [[영호남 지역갈등|영·호남 지역성]]이 심화되기 시작한 것은 대개 민주화가 시작된 1987년 대선 때부터로 보고 있는데, 그 동안 충청권 지역성을 가진 정당은 없었다. 이는 대표 [[충청도]] 출신 정치인인 [[김종필]]의 [[신민주공화당]]이 창당된 직후도 마찬가지라서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충청권에서 특정 후보에 쏠리는 일은 없었다. 그러다 1987년 대선에서 영남과 호남의 강력한 지역 후보 지지를 TV 중계로 지켜본 충청권에서 '우리도 뭉쳐야지!' 하는 분위기가 일어났고, 이는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청권의 [[신민주공화당]] 적극 지지로 나타나게 된다. [[파일:attachment/대전광역시/info.jpg|align=right&width=250&height=700]] 탄핵 사태 이후 자민련과 구 민주당의 파멸적 결말은 바로 지역정당 체제의 종말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이때부터 여전히 그 잔재가 남아 있긴 하나 지역정당에서 양당제로 이행하면서 군소 정당 지지세력이 두 주요 정당에 흡수되는 '대압착'이 발생했다. 제3당 정도에 머무르며 상대적으로 기반이 취약했던 충청권 지역정당은 그 영향을 직빵으로 받아 지지기반이 대규모로 이탈하며 크게 쇠퇴했다. 결국 [[자유민주연합]]과 [[자유선진당]]을 거치면서 충청권 정당에 회의감이 많이 퍼졌으며, 단적인 예로 자유선진당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단 한 석의 대전 지역구 의원도 배출하지 못했고, 한달 후 [[선진통일당]]으로 당명을 바꿨지만, 이조차도 오래가지 못하고 결국 6개월 뒤인 당해 11월, [[새누리당]]에 흡수합당되었다. [[충청북도]]는 과거 충청도 지역정당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홀대받은 역사가 있다. 원래 대전과 충남에 비해 충북은 상대적으로 지역정당 지지율이 낮은 동네다. 2000년대 들어와서는 아예 지역정당은 거진 힘도 쓰지 못하는 편이다. 자유선진당 돌풍이 불었던 2008년 총선에서마저도 선진당은 충북에서 달랑 한 석 획득에 그쳤다. 심지어 2012년 총선에서는 [[비례대표]] 득표율이 [[통합진보당]][* 본래 충청권은 진보정당의 세가 약한 편이다.]에게도 밀렸다.[* 충북 지역은 [[민주당계 정당]]에 대한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더 강하다. 충남이 [[세종특별자치시]]를 얻었다면 이 쪽은 '''오송 분기'''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대전시민들의 [[정치]] 성향은 상황에 따라 상당히 유동적인 편이며, 주요 선거에서 영호남의 표가 극으로 나뉘고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의 지지율이 백중지세일 때, [[충청도]], 특히 대전의 지지가 결정적이다. 이와 비슷한 지역이 또 한 곳 더 있다. 바로 [[인천광역시]]. 충청도의 임팩트에 다소 묻히는 사실이지만, 인천 역시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의 향방을 결정짓는 캐스팅 보터라 할 수 있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인천에서 이긴 대선 후보가 100% 당선이었다. 하지만 2022년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면서 이 기록이 깨졌다. 1992년 대선부터 2022년 대선까지 '''대전충남에서 승리한 후보가 모두 승리'''했다. 3당 합당으로 호남을 포위한 [[김영삼|YS]], [[DJP연합]]으로 영남을 고립시킨 [[김대중|DJ]]와 같은 지역 정치의 사례 외에도 2002년의 [[노무현]] 후보나 2007년의 [[이명박]] 후보 모두 대전과 충남에서 승리했고, 대선에서도 승리했다. 2012년 [[박근혜]] 후보는 절반이 조금 안 되는 득표율로 승리했지만, 어쨌든 대선에서는 승리하면서 [[최후의 승자]]가 되었다.[* 원래 출구조사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약간 앞섰긴 했다. 이후 개표가 시작되면서 출구조사와 뒤집힌 듯 하다.] 저 멀리 [[미국]]으로 치면 '''[[오하이오]]''' 수준. 때문에 최근 들어 각 방송사에서 대선/총선의 출구조사를 할 때면, 범충남권을 가리켜 '캐스팅보트'라고도 곧잘 표현한다. 요약하면 전국 평균과 표심이 가장 비슷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파일:external/www.dogdrip.net/d33a3394d5a0ebdd5b5a2f43f6a88750.jpg|width=300px]] [[http://www.dogdrip.net/95384549|2당 세계 대전 베를린]] "겉보기에는 느려보여도 결정적인 순간만 되면 손익계산 돌아가는 속도만큼은 무서운 게 충청도 민심"이라는 말에서도 보이듯이, 충청권은 이 캐스팅 보터로서의 지위를 이용해 아주 쏠쏠한 이익을 챙기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세종특별자치시]]'''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 세종시와 인접한 서대전은 세종시에 적극적이었던 정치인들이 많은 [[민주통합당]]이 이겼으나, 세종시 영향권하고는 꽤 떨어져 있는 동대전은 [[새누리당]]이 승리했다. 대전 내에서도 지역마다 정치 성향이 차이가 나는 것도 특징이다. 대체적으로 동대전([[동구(대전광역시)|동구]][* [[19대 총선]]서는 새누리당 후보가 34%를 받고 민주통합당 후보가 33%를 받아 박빙이였다. [[20대 총선]]서는 야권후보가 갈라서 새누리당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되었다.], [[중구(대전광역시)|중구]][* 동구와 마찬가지로 야권이 갈라져 새누리당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되었다.], [[대덕구]])는 보수세가 상대적으로 더 강한 반면,[* 단, 그렇다고 보수세가 대경권 정도로 압도적으로 강한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18대 대선]]에선 대덕, 중, 동 모두가 박근혜에게 표를 더 줬지만,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중, 동구에선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구청장]]이 당선되었고, 다시 [[19대 대선]]에선 중, 동, 대덕에서 문재인에게 표를 더 주었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대덕구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소속 구청장이 당선되었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또한 동단위까지 보면 동구 효동, 중구 목동 같은 경우는 민주당 지지도가 더 높다.] 서대전([[서구(대전광역시)|서구]][* '''[[둔산신도시]]'''의 존재로 인하여 유성구보다도 진보세가 더 강하다. 단, 농촌 지역인 [[기성동]]은 제외.], [[유성구]])은 진보세가 상대적으로 더 강하다. 이는 동구, 대덕구, 중구를 아우르는 구도심은 토박이들과 중노년층들의 비율이 높은데 대체적으로 충청도의 정치 성향 자체가 보수적인 것을 감안하면 보수정당 지지율이 높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대전의 신도심들인 서구와 유성구의 경우 계획도시 특성상 외지인(고학력 중산층)&청년층의 비율이 많고 그래서 그만큼 진보적 성향이 강할 수밖에 없다. 이는 충청도 전체를 봤을 때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외지인 유입이 많은 [[당진시]], [[천안시]], [[아산시]],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흥덕구]], 청주시 [[서원구]], 청주시 [[청원구]], 유성구, 서구와 진보세가 강한 호남 지역과 접경한 [[논산시]], [[금산군]][* 이 동네는 그냥 접경한 수준을 넘어 원래는 [[전라북도]]였다가 충청남도로 편입된 곳이다.]을 제외한 모든 [[선거구]]에서 [[새누리당]]이 당선되었던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지리적 특성 때문일 수도 있다. 영호남 출신 이주민들이 이주하기 좋은 도시로 적당한 거리인 대전광역시가 선택되는 경우가 있는데, 영남 출신은 주로 대전역과 경부선이 있는 동부권에, 호남 출신은 호남발 버스가 있는 서부권에 주로 거주하는 영향도 크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의 사실상 양강구도로 치러진 선거인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새정연의 승리로 끝났다. 사상 처음으로 시장을 가져갔으며, 구청장 5명 중에 4명, 광역의원 22명 중 16명이 당선되었다. 참고로 이 때 당선된 [[권선택]] 시장은 [[행정고시]]를 거쳐 고위 [[공무원]]을 역임하다가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당선되며 [[정치]]에 입문했는데,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염홍철]] 시장이 전략공천되자 이에 반발해 탈당한 후 [[국민중심당]]과 [[자유선진당]]을 거치며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당선되나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진통일당]] 후보로 출마해 낙선하는 수모를 겪었다. 그러다가 [[선진통일당]]이 새누리당에 흡수되자 이에 반발하여 열린우리당의 후신인 [[민주통합당]]에 복당하였다. 20대 총선에서는 민주당이 충청권에서 선전한 가운데에도 이전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유성구와 서구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구도심권에서는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되어 어느 정도 균형을 맞추었다. 박근혜 탄핵 이후 치러진 [[19대 대선]]을 기점으로는 민주당이 싹쓸이 중이다. 단, 이게 특별히 민주당이 좋아서라기보다는 [[자유한국당]]과 [[친박]]이 싫어서라는 성격이 더 강한 편이라 민주당 지지로 완벽하게 돌아섰다고는 보기 어렵다. 특히 2018년 지방선거의 경우 보수 진영 표가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으로 표가 분산되기도 했고, 자유한국당 후보가 친박 성향인 것도 한 몫 했다. [[21대 총선]]에서는 민주당이 7석 모두를 석권하는 저력을 보였다. 특히 기존에 보수 계열 정당과 충청 보수정당의 아성이었던 동대전 3구에서 3곳 모두 4% 이내로 신승하면서[* 원래 출구조사에서는 동대전 3구 모두 [[미래통합당]]이 앞섰으나, 3군데 모두 뒤집혔다. 덤으로, 당시 전국 광역자치단체들 중 제일 많은 곳이 출구조사와 뒤집혀지기도 한 곳이다.] 대전에서는 소선거구제의 혜택을 톡톡히 누리게 되었다. 옛날부터 민주당 계열의 [[텃밭(정치)|텃밭]]이었던 서대전에서는 10 ~ 20%의 격차를 내며 가볍게 완승하였다. 재밌게도 대전에서의 완승과 함께 전국적으로도 민주당이 역사적 압승 결과[* 지역구만 해도 단독 과반이고, 비례대표까지 합산하면 177석으로 6공화국 이후 최대의 단일정당 승리.]를 냈기 때문에 역시나 선거의 풍향계다운 면모를 보였다. 그러나 [[20대 대선]]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49.6%를 득표하면서 1위를 차지했다. 윤 후보는 대전 5개 자치구에서 모두 앞섰는데[* 그러나 개표 초반에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한때 모든 자치구에서 앞서나간 적이 있었으나, 중구를 [[시발점]]으로 동구, 서구, 유성구 순으로 차차 뒤집히기 시작하더니 마지막 대덕구까지 모두 뒤집혔다.], 2년 전 총선에서 민주당에 7석을 몰아줬던[* 다만 선거구 기준으로 나누면 약간 차이가 있는데, 유성 을 지역은 이재명 후보 지지가 더 우세하다. ~~그래도 6:1로 거의 완전히 뒤집힌건 똑같지만~~] 대전의 '''민심이 180도 돌아선 셈'''이다.[* 앞서 말한대로 유성 을 지역은 이재명 후보가 이겼기 때문에 선거구 별로 나눌시 154.3도 돌아선 셈이다.] 특히 기존에 민주당계 정당이 강세를 보였던 서구와 유성구에서도 윤석열 후보가 이겼다. 서구는 [[둔산신도시]]의 폭등한 집값[* 여기는 7억에서 무려 '''22억'''까지 집값이 오른 [[아파트]]가 있다. 3년만에 무려 3배가 오른 것.]과 서구 국회의원인 [[박범계]]에 대한 반감이 컸고[* 알다시피 장관직에 올라서 지역구 관리에 소홀해지는 바람에 낙선한 사례는 한둘이 아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김희정(정치인)|김희정]]이나 [[김영춘]], [[김부겸]]이 있다. 게다가 박범계는 원래부터 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평이 워낙 안 좋았으니 더더욱 그렇다.], 유성구는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에 미진한 허태정 대전광역시장[* 유성구청장 시절부터 공약을 걸었다. 하지만 실제로 착공이 시작된 건 '''2023년''', 다르게 말하자면 무려 8년이나 미뤄진 것이다.], 20대 남성의 문재인 정부에 대한 반감[* 알다시피 [[KAIST]]는 공대의 파워가 상당히 세다. 게다가 원자력양자공학과의 신입생 수가 급감한 것도 있다.]과 [[탈원전]] 정책에 대한 반감이 제일 컸다.[* 실제로 탈원전으로 인해 원자력 산업이 제대로 암흑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대덕연구단지 내부의 원자력 관련 연구원들은 문재인을 매우 싫어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표심에 드러난 것.] [[8회 지선]]에서는 [[국민의힘]] [[이장우(정치인)|이장우]] 후보가 대전광역시장에 당선되고 구청장 또한 유성구를 제외한 전 지역을 국민의힘이 다 가져갔다. 대전시장 선거에서의 득표율 차이는 2% 정도로 크지 않아 경합지역으로서의 면모는 유지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이 유성구 단 한 곳에서만 우세하고 나머지 지역들에서는 밀리는 모습을 보였는데, [[허태정]] 전 시장이 유성구청장 출신이었던 것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다만, 대전시장 한정으로 접전이었지, 지방의회 선거와 구청장까지 국민의힘의 10% 가까이 앞서면서 제법 표차가 크게 난 편이다. 특히 아무리 공천 잡음이 있었다고 한들 국민의힘이 광역의원 올킬과 비례대표 압승까지 달성할 정도로 서구의 보수화가 조금씩 진행되고[* 이유는 알다시피 [[둔산신도시]]의 보수화. 실제로 대선과 지선 모두 국민의힘이 서구에서 승리를 거뒀는데, 둔산신도시에서만 서구 전체에서의 표차의 반 가까이를 벌렸다.], 반대로 대덕구의 진보화가 조금씩 진행되면서[* 집값 상승률이 대전에서 상대적으로 낮았기도 하거니와, 해당 지역에 공단이 많은 것도 있다. 게다가 혁신도시의 수혜 지역이 된 것도 한몫했다.][* 만약 이것이 계속 진행된다면 대전은 이제부터는 동서(동부 보수, 서부 진보)가 아닌 남북(남부 보수, 북부 진보)으로 세력이 나뉠 것이다.] 민주당 우세 1(유성구) : 국민의힘 경합우세 2(서구, 대덕구) : 국민의힘 우세 2(중구, 동구)로 나오면서 선거 지형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결론적으로는 대전 서북 지역은 진보세가 강하며, 동남 지역은 반대로 보수세가 강하다. 공교롭게도 같은 충청권이자 경부선 내에 있는 천안시와 청주시 역시 지역 내에서 동남(천안시 [[동남구]], 청주시 [[상당구]]와 [[서원구]]. 다만 이 세 지역들은 전부 경합지역들이긴 하다.) 보수, 서북 진보(천안시 [[서북구]], 청주시 [[흥덕구]]와 [[청원구]].)로 나뉜다.] 한편 18대 대선부터 20대 대선까지 민주당+진보정당 표심이 49%대 선[* 18대 49.7%, 19대 49.7%, 20대 49.2%.]에 고정된 걸 감안하면 앞으로 대전광역시는 단 한 끗 차이로 승패가 결정날 가능성이 높은 동네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어찌 보면 자타공인 경합지역이란 게 입증이 된 셈. == 역대 대전광역시 선거 결과 == ||<|2> '''{{{#FFFFFF 역대 1위 횟수}}}''' ||<:>{{{#FFFFFF 보수정당}}}||<:>{{{#FFFFFF '''민주당계 정당'''}}}||<:>{{{#FFFFFF 충청도계 정당}}}||<:>{{{#FFFFFF 제3지대 정당}}}||<:>{{{#FFFFFF 무소속}}}|| ||<:> 8 ||<:>{{{#FFFFFF '''10'''}}} ||<:> 6 ||<:> 0 ||<:> 1 || [* 대전직할시로 승격된 1989년부터 기록][* 제 3후보는 선거비 보존 득표율(15%)이상의 결과만 반영] ||<:> '''역대 선거''' ||<-2> '''1위''' ||<-2> '''2위, 3위''' || || 1992년 총선 ||<:>{{{#FFFFFF '''민주당 2석'''}}}||<:>{{{#FFFFFF '''무소속 2석'''}}}||||<:><-2>{{{#FFFFFF '''민주자유당 1석'''}}}|| || 1992년 대선 ||<:><-2>{{{#FFFFFF '''김영삼 35.2%'''}}}||<:>{{{#FFFFFF '''김대중 28.7%'''}}}||<:>{{{#FFFFFF '''정주영 23.3%'''}}}|| || 1995년 지선 ||<:><-2>{{{#FFFFFF '''홍선기 63.8%'''}}}||<:><-2>{{{#FFFFFF '''염홍철 20.9%'''}}}|| || 1996년 총선 ||<:><-2>{{{#FFFFFF '''자유민주연합 7석'''}}}||<:><-2> '''없음'''|| || 1997년 대선 ||<:><-2>{{{#FFFFFF '''김대중 45.0%'''}}}||<:>{{{#FFFFFF '''이회창 29.2%'''}}}||<:>{{{#FFFFFF '''이인제 24.1%'''}}}|| || 1998년 지선 ||<:><-2>{{{#FFFFFF '''홍선기 73.7%'''}}}||<:><-2>{{{#FFFFFF '''송천영 18.1%'''}}}|| || 2000년 총선 ||<:><-2>{{{#FFFFFF '''자유민주연합 3석'''}}}||<:>{{{#FFFFFF '''새천년민주당 2석'''}}}||<:>{{{#FFFFFF '''한나라당 1석'''}}}|| || 2002년 지선 ||<:><-2>{{{#FFFFFF '''염홍철 46.6%'''}}}||<:><-2>{{{#FFFFFF '''홍선기 40.2%'''}}}|| || 2002년 대선 ||<:><-2>{{{#FFFFFF '''노무현 55.1%'''}}}||<:><-2>{{{#FFFFFF '''이회창 39.8%'''}}}|| || 2004년 총선 ||<:><-2>{{{#FFFFFF '''열린우리당 6석'''}}}||<:><-2> '''없음'''|| || 2006년 지선 ||<:><-2>{{{#FFFFFF '''박성효 43.8%'''}}}||<:><-2>{{{#FFFFFF '''염홍철 41.1%'''}}}|| || 2007년 대선 ||<:><-2>{{{#FFFFFF '''이명박 36.3%'''}}}||<:>{{{#FFFFFF '''이회창 28.9%'''}}}||<:>{{{#FFFFFF '''정동영 23.6%'''}}}|| || 2008년 총선 ||<:><-2>{{{#FFFFFF '''자유선진당 5석'''}}}||<:><-2>{{{#FFFFFF '''통합민주당 1석'''}}}|| || 2010년 지선 ||<:><-2>{{{#FFFFFF '''염홍철 46.7%'''}}}||<:>{{{#FFFFFF '''박성효 28.5%'''}}}||<:>{{{#FFFFFF '''김원웅 23.3%'''}}}|| || 2012년 총선 ||<:>{{{#FFFFFF '''새누리당 3석'''}}}||<:>{{{#FFFFFF '''민주통합당 3석'''}}}||<:><-2> '''없음'''|| || 2012년 대선 ||<:><-2>{{{#FFFFFF '''박근혜 50.0%'''}}}||<:><-2>{{{#FFFFFF '''문재인 49.7%'''}}}|| || 2014년 지선 ||<:><-2>{{{#FFFFFF '''권선택 50.1%'''}}}||<:><-2>{{{#FFFFFF '''박성효 46.8%'''}}}|| || 2016년 총선 ||<:><-2>{{{#FFFFFF '''더불어민주당 4석'''}}}||<:><-2>{{{#FFFFFF '''새누리당 3석'''}}}|| || 2017년 대선 ||<:><-2>{{{#FFFFFF '''문재인 42.9%'''}}}||<:>{{{#FFFFFF '''안철수 23.2%'''}}}||<:>{{{#FFFFFF '''홍준표 20.3%'''}}}|| || 2018년 지선 ||<:><-2>{{{#FFFFFF '''허태정 56.4%'''}}}||<:><-2>{{{#FFFFFF '''박성효 32.2%'''}}}|| || 2020년 총선 ||<:><-2>{{{#FFFFFF '''더불어민주당 7석'''}}}||<:><-2> '''없음'''|| || 2022년 대선 ||<:><-2>{{{#FFFFFF '''윤석열 49.6%'''}}}||<:><-2>{{{#FFFFFF '''이재명 46.4%'''}}}|| || 2022년 지선 ||<:><-2>{{{#FFFFFF '''이장우 51.2%'''}}}||<:><-2>{{{#FFFFFF '''허태정 48.8%'''}}}|| [[분류:대전광역시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