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분당구의 법정동]] [Include(틀:분당구의 법정동)] ||<-2> '''[[성남시|{{{#000000,#dddddd 성남시}}}]] [[분당구|{{{#000000,#dddddd 분당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대장동}}}'''[br]大庄洞 | Daej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성남시 || || '''일반구''' || 분당구 || || '''행정표준코드''' || 4113511600 || || '''관할 행정동''' || 운중동 || || '''면적''' || 4.92㎢ || [목차][clearfix] == 개요 == 대장동은 [[판교신도시]]에서 이어진 북동쪽의 단독주택 부촌(남서울파크힐)과 [[성남판교대장도시개발사업]] 개발 지역, 남쪽의 고기리 유원지로 들어가는 농촌마을의 성격을 띈 유원지 마을로 이루어진 지역이다. 그 중 중앙부 지역은 딱히 개발이 된 것도 아니고 유원지 부근이라 관광이 활성화된 것도 아니어서 농촌마을 그 자체였으나 [[서분당IC]]와 [[서판교IC]] 사이에 있는 점을 살려 개발이 이루어졌다. 흔히 신도시 아파트촌이라고 알려진 분당의 이미지를 확 깨는 곳으로, 개발 전의 그 농촌마을 모습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운중동 14단지에서 고개 하나만 넘어가면 고층아파트가 늘어선 신도시가 나오는 데다 그 고개 위에 단독주택 부촌이 자리하고 있어 페라리, 포르쉐를 종종 볼 수 있는 아이러니함도 갖춘 곳이다. 성남시에서 외딴 곳이기 때문에 이곳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은 용인시에 소재한 [[고기초등학교]][* 말이 용인시 수지구이지, 건너편이 성남시 대장동이다(...)] 학구로 통학하였다. 판교대장 개발 이후에도 대장신도시 바깥은 고기초등학교가 가까운데, 초등학교 학군이 어떻게 될지는 불명이다. 중학교의 경우 고기초 재학생은 판교신도시와 용인시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고 대장동과 석운동이 고기초 학구라는 말이 있어 신도시 바깥은 고기초로 계속 진학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oreancountryside.jpg|width=100%]] 대락 이런 동네다. [[파일:daejangdong.jpg]] 대장동의 개발 후 모습. 총 10곳의 아파트 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판교대장초등학교, [[판교대장중학교]], 판교반디유치원 등 교육시설도 설치되었다. 아직 행정복지센터와 고등학교는 없어서 [[운중동]]으로 가야 한다. 본격적으로 입주가 이뤄지면 상주 인구가 많아져서 [[행정동]] 분리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분당의 마지막 개발 지구라고 불리고 있으며[* 사실 엄밀히 말하면 [[궁내동(성남)|궁내동]], [[금곡동(성남)|금곡동]] 일대이긴 하지만, 이 두 지역은 성남시가 (적어도 2030년대까지) 개발을 유보하는 듯한 스탠스를 보이고 있다.] [[1기 신도시]] 권역 지구 중에서는 사실상 개발이 아직 되지 않은 유일한 지역으로 봐도 무방하다. 그렇기에 대장동 개발 문제는 늘 부동산 업계의 집중 조명을 받고 있는 대형 화제거리 중 하나다. 지역 위치도 판교신도시와 분당 미금, 용인 수지가 둘러싸고 있고, [[용인서울고속도로]]까지 연결되어 있어서 가치가 매우 높다. 이 주변 마지막 노른자위 땅이라고 표현될 정도. 하지만 일찌감치 이 지역 개발에 대한 수 많은 정치적 논란들이 얽혀 있어서 경제적 타당성보다 정치적 문제가 개발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표적으로 [[이완구]] 총리의 낙마에 치명타를 준 사건 중 하나가 대장동 토지 매입 문제였다. 그 외에도 검색창에 '대장동'을 키워드로 검색해 봐도 [[대장동 개발 사업 논란|굵직굵직한 사건]]들이 현재진행형인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이 지역에 얽힌 이권 문제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을 듯하다. == 주거 ==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건설사''' || || 더샵 판교포레스트 || 990 || 2021년 5월 || [[포스코건설]] || || [[판교 퍼스트힐 푸르지오]] || 974 || 2021년 5월 || [[대우건설]] || || [[힐스테이트 판교 엘포레|힐스테이트 판교 엘포레 3단지]] || 121 || 2021년 6월 || [[현대건설]] || || [[힐스테이트 판교 엘포레|힐스테이트 판교 엘포레 4단지]] || 251 || 2021년 6월 || [[현대건설]] || || [[힐스테이트 판교 엘포레|힐스테이트 판교 엘포레 6단지]] || 464 || 2021년 7월 || [[현대건설]] || || [[판교 풍경채 어바니티|판교 풍경채 어바니티 5단지]] || 589 || 2021년 11월 || [[제일건설(주)|제일건설]] || || [[판교 풍경채 어바니티|판교 풍경채 어바니티 7단지]] || 444 || 2021년 11월 || [[제일건설(주)|제일건설]] || || 판교 SK VIEW 테라스 || 292 || 2023년 8월 || [[SK에코플랜트]] || || 판교 해링턴 플레이스 || 1,123 || 2024년 9월 예정 || [[진흥기업]] || || 성남 판교 대장 연립주택용지 B2, B3 || 215 || 미정 || [[금강주택]] || || 판교 대장지구 상업2-1블록 오피스텔 || 136 || 미정 || 문장건설 || == 교통 == === 버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마을버스|{{{#000000,#ffffff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성남 버스 32|{{{#000000,#ffffff 3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성남 버스 37|{{{#000000,#ffffff 3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성남 버스 73|{{{#000000,#ffffff 73}}}]]}}}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성남 버스 310|{{{#ffffff 31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성남 버스 340|{{{#ffffff 34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성남 버스 380|{{{#ffffff 38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fff; font-size: .8em" [[공항버스|{{{#ffffff 공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fff; font-size: .8em" [[공항버스 5000|{{{#ffffff 5000(인천공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성남 버스 4103|{{{#ffffff 4103(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서울 버스 9409|{{{#ffffff 9409(신사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서울 버스 9507|{{{#ffffff 9507(삼성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성남 버스 반디4|{{{#ffffff 반디4(심야)}}}]]}}} == 여담 == 콜 수요가 많아 [[대리운전]] 기사들이 선호하는 [[분당구]] 중에선 이례적으로 [[오지]]로 꼽히는 지역이다. 상권이 아직 발달되지 않아 콜 수요도 없을뿐더러 지리적으로 분당 및 판교와 분리된 모양새라 빠져나가기도 쉽지 않다. 특히 대중교통편이 죄다 끊긴 시간대라면 인도조차 제대로 없는 길을 수 km씩 걸어 나가거나 콜택시를 불러야 한다. 이는 대장동 주민들도 마찬가지다. 대리운전 구하기가 정말 어렵다. 이때문에 근거리 운행이라도 웃돈을 얹어서 구해야 하는 실정이다. == 사건사고 == * [[대장동 개발 사업 논란]] * [[제네시스 삼단봉 폭행 사건]] - 여담이지만 해당 사건이 벌어졌던 하산운터널의 소재지가 이곳 대장동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운중동, version=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