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툰 [[호박장군]]의 등장인물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 참조. [목차] == 개요 == '''大將軍''' '''Grand General''' 전근대 동아시아의 최고위 무관 직급. 시대와 국가에 따라 의미가 다르다. == 국가별 역사 == === [[중국]] === 병마의 대권을 관장한 최고의 [[무관]]직으로 [[총사령관]] 정도되었다. [[초한전쟁]] 시기 [[고제(전한)|전한 태조 고황제]]가 불세출의 명장 [[한신]]을 장군보다 높은 직급인 대장으로 삼았다는 기록[* 《사기》(史記), <회음후(淮陰侯) 열전>.]이 있고 이후 [[번쾌]], [[관영]], [[시무]] 등 대장군의 직위에 오른 자들은 꽤 있었다. [[무제(전한)|전한 세종 무황제]] 때 공식적으로 설치되어 [[삼공]]보다 아래에 두게 했으며 [[순제(후한)|후한 경종 순황제]]에 이르러 삼공과 대등한 위치가 되었으나 군을 총지휘하는 실권 [[요직]]이었다가 [[수나라|수]]•[[당나라|당]] 때는 1개 군단의 [[사령관]], [[송나라]] 때부터는 한직이 되어 통수권자의 포지션이 상장군[* 그전까지는 세력 내 최고 장수라는 의미의 관용어에 가까웠다.]으로 넘어가는 등 다른 관직이 대신하게 되었으며 명•청 이래 대장군은 무관의 품계로 남다가 정벌군 사령관의 임시직을 맡게 되었다. ==== [[사마(관직)|대사마]]·[[태위]]와의 비교 ==== 흔히 비교되는 것이 [[태위]] 및 [[사마(관직)|대사마]]와의 우열 논쟁이다. 원래 '태위' 또는 '(대)사마'는 [[삼공]]이라 불리는 세 가지 최고 관직의 하나로, 기원전 189년에 [[주발]]이 처음으로 태위에 임명되었으며, 기원전 139년에 태위 전분(田蚡)이 면관된 뒤에는 태위가 임명되지 않아 사실상 폐지되었다. 대사마는 이후 대장군 [[위청]]과 표기장군 [[곽거병]]에게 나란히 대사마가 내려져 장군호의 앞에 붙게 되면서 탄생한 관직이다. 이후 [[선제(전한)|전한 중종 선황제]] 시기 최고 [[권신]]이었던 [[외척보정|대사마 대장군]] [[곽광]]이 죽으면서 아들 곽우가 뒤를 이었고, 곽씨 일가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선제의 노력으로 대장군을 분리하고, 대사마를 수여해 [[군령권|병권]]을 빼았기도 했으나 전한 시대에는 외척보정의 공식 직함이 대사마 + X장군(고위무관직) (+ 영상서사)의 형태로 최고 권력자들의 관직이었으며, 이후 후한 시대, 외척보정들이 직함에서 대사마를 제외하고 삼공 직위의 권력 축소로 사마가 태위로 바뀌며 [[군정권|군정]] 업무만 수행할 뿐 병권을 갖지 못하게 됨으로서 명예직으로 간주되었으나 [[후한]] 말기, [[유우(삼국지)|유우]]가 대사마에 임명되면서 태위와 별도로 존재하게 되었고, 권신 [[이각]]이 잠시나마 대사마에 임명되며 [[승상]]에 버금가는 위상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후한이 몰락하고 [[조위]] 시대에 [[조인]], [[조휴]], [[조진]] 등 당대 최고의 [[재상]]들이 대장군을 거쳐 대사마에 임명되면서 대사마는 군정을 관리하는 동시에 대장군처럼 병력을 통솔하며 전쟁을 치를 권한도 갖는 등 최고 통수권자로서 대장군의 상위에 존재했고, [[촉한]]의 [[상국]] [[제갈량]]이 죽고 뒤를 이은 최고 재상 [[장완]]의 최종 관직이 대사마였다. 따라서 대사마>대장군>태위라고 볼 수도 있지만 시대에 따라서 정확히는 누가 어떤 자리에 앉느냐에 따라 관직의 권한과 영향력도 달라졌다. 가령 조위의 중신이자 [[조조]]-[[조비]]-[[조예]] 3대를 섬긴 고명대신 [[사마의]]는 역대 최강의 태위였고, 대장군에서 태위로 승격한 사례이다. 당시 실권자인 대장군 [[조상(삼국지)|조상]] 역시 사마의를 견제하여 태위에서 [[태부]][* [[삼사(관직)|삼사]]의 하나로 지위를 따지면 삼공보다 높지만 실권은 전무했다.]로 승격시키는 꼼수를 부렸다. 이후 사마의가 일으킨 [[고평릉 사변]]으로 조상 일가는 [[멸족]]되었고, 조씨 황실 역시 허수아비로 전락하면서 사마씨가 정권을 잡아 조위를 멸망시키고 [[서진]]을 건국했다. 이후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이후 [[오호십육국시대|혼란기를]] [[남북조시대|거치면서]] [[수나라|수]][[당나라|당]]대에 이르러 총사령관이던 대장군이 일군의 군사령관으로 격하되었고, 대사마 역시 자연스럽게 사라져 태위만 남게 되면서 다시 명예직으로 격하된다. === [[대한민국|한국]] === [[신라]]의 경우, 삼국 간의 전쟁이 가장 격렬할 때인 7세기에 새로이 개편된 신라의 군제인 6정을 지휘했던 최고사령관이었다.[* 대표적으로 [[김유신]]이 대장군 직을 위임한 적 있다.] [[고구려]]의 경우, 사서에 [[고구려-수 전쟁|여수전쟁]] 및 [[고구려-당 전쟁|여당전쟁]] 당시에 대장군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작으면 20,000, 많으면 4~50,000 이상의 병력을 지휘하는 군단장의 역할을 맡았다. 또한 대장군들을 지휘할 대장군으로서 오늘날엔 상급대장에 해당하는 삼군대장군을 두었다. 《[[신당서]]》나 《[[자치통감]]》을 보면 [[두방루]], [[온사문]] 등이 등장한다. <[[연남생]] 묘지명>에서는 중리위두대형(中裏位頭大兄) 겸(兼) [[장군]](將軍) 보직 이후 진급한 보직명으로 막리지(莫離支) 겸(兼) 삼군대장군(三軍大將軍)이란 보직이 등장하고, 《삼국사기》에는 [[고승(고구려)|고승]](高勝), [[뇌음신]] 등이 장군으로 등장하며 [[평양성 전투(668년)|평양성 전투]]에선 소장(小將) [[오사]](烏沙)가 등장한다. 고구려의 후계국가이며 고구려식 관직체계를 사용한 [[보덕국]]에서는 대장군 [[태대형]] [[고연무]]가 등장한다. 태대형이 고구려 관등 1위인 [[대대로]] 다음의 관직인 것을 보면 대장군은 고구려에서 매우 높은 지위임을 알 수 있다. [[고려]] 초, 중앙군과 [[호족]] 사병이 양립해 군사권이 분산되어 있을 때, 태조 왕건은 중앙군의 장수와 호족군 장수들에게 군단 이름을 주고 대장군 직위를 주었다. 이때의 대장군이라는 계급은 삼국시대의 대장군과 비슷한 느낌이었다. 이후 군사권이 단일화되어 국왕에게 독점되었을 때, 제6대 [[성종(고려)|성종]] 왕치는 고려 군대 중앙군 편제인 [[2군 6위]]에 대장군을 1명씩 두어 총 8명의 대장군을 두었다.[* 8명의 대장군 중 2군인 응양군, 용호군 소속 대장군이 가장 대우받았다. 특히 응양군 소속 대장군은 모든 대장군들의 좌장 격이었다.] 대장군은 각 군, 각 위의 사령관인 상장군(上將軍)의 아래이며 장군 위에 있는 종3품 벼슬로 삼국시대의 지위에 비하면 크게 하락했다.[* [[무신정권]]의 [[정중부]], [[이의민]] 등이 대장군을 거쳐 상장군을 했다.] 대장군 밑엔 섭대장군(攝大將軍)을 사이에 두어 대장군과 장군직의 격차를 늘리기도 하였다. 이렇게 정리해보면 상장군이 [[대장]], 대장군이 [[중장]], 섭대장군이 [[소장]], 장군이 [[준장]] 정도의 느낌이라고 하면 비슷하다. 평시 편제는 이렇고, 전시에 원정군이 조직되면 중앙군 6위가 5군으로 개편되는데, 이때 5군의 사령관으로 [[원수(계급)|원수]], 부사령관으로 [[부원수]]가 임명되었다. 이 두 직책은 문관이 담당했다. 이 때 대장군의 품계는 종3품이었다. 고려 중앙군 군제인 2군 6위의 원본인 당나라의 16위 제도를 보면 대장군은 6부의 [[상서]]들과 동급인 정3품이었는데 이를 보면 격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제11대 문종이 제정한 [[수춘궁|태자부]]의 관료 중엔 태자 시위를 담당한 시위상장군과 부관 시위대장군이 있었다. 이는 2군 6위의 상장군 → 대장군 직렬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제31대 [[공민왕]] 대부터 대호군(大護軍)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상장군은 상호군, 장군은 호군으로 바뀌었다. 즉, '''장''' 대신에 '''호'''를 넣은 것.] 조선시대까지 대호군으로 유지되다가, [[임진왜란]] 이후 군제가 문란해지면서 [[오위]]는 자연스레 명예직[* 퇴직 관료들에게 일종의 퇴직연금처럼 [[녹봉]]을 지급하기 위한 명예직 또는 [[공신]]들에게 주는 명예직이었다. 문관들에게 명예직으로 무관직을 주는 사례는 [[동아시아]]에서 [[한나라|한대]] 이후로 꽤 흔한 일이었다.]으로 전락하여 실질적인 군권은 [[오군영]]으로 넘어갔다. === [[일본]] === 중근세 일본의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였던 '''[[쇼군]]'''의 공식 직함인 '''[[정이대장군]]'''의 준말. 일반적으로는 '대'자를 뺀 '쇼군'이라는 명칭이 더 빈번하게 쓰인다. [[고대]]에는 '이쿠사노카미'라 불렀으며, [[전근대 일본의 관위와 역직]] [[율령제]] 하에서 3개 군에 대장군 1인을 두도록 규정하였다. 실제로는 북방의 [[에조]] 원정, 남서의 [[하야토]], [[구마소]] 정벌, [[천황|덴노]]의 호위, [[외국]] 사절 응대 등 네 가지 사안에 대하여 임명되는, 마치 중국 [[한나라]] 때와 같은 임시직이었다. 당시에는 정이대장군 직 외에도 정동대장군, 정적대장군 등 다른 대장군직도 존재했다. 중세에 쇼군이 [[천황|덴노]]의 [[조정]]을 제치고 무사정권인 [[막부]]의 지휘자가 되면서 쇼군은 영외직의 임시 무관직에서 사실상 일본의 [[총사령관]]이자 최고 권력자로 거듭나게 된다. === [[베트남]] === 무관의 최고직으로 문관의 최고직인 [[대신]]과 함께 나란히 권부에 들었다. == 주요 인물 == ||[[쇼군|일본의 대장군]]은 편의상 제외했습니다.|| ||'''볼드체'''는 커리어상 최고의 관직인 경우.|| === [[중국사]] === ==== [[전국시대]] ==== * [[왕전]] ==== [[초한지]]& [[전한]] ==== * 주괴([[진(영성)|진나라]]) * [[장한]] * [[한신]] * [[시무]] ==== [[삼국지]] ==== * [[강유]] - 최종 보직은 [[녹상서사]]. * --'''[[곽사]]'''[* 이쪽은 자칭이므로 취소선 표기.]-- * '''[[비의]]''' * '''[[사마의]]''' - 최종 보직은 [[태부]] * '''[[사마사]]''' * [[사마소]] - 최종 보직은 [[서진|진왕]]. * [[손준]] - 최종 보직은 [[승상]]. * [[손침]] - 최종 보직은 승상. * '''[[양기#s-2]]''' * '''[[원소(삼국지)|원소]]''' * '''[[위청]]''' * '''[[장훈(삼국지)|장훈]]''' * [[정봉#s-1]] - 최종 보직은 대사마. * [[제갈량]] - 최종 보직은 [[상국]]. * '''[[조상(삼국지)|조상]]''' * [[조인#s-1]] - 최종 보직은 대사마. * [[조진#s-1]] - 최종 보직은 대사마. * [[정덕제|주수]] - 명나라의 암군 정덕제가 '주수'라는 [[부캐]]를 만들고 스스로를 대장군으로 추대했다. * '''[[주적(삼국지)]]''' * [[하진]] - 최종 보직은 녹상서사. * '''[[하후돈]]''' * '''[[한섬(삼국지)|한섬]]''' === [[한국사]] === * '''[[김용수(신라)|김용수]]''' * [[연남생]] - 최종 직위는 [[대막리지]]. * [[알천]] * [[김유신]] - 최종 직급은 [[태대각간]]. * [[문극겸]] - 최종 무관직은 상장군. * [[윤인첨]] - 최종 무관직은 상장군. * [[석우로]] - 최종 직급은 [[이벌찬]]. * [[송유인]] * [[강민첨]] - 최종 무관직은 응양군 상장군. * '''[[이고]]''' * [[이광정(고려)|이광정]] * [[이소응(고려)|이소응]] * [[이의민]] - 최종 무관직은 상장군. * '''[[이의방]]''' * [[정중부]] - 최종 무관직은 응양군 상장군. * [[김취려]] - 최종 무관직은 금오위 상장군. == 대장군 캐릭터 ==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스트롱거]] - [[암흑대장군(가면라이더 스트롱거)|암흑대장군]] * [[가면라이더 가이무]] - [[가면라이더 가이무(가면라이더)|키와미 암즈]][* 변신음이 대 대 대 대 대장군!인데 여기서 대가 일본어 발음으로 다이인데, 주인공인 [[카즈라바 코우타]]의 주요 [[록 시드]]가 [[오렌지]] 즉, 귤인 것에서 따와 귤장군으로도 불린다. 귤을 뜻하는 한자 귤 등이 다이라고 발음된다.] * [[그레이트 마징가]] - [[암흑대장군]] * [[눈물을 마시는 새]] - [[괄하이드 규리하]](북부군), [[갈로텍]](남부군), [[키타타 자보로]](자보로 성 한정)[* [[2차 대확장 전쟁]] 시에는 북부군의 장군직을 맏는다.] * [[던전앤파이터]] - [[잭터 에를록스]], [[운 라이오닐]], [[카잔(던전 앤 파이터)|카잔]][* [[던전앤파이터/신|소멸의 신]]이 되기 전에는 펠 로스 제국군을 이끌던 대장군이었다.] * [[레고 닌자고]] - [[악튜러스(닌자고)|악튜러스]] * [[로드 오브 히어로즈]] - [[크롬 레디오스]] * [[리그 오브 레전드]] - [[스웨인]] * [[마법천자문]] - [[이랑(마법천자문)|이랑]], [[아차아태자]], '''[[천세태자|난세대장군]]''' *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 - [[아시나 겐이치로]] * [[스타워즈]] - [[카시오 타게]] * [[아르슬란 전기]] - [[바흐리즈]], [[키슈바드]] * [[아이언 키드]] - 대장군 카이저 * [[아카메가 벤다!]] - [[부도(아카메가 벤다!)|부도]] * [[용비불패]] - [[육진강]]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볼라스]] * [[킹덤(만화)|킹덤]] - [[왕기(킹덤)|왕기]], [[몽오(킹덤)|몽오]], [[염파(킹덤)|염파]], [[표공(킹덤)|표공]] * [[피를 마시는 새]] - [[엘시 에더리]] * [[홍도]] - 이시백(아들은 상관인 상장군 [[이홍도(홍도)|이홍도]]) == 관련 문서 == * [[대장]] * [[쇼군]] * [[막부]] * [[임페라토르]] * [[고려군]] * [[삼국지/관직]] [[분류:무관]]